KR20080060478A -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478A
KR20080060478A KR1020060134619A KR20060134619A KR20080060478A KR 20080060478 A KR20080060478 A KR 20080060478A KR 1020060134619 A KR1020060134619 A KR 1020060134619A KR 20060134619 A KR20060134619 A KR 20060134619A KR 20080060478 A KR20080060478 A KR 2008006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stem cell
stem cells
hematopoietic
hematopoietic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은영
Original Assignee
백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은영 filed Critical 백은영
Priority to KR102006013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0478A/ko
Publication of KR2008006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74Immunoglobulin superfamily (e.g. CD2, CD4, CD8, ICAM molecules, B7 molecules, Fc-receptors, MHC-molec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수의 CD34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추출하여 필요에 따라 일정기간 긴밀하게 보관한 상태에서 본인이 질병에 걸린 경우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도록 제공된 본인의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인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치료함으로서 별도의 조직검사를 비롯한 각종검사단계가 간단히 통과되어 신속히 환자를 치료할 수 있어 환자의 생명을 보호가능하며, 또한 본인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치료함으로서 타인의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이식과정에 따른 별도의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아 치료 후에도 별도의 후유증에 시달리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해소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제안된 본 발명은 재생목적으로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혈액암이나 백혈병등을 다양하게 치료가능하도록 제공되어 향후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학분야에서 보다 근본적인 치료방안을 제시하도록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THE FIXING METHOD USING THE STEM CELL OR THE HEMATOPOIETIC STEM CELL}
본 발명은 골수의 CD34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추출하여 일정기간 긴밀하게 보관한 상태에서 본인이 질병에 걸린 경우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함으로서 별도의 조직검사를 비롯한 각종검사단계가 간단히 처리되며 또한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아 쉽게 치유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대부분 타인의 골수를 이식하여 별도의 조직검사를 비롯한 각종검사를 마친 후에 골수를 이식받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골수의 민감한 특성상 검사자체가 까다롭고 시일이 많이 경과되며 또한 그에 따른 부작용의 우려가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것이다.
또한 현재 대부분 그라신이나 또는 뉴트로진을 이용하여 동종말초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하고 있는 질환은 혈액암 질환으로서 상기 혈액암질환은 안티에이징, 항노화관련, 대머리, 주름, 당뇨등이 주로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혈액암 질환에 대하여 수많은 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서 1988년 최초로 전제대혈이식이 수행된 후 상기 전제대혈 적용분야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악성질환(급성림프구성백혈병, 신경모세포종 등)과 비악성질환(난치성빈혈, 재생불향성빈혈 등)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인의 골수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본인의 질병치료에 사용되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본인의 질병에 있어서, 각종 혈액암이나 백혈병등과 같은 질환치료는 물론 상기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재생목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수의 CD34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추출하기 위하여 말초혈액으로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가 몰리도록 집진하는 집진단계와;
상기 집진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일정기간 긴밀하게 보관하는 보관단계와;
상기 보관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본인의 질병치료에 국한시켜 사용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추출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가 재생을 목적으로 사용되 어지는 것이며 상기 질병은 혈액암이나 백혈병 또는 신경질환 및 바이러스성 질환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상기 추출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치료되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인 분석과 그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동종간 말초혈관 전구세포(PBPC: peripheral blood progenitor cells)를 CD34+ 세포의 면역선택 후에 이식한 후 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제1그룹의 환자는 동일한 공여자로부터 면역선택된 혈액 CD34+ 세포와 비조작 골수세포를 투여하고 제2그룹의 환자는 면역선택된 혈액 및 골수(BM) CD34+ 세포를 투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골수이식(BM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1-6주 전에 HLA-일치 및 MLC-형제 공여자에서 5일 동안 매일 두 번 과립구 군집자극인자(G-CSF) 5 mg/kg를 피하로 주사하여 PBPC를 동원하였으며 G-CSF 적용 4일과 5일에 성분채집술(aphereses)을 수행한 것이다.
또한 복합 PBPC 농축물에서 면역흡착법에 의해 바이오틴(biotin)이 부착된 이차항체(biotinylated) 항 CD34+ 단일클론 항체 12.8를 사용하여 CD34+ 세포를 아비딘(avidin)으로 분리한 후 액체질소에 보관하였으며 BM은 이식 당일에 입수하고 환자를 16 mg/kg 버설판(busulfan) 또는 12Gy 전신방사선조사에 이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120 mg/kg으로 조절하되, 이식편 대 숙주질환(GVHD: graft-versus-host disease)의 예방을 위해 사이클로스포린 A(cyclosporin A) 및 단기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식 후 제1일부터 500 이상의 호중구/mL에 도달할 때까지 모든 환자에게 7일 동안 5 mg G-CSF/kg/d를 투여하였고 적혈구 수혈 비의존적이 될 때까지 7일째부터 150 U 에리트로포이에틴/kg/d를 투여한 것이며 이때 제1그룹은 급성 골수성백혈병(AML)(n=2), 만성 골수성백혈병(CML)(n=2) 및 T-g-림프증식성 증후군 및 BM 무형성증(n=1)을 가진 환자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PBPC 기원의 경우 환자에게 체중 kg 당 3.3 x 106 CD34+와 3.7 x 105 CD3+ 세포의 평균값을 투여하였고 BM 기원의 경우 체중 kg 당 4.5 x 105 CD34+와 172 x 105 CD3+ 세포의 평균값을 투여하였으며 제2그룹은 5명의 환자(AML 2명, CML 2명,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1명)로 구성하여 상기 PBPC 기원의 경우 환자에게 체중 kg 당 3.3 x 105 CD34+와 3.2 x 105 CD3+ 세포의 평균값을 투여하였고 BM 기원의 경우 체중 kg 당 1.4 x 105 CD34+와 0.6 x 105 CD3+ 세포의 평균값을 투여한 것으로서 비교를 위해 BM 단독으로 5.2 x 106 CD34+와 156 x 105 CD3+ 세포의 평균값을 이식하여 역사적 일치대조그룹(n=12)을 조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합된 상태에서 제1그룹에서 호중구가 >100, >500 및 >1,000/mL로 회복되는 시간의 중앙값은 각각 12일, 15일 및 17일 가량 소요되는 것이였으며 제2그룹의 환자는 BMT 후 13일, 15일 및 17일에 상기와 같은 호중구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또한 제1그룹의 환자는 18일 이내에 혈소판이 제공되고 10일 이내에 적혈구 세포의 수혈이 제공된 반면 제2그룹의 환자는 상기한 시간점이 각각 26일과 17일로 제공된 것이다.
상기 대조환자의 경우에는 이와 동일한 수혈을 각각 38일과 24일에 중지할 수 있으며 대조그룹(중앙값 등급 II)과 비교할 때 제1그룹에서 약 2% 이상의 말초혈액 CD3+ 세포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급성 GVHD의 등급(중앙값 등급 II)은 높아지지 않았으며 제2그룹의 환자 5명 중 4명이 급성 GVHD의 증상을 보이지 않고 상기와 같은 데이터는 BM 세포에 대한 면역선택된 동종간 CD34+ 전구세포의 추가가 조혈회복을 가속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골수절제식 항암치료 후 단독의 골수이식(BMT: bone marrow transplantation)과 비교시 자가조직 말초혈액 전구세포(PBPC)의 이식이 더 유익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으며 조혈회복의 가속 및 혈소판 감소기간의 현저한 단축이 이미 공개된 것이다.
특히 자가조직 BMT 대신에 자가조직 PBP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신마취의 필요성이 없어지는 것은 물론 이환율, 지지요법 및 입원기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PBPC 이식의 장점은 동종간 BMT와 관련된 것으로서 공통유전자 PBPC의 이식, 동종간 PBPC 이식에 대한 일부 보고 및 PBPC에 의한 동종간 BMT 후 열악한 골수이식기능의 치료는 동종간 PBPC가 지속 가능한 조혈생착을 제공가능하며 건강한 골수(BM) 공여자에서는 조혈성장인자에 의해 다수의 PBPC가 이동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성분채집산물에서 고함량의 면역적격성 T 세포로 인해 동종간 PBPC의 수혜자가 급성 이식편 대 숙주질환(aGVHD)의 위험에 크게 노출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고갈기술이 아닌 적절한 T 세포 감소기술의 사용으로 이와 같은 위험을 미연에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식편에서 T 세포의 비율을 유지하여 거부위험 및 높은 재발율을 예방하는 것이며 분화가 결정된 만능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정제된 CD34+ 세포는 동종간 이식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건강한 BM 공여자에서 줄기세포를 동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동종간 이식에서 면역선택된 CD34+ PBPC에 의한 연구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악성혈액병소를 가지고 있는 5명의 환자를 비조작 BM 세포 및 정제한 혈액 CD34+ 세포를 사용하는 복합 BMT의 대상으로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CD34+ 세포는 해당하는 BM 공여자의 G-CSF 동원 PBPC 조합제에서 면역선택하였다(제1그룹). 다른 5명의 환자는 면역친화성으로 선택된 BM 및 말초혈액 CD34+ 세포를 이식하였다(제2그룹).
이하 BMT 당시의 환자특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표 1에 제공되어있다.
PBPC의 동원 및 채집 - 2명을 제외한 모든 공여자(28-45세 남성 9명, 여성 1명)는 HLA-, A, B, C, DR, ABO- 및 Rh 완전일치 형제였다. 환자 E와 공여자는 ABO 혈액형이 약간 불일치하였다(공여자 O, 수혜자 A1 [제1그룹]). 환자 G의 공여자(제2그룹)는 수혜자와 비교하여 하나의 HLA-A 유전자자리에서 불일치를 보였다(공여자 HLA- A 2, 32: 수혜자 HLA- A 2). 모든 사례에서 환자와 해당 공여자 사이의 혼합 림프구 반응은 음성으로 나타났다. PBPC의 동원을 위해 공여자에게 5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피하에 G-CSF(필그라스팀[filgrastim]; Amgen, Munich, Germany) 5 mg/kg을 매일 2회 투여하였다. 5일째에는 아침에만 G-CSF 용량(5 mg/kg)을 투여하였다. 매일의 용량은 G-CSF의 청소율28로 인해 해당하는 동원일정계획 및 본 저자의 관찰사항과 일치하여13 Sheridan 등1의 데이터에 따라 나누었다. G-CSF 적용 4일과 5일에 COBE Spectra 연속유세포분리기(Cobe Laboratories, Haimstetten, Germany)를 사용하여 두 군데의 말초혈액삽입을 통해 성분채집술을 수행하였다. 전체 공여자의 혈액용량을 채집술 수행 건당 50 mL/min의 유속으로 3회 처리하였다.
표 1. 환자의 특성
환자 연령/성별 진단 치료상태 전처치 제제
제1그룹
A 31/M T-g-림프증식성 증후군 BM 형성부전 TBI/Cy
B 28/F 만성 골수성 백혈병 CP Bu/Cy
C 36/M 만성 골수성 백혈병 CP Bu/Cy
D 39/M 급성 골수성 백혈병 (M2) 1차 CR TBI/Cy
E 38/M 급성 골수성 백혈병 (M4) 1차 CR Bu/Cy
제2그룹
F 26/F 금성 골수성 백혈병 (M2) 1차 CR Bu/Cy
G 31/M 만성 골수성 백혈병 CP TBI/Cy
H 43/M 민성 골수성 백혈병 CP Bu/Cy
I 30/M 급성 골수성 백혈병 (M5) 1차 CR Bu/Cy
J 45/F 여포상 비호지킨 림프종 4기 재발 후 PR TBI/Cy
조혈줄기세포이식 시 환자의 특성
약자: CP: 만성단계, CR: 완전완화, PR: 부분완화, TBI: 12Gy 분획전신방사선조사,
Bu: 부설판(busulfan) 16 mg/kg, Cy: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120 mg/kg.
BM 수집 및 이식 - 수혜자의 조절 후에 나타나는 BM은 PBPC 채집 후 1-7주에 입수한다. COBE 2991 장치(COBE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약 1,500 mL의 수집골수에서 적혈구를 분리하고 공여자에게 다시 주사한다. 유핵 BM 세포를 M199(Sigma Chemical Co., Deisenhofen, Germany)로 세척하고 농축시켜서(375 mL) 중심정맥용 카테타(central catheter)를 통해 수혜자에게 수혈한다(제1그룹). 제2그룹의 환자에게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Ceprate SC 시스템(CellPro Inc., Bothell, WA)을 사용하여 선택 후 극저온에 보존하지 않은 BM-CD34+ 세포를 투여하였다.
CD34+ 혈액세포이식 - 골수세포에 부수적으로 면역선택된 CD34+ PBPC를 38℃의 수조에서 5분 동안 해빙하여 10 U/mL 헤파린(Heparin novo, Nordisk, Mainz, Germany)을 보충한 PBS(phosphate-buffered saline)(Dulbecco의 Ca2 + 및 MgCl2 제외; GIBCO-BRL, Eggenstein, Germany)를 사용하여 30 mL로 희석하고 이어서 수혜자에게 주사하였다.
CD34+ 세포의 면역친화성 선택 - 모든 PBPC 조합제(제1 & 2 환자그룹) 및 제2그룹의 BM 수집물에 대해 CD34+ 세포 면역선택을 수행하였다. 최초의 PBPC 성분채집산물은 하루 밤 상온에 보관하고 추가처리 이전에 두 번째 성분채집산물과 혼합하였다. 복합 PBPC 농축물 또는 BM 수집물을 PBS로 세척하였다. 모든 PBS 세척단계는 10분 동안 400 g에서 브레이크 스위치(GS-6KR Beckman 원심분리기, Beckman, Munich, Germany)를 끄고 수행하였다. 제조자의 지시사항에 따라 CD34+ 세포선택을 수행하였다. 요약하면 세척한 세포 펠릿을 100-150 mL로 재현탁하였다. 세포현탁액에 바이오틴이 부착된 이차항체 12.8 IgM 항 CD34 단일클론 항체(MoAb)(3-mL 병; CellPro)와 0.7 mL 20% 인간혈청알부민(HAS; DRK ±Blutspendedienst, Springe, Germany)을 추가하였다. 22℃에서 30분 동안 배양 후 비결합 MoAb를 세척하였다. 세포를 약 300 mL PBS에서 서서히 재현탁하고 Ceprate SC 장치의 전처리 아비딘 도포 컬럼을 통해 처리하였다. 전처리 세척 PBS 백(bag)과 CD34+ 세포용기 각각에 5 mL의 HAS를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혈액 CD34+ 세포를 PBS에서 세척하고 10 U/mL 헤파린을 보충한 PBS에서 7.5% DMSO(dimethylsulfoxide) 및 4% HSA 최종용액의 10~50 x 106 세포/mL 사이의 농도로 농축하였다. 그 후 세포를 냉동조절된(Planer Kryo 10 SII; Messer Griesheim, Krefeld, Germany) 5 mL 극저온병(Nunc, Wicsbaden, Germany)으로 이동하여 이식 시까지 액체질소에 보관하였다.
BM CD34+ 세포를 세척하고 10 U/mL 헤파린을 보충한 50 mL PBS에서 재현탁한 즉시 수혜자에게 주사하였다.
품질검사 - G-CSF 동원시작 전, 1일째 저녁 두 번째 G-CSF 피하주사 후, 2-5일째까지 G-CSF 적용 직전 매일 아침, BM 수집일에 모든 공여자의 말초혈액에서 과립구-대식세포 군집형성단위(CFU-GM) 및 적혈구군 형성단위(BFU-E)의 수치는 물론 유핵세포 및 혈소판 계수, CD34+, CD3+, CD4+, CD8+ 및 CD14+ 세포 수를 관찰하였다. 동일한 파라미터를 CD34+ 세포의 양성선별 전후에 성분채집산물 및 BM 수집물에서 측정하였다.
유핵세포를 Neubauer 챔버에서 수동으로 계수하고 Coulter 계수기(S Plus IV; Coulter Electronics, Munich, Germany)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계수하였다.
항 CD34 PE(phycoerythrin) 복합 MoAb(Qbend 10; Immunotech, Hamburg, Germany) 및 FITC(fluorescein-isothyocyanate) 복합 항 CD45(항 H-Key-1) 또는 항 CD3(항 H-Leu-4) MoAb를 사용하여 CD34+ 세포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CD34+/CD45+ 및 CD34+/CD3- 이벤트에 대한 이중색상 유세포분석법을 사용하였다. Qbend 10(IgG)과 12.8(IgM) 항 CD34 MoAb 사이의 교차결합은 없었다(데이터 미게재). 항 CD4 FITC(항 H-Leu-3a)와 항 CD8 PE(항 H-Leu-2a) MoAb로 배양한 시료는 유세포분석기의 보정 및 이와 같은 T 림프구 하부집단의 예측에 사용하였다. PE 복합 항 H-Leu-M3(Becton Dickinson, Heidelberg, Germany)로 배양 후 CD14+ 세포를 탐지하였다. 혈액 및 조합제의 하부집합세포함량은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형광활성화 세포분석기(fluorescence-activated cell scanner)(FACScan, Becton Dickinson)에서 평가하였다.
용해한 해당 MoAb(FACS-용해액; Becton Dickinson)으로 사전배양하고 PBS에서 두 번 세척한 세포현탁액에서 대략 20,000-50,000 이벤트를 획득하였다. 리스트 모드 데이터의 도트블롯 분석(dot-blot analysis)에는 PC-LYSYS 소프트웨어(Becton Dickinson)를 사용하였다.
CFU-GM 및 BFU-E에 대한 군집분석은 생체 외에서 CD34+ 세포의 클론원성 능력에 대한 대조로서 사용되었다. 세포는 다른 방식으로 접시에 담아 준비하였다. 2.5~5.0 x 104 농도기울기 분리 단핵세포(MNC: mononuclear cell)는 말초혈액, 비조작 BM 또는 PBPC 농축물(Ficoll-Paque, 농도 1.077 g/mL, Pharmacia, Uppsala, Sweden) 시료에서 채취하였고 양성선택한 CD34+ 세포 현탁액을 사용한 분석에는 1.0 또는 2.0 x 103 세척세포만 사용하였다. 시료는 2 U/mL 에리트로포이에틴(erythropoietin)(Boehriger Mannheim, Mannheim, Germany) 및 Iscove의 수정된 Dulbecco 배지(GIBCO-BRL)의 5% 태반조절배지로 보충한 1 mL 메틸세룰로즈(methyl cellulose) 전구세포성장배지(GIBCO-BRL)로 4배 현탁하였다. 배양물을 37℃에서 5% CO2를 함유한 100% 가습공기에서 배양하였다. 군집 당 50개의 이상의 세포를 포함하는 CFU-GM 및 BFU-E의 형성은 14일째에 계수하였다.
CD34+의 해동 후 회복 및 생존도는 세포계수 및 트리판 블루(trypan blue) 염료배제검사에 의해 조절하였다. 모든 사례에서 회복율은 90% 이상이었다.
임상적 이식 프로토콜 - BMT 당일은 0일째로 표준화하였다. 이식 후 모든 환자에게 G-CSF와 에리트로포이에틴을 다음과 같이 투여하였다. 1일째에 G-CSF(필그라스팀) 5 mg/kg의 매일 단기정맥주입을 시작하고 3일 연속적으로 500/mL 이상의 호중구가 탐지될 때까지 계속하였다. 또한 7일째에 재조합 인간 에리트로포이에틴(Recormon, Boehringer, Mannheim, Germany) 150 IU/kg의 매일 연속정맥주입을 시작하고 일주일 동안 환자가 적혈구 수혈 비의존적 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한다.
GVHD 예방제제는 200 ng/mL의 표적전혈수준에 적응한 3 ~ 5 mg/kg 사이클로스 포린 A(cyclosporin A)(CsA; 연속정맥주입) 및 메토트락세이트(MTX: methotrexate)로 구성하였고 제1그룹 환자의 경우 1일째에 15 mg/m2 그리고 3일, 6일 및 11일째에 10 mg/m2를 정맥으로 주입하였다. CsA는 구강점막염이 사라진 직후 경구로 투여하였고 이식 후 180일째에 중단하였다. 제2그룹 환자에 대한 MTX 적용은 1일, 3일 및 6일째에 감소하였다. 환자 G는 HLA-A 불일치로 인해 1 mg/kg의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을 추가로 투여하였다. 지지요법으로서 완전항균정화 및 층류방식의 무균실(laminar air-flow room)에 격리시켰다. 주폐포자충 폐렴(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에 대한 예방으로 이전에 발표한 바와 같이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대신에 Pentamidine-isethonate(Pentacarinat; Rhe-Poulenc-Rorer, Cologne, Germany) 흡입을 사용하였다. 1일-30일 사이에 예방적으로 평방미터 당 500 mg의 아사이클로비르(acyclovir)를 정맥으로 하루에 3회 주입하였다(Zovirax Wellcome, Grourgwedel, Germany). 헤모글로빈 수치를 80 g/L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적혈구세포(RBC)를 수혈하였고 혈소판 수치를 20,000/mL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혈소판을 수혈하였다. 혈액세포는 매일 계수하였다.
환자가 이식 후 100, 500 및 1,000 호중구/mL, 50,000 혈소판/mL 및 10,000 망상적혈구/mL을 달성할 수 있는 일수를 결정하여 이식시기를 평가하였다. RBC 및 혈소판 수혈 수 및 수혈 비의존적 시기도 평가하였다. 8일째와 이식 후 28일 사이에 대조 BM 흡인술을 일상적으로 수행하였다. 환자 7명의 BM 흡인물에서 BM의 CD34+ 세포함유량을 조사하였다. 환자의 BMT 후 3주 이상 성공적인 생착을 입증하기 위해 서 BM 및 말초혈액 유핵세포에 대한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하 대조그룹을 설명한다.
비교를 위해 유사한 진단과 BM 이식치료를 받고있는 환자 12명(평균연령 35세, 남성 8명, 여성 4명)을 적절한 역사적 대조그룹으로 구성하였다. G-CSF 및 에리트로포이에틴에 의한 조혈작용의 자극 및 BM의 CD34+ 세포함량데이터의 가용성을 위해 동일한 프로토콜을 진행하는 환자를 선택하였다. 이들 환자는 본 연구가 시작되기 전부터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대조환자의 수가 적었다. 근원적인 질환에 따라 BMT 전처리 치료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환자 3명의 경우 버설판 16 mg/kg 및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120 mg/kg,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환자 4명과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환자 1명의 경우 12 Gy 분획 전신방사선조사(TBI: total body irradiation),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환자 1명의 경우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120 mg/kg,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 1명과 급성 림프성 백혈병 환자 1명의 경우 TBI 및 VP16 60mg/kg 및 중증의 재생불량성빈혈 환자 1명의 경우 전림프절 방사선조사(total nodal irradiation) 8 Gy와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200 mg/kg를 포함하였다. GVHD 예방을 위한 CsA 및 MTX와 관련하여 제1그룹의 경우에는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제1그룹과 제2그룹의 대조그룹에 대한 G-CSF 및 에리트로포이에틴 요법(상기참조), 지지요법 및 임상이식 프로토콜은 동일하였다.
이하 데이터 분석은 다음과 같다.
상기 데이터는 먼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역사적 대조와 환자의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검사를 적용하였다(SPSS 6.01, Munich, Germany).
상기과정에 따른 결과는 PBPC 동원, BM 수집 및 CD34+ 세포면역선택; G-CSF의 적용은 7명의 공여자에서 뼈의 통증 및 두통을 유발하였고 이는 진통제로 완화되었다. 세포분리는 잘 견뎌내었다. 공여자의 혈액의 백혈구 수치는 동원이 발생하기 전 평균 6.4 x 103/mL에서 G-CSF 적용 4일과 5일째에 47.9~44.7 x 103/mL로 증가하였다(7.5 및 7배 증가). 이와 동시에 MNC 수치는 평균 기준수치 2.2 x 103/mL에서 6.9 x 103/mL로 증가하였다(3배 증가). G-CSF 치료 시 4일째에 최초의 성분채집술을 완료하기 전 혈소판 수치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혈소판 수치는 두 번의 성분채집술 후 200 x 103/mL 이하이었으나 150 x 103/mL 이하로 감소하지 않았다. 동원 시 및 이후에 CFU-GM, BFU-E 및 CD34+ 세포 수에 대한 정확한 동역학은 그림 1에 설명되어있다. 순환 CD34+ 세포 수는 동원 4일째와 5일째에 각각 13.5배 및 18배로 증가하였다. 같은 날 CFU-GM의 경우 43~61배의 그리고 BFU-E의 경우 22.5-24.5배의 증가가 측정되었다.
Figure 112006096798122-PAT00001
그림 1. 10 BM 공여자에서 G-CSF에 의한 줄기세포동원 시와 이후에 공여자 CFU-GM, BFU 및 CD34+ 수준의 동역학. 순환 CD34+ 세포는 동원 4일째와 5일째에 최고에 도달하였다. 최초 및 이차 동원일에 3.8 ±3.2 CD34+ 세포/mL(평균 ±SD; 범위 0.4-12.8)의 정적상태가 거의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4.2 ±4.3(범위 0.9-14) 및 3.4 ±1.9(범위 1.2-7) CD34+ 세포/mL. 3일째에 증가하기 시작하여(13.9 ±8.4 범위 3.3-25 CD34+ 세포/mL) 4일째와 6일째에 각각 51.2 ±23.2(범위 18.4-94.7) 및 68.1 ±36.8(범위 20.1-143.8) CD34+ 세포/mL에 도달하였다. 이는 13.5배 및 18배의 증가에 해당하는 것이다. CFU-GM 및 BFU-E는 동원 전 평균수준 0.1~0.4 CFU-GM 또는 BFU-E/mL에서 4일째와 5일째에 각각 4.3~6.1 CFU-GM/mL 및 9.0~9.8 BFU-E/mL로 증가하였다. 이로써 CFU-GM는 43~61배 증가하였고 BFU-E는 22.5~24.5배 증가하였다.
BM은 G-CSF 동원시작 후 중앙값 39일(범위 10-57일)에 수집하였다. 최종 G-CSF 주사와 골수수집 사이의 간격은 공여자 2명에서만 각각 10일과 12일이었다. 다른 공여자의 경우에는 간격이 더 길었다(범위 23-51일) 관찰된 혈액세포 하부그룹의 계수는 동일시기에 건강한 사람에 대한 참조범위 평균 8.9 ±3.3 x 103 백혈구/mL, 평균 2.6 ±1.3 x 103 MNC/mL 및 평균 209 ±60 x 103 혈소판/mL에 대해 표준화하였다. 혈액에서 평균값 6.4 / 1.3 CD34+ 세포/mL, 0.4 CFU-GM/mL 및 0.8 BFU-E/mL은 G-CSF 적용 전보다 약 2배 정도 높았지만 아직 최고동원수준보다는 낮았다(P=.01; .13 및 .38, 그림 1 참조). 동원시작 직후(10일 및 12일)에 수집을 수행한 2명의 BM 시료는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과립구를 포함하였다(67.5% 대 89%). 입수한 총유핵세포 수는 다른 사람의 약 3배였고 CD34+ 세포, CFU-GM 및 BFU-E 산출량은 비슷하였다.
수혜자 10명의 평균체중은 73.5 kg(제1그룹 환자 70.6 kg, 제2그룹 환자 76.4 kg)이었다. 단일의 성분채집 PBPC(n=20)은 평균(±SD) 4.0 ±1.6 x 1010 유핵세포이고 이 중에서 89%는 MNC였다. 총 MNC 하부집단 수(평균 ±SD)는 3.9 ±3.1 x 108 CD34+ 세포, 3.2 ±2.2 x 107 CFU-GM, 4.6 ±3.2 x 107 BFU-E, CD4과 CD8 세포비율이 1.67인 1.5 ±0.6 x 1010 CD3+ 세포 및 1.2 ±0.6 x 1010 CD14+ 세포였다. 이하 혈액 및 BM에서 이식한 세포에 대한 설명이다.
하루 밤의 보관, 혼합, 다중세척 및 면역선택을 포함하는 PBPC 농축물에 대한 전체처리과정을 통해 약 30%의 CD34+ 세포가 산출되었다(n=10). 이식용 PBPC 조합제는 평균적으로 70% CD34+ 세포를 포함하였다. CFU-GM 및 BFU-E의 산출량은 각각 25% 및 17%였다. 해당 CD14+ 세포는 물론 말초혈액 CD3+ 세포는 체중 1kg 당 2.04 x 108 세포에서 3.7~3.2 x 105 세포/kg로 3로그 감소하였다. CD4+ 대 CD8+ 비율은 0.7로 변환되었다. 제1그룹의 비조작 이식 BM은 CD4+ 대 CD8 비율이 0.8이었다. 제1그룹의 경우 이식한 CD34+ 세포의 42%와 이식한 CD3+ 세포의 2%가 말초혈액에서 기원하였다.
제2그룹의 환자에서 수집한 비조작 BM의 CD4+ 대 CD8+ 세포비율은 1.26이었다.
면역선택을 통해 66%의 평균순도를 가진 CD34+ BM 세포의 48%가 산출되었다. CFU-GM 및 BFU-E의 산출값은 각각 96% 및 80%였다. CD4+ 대 CD8+ 세포비율은 1.36으로 약간 상승하였다. CD3+ 및 CD14+ 세포는 약 2로그 감소하였다. 제2그룹의 환자는 PBPC로부터 평균 70%의 CD34+ 세포 및 84%의 CD3+ 세포를 투여하였다
환자데이터; 환자 개인별 조혈회복 데이터가 제공되는 것이다.
100, 500 및 1,000 호중구/mL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CD34+ PBPC를 투여한 10명의 환자를 대조환자와 비교하였다(각 p=.03, .09 및 .52).
50,000 혈소판/mL에 도달하고 수혈 비의존적이 되기 위한 시간에 대한 P 값은 각각 .5 및 .08이었다.
제1그룹과 제2그룹 모두에서 5명의 환자 중 2명에서 BMT 후 중대한 감염이 발생하였다. 환자 A는 골수세포형성으로부터 즉각적으로 회복되었으나 톡소플라스마성(toxoplasmosis) 폐렴으로 발전하였고 이식 45일 후 성인호흡장애증후군 및 다기관 부전(multiorgan failure)으로 사망하였다. 또한 환자 E도 복합적인 임상증상을 나타내었다. 3계통 조혈작용은 2-3주 이내에 회복되었다. 거대세포 바이러스(CMV: cytomegalovirus) 항원혈증의 예방을 위해 10일째에서 31일째까지 선행적 간시클로비르(ganciclovir) 350 mg/d를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이 환자는 BMT 30일 후 정맥폐색성 간질환(veno-occlusive liver disease)으로 발전하였다. 이후 28 단일 공여자 성분채집 혈소판 농축물과 7 RBC 농축물을 수혈하였다.
제1그룹에서 2명의 환자는 피부에 1등급 급성 GVHD가 발생하였다(환자 B는 28일과 38일 사이, 환자 C는 59일과 67일 사이). 추가로 2명의 환자는 2등급 급성 GVHD로 발전하였다. 환자 A는 17일과 45일 사이에 피부, 내장 및 간에 2등급 급성 GVHD가 발생하였고 환자 D는 18일과 58일 사이에 피부 및 간에 2등급 급성 GVHD가 발생하였다.
진단적 BM 흡인술을 통해 제1그룹의 환자 모두에서 14일과 28일에 BM의 3계통 재조성이 입증되었다. 환자 C의 9일째 BM의 CD34+ 세포비율(1.8%), 환자 D의 28일째(0.85%) 및 환자 E의 20일째(0.81%) 및 32일째(2.73%)는 거의 정상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BM 및 혈액유핵세포에 대한 공여자의 DNA 패턴을 사용하는 RFLP 분석에 의해 완전한 생착이 입증되었다. 1995년 4월 25일을 기준으로 생존하는 4명의 환자가 완전한 완화상태에 도달하였고 이식 10~13개월 사이에 안정적인 조혈 파라미터 를 나타내었다.
환자 및 해당대조데이터의 생착 및 GVHD 특성(n=12). 각 GVHD 등급(0-4)의 환자수는 0등급 0명, 1등급 5명, 2등급 3명, 3등급 3명, 4등급 1명이었다. 역사적 대조그룹과 비교할 때 CD34- PBPC를 가진 10명의 환자에서 급성 GVHD의 심각성이 감소하였다(p=.02).
약자: NR: 미도달(조기사망)
* 모든 환자에게 각각 약 8U의 0.5 x 1011 혈소판을 포함하는 단일 공여자 성분채집 혈소판 농축물을 투여하였다.
† 환자 E는 CMV 감염 및 VOD로 발전하였고 30일-62일 사이에 혈소판 수혈 의존적이 되었다.
제2그룹의 경우 24일에서 37일까지 CMV 항원혈증에 대한 선행적 간시클로비르 치료에 의해 환자 G의 조혈회복이 손상되었다. 이식된 조혈작용은 결국 이식 4개월 후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혈액수치로 회복되었다.
제2그룹에서 환자 I는 1일째 조절 후 간의 효소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MTX를 투여하지 않았다.
제2그룹의 환자 1명(환자 H)만 22일과 25일 사이에 피부, 내장 및 간에 2등급의 급성 GVHD가 발생하였다.
진단적 BM 흡인술을 통해 14일 후 환자 F, H 및 J에서 BM의 3계통 재조성이 입증되었다. 환자 F는 14일과 34일에 0.33%와 0.75%의 BM CD34+ 세포가 유지되었다. 환자 I에서 BM의 CD34+ 세포는 9일에만 평가되었다(4.73%). 제2그룹의 모든 환자의 생착은 RFLP 분석에 의해 입증되었다. 이는 BM 및 혈액유핵세포의 공여자 DNA 패턴을 나타내었다. 1995년 4월 25일을 기준으로 5명의 환자가 이식 6~9개월 후 안전적인 조혈 파라미터를 보이는 완전한 완화상태에 도달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공됨으로서 말초혈액에서 BM 세포까지 순수 동종간 CD34+ 세포를 추가하는 경우에 조혈회복이 가속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자가조직 PBPC를 사용하는 경우에 조혈작용의 회복시간이 단축된다는 자가조직 이식의 경험과 일치하는 것이다. 이식실패치료에 대한 한 사례보고는 동종간 PBPC가 BM 기능을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하였다. 다른 보고에서는 골수 대신에 동종간 G-CSF 동원 PBPC를 성공적으로 이식한 환자에 대한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두 사례에서 이식한 동종간 PBPC가 추가적으로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도 심각한 GVHD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저자는 최근의 보고에서 면역친화성 선택 CD34+ 혈액세포도 열악한 골수이식기능을 가진 환자에서 GVHD의 악화 없이 조혈작용을 복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최근 3건의 논문에서는 동종간 PBPC 단독의 성공적인 생착을 설명하였다.
본 저자의 최근연구에서 각 PBPC 성분채집 시 수혜자 체중 1 kg 당 2 x106 이상의 CD34+ 세포 및 15 x 104 이상의 CFU-GM 및 BFU-E을 수집하였다. 일부 보고서에서는 지속 가능한 조혈작용 생착에 체중 1 kg 당 4x 106 CD34+ 세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지속 가능한 생착에 결정적인 말초혈액 기원의 동종간 CD34+ 세포의 수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비교를 위해 BM 기원의 세포 수를 산출하면 체중 1 kg 당 2 x 108 유핵세포가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저자의 연구에서 골수 조합제는 2 x 106 CD34+ 세포/kg에 해당하는 약 1%의 CD34+ 세포를 포함하였다. 자가조직 혈액줄기세포이식에서 신뢰 가능한 조혈작용회복을 위한 표준 CD34+ 세포의 수는 2.0~5.0 x 106/kg이다.
CD34+ 표지자를 줄기세포 및 전구세포 분획에 대한 표시자로 허용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CD34+ 혈액줄기세포의 수는 충분하다.
그러나 이 수치가 동종간 PBPC 이식에 유효한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고 5~15 x 106 CD34+ 세포/kg를 유효한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도 있다.
성장인자에 의해 동원되지 않는 비동원적 순환 CFU-GM, BFU-E 및 CD34+ 세포의 수준은 낮기 때문에 적절한 양의 전구세포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성분채집술 과정과 더불어 장시간이 소요된다. 건강한 사람의 말초혈액에는 1-5 CD34+ 세포/mL만 안정적인 상태의 조혈작용에서 존재한다. 평균 성인 남성의 전혈액용량을 약 6L로 간주하고 평균 성인 여성의 전혈액용량을 5L로 간주하면 순환 CD34+ 세포의 전체 수를 외삽할 수 있다. 따라서 전혈액용량이 3회 처리되고 채집효능이 100%이고 순환 CD34+ 세포의 수준이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증가한다는 것을 가정하면 성분채집술에 의해 4~7 x 107 CD34+ 세포(수혜자 체중이 70 kg인 경우 약 0.7 x 106 CD34+ 세포/kg)를 채집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상적인 조건이 가능한 경 우 필요한 PBPC의 수를 입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6번의 성분채집이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한 조합제의 추가적인 처리가 특정한 전구체의 상실과 연관되어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본 저자의 데이터에서 제시하는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 10회 이상의 채집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가설은 동종간 이식에 충분한 PBPC를 채집하기 위해서 10회의 성분채집술을 수행한 Kessinger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입증되었다. 그 후 PBPC의 G-CSF 동원에 관한 더욱 많은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전구세포의 정의와 관련하여 Tjnfjord 등은 여러 림프조혈작용 표지자를 사용한 G-CSF 10 mg/kg/d로 처리한 6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분석하였다.G-CSF 동원 후 4일과 5일에 순환 CD34+ 세포, CFU-GM 및 BFU-E의 최대수를 탐지하였다. 또 다른 최근의 연구는 정상적인 피험자에서 CD34+ PBPC의 동원에 대한 4일간의 G-CSF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동종간 이식에 충분한 양의 PBPC는 백혈구성분채집술에 의해 채집할 수 있다. 말초혈액에서 전백혈구, CFU-GM, BFU-E 및 CD34+ 세포 계수와 공여자에서 PBPC 성분채집술의 산출량에 관한 본 저자의 데이터 발표된 데이터와 일치하였다.
또한 연구된 조혈작용 파라미터가 G-CSF 동원완료 2-3주 이내에 정상화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환자 및 건강한 사람에서 G-CSF 적용 시 발생하는 흔히 유일한 주요 부작용은 뼈의 통증 및 근육통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여자에서 G-CSF 적용 시 두통 및 구강 건조증과 더불어 뼈의 통증이 주요 부작용이었다. 본 결과는 PBPC 동원에 대한 G-CSF의 적절성을 확증하 지만 G-CSF의 급성독성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인해 알려져 있지 않은 장기 또는 만기 합병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G-CSF로 동원된 전혈액용량을 3회 처리하는 경우에 평균 CD3+ 세포비율이 37%인 2 x 1010 이상의 백혈구 산출량을 생산하였다. 입수된 BM은 2.7 x 1010 유핵세포와 동일한 세포산출량에 의해 약 5%의 CD3+ 세포를 포함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데이터와 더불어 다른 연구목적에서 본 연구소에서 수행한 300건 이상의 자가조직 성분채집산물 및 각 BM 수집물을 관찰하였다. 평균 PBPC 농축물 수는 성분채집건 당 2 x 1010 이상의 유핵세포였다. 이 중에서 약 30%가 CD3+ 세포였다. BM 수집물에서 CD3+ 세포비율은 항상 평균 1.5 x 1010 세포에서 7% 이하였다(본 저자의 미발표 데이터). 2회 수행한 PBPC 성분채집술의 결과는 표준형의 BM 수집과 비교할 때 CD3+ 세포가 약 10배 더 많았다. 이와 같이 체중 75 kg 성인환자의 경우에 2회 수행한 PBPC 농축물로 구성한 이식편은 대략 GVHD의 발병을 증가할 수 있는 2 x 108 CD3+ 세포/kg 이상을 포함할 것이다.
더욱이 여러 저자가 1 x 106 T 세포/kg 이상을 포함하는 BM 세포 조합제의 주사가 GVHD의 위험을 증가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다수의 T 세포이식에 대한 주요우려는 만성 GVHD의 높은 발병율을 초래하는 공여자 수혈의 경험으로부터 유래한다.
심각한 급성 GVHD의 발병을 감소하기 위해 골수 이식편에서 T 세포를 고갈하기 위한 연구가 여러 해에 걸쳐 수행되었다. T 세포고갈의 단점은 거부, 이식실패 및 백혈병 재발위험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다른 연구자에 의해 확증되어 있지 않다.
1 x 105 T 세포/kg 이하의 주사는 높은 이식 거부율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Ceprate SC 시술에 의한 CD34+ 세포의 면역선택은 CD34 항원을 명확하게 발현하는 세포의 면역친화성 선택을 위한 간단한 기술이다. 이 표지자는 만능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혈 전구체의 세포막에 지배적으로 존재한다.
10회의 시술 중 8회에서 혈액 T 세포가 수혜자 체중 1 kg 당 0.1~0.5 x 106 세포로 감소하였고 모든 시술에서 1 x 106/kg 이하로 감소하였다. 유사한 결과가 최근에 다른 그룹에 의해 발표되었다.
CD3+ 세포는 항상 BM 수집에서 수행한 면역친화성 선택시술에서 0.5 x 106/kg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식편 대 백혈구(GVL) 효과를 유지하고 이식실패 또는 거부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수는 체중 1 kg 당 1 x 105 T 세포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최근의 임상시험에서 예측적으로 확증되었다.
원하는 수치로 T 세포의 부수적인 감소와 함께 CD34+ 세포의 양성선택은 GVHD 및 거부위험을 감소하고 GVL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설 및 CD34+ 선택 PBPC의 유익성을 입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
면역선택 CD34+ 혈액세포와 BM을 복합이식한 결과 10명의 환자 중 9명에서 이식편이 즉각적으로 생착되었다. 이와 같은 세포에 대한 라벨링은 수행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조혈재조성의 가속이 CD34+ 혈액세포의 수혈로 인한 것인지를 명확하게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대조그룹과 비교할 때 혈구감소증 및 수혈 의존적 기간을 단축하는 명확한 추세를 보였다. 다른 연구자는 PBPC의 공통유전적 이식 후 500 mL 이상의 호중구를 회복할 수 있는 조혈생착시간의 중앙값이 13일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반만 동일한(haploidentical) BM 이식환자에서 PBPC를 추가한 결과 조혈작용이 빠르게 회복되었다.
10명의 환자의 경우 대조그룹 환자의 18일과 비교할 때 15일에 회복이 달성되었다. 적혈구 생성 및 혈소판 생성의 가속도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동종간 PBPC의 이식은 이와 같은 세포계통에 더욱 유익할 수 있다.
G-CSF 지지완료 후 백혈구 수치는 1 x 109/L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대조 BM 흡인술을 통해 골수의 재조성 및 3계통 생착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순환 및 BM 유핵세포가 공여자에게서 기원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최초 환자(제1그룹)의 조기사망은 범혈구감소증 또는 전구세포주입의 원인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제1그룹의 다른 4명의 환자는 아직도 안정적인 조혈 파라미터를 보이는 완화상태에 있다. 어떤 경우에서도 대조그룹과 비교할 때 GVHD 발병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저자는 말초혈액의 조혈성 전구세포의 선택이 생착조혈세포를 획득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공한다는 결론을 내리는 바이다. 제시된 데이터는 동종간 HLA 일치 형제공여자의 PBPC에서 면역선택한 CD34+ 세포가 BM 대신에 이식에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PBPC 또는 면역선택 CD34+ 혈액이식에 의한 심각한 급성 또는 만성 GVHD의 위험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저자는 현재 자가조직이식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면역선택 동종간 CD34+ PBPC를 단독으로 BM으로서 이식하고 조혈회복을 가속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 본인의 골수로부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추출하여 본인에게 사용함으로서 별도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부작용의 발생율을 최소화하고 혈액암이나 백혈병등을 용이하게 치료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신속하게 줄기세포를 사용가능함으로서 시간이 절감되어 환자의 생명을 보호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골수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젊어지거나 또는 노화방지 등 일반 질병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가능함으로서 대부분의 일반질병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치료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예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골수의 CD34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추출하기 위하여 말초혈액으로 상기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가 몰리도록 집진하는 집진단계와;
    상기 집진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일정기간 긴밀하게 보관하는 보관단계와;
    상기 보관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본인의 질병치료에 국한시켜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가 재생용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혈액암이나 백혈병 또는 신경질환 및 바이러스성 질환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상기 추출된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치료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20060134619A 2006-12-27 2006-12-27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KR20080060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619A KR20080060478A (ko) 2006-12-27 2006-12-27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619A KR20080060478A (ko) 2006-12-27 2006-12-27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478A true KR20080060478A (ko) 2008-07-02

Family

ID=3981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619A KR20080060478A (ko) 2006-12-27 2006-12-27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04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62A (ko) * 2015-03-11 2016-09-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수 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62A (ko) * 2015-03-11 2016-09-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수 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 et al. High levels of circulating haemopoietic stem cells in very early remission from acute non‐lymphoblastic leukaemia and their collection and cryopreservation
Pavletic et al. Hematopoietic recovery after allogeneic blood stem-cell transplantation compared with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US6544787B1 (en) Non-myeloablative/lymphoablative conditioning regimen to induce patient anti-donor unresponsiveness in stem cell transplantation
Link et al. Combined transplantation of allogeneic bone marrow and CD34+ blood cells
Isola et al. A pilot study of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using related donors stimulated with G-CSF
Ravagnani et al. Large-scale collection of circulating haematopoietic progenitors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high-dose cyclophosphamide and recombinant human GM-CSF
JP3058353B2 (ja) 造血細胞の増加方法
Adkins et al. Indium-labeled white blood cells apheresed from donors receiving G-CSF localize to sites of inflammation when infused into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 recipients
Tiberghien et al. Anti-asialo GM1 antiserum treatment of lethally irradiated recipients before bone marrow transplantation: evidence that recipient natural killer depletion enhances survival, engraftment, and hematopoietic recovery
EP2297306B1 (en) Human facilitating cells
Tabilio et al. Stem cell mobilization in normal donors
Vellenga et al. Different repopulation kinetics of erythroid (BFU‐E), myeloid (CFU‐GM) and T lymphocyte (TL‐CFU) progenitor cells after autologous and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Mills et al. Bone-marrow transplant in an identical twin
AU2004248962A1 (en) Leukocyte cell banks
US20180207202A1 (en) Methods for mobilizing hematopoietic stem cells
Diaz et al. Allogeneic peripheral blood progenitor cell (PBPC) transplantation in children with haematological malignancies
KR20080060478A (ko) 줄기세포 또는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Luo et al.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llowing donor CIK cell infusion: A phase I study in patients with relapsed/refractory hematologic malignancies
Pierelli et al. Evaluation of a novel automated protocol for the collection of peripheral blood stem cells mobilized with chemotherapy or chemotherapy plus G-CSF using the Fresenius AS104 cell separator
Majolino et al. Treatment of normal donors with rhG-CSF 16 micrograms/kg for mobilization of peripheral blood stem cells and their apheretic collection for allogeneic transplantation
Quesada et al. Hairy cell leukemia: Clinical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ion residue (MER) of BCG, lithium carbonate and mononuclear cell-enriched leukocyte transfusions
Sureda et al. Mini-ICE regimen as mobilization therapy for chronic myelogenous leukaemia patients at diagnosis
Shadduck et al. Mobilization and transplantation of peripheral blood stem cells
Valbonesi et al. PBSC collection from G-CSF primed donors
Lickliter et al. Combined chemotherapy and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mobilise large numbers of peripheral blood progenitor cells in pretreated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