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200A -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200A
KR20080060200A KR1020080045789A KR20080045789A KR20080060200A KR 20080060200 A KR20080060200 A KR 20080060200A KR 1020080045789 A KR1020080045789 A KR 1020080045789A KR 20080045789 A KR20080045789 A KR 20080045789A KR 20080060200 A KR20080060200 A KR 20080060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ll
sms
tex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하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8004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0200A/ko
Publication of KR2008006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20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에서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메시지 전송 전용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문자 통화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연결된 통신채널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MS(Short Message Service), SMC(Short Message Center), 가상채널, 문자통화

Description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Method for Operating Communication Channel Short Message Service}
도 1은 기존 Store and Forward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된 SMC가 포함되어 있는 SMS-Short Message Service에 대한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기존 송신 단말기(MO)에서 편집되어진 문자 메시지가 SMC를 거쳐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기존 SMC와의 연동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5는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대일(1:1) 문자 통화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6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사람들과 다중 문자 통화를 실시하고 있는 다중 문자통화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7은 일대일(1:1) 문자통화중 다중통화 전환에 대한 일실시예도이다.
도 8은 여러 사용자가 다중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 대한 일실시예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400 : SMC(Short Message Center) 405 : 주파수 변환 장치 1
410 : 인터페이스 415 : 메시지 송신부
420 : 추가 메시지 송신부 425 : 메시지 수신부
430 : 추가 메시지 수신부 435 : 카운터(Counter)
440 : 검색부 445 : 사용자 D/B(Data Base)
450 : 제어부 455 : 주파수 변환 장치 2
460 : MVC(Making Virtual Channel)
본 발명은 서버에서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메시지 전송 전용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문자 통화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연결된 통신채널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SMS는 기본적으로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 적용하기 위해 최대 155 옥텟(octet)의 메시지를 단말기간에 주고받을 수 있는 Point-to-Point 서비스를 정의함으로써 최초로 도입되었다.
SMS는 무선 데이터 통신의 IS-95-A 프로토콜 상의 Service Option을 6또는 14로 설정하여 DBM(Data Burst Message)에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구현되며, SMS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소프트웨어가 추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SMS가 구현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망에 SMS를 처리할 수 있는 망 요소인 SMC(Short Message Center)를 추가하고, 망 프로토콜을 보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프로토콜은 TIA/EIA/IS-637에 정의하고 있으며, IS-95-A는 TIA/EIA/IS-637의 상위 Layer에 정의된다. 또한 SMS 망 프로토콜의 보완된 내용은 TSB 79에 정의되어있다.
SMS의 메시지 전달은 설정된 채널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SMC를 통하여 단말 또는 망의 상태에 따라 SMC에 저장되었다가 전달 가능한 시점에 해당 SME로 전달되기 때문에 문자를 전달하는 개념이 아닌 실시간 서로 통화하는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SMC에 가상 채널을 형성하여 통화자로 하여금 사용중인 문자 메시지가 실시간 즉각적으로 처리된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서버 개념의 인터넷상이나. 무선통신 시장에서 다루고 있는 문자 서비스는, 우리가 문자 메시지라고 불리는 부가 서비스와 요즘 시작되고 있는 무선 이동 통신상의 채팅이다. N세대들이 폭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문자 메시지는 여전히 이동 통신의 부가 기능 중 그 사용 빈도가 이동 통신의 주 기능인 음성 통화의 통화량만큼 많지만, 문자 메시지를 보낸 후에 그 메시지가 언제 상대편에게 도착할지 정확히 예측을 할 수 없으며, 보낼 때마다 상대편의 전화 번호를 계속 입력하고 "SEND" 버튼을 그때마다 눌러 주어야 하며 문자 작성 중 음성 통화가 왔을 시 작성 중이던 모든 문자 메시지가 지워지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또 무선 이동 통신을 이용한 채팅은 장소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즐길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타 이동 통신 사업자와의 호환이 안되며, 그 사용 방법이 불편하여 1:1 이상 채팅이 사실상 어려우며 보통 사용자들은 채팅을 하다가 서로의 전화 번호를 물어보고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채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자 서비스차원을 넘어선 문자 통화라고 함은 음성 통화만큼이나 사용의 편리성이 있어야 하며, 실시간 양방향성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사람들과 다자간 통화(이하 다중통화)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하나, 기존 문자서비스 방식으로는 상기 문자통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에서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메시지 전송 전용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문자 통화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연결된 통신채널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은, 서버에서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메시지 전송 전용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에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문자 통화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연결된 통신채널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 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1은 기존 Store and Forward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된 SMC(110)가 포함되어 있는 SMS(Short Message Service)에 대한 기본도면이다.
송신 단말기(MO(Mobile Originated))(100)는 메시지를 작성, 편집하여 문자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SMC(Short Message Center)(110)는 전송되어지는 문자들을 저장하고 또한 송신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120)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수신 단말기(MT(Mobile Terminated))(120)는 전송된 문자를 최종적으로 받아 수신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SMC(110)는 이와 같은 Store and Forward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SMS를 구현하므로 실시간 통신(Real-Time Telecommunication)은 보장되지 못하지만, SMC(110)에 해당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유효기간 동안 MT SME(120)가 수신 가능한 상태가 확보되면, 언제라도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메시지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도면2는 기존의 송신 단말기(MO)(100)에서 편집되어진 문자 메시지가 SMC(110)를 거쳐 수신 단말기(120)로 전송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송신 단말기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낼 해당 메시지를 편집한 후(200), SMC(110)로 전송을 한다(210). 만약 전송이 되지 않을 시엔 재전송을 요구하고(220), 전송이 완료되었다면 송신 단말기(MO)(100)에 완료되었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230). 응답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SMC(110)는 수신 단말기(MT)(120)의 수신상태를 확인하여(240) 송신 단말기(100)에서 보내온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250). 만약 전송이 안될 시엔 재전송을 요구한다(260). 전송이 완료되면 수신 단말기(120)는 SMC(110)로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270).
도3은 도면1의 SMC방식에서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에서 문자 통화 송신과정은;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에서 처리된 문자 통화 메시지는 SMC 송신부(310)를 거쳐 인터페이스(320)에 의해 SMS 메시지 송신부(330)를 통해 전송된다. 문자 통화 메시지 전송시 수신 때 할당받았던 순번을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 내의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문자 통화 서비스 제어부(450)에 반납함으로서 실시간 통화를 구현한다.(도면상에 실선으로 표시)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에서 문자 통화 수신 과정은;
SMS 수신부(340)에서 수신한 문자 메시지는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SMC 수신부(350)를 거쳐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에 수신된다. (도면상에 점선으로 표시)
수신된 메시지는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 내에서 ID 또는 전화번호 검색을 통해 하기에서 설명되는 가상 채널을 할당받는다.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 내부의 메시지 수신부(425)에서는 카운터(Counter)(435)를 장치하여 수신 메시지에 순번을 할당한다. 이 수신 메시지가 처리되어 SMC 송신부(310)에서 수신자에게 전송될 때,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내에서는 할당된 순번을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문자 통화 서비스 제어부(450)에 반납함으로써, 실시간 문자가 처리되었나를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은 개념적으로 SMS를 담당하는 SME의 상위 Layer로 정의되며,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의 메시지 송수신은 문자 통화 서비스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를 통해 SME의 메시지 송/수신부와 연동된다. 이것은 문자 통화 서비스가 기존 SME를 그대로 유지한 채 독립적인 모듈로 추가됨으로서, 시스템의 확장 및 로밍 서비스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4는 도면 3의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한 블록도이다.
주파수 변환 장치1(405)은 인터페이스(410)의 앞단에 위치하여 고주파를 원래의 메시지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410)는 SMC(Short Message Service)(110)와 문자 통화 시스템(300)의 메시지 송신부(415), 메시지 수신부(425), 추가 메시지 송신부(420), 추가 메시지 수신부(430) 등과 맞물려 연동하며, SMC(110)와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메시지 송신부(415)는 가상채널형성부(이하 MVC(Making Virtual Channel)라 칭함)(460)에서 전송된 고주파 신호를 인터페이스(410)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추가 메시지 송신부(420)는 통화 폭주 시간대를 대비하여 만든 여분의 송신부이다.
메시지 수신부(425)는 수신 메시지와 더불어 송/수신자의 전화번호가 같이 포함되고 카운터(435)와 직접 연결되어있다.
추가 메시지 수신부(430)는 통화 폭주 시간대를 대비하여 만든 여분으로 증설된 수신부이다.
상기와 같이 추가 메시지 송/수신부(420, 430)는 서비스 진척에 따라 송/수신부(415, 425)를 계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SMC(400) 내에 구성됨으로써, 기존 문자서비스의 메시지 처리 속도보다 송/수신 속도를 최소 1.5배 이상 빠르게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카운터(435)는 메시지 수신부(425)에 연결되어 수신 메시지에 순번을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검색부(440)는 사용자 D/B(445)를 검색하여 송, 수신자 ID 또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D/B(445)는 고객 ID 및 전화번호를 같이 저장하고 있으므로 전화번호만으로 고객 ID를 검색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제어부(450)는 문자 통화 메시지 발송 시, 수신 때 할당받았던 순번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받음으로써, 실시간 통화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통화량을 수시로 체크하여 용량이 넘어서게 되면 추가로 증설된 여분의 송/수신부를 동작시킨다.
주파수 변환 장치2(455)는 폭주 시간대 통화의 확실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MVC(460) 앞단에 장치하여 메시지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대역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MVC(Making Virtual Channel)(460)은 검색부(440)를 통해 사용자 D/B(445)에서 검색된 고객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채널을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MVC(460)는 이동 통신사와는 별도로 자체 내부에 유/무선으로 한번에 처리 용량이 수 천개 이상인 채널을 형성한다. 통화당 통화 종료시까지 채널을 할당하고 통화 종료 시에는 이 채널을 회수하여 다시 채널 할당에 사용한다.
여기서, 가상채널은 송/수신자간 실시간으로 문자통화가 이루어지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며, 보통 문자통화 건당 124바이트의 메모리를 할당하게 된다. 일예로 문자통화시 보통 40자를 보낼 때 약 80바이트가 소요되며, 송/수신자 ID 또는 전화번호가 22바이트 정도 되기 때문에 이를 합치면 약 102바이트 정도가 소요되므로 문자통화 1건당 약 124바이트 씩 메모리를 나누어 1개의 가상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중형서버에 있는 메모리를 그대로 사용한다고 해도 약 일만개의 가상채널을 형성시킬 수 있다.(예 1M=1000000 byte, 이것을 124byte로 나누면 약 만개의 채널이 형성)
상기와 같이 MVC(460)에 의해 형성된 가상채널은 송/수신자만의 실시간 문자통화를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메모리)이며, 다중 통화의 경우 제 3자의 통화자 또한 기 형성된 가상채널에 합류함으로써, 실시간 다중 문자통화를 구현하게 된다.
가상 채널은 상기와 같이 각 할당된 메모리에 처음 통화가 시작될 시 각 할당된 메모리를 송/수신자 전화번호(혹은 ID)에 할당하여 각각의 통화는 그 통화 종료시까지 그 할당된 메모리 공간만 사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송신 메시지마다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송신하는 기존 문자 서비스의 단 방향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양방향 문자 통화를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 공간 분할이나 여기에 송/수신자 전화번호를 할당하는 작용은 기본적으로 제어부(450)에서 소프트웨어적 프로그램으로 실현한다. 제어부(450)에서 각 메시지와 같이 보내진 송/수신자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통화 종료까지는 같은 메모리 영역(채널)에서 처리한다. 메모리에서 송/수신자 전화번호 할당은 첫 번째 시도된 문자통화 메시지에서 송수신자를 식별하여 구현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가상채널은 소프트웨어적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는 요소이며, 그 구현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기하는 바이다.
간단한 가상채널의 구성은 중앙에 메모리를 두고 양 옆에 버퍼(램) 및 제어부(450)를 연결한 구성을 이루게 되며, 상기 메모리를 제어부(450)에서 124바이트로 분할하거나, 통화에 따라 사용자 전화번호(ID)로 소팅해서 가상 채널로 사용한다.
SMC(110)에서 문자 처리된 수신 메시지는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시스템 내로 즉각 입력된다. 인터페이스(410)는 시스템 프로토콜 호환 기능 외에 SMS에서 수신된 통화가 즉각적으로 처리되어 본 문자통화시스템으로 입력되는가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도 추가한다.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본 시스템 내의 수신부(425)로 전달되고 실시간 통화를 위해 수신부(425)에서는 입력 메시지에 순번을 부여하고 이를 카운터(435)에서 카운트한다. 이 메시지가 검색부(440)로 입력되면 제어부(450)와 검색부(440)가 서로 상호 연동하여 검색부(440)에서는 우선 사용자D/B(445)에서 송/수신자 전화번호(ID)를 검색하고 이 검색이 끝나면 제어부(450)에서 MVC(460)내 메모리에 통화를 위한 124바이트의 가상채널을 만들고 상기 송수신자 전화번호(ID)를 소프트웨어적 프로그램으로 가상채널에 할당한다. 이후 상기 송/수신자간 통화되는 문자는 상기 형성된 가상채널(상기 메모리)를 통해서만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 다. MVC(460)에서 가상채널 형성이 끝나면 메시지 송신부(415)에서 처리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발송하고, 이때 상기 수신부(425)에서 할당된 순번을 제어부(450)에 반납함으로써, 실시간 처리여부를 확인한다.
도면5는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대일(1:1) 문자 통화 예시도이다. 이하 모든 예시도는 단말기 제조업자 및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문자 통화 서비스 시스템(300)의 각 모듈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화번호 또는 휴대 단말기 기억번지에 저장된 기억번지 입력 후 "SEND"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음성통화와 문자통화 선별 모드가 나타나고 여기서 문자통화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문자통화 모드를 선택하면 상대편 전화기에 문자통화 메시지가 뜨게되고 통화를 원하면 1.통화를 선택하고 2.취소를 선택하여 통화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문자통화는 문자 메시지를 쓴 후 "SEND"버튼을 누르면 상대편에게 바로 전달된다.
도면6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사람들과 다중 문자 통화를 실시하고 있는 다중 문자통화 예시도이다.
일대일(1:1) 문자 통화처럼 메시지를 쓴 후 "SEND"버튼을 눌러서 상대편에 전달한 다. 물론 다중 통화 참여자 모두에게 전달된다.
끝에 "SEND"버튼 표시가 있는 메시지가 보내는 메시지고 나머지는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메시지이다.
도면7은 일대일(1:1) 문자통화중 다중통화 전환에 대한 예시도이다.
문자 통화 시 새 문자 통화가 도착했을시, 화면 맨 위의 메시지가 좌측으로 스크롤 되면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기 전까지 계속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여기서는 확인키를 사용하여 모드를 선택한다.
도면8은 처음부터 여러 사용자가 다중통화를 하고자 할 때의 예시도 이다.
사용자는 메뉴에서 다중통화 모드를 선택하고 다중통화를 원하는 사람들의 전화 번호를 대상1, 2, 3...에 입력 또는 단말기 내에 기 저장된 주소록에서 선택하고 "SEND" 버튼을 누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수신자의 ID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가상채널(가상 메모리 공간)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문자서비스가 구현하는 단방향통화를 극복하여 일대일 또는 다중(다자간) 문자통화를 양방향에서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 는 장점이 있으며, 단말기 화면에 문자통화, 다중통화를 위한 필요한 정보를 한번에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빠르고 편리한 문자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SMS 서비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문자통화 서비스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부가적인 규약이나 하드웨어적인 장치 없이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 음성통화 보다 저렴한 SMS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비 부담을 덜어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서버에서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메시지 전송 전용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휴대폰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문자 통화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제1 휴대폰과 제2 휴대폰 간 연결된 통신채널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KR1020080045789A 2008-05-16 2008-05-16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KR20080060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789A KR20080060200A (ko) 2008-05-16 2008-05-16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789A KR20080060200A (ko) 2008-05-16 2008-05-16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208A Division KR101027541B1 (ko) 2007-08-23 2007-08-23 실시간 양방향 문자통화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200A true KR20080060200A (ko) 2008-07-01

Family

ID=3981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789A KR20080060200A (ko) 2008-05-16 2008-05-16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02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8426A (zh) * 2014-10-10 2016-05-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通讯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8426A (zh) * 2014-10-10 2016-05-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通讯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CN105578426B (zh) * 2014-10-10 2019-03-2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通讯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138B2 (en) Message exchange handling concept
KR10088293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EP1667413A2 (en) Method for processing convers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WO2005112401A2 (en) Voice to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20060040694A1 (en)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40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그룹 통화 방법
US200601219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talker during PTT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580721B2 (en)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a push to talk sche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03983A (ko) 이동통신망에서 비실시간 방식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030009000A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858272B1 (ko) 실시간 양방향 문자통화 구현 방법
KR101027541B1 (ko) 실시간 양방향 문자통화 구현 시스템
KR20080060200A (ko) 문자통화 통신채널 운용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60036889A (ko) 실시간 양방향 문자통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US20070178924A1 (en) Apparatus for notifying a mobile user of a push-to-talk communication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070335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신저 서비스에서 예약된 시간에파일을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63661A (ko) 화상전화와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가 동시에 가능한이동통신 단말 및 서비스 방법
US8078202B1 (en) Wireless handset configured to forward multiple messages
KR20070074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744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무전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EP1229707A2 (en)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2216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블루투스 단말기
KR10105628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사랑의 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