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914A -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914A
KR20080059914A KR1020060133841A KR20060133841A KR20080059914A KR 20080059914 A KR20080059914 A KR 20080059914A KR 1020060133841 A KR1020060133841 A KR 1020060133841A KR 20060133841 A KR20060133841 A KR 20060133841A KR 20080059914 A KR20080059914 A KR 20080059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gnal input
portable device
pull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1717B1 (en
Inventor
이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717B1/en
Publication of KR2008005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08Portable audio devices, e.g. walkman, discman, radio, MP3 playe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necklace-type portable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deliver various input signals once a user pulls a body unit at various frequencies or times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hung around the user's neck, thus the user can operate the portable device only by pulling the body unit in portable state. A body unit(22) is equipped with a controller(40). A signal input unit(30) is installed to emerge by external power applied to the body unit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and is restored to an original state once the external power is removed. By pulling the body unit, an input signal is delivered to the controller from the signal input unit. Another signal is delivered to the controller from the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frequency or time for pulling the body unit, in order to operate a portable device(20).

Description

목걸이형 휴대용기기 및 이의 조작방법{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Necklace type portable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목걸이형 휴대용기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목걸이형 휴대용기기 및 이의 조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ecklace-type portabl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체부를 당기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3a and Figure 3b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pulling the body portion b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휴대용기기 22 : 본체부20: portable device 22: main body

24 : 디스플레이부 26 : 조작버튼24: display unit 26: operation button

30 : 신호입력부 40 : 제어부30: signal input unit 40: control unit

50 : 출력부 52 : 이어폰50: output unit 52: earphone

본 발명은 휴대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기기를 사용자의 목에 건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게 하기 위한 목걸이형 휴대용기기 및 이의 조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cklace-type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or allowing the portable device to be conveniently used in a user's neck.

휴대용기기란 한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으며 이동 중에 손에 들고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형의 단말 장치를 말한다. 휴대용기기에는 엠피쓰리 플레이어, 휴대폰, PDA, PMP 등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기기의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휴대용기기를 사용자의 목에 건 상태로 각종 입력을 조작할 수 있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휴대용기기 중에 음악, 라디오 등을 듣기 위한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A portable device is a small terminal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one hand and is made to be input and operated while holding it on the go. Portable devices include MP3 players, mobile phones, PDAs, and PMPs. Recently, in order to maximize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device, many necklace-type portable devices that can operate various inputs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worn on the user's neck have been released. Hereinafter, the MP3 player for listening to music, radio, and the like among the portable devices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반적인 목걸이형 휴대용기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기기(2)의 외관은 본체부(4)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4)는 대략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4)의 전면에는 휴대용기기(2)의 재생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4)에는 휴대용기기(2)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조작버튼(8)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8)은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2)의 온/오프, 재생/정지, 볼륨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device 2 is formed by the body portion (4). The body portion 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hexahedral shape. The front of the main body 4 is formed with a display unit 6 for displaying the playback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2). The main body 4 is provided with various operation buttons 8 for inputting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2. The operation button 8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on / off, play / stop, volum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2, for example.

한편, 상기 휴대용기기(2)의 상단부에는 연결고리(1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10)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목걸이줄(12)이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4)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음악을 듣기 위한 이어폰(14)이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device 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10, the connecting ring 10 is fitted with a necklace 12 which is hooked to the neck of the user.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4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14 for the user to listen to music.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는 휴대용기기(2)를 통해 음악을 들으려면 우선 상기 목걸이줄(12)을 사용자의 목에 건다. 이 상태에서, 사용 자는 상기 이어폰(14)을 본체부(4)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조작버튼(8)을 조작하여 이동중에도 음악을 들을 수 있다.In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order to listen to music through the portable device 2, the user first hangs the collar 12 on the neck of the user. In this state, the user may connect the earphone 14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4 and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8 to listen to music while moving.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용기기(2)를 휴대 중에 사용하려면 상기 조작버튼(8)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4)를 들어올려서 조작버튼(8)을 일일이 확인하고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Conventionally, when a user uses the portable device 2 while carrying, it is inconvenient to lift the main body 4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8 and check the operation button 8 one by 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 및 이의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the user can operate more convenient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신호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를 당김에 의해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제어부에 입력신호가 전달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And a signal input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ain body part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by pulling the main body part from the signal input part to the control part. The input signal is delivered.

상기 본체부를 당기는 횟수 또는 당기는 시간에 따라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다른 신호가 전달된다.The other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to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ling or pulling time of the main body.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t further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to the earphone.

상기 신호입력부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목걸이줄이 연결된다.The signal input unit is connected to a necklace that is hooked to the neck of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호입력부가 외력에 의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를 당기는 단계와; 상기 본체부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에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ulling the main body portion that the signal input unit is installed in and out by the external force; The signal input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inputting a signal from the signal input unit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상기 본체부를 당기는 횟수 또는 당기는 시간에 따라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각각 다른 신호가 전달된다.Different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to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ling or pulling time of the main body.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outputting a signal input to the controller to the earphone.

상기 신호입력부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목걸이줄이 연결된다.The signal input unit is connected to a necklace that is hooked to the neck of the us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용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휴대용기기를 들어올려 조작버튼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does not have to check the operation button by lifting the portable device when using the portable devic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ncreas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목걸이형 휴대용기기 및 이의 조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ecklace-type portabl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목걸이형 휴대용기기 및 이의 조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체부를 당기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ulling the main body portion b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기기(20)의 전체적인 외관은 대략 장방형의 형상인 본체부(22)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22) 중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휴대용기기(2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LCD)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부(40)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아 휴대용기기(2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ortable device 20 is formed by the body portion 2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display unit 24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2 that occupies a relatively large area. The display unit 24 is a portion that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20 and is generally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4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to be described below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20.

한편, 상기 본체부(22)에는 휴대용기기(20)의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버튼(26)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26)은 휴대용기기(20)의 재생, 정지 및 온/오프 전환 등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작버튼(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신호입력부(30)와 함께 휴대용기기(20)의 입력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22 is provided with various operation buttons 26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20). The operation button 26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playing, stopping, and on / off switching of the portable device 20. The operation button 26 serves as an input means of the portable device 20 together with the signal input unit 3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본체부(22)의 일측에는 신호입력부(30)가 상기 본체부(22)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22)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본체부(22)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신호입력부(30)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다시 말해, 상기 신호입력부(30)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22)에 외력을 작용하여 당기면 본체부(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다.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2, the signal input unit 30 is installed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main body 22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ain body 22,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ain body 22 If this is removed, the signal input unit 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other words, the signal input unit 3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unit 22 when the user applies the external force to the main body 22 and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will be.

이와 같은 상기 본체부(22)와 신호입력부(30)의 연결을 위해 상기 신호입력부(30)가 본체부(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입력부(30)는 상기 본체부(22)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 있다.In order to connect the main body part 22 and the signal input part 30, the signal input part 30 should b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in body part 22. For example, the signal input unit 30 may be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22 to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in body 22.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부(30)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목걸이줄(32)이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목걸이줄(32)을 목에 건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2)를 당기게 되면 본체부(22)가 신호입력부(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30 is connected to the collar 32 which is hooked to the neck of the user. 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portion 22 while the neckband 32 is attached to the neck, the main body portion 22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ignal input portion 30.

한편, 상기 본체부(22)의 내부에는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신호입력부(30)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24) 및 아래에서 설명될 출력부(50)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신호입력부(30)는 상기 본체부(22)를 당기는 것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22.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a signal input by the signal input unit 3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24 and the output unit 50 to be described below.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signal input unit 30 is moved by pulling the main body 22 to input a signal to a switch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22)의 오프 상태에서 본체부(22)를 일정시간이상 길게 당겨주면 상기 신호입력부(30)의 이동에 의해 본체부(22)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40)에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2)의 온 상태에서 본체부(22)를 일정시간이상 길게 당겨주면 상기 신호입력부(30)의 이동에 의해 본체부(22)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40)에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다. 여기에서, 일정시간이란 상기 본체부(22)를 당긴 상태에서 대략 1~2초 정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입력부(30)를 일정시간이상 당겨주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부(40)에 온/오프 전환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Preferably, when the main body portion 22 is pulled o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off state of the main body portion 22, a signal for turning the main body portion 22 to an on state by the movement of the signal input portion 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 40) is input via the switch. 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22 is pulled o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on state of the main body 22, a signal for switching the main body 22 to an off state by the movement of the signal input unit 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 40) is input via the switch. Here, the predetermined time refers to maintaining about 1 to 2 seconds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22 is pulled out. Therefore, when the signal input unit 30 is not pull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on / off switching signal is not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그리고, 상기 본체부(22)의 온 상태에서 본체부(22)를 한 번 짧게 당겨주면 상기 본체부(22)를 재생 상태로 전환시키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40)에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본체부(22)의 재생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2)를 한 번 짧게 당 겨주면 상기 본체부(22)를 정지 상태로 전환시키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40)에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부(22)를 짧게 당겨준다는 것은 본체부(22)를 당긴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상기 본체부(22)를 당겼다가 바로 놓아주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22 is briefly pulled once in the on state of the main body 22, a signal for switching the main body 22 to a regeneration state is input to the controller 40 through a switch. When the main body portion 22 is briefly pulled out in the regenerating state of the main body portion 22, a signal for switching the main body portion 22 to a stationary state is input to the controller 40 through a switch. Here, the short pulling of the main body portion 22 means pulling the main body portion 22 and releasing it immediately without keeping the main body portion 22 in a pulled state.

한편, 상기 본체부(22)의 재생 상태에서 본체부(22)를 연속하여 두 번 짧게 당겨주면 상기 본체부(22)에 저장된 다음 리스트 목록이 재생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40)에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2)의 재생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2)를 연속하여 세 번 짧게 당겨주면 상기 본체부(22)에 저장된 이전 리스트 목록이 재생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40)에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다. 상술한 이전 리스트 목록 재생 신호는 상기 조작버튼(26) 중에 하나를 누르고 상기 본체부(22)를 두 번 짧게 당기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main body 22 is briefly pulled twice in succession in the regenerating state of the main body 22, a signal for reproducing the next list stored in the main body 22 is reproduced through a switch to the control unit 40. Is entered. 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22 is briefly pulled three times in succession in the regenerating state of the main body 22, a signal for reproducing the previous list list stored in the main body 22 is switched to the control unit 40. Is enter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evious list list reproduction signal may be made by pressing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26 and pulling the main body portion 22 briefly twice.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신호입력부(30)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22)를 당기는 횟수 및 당기는 시간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Th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30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signals may be input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pulling the main body part 22 and a pulling time.

한편, 상기 본체부(22)의 일측에는 이어폰(52)을 삽입하기 위한 출력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부(50)는 상기 제어부(40)에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아 이어폰(52)으로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unit 50 for inserting the earphone 5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2. The output unit 50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and plays a role of allowing the user to listen to music with the earphone 52.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목걸이형 휴대용기기및 이의 조작방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necklace-type portabl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체부를 당기는 과정 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3a and 3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ulling the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평상시에 사용자는 상기 목걸이줄(32)을 목에 건 상태로 본체부(22)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기 휴대용기기(2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portable device 20 while carrying the main body 22 in a state where the neckband 32 is usually worn around the neck.

상술한 휴대용기기(20)의 휴대 중에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22)를 하방으로 당겨 손쉽게 휴대용기기(20)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22)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2)를 일정시간이상 길게 당겨준다. 그러면, 상기 신호입력부(30)에서 스위치로 입력신호가 전달되고,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40)에 온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에는 상기 본체부(22)가 온 상태임이 표시된다.While carrying the portable device 20 described above, a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portable device 20 by pulling the main body part 22 downward. Specifically,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22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in the off state of the main body 22. Then, an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30 to the switch, and the switch transmits an 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24 indicates that the main body unit 22 is in an on state.

이와 같은 상기 본체부(22)의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22)를 한 번 짧게 당겨주면 상기 신호입력부(30)에서 상기 제어부(40)로 재생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40)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로 전달되어 상기 본체부(22)가 재생 상태라는 것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출력부(50)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52)을 통해 재생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22 once briefly in the on state of the main body 22, a reprodu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30 to the control unit 40.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24 to indicate that the main body unit 22 is in a playback state.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50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music played through the earphone (52).

한편, 상기 본체부(22)의 재생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22)를 연속으로 두 번 짧게 당겨주면 상기 제어부(40)에 다음 리스트 목록을 재생하라는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2)의 재생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22)를 연속으로 세 번 짧게 당겨주면 상기 제어부(40)에 이전 리스트 목록을 재생하라는 신호가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portion 22 briefly twice in succession in the playing state of the main body portion 22, a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40 to reproduce the next list list. 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22 briefly three times in succession in the playing state of the main body 22, a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40 to play the previous list.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22)를 당기는 횟수 또는 당기는 시간을 조작하여 휴대용기기(20)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22)를 당겨서 신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조작버튼(26)을 직접 조작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use the portable device 20 by manipulating the number of pulling or the pulling time of the main body portion 22. Of course, the user may input the signal by directl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26 without pulling the main body 22 to input a signal.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목걸이형 휴대용기기 및 이의 조작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necklace-type portabl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서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에서 목걸이줄과 본체부를 연결하는 부분인 신호입력부가 일종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게 하였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기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본체부를 다양한 횟수 또는 시간으로 당기기만 하면 다양한 입력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조작버튼의 기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입력하지 않고, 휴대 상태에서 본체부를 당기는 것만으로 휴대용기기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input unit, which is a portion connecting the necklace and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be movable by a kind of elastic force in the 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That is, the user can simply transmit the various input signals by pulling the main body part at various times or times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attached to the neck.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the portable device only by pulling the main body in the portable state without directly checking and inputting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button directly,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laims (8)

제어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와;A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provided therein;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신호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input unit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상기 본체부를 당김에 의해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제어부에 입력신호가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to the control unit by pulling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를 당기는 횟수 또는 당기는 시간에 따라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다른 신호가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to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ulling or the pulling time of the main bod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utpu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to the earphon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신호입력부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목걸이줄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The signal input unit is a 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lace is hooked to the neck. 신호입력부가 외력에 의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를 당기는 단계와;Pulling the main body portion in which the signal input portion is installed in and out by the external force; 상기 본체부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에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의 조작방법.And a step of inputting a signal from the signal input unit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by pulling the main body uni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본체부를 당기는 횟수 또는 당기는 시간에 따라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각각 다른 신호가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의 조작방법.And a differen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to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ling or pulling time of the main body.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의 조작방법.And outputting a signal input to the controller to the earphone.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상기 신호입력부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목걸이줄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용기기의 조작방법.The signal input unit is a method of operating a necklace type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lace is hooked to the neck.
KR1020060133841A 2006-12-26 2006-12-26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KR101341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841A KR101341717B1 (en) 2006-12-26 2006-12-26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841A KR101341717B1 (en) 2006-12-26 2006-12-26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914A true KR20080059914A (en) 2008-07-01
KR101341717B1 KR101341717B1 (en) 2013-12-16

Family

ID=3981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841A KR101341717B1 (en) 2006-12-26 2006-12-26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7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084B1 (en) 2015-06-16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576B2 (en) 1998-09-29 2006-05-17 アイホン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switch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717B1 (en)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389B1 (en) Haptic function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WO2019127868A1 (en) Screen orientation switch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US20060164383A1 (en) Remote controller ring for user interaction
WO2007103742A3 (en) Remote magnetic activation of hearing devices
KR20080013120A (en) Headset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CN101615409A (en) Media play controlling method, system and media player, earphone wire device
US9595248B1 (en) Remotely operable bypass loop device and system
US20060205505A1 (en) Wireless game controller with integrated audio system
CN101472206A (en) Earphone device
US20130106586A1 (en) Remote control
JP2020522316A (en) Game peripherals with intelligent voice control
JP2005522955A5 (en)
MXPA04000075A (en) Multipurpose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381632B (en) Multifunctional notebook computer
JP6005112B2 (en) Smartphone game controller combined case
JP2019530123A (en) Patch type controller
KR101341717B1 (en) A necklace-typed portab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KR200468763Y1 (en) Earphone with control pad for audio device
CN103533411B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 selections cursor movement
WO202025929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KR20130063397A (en) Bluetooth headset
EP1905221A1 (en) Hands-free device producing a spoken prompt with spatial effect
CN106062865A (en) Effect pedal
KR101566444B1 (en) Case for game controller of smart phone
CN202632508U (en) Wireless controller of multimedia mov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