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135A - 픽셀 블록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픽셀 블록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8135A KR20080058135A KR1020070047275A KR20070047275A KR20080058135A KR 20080058135 A KR20080058135 A KR 20080058135A KR 1020070047275 A KR1020070047275 A KR 1020070047275A KR 20070047275 A KR20070047275 A KR 20070047275A KR 20080058135 A KR20080058135 A KR 20080058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xel
- depth value
- block
- depth
- val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170 Delayed Emergence from An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40—Hidden part removal
- G06T15/405—Hidden part removal using Z-buff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6)
- 픽셀의 블록화 방법에 있어서,픽셀들을 기준정보에 따라 블록화하는 단계;해당 블록에 대한 블록정보를 생성하여 버퍼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버퍼링 장치로부터 픽셀 깊이 값 전송 중지를 요청받지 않은 경우에 해당 블록의 픽셀 깊이 값을 차례로 전송하는 픽셀 깊이 값 전송단계; 및상기 버퍼링 장치로부터 픽셀 깊이 값 전송 중지를 요청받은 경우에 다음 블록에 대한 블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버퍼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셀 블록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픽셀 깊이 값 전송단계는,해당 블록 내에 물체를 표현하지 않는 불필요한 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픽셀 깊이 값을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정보는,블록의 행 주소 및 열 주소 필드를 가지는 블록주소,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들 중 카메라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픽셀의 깊이 값(z)의 상위비트, 및 픽셀의 위치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블록주소는,블록 내 각 픽셀의 주소 값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상위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상위비트는,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들 중 카메라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픽셀의 깊이 값(z)의 상위 6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픽셀의 위치비트는,픽셀의 우측 하단에서 시계방향으로 우측 상단까지 순차적으로 위치를 정하 고,상기 정한 위치에 대한 표기는 상위비트에서 하위비트 순으로 물체를 나타내는 픽셀의 경우 1로 나타내고, 물체를 나타내는 픽셀이 아닌 경우 0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기준정보는,하나의 블록에 포함되는 픽셀의 수 및 블록의 모양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 방법.
-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에 있어서,블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전송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가시성 판별수단;이전 블록정보의 블록주소와 위치비트를 참조하여, 각 픽셀 깊이 값의 전송순서에 상응하는 픽셀 주소를 생성하기 위한 주소 생성수단;상기 생성한 픽셀 주소에 해당하는 깊이 값을 출력하고, 상기 생성한 픽셀 주소를 바탕으로 새로운 깊이 값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링 수단;전송받은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이하, "제 3 깊이 값"이라 함)과 상기 버퍼링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이하, "제 4 깊이 값"이라 함)을 비교하기 위한 제 1 비교수단; 및상기 가시성 판별수단으로부터의 판별결과에 따라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버퍼링 수단 및 블록 깊이 버퍼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가시성 판별수단은,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중 최소값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블록 깊이 버퍼; 및전송받은 블록정보의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중 최대값(이하, "제 1 깊이 값"이라 함)과, 상기 블록 깊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 내 픽셀의 깊이 값 중 최소값(이하, "제 2 깊이 값"이라 함)을 비교하기 위한 제 2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수단은,상기 제 2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 상기 제 1 깊이 값이 상기 제 2 깊이 값을 초과하면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을 전송받고, 상기 제 1 깊이 값이 상기 제 2 깊이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깊이 값 전송 중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 1 비교수단으로부터의 비교결과, 상기 제 3 깊이 값이 상기 제 4 깊이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 3 깊이 값으로 상기 제 4 깊이 값을 갱신하고 상기 제 3 깊이 값들 중에서 최소값으로 상기 제 2 깊이 값을 갱신하며, 상기 제 3 깊이 값이 상기 제 4 깊이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 4 깊이 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깊이 값은,각각 블록정보의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중 최대값의 상위 6비트이고,상기 제 2 깊이 값은,상기 블록 깊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 내 픽셀의 깊이 값 중 최소값의 상위 6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비교수단은,24비트 비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방법에 있어서,블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깊이 값 전송 결정단계;상기 결정결과에 따라 전송받은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에 대한 픽셀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전송받은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이하, "제 3 깊이 값"이라 함)과 상기 생성한 픽셀 주소로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이하, "제 4 깊이 값"이라 함)을 비교하여 상기 버퍼 및 블록 깊이 버퍼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갱신 여부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깊이 값 전송 결정단계는,전송받은 블록정보의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중 최대값(이하, "제 1 깊이 값"이라 함)과, 상기 블록 깊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 내 픽셀의 깊이 값 중 최소값(이하, "제 2 깊이 값"이라 함)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상기 비교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제 1 깊이 값이 상기 제 2 깊이 값을 초과하면 해당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을 전송받고, 상기 제 1 깊이 값이 상기 제 2 깊이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깊이 값 전송 중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갱신 여부 결정단계는,상기 제 3 깊이 값이 상기 제 4 깊이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 3 깊이 값으로 상기 제 4 깊이 값을 갱신하는 단계;상기 제 3 깊이 값들 중에서 최소값으로 상기 제 2 깊이 값을 갱신하는 단계; 및상기 제 3 깊이 값이 상기 제 4 깊이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 4 깊이 값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방법.
-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깊이 값은,각각 블록정보의 블록 내 각 픽셀의 깊이 값 중 최대값의 상위 6비트이고,상기 제 2 깊이 값은,상기 블록 깊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 내 픽셀의 깊이 값 중 최소값의 상위 6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셀 블록화를 이용한 버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131944 | 2006-12-21 | ||
KR1020060131944 | 2006-12-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8135A true KR20080058135A (ko) | 2008-06-25 |
KR100875995B1 KR100875995B1 (ko) | 2008-12-24 |
Family
ID=3980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72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5995B1 (ko) | 2006-12-21 | 2007-05-15 | 픽셀 블록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599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3739B1 (ko) | 2008-11-20 | 2010-09-24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블록 기반 3차원 맵 모델링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04425A (ja) | 2002-09-09 | 2004-04-02 | Nippon Hoso Kyokai <Nhk> | 視差分布測定方法、視差分布測定装置および視差分布測定プログラム |
JP2006108792A (ja) | 2004-09-30 | 2006-04-20 | Fukuoka Pref Gov Sangyo Kagaku Gijutsu Shinko Zaidan | 画像信号の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 |
-
2007
- 2007-05-15 KR KR1020070047275A patent/KR10087599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5995B1 (ko) | 2008-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5712B1 (ko) | 렌더링 방법, 렌더링 장치 및 전자 장치 | |
KR101925292B1 (ko) | 비-정규 직교 그리드로의 텍스처 매핑을 위한 그라디언트 조정 | |
US7256791B2 (en) | Rasterization of three dimensional images | |
US10235799B2 (en) | Variable rate deferred passes in graphics rendering | |
US839561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re-computed Z-values between GPUs | |
US5877769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US1169439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ile-based path rendering | |
US8933945B2 (en) | Dividing work among multiple graphics pipelines using a super-tiling technique | |
US8928679B2 (en) | Work distribution for higher primitive rates | |
EP082252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ictures | |
GB2546720B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raphics processing | |
JPH10334273A (ja) | 3次元画像処理装置及び3次元画像処理方法 | |
EP2676245B1 (en) | Method for estimation of occlusion in a virtual environment | |
US20130278598A1 (en) | Texture mapping device | |
US20140347355A1 (en) | Ray tracing core and method for processing ray tracing | |
JP2018073388A (ja) | テクスチャ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0875995B1 (ko) | 픽셀 블록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퍼링 장치 및 그 방법 | |
KR20090059800A (ko) | 폴리곤의 특징에 적응된 순서로 래스터화하는 래스터화엔진 및 3차원 그래픽스 시스템 | |
KR101227155B1 (ko) | 저해상도 그래픽 영상을 고해상도 그래픽 영상으로 실시간 변환하는 그래픽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
JP2010165100A (ja) |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
WO2010134124A1 (ja) | ベクトル図形描画装置 | |
US711365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JP3872056B2 (ja) | 描画方法 | |
JP2003308544A (ja) | ミップマップデータの高速読出方式 | |
US1015749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re-computed Z-values between GP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