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792A -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792A
KR20080057792A KR1020060131497A KR20060131497A KR20080057792A KR 20080057792 A KR20080057792 A KR 20080057792A KR 1020060131497 A KR1020060131497 A KR 1020060131497A KR 20060131497 A KR20060131497 A KR 20060131497A KR 20080057792 A KR20080057792 A KR 20080057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igital potentiometer
controller
tone informa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44595B1 (en
Inventor
최학순
Original Assignee
최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학순 filed Critical 최학순
Priority to KR102006013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595B1/en
Publication of KR2008005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5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 sound instrument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is provided to conveniently control an effector by changing variable resistances of digital potentiometers. A sound instrument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includes a controller(120),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141,143,145), and at least one sound processor(151,153,155). The controller takes sound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vides at least one sound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data. The digital potentiometer sets resistance based on the sound configuration. The sound processor is connected with the digital potentiometer and processes a sound signal based on the resistance set by the digital potentiometer.

Description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Sound device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도 1은 일반적인 음향 시스템의 구성 및 사용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and use of a general acoustic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coustic device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된 음색 정보 및 음향 설정값을 나타낸다.FIG. 3 illustrates timbre information and sound setting valu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device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동시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multaneous setting process of an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n acoustic apparatus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제어부110: communication interface 120: control unit

130 : 저장부 141 :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130: storage unit 141: first digital potentiometer

143 :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 145 :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3: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145: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51 : 제1 음향 처리부 153 : 제2 음향 처리부151: first sound processor 153: second sound processor

155 : 제3 음향 처리부155: third sound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이 필요한 음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 및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oustic device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nd a sound system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which can be applied to an acoustic device requiring at least one setting.

일반적으로 현대의 밴드 음악은 보컬, 제1 기타, 제2 기타, 베이스 기타, 키보드 및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기타 연주자의 연주 색깔이 밴드 음악의 전체 분위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Modern band music generally includes vocals, first guitars, second guitars, bass guitars, keyboards, and drums.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laying color of the guitar player plays a leading role in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band music.

즉, 동일한 음악을 연주하는 경우에도 기타 연주자의 연주 스타일, 음향 장치, 기타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전체 밴드 음악의 색깔이 좌우된다. 그리고 이중에서도 기타 연주자가 사용하는 음향 장치의 종류 및 게인(gain), 레벨(level), 톤(tone) 등과 같은 음향 장치의 설정값이 기타 연주자의 음색에 미치는 비중이 매우 높다.That is, even when playing the same music, the color of the entire band music depends on factors such as the playing style of the guitar player, the acoustic device, the guitar, and the like. In addition, among these, the type of sound device used by the guitar player and the setting values of the sound devices such as gain, level, tone, etc., have a high weight on the tone of the guitar player.

따라서, 기타 연주자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연주 색깔에 맞게 자신이 사용하 는 복수의 음향 장치에 대한 설정값들을 모두 기억하고 음악을 연주할 때마다 연주곡에 상응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향 장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한 곡의 연주가 끝나면 다음에 연주할 곡에 상응하는 설정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음향 장치를 다시 설정한다.Accordingly, the guitar player memorizes all the settings for the plurality of sound apparatuses that he uses according to his or her original playing color, and according to the settings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music every time the music is played, the plurality of sound apparatuses Set. After the performance of one song is finished, the plurality of sound devices are set again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next song to be played.

기타 연주자가 주로 사용하는 음향 장치의 예로 이펙터(Effector)를 들 수 있다. 이펙터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파형을 변화시켜 다양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장치로 크게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와 디지털 방식의 이펙터로 구분할 수 있다.An example of an acoustic device commonly used by guitar players is the Effector. Effector is a device that provides a variety of sound effects by changing the frequency waveform of the sound signal can be divided into analog effector and digital effector.

아날로그 타입의 이펙터는 일반적으로 컴팩트 페달형으로 불리우고, 컴프레서(Compressor), 디스토션(Distortion), 코러스(Chorus), 딜레이(Delay), 와우와우(Wha-wha) 및 리버브(Reverb) 이펙터 등과 같이 각각의 이펙터가 별도의 음향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기타 연주자들이 추구하는 독창적인 음색을 위해 상기와 같은 독립적인 아날로그 이펙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용된다.Analog-type effector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compact pedals, and each can be used as a compressor, distortion, chorus, delay, wah-wha and reverb effector. Effectors provide separate sound effects. In addition, the above independent analog effectors are us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for the original tone pursued by guitar players.

디지털 타입의 이펙터는 멀티 이펙터(Multi-effector) 또는 랙(Rack) 타입 이펙터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독립적인 아날로그 이펙터들의 기능을 하나로 모아 놓은 형태이다.The digital type effector may include a multi-effector or a rack type effector, for example, and combines the functions of the independent analog effectors.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는 음질이 우수한 반면 가격이 높으며 다양한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없고, 연주자가 연주시에 이펙터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방식의 이펙터는 다양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고 다양한 설정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아날로그 음향 장치에 비해 음질이 떨어지고, 음질이 우수한 디지털 방식의 이펙터는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The analog effector as described above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sound quality is high, the price is high, and various setting values cannot be stored, and the player must manually set the effector when playing. In addition, the digital effector can store various setting values and control various settings at the same time, but the sound qual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analog sound device, and the digital effector with excellent sound quality is very expensive. .

그렇지만 음질에 많은 신경을 쓰는 준프로급(semiporfessional) 이상의 연주자들은 가격은 높지만 좋은 음질의 아날로그 이펙터를 선호한다.Nevertheless, semi-professional players who are more concerned with sound quality prefer high-quality analog sound effects with higher prices.

도 1은 일반적인 음향장치의 연결 및 사용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nnection and use of a general sound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기타 연주자의 음향장치의 구성은 전기기타(10)와 복수의 이펙터(21 내지 23)가 직렬로 연결되어 각각의 이펙터(21 내지 23)가 전기기타(10)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를 변화시켜 다양한 음향효과가 더해진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이펙터(21 내지 23) 중 마지막 이펙터(23)와 앰프(30)가 연결되어 복수의 이펙터(21 내지 23)로부터 순차적으로 처리된 음향 신호를 증폭한 후 스피커(40)를 통해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guitar player acoustic device, an electric guitar 10 and a plurality of effectors 21 to 23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each of the effectors 21 to 23 is output from the electric guitar 10. By changing the sound signal so that a variety of sound effects added sound signal is output. The last effector 23 and the amplifier 30 of the plurality of effectors 21 to 23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to amplify the sound signals sequentially processed from the plurality of effectors 21 to 23, and then the speaker 40. Output through

여기서 앰프(30)는 프리앰프(Pre amplifier)와 파워앰프(Power amplifier)가 분리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프리앰프와 파워앰프가 같은 블록으로 구성된 인티그레이티드 앰프(Integrated amplifier)가 사용될 수도 있다.Here, the amplifier 30 may be used by separating a preamplifier and a power amplifier, or an integrated amplifier configured by the same block in which the preamplifier and the power amplifier are formed.

복수의 이펙터(21 내지 23)는 컴프레서, 디스토션, 코러스, 딜레이, 와우와우, 리버브, 오버드라이브(Overdrive), 페이저(Phaser) 및 플랜저(Flanger) 이펙터 등과 같이 각각 다른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예를들면, 컴팩트 페달형 이펙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ffectors 21 to 23 are analog methods that provide different sound effects such as compressor, distortion, chorus, delay, wow wow, reverb, overdrive, phaser, and flanger effect. It can be any of the effects (eg, compact pedal type effects).

그리고, 각각의 이펙터(21 내지 23)에는 각 이펙터가 제공하는 음향 효과의 처리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방식의 가변 저항(또는 아날로그 포텐셔미터)(미도시)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펙터(21 내지 23)에 포함된 아날 로그 방식의 가변 저항의 예로는 게인(gain), 레벨(level), 톤(tone), 볼륨(volume), 피드백(feedback) 등을 들 수 있다.Each of the effectors 21 to 23 includes at least one analog variable resistor (or analog potentiometer)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processing level of the sound effect provided by each effector. Examples of analog variable resistors included in each of the effectors 21 to 23 may include gain, level, tone, volume, feedback,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음향시스템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먼저 기타연주자(50)는 첫번째 곡을 연주하기 전에 상기 첫번째 곡에 적합한 음향 효과를 얻기 위해 각각의 이펙터(21 내지 23) 및 앰프(30)에 구비된 아날로그 방식의 가변 저항을 조작하여 각각의 이펙터(21 내지 23) 및 앰프(30)에 대한 설정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an example of use of a conventional acoustic system will be described. First, the guitar player 50 starts with each of the effectors 21 to 23 and the amplifiers (3) to obtain a sound effect suitable for the first song before playing the first song. An analog variable resistor provided in 30 is manipulated to set the respective effectors 21 to 23 and the amplifier 30.

그리고, 상기 첫번째 곡에 대한 연주가 끝나면 기타 연주자(50)는 두번째 곡에 적합한 음향 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이펙터(21 내지 23) 및 앰프(30)에 대한 설정을 수행한 후 두번째 곡을 연주한다.After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song is finished, the guitar player 50 performs the settings for each of the effectors 21 to 23 and the amplifier 30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o obtain a sound effect suitable for the second song. Play the song.

예를 들어, 음향 효과에 사용된 이펙터가 열 대이고 각 이펙터에 세 개의 아날로그 가변 저항이 구비되어 있다면, 기타 연주자는 각 곡에 적합한 음향 효과를 위해 각 곡당 30개의 아날로그 가변 저항을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고, 이를 실시간 공연에서 각각의 연주곡마다 서로 다른 가변 저항의 설정값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if the effector used for the sound effect is tropical and each effector is equipped with three analog potentiometers, the guitar player will have to manually set 30 analog potentiometers for each song for the proper sound effect for each song.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store the setting values of the different variable resistors for each performance song in a real time performance.

또한, 상기의 예와 같이 이펙터가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타 연주자가 소정의 곡을 연주하기 전에 각 이펙터에 구비된 아날로그 가변 저항을 일일이 손으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음향장치의 설정 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ffector is frequently used as in the above example, the setup time of the sound device becomes very long because the guitar player must manually operate the analog variable resistor provided in each effector before playing a predetermined song. There are disadvantages.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밴드 음악이나 다양한 분야의 연주자들이 사용하는 복수의 음향 장치에 대해 아날로그 음향장치 품질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설정값의 저장 및 동시 설정 등과 같은 디지털 장치의 편리함을 겸비한 음향 장치 가 절실히 요구된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disadvantages, the sound device combines the convenience of digital devices such as storing and simultaneously setting various setting values while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analog sound device for a plurality of sound devices used by band music or players in various fields. It is desperately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음향장치를 설정할 수 있는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oustic apparatus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that can easily set the acoustic apparatu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음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음색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설정값을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설정값에 기초하여 저항값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가 각각 설정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음향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음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음색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RS-485 및 MIDI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음색 정보 및 상기 음색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의 음향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음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음향 설정값을 독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 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장치의 현재 설정 정보 및 상기 음향장치가 다른 음향장치로부터 구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처리부에 의해 음향처리된 음향신호 및 음향처리되지 않은 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향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ound device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sound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tone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for setting a resistance value based on the at least one acoustic set value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and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respectively. At least one soun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sound signal based on the sound. The sound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configured to receive the ton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received ton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be any one of an RS-485 and a MIDI interface. The sound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sound setting value of the tone information and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The controller may read out the sound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and provide the same to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The sound device may be an analog effector. 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external device with at least one of current setting information of the sound device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sound device ma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ound devices. The sound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one of the sound signals, which are sound processed by the at least one sound processor and the unprocessed sound signals, based o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 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is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된 음색 정보 및 음향 설정값을 나타낸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device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sound information and sound setting values stored in a storage unit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음향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포텐셔미터(또는 가변저항)를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포텐셔미터를 통해 음향 효과, 볼륨 및 밸런스 등과 같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이펙터나 앰프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향장치(100)의 예로서 이펙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sound device 100 shown in FIG. 2 includes at least one potentiometer (or a variable resistor), and an effector or an amplifier that can set functions such as sound effects, volume, and balance through the at least one potentiometer. Can be. In the follow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effector as an example of the sound device 1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digital potentiometer)(141),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143),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5), 제1 음향 처리부(151), 제2 음향 처리부(153), 제3 음향 처리부(155), 입력부(170) 및 출력부(180)를 포함한다.2 and 3, a sound device 100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110, a controller 120, a storage 130, and a first digital potentiometer ( digital potentiometer) 141, the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143, the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45, the first sound processor 151, the second sound processor 153, the third sound processor 155, and the input unit 170. ) And an output unit 180.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제어장치(예를 들면 중앙제어장치, 도 6, 400참조)로부터 음향장치(100)의 설정을 위한 음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색 정보를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음향장치(100)의 고유 식별번호 및/또는 장치 식별번호 등과 같이 음향장치(100)가 다른 음향장치로부터 구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 정보 및/또는 음향장치(100)의 현재 설정된 음색 정보를 외부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receives tone information for setting the sound device 100 from an external controller (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ler (see FIGS. 6 and 400)) and provides the received ton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do.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may be uniquely identified such that the sound device 100 ma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ound devices, such a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 or a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ound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The information and / or the currently set timbre information of the sound apparatus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ntroller.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예를 들어 RS-485, MIDI(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등과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블루투스, UWB(Ultra Wide Band), Wireless 1394, Wireless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근거리용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may be, for example, a wired interface such as RS-485, 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 such as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1394, Wireless Universal Bus (USB), or the like.

제어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으로부터 제공된 음색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143) 및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5)를 제어하여 각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의 저항값이 설정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first digital potentiometer 141, the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143, and the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45 based on the ton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to control each digital potentiometer 141 to 145. Let the resistance value of) be set.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제공된 음색 정보에 해당하는 각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의 음향 설정값을 저장부(130)에서 독출한 후 독출된 음향 설정값을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에 제공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20 reads the sound setting values of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5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in the storage unit 130, and then reads the read sound setting values into the respective digital settings. To the potentiometers 141 to 145.

또한, 제어부(120)는 외부 제어장치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음색 정보 및 각 음색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 설정값을 제공받아 이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음향 장치(100)의 현재 설정된 음색 정보를 외부 제어장치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receives the tone information and the sound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each ton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130. The controller 120 transmits currently set tone information of the sound apparatus 100 to an external controller.

저장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된 음색 정보(131)와 각각의 음색 정보(131)에 대응되는 각 디지털 포텐셔미터의 음향 설정값(133 내지 137)들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the tone information 131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20 and the sound setting values 133 to 137 of each digital potentiometer corresponding to each tone information 131, as shown in FIG. .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be configured of, for example,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a flash memory, or the like.

또한, 최근들어 메모리가 대용량화되면서 상기 저장부(130)에 수백 또는 수천곡 이상의 음색 정보 및 각각의 음색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ly, as the memory becomes larger, hundreds or thousands of tone information and sound setting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ton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143) 및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3)는 각각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된 음향 설정값에 상응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는 소정의 해상도를 가지고 소정의 해상도에 상응하는 포지션(position) 수를 가진다. 여기서 포지션의 수는 디지털 포텐셔미터에서 제공 가능한 저항값의 개수를 의미한다.The first digital potentiometer 141, the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143, and the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43 each change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set value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20. For this purpose, each digital potentiometer has a predetermined resolution and a posi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esolution. Here, the number of positions means the number of resistance valu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digital potentiometer.

즉,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는 제어부(120)로부터 설정값(도 3의 135 내지 137참조)을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내부에 구비된 두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와이퍼(미도시)의 포지션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음향 설정값에 상응하는 저항값을 설정한다.That is, each of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5 receives a set value (see 135 to 137 of FIG. 3)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based on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5 of the wiper (not shown) present between the two electrodes provided therein. By moving the position,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etting value is set.

도 2에 도시된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143) 및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5)는 각각 10비트의 해상도를 가지고, 1024의 포지션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first digital potentiometer 141, the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143, and the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45 illustrated in FIG. 2 have a resolution of 10 bits and have a position of 1024, for example.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3)가 모두 동일한 해상도 및 포지션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3)가 모두 다른 해상도 및 이에 상응하는 포지션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each of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3 has the same resolution and position in FIGS. 2 and 3,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3 are all differen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a resolution and a corresponding position.

제1 음향 처리부(151)는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141)의 설정에 기초하여 입력부(170)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에 대해 소정의 음향 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한다.The first sound processor 151 performs a predetermined sound process on the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170 based on the setting of the first digital potentiometer 141 and then outputs the sound signal.

예를 들어, 제1 음향 처리부(151)는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141)가 설정한 저항값에 기초하여 입력부(170)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의 증폭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증폭부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ound processor 151 may be an amplifier that adjusts and outputs an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170 based on a resistance value set by the first digital potentiometer 141.

제2 음향 처리부(153)는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143)의 설정에 기초하여 제1 음향 처리부(151)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에 대해 소정의 음향 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한다.The second sound processor 153 performs a predetermined sound process on the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sound processor 151 based on the setting of the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143 and then outputs the sound signal.

예를 들어, 제2 음향 처리부(153)는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143)가 설정한 저항값에 기초하여 제1 음향 처리부(151)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의 톤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톤제어부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ound processor 153 may be a tone control unit that adjusts and outputs the tone of the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sound processor 151 based on the resistance value set by the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143. have.

제3 음향 처리부(155)는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5)의 설정에 기초하여 제2 음향 처리부(153)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에 대해 소정의 음향 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한다. The third sound processor 155 performs predetermined sound processing on the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sound processor 153 based on the setting of the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45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예를 들어, 제3 음향 처리부(155)는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5)가 설정한 저항값에 기초하여 제2 음향 처리부(153)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음량 제어부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sound processor 155 may be a volume controller that adjusts and outputs a volume of a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sound processor 153 based on a resistance value set by the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45. have.

입력부(170)는 전기 기타와 같은 외부 장치와 제1 음향 처리부(15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제1 음향 처리부(151) 사이의 임피던스가 정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손실을 줄이고 음향 신호가 안정적으로 제1 음향 처리부(151)에 제공되도록 한다.The input unit 170 is installed between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lectric guitar and the first sound processing unit 151 so that impedances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first sound processing unit 151 match so that the input of the sound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The loss is reduced and the sound signal is stably provided to the first sound processor 151.

출력부(180)는 이펙터 또는 앰프 등과 같은 다른 외부 음향장치와 제3 음향 처리부(15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음향장치와 제3 음향 처리부(155) 사이의 임피던스가 정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3 음향 처리부(155)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손실을 줄이고 음향 신호가 상기 외부 음향장치에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put unit 180 is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ound processor 155 and another external sound device such as an effector or an amplifier to match the impedance between the external sound device and the third sound processor 155 so that the third sound is matched. The loss of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155 may be reduced and the sound signal may be stably provided to the external sound device.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100)에는 3개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 및 3개의 음향 처리부(151 내지 155)가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향 장치의 기능에 따라 3개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 및 음향 처리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acoustic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2 includes thre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5 and three sound processing units 151 to 155,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ewer or more digital potentiometers and sound processing unit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sound devi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에서는 저항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음향처리의 수준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의 음향 설정값을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를 동시에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음향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음향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for setting a level of sound processing by varying a resistance value and stores sound setting values of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By reading out from the unit and simultaneously setting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set the acoustic device even when a plurality of acoustic devices ar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coustic device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4에 도시된 음향장치(100.1)의 구성요소 중 도 2에 도시된 음향장 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가지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acoustic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2,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coustic apparatus 100.1 illustrated in FIG. 4, may be different from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2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ince it performs the same function, description is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스위치부(175)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3 음향처리부(155)에서 제공된 소정의 음향처리된 음향 신호 및 입력부(170)로부터 제공된 음향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음향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부에 제공한다.The switch unit 175 may be any one of a predetermined sound processed sound signal provided from the third sound processor 155 and a sound signal from which the sound processing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170 is not performe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Select the sound signal of the output to the output.

제어부(120.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외부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스위치부(17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부(175)의 스위칭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20.1 receives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switch unit 175 from an external controller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and controls the switching of the switch unit 175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제어부(120.1)에 제공되는 제어정보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음색 정보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도 3의 'A0001')가 될 수 있고, 별도의 스위칭 정보가 될 수도 있다.Th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ontroller 120.1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the tone information shown in FIG. 3 (for example, 'A0001' in FIG. 3), or may be separate switching informa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100.1)는 스위치부(175)를 통해 음향 처리된 음향신호와 음향처리되지 않은 음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복수의 음향장치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 음향장치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연주 환경에 따라 음향장치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coustic device 1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y one of the sound signal and the unprocessed sound signal through the switch unit 175. When a plurality of sound devices are connected in series, the sound devices may be added or removed according to the playing environment using control signals without physically separating the sound device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동시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multaneous setting process of an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5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동시 설정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120)는 음향장치의 설정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1). 제어부(120)는 음향장치 설정 여부를 통신 인터페이스(110)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d FIG. 5, the simultaneous setting process of the sound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indicating setting of the sound device has occurred (step 201). The controll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o set a sound device based o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음향장치 설정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음색 정보를 제공받는다(단계 203). 그리고 저장부(130)를 검색하여 상기 음색 정보에 대응되는 각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의 음향 설정값을 독출한다(단계 205).If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indicating the sound device setting has occurred, the controller 120 receives the ton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step 203). The storage unit 130 is searched to read the sound setting values of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5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step 205).

이후 제어부(120)는 저장부(110)로부터 독출한 음향 설정값을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에 제공한다(단계 207).Thereafter, the controller 120 provides the sound setting values read out from the storage 110 to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5 (step 207).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5)는 제어부(120)로부터 음향 설정값을 각각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저항값을 설정하고(단계 20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의 동시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Each of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5 receives sound setting values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sets resistance values based on them (step 209), and simultaneously performs a process of simultaneously setting a soun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Quit.

예를 들어 외부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제공된 음색 정보가 'E1016'이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20)는 저장부(130)를 검색하여 제1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제2 디지털 포텐셔미터(143) 및 제3 디지털 포텐셔미터(145)의 음향 설정값으로 음색 정보 'E1016'에 대응되는 '950, 800, 1020'을 독출한다.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ton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ternal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is 'E1016', the controller 120 searches for the storage unit 130 to search for the first digital potentiometer 141 and the second digital potentiometer. In operation 143 and the sound setting values of the third digital potentiometer 145, '950, 800, and 1020'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E1016' are read.

그리고 제어부(120)는 독출된 음향 설정값인 '950, 800, 1020'를 각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3)에 제공하고,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3)는 제공받은 음향 설정값에 기초하여 저항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디지털 포텐셔미터(141 내지 143)는 제공받은 음향 설정값에 기초하여 내부에 구비된 와이퍼(미도시) 포지션을 이동시킴으로써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provides the read sound settings '950, 800, and 1020' to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3, and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3 are based on the received sound set values. Set the resistance value. For example, each of the digital potentiometers 141 to 143 may set a resistance value by moving a wiper (not shown) position provided therein based on the provided sound setting valu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n acoustic apparatus having a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는 전자악기(11), 스피커(40) 및 중앙제어장치(400)가 포함된 음향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n acoustic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11, a speaker 40, and a central controller 400.

전자악기(11)는 예를 들어 전기 기타가 될 수 있고, 스피커(40)는 제3 음향장치(300)에서 출력된 음향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11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guitar, and the speaker 40 converts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sound device 300 into an audio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제1 음향장치(100), 제2 음향장치(200) 및 제3 음향장치(30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음향장치(100 또는 100.1)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제1 음향장치(100), 제2 음향장치(200) 및 제3 음향장치(300)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first sound device 100, the second sound device 200, and the third sound device 300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sound device 100 or 100.1 shown in FIG. 2 or 4. Has Therefore,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first sound device 100, the second sound device 200, and the third sound device 300 are omitted.

중앙제어장치(400)는 각 음향장치(100 내지 300)에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색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400)는 복수의 음향장치(100 내지 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향 장치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장치에 대해서만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The central control unit 400 transmits the tone information to each sound apparatus 100 to 3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face.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ler 400 may select only one sound devic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devices 100 to 300 and change the setting only for the selected sound device.

예를 들어 중앙제어장치(400)는 도 6에 도시된 음향장치(100 내지 300) 중에서 제2 음향장치(200)만을 선택하여 음색 정보를 전송함으로서 제2 음향장치(200)에 대해서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changes only the setting for the second sound device 200 by transmitting only the tone information by selecting only the second sound device 200 from the sound devices 100 to 300 shown in FIG. 6. Can be.

이를 위해 중앙제어장치(400)는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각 음향장치(100 내지 300)의 고유 식별번호 및 각각의 곡에 대한 각 음향장치(100 내지 300)의 음색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저장된 음색 정보를 독출하여 각 음향장치(100 내지 300)에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entral control unit 400 transmits to the storage unit (not shown) provided therei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sound device 100 to 300 and tone information of each sound device 100 to 300 for each song. The stored tone information may be read and transmitted to each sound apparatus 100 to 300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상기와 같은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음향 처리부 및 상기 음향 처리부에 대응되어 음향 효과의 처리 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를 구비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은 음색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에 음향 설정값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처리부에 대한 음향 처리 수준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und device having the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ound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for adjusting the processing level of the sound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ound processing unit,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By providing a sound setting value to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et the sound processing level for the at least one sound processing unit.

따라서, 아날로그 음향장치의 음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장치가 하나 이상 직렬로 연결된 경우에도 연주곡마다 매번 손으로 음향 효과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없이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 설정값을 일순간에 모두 독출하여 디지털 포텐셔미터의 저항값을 동시에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음향장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개의 이펙터와 같은 음향장치를 사용하는 아마추어 뮤지션부터 많게는 20개 이상의 이펙터와 같은 음향 장치를 사용하는 프로 뮤지션의 경우에 5개 내지 20개 이상의 이펙터에 구비된 디지털 포텐셔미터의 가변 저항값을 일순간에 변경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음색을 변경해야하는 공연이나 녹음과 같은 상황에서 일일이 수동으로 종래의 가변저항을 조절하는 방식과 다르게 편리하게 이펙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one or more of the acoustic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in series while maintaining the sound quality of the analog acoustic apparatus, the sound setting valu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changed without having to change the setting for the sound effect by hand every time the performance is performed. By reading all at once and simultaneously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digital potentiometer,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ntrol a plurality of acoustic devices. For example, from amateur musicians using sound devices such as five effectors to professional musicians using sound devices such as 20 or more effectors,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of the digital potentiometers provided in 5 to 20 or more effectors may be used. By changing the moment, the effect can be conveniently controlle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ally adjusting the variable resistor in a situation such as a performance or recording where the tone should be changed in real time.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Claims (8)

전자악기로부터 제공된 음향 신호를 처리하는 음향장치에 있어서,An acoustic device for processing acoustic signals provided from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음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음색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설정값을 제공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tone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provide at least one sound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설정값에 기초하여 저항값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 및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for setting a resistance value based on the at least one sound setting value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가 각각 설정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음향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처리부를 포함하는 음향장치.And at least one sound processor connected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and configured to sound-process the sound signal based on a resistance value set by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음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음색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The sound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the ton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received ton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RS-485 및 MIDI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s at least one of an RS-485 and a MIDI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음색 정보 및 상기 음색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의 음향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The sound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sound setting value of the tone information and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음색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설정값을 독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포텐셔미터에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And the control unit reads the at least one sound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tone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and provides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to the at least one digital potentiomet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향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의 이펙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The sound device is an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og effect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장치의 현재 설정 정보 및 상기 음향장치가 다른 음향장치로부터 구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external device with at least one of current setting information of the sound device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sound device ma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ound devic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향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처리부에 의해 음향처리된 음향신호 및 음향처리되지 않은 음향신호 중 어느 하 나의 음향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The sound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nd output any one of the sound signals processed by the at least one sound processing unit and the unprocessed sound signal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Sound device.
KR1020060131497A 2006-12-21 2006-12-21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KR100844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497A KR100844595B1 (en) 2006-12-21 2006-12-21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497A KR100844595B1 (en) 2006-12-21 2006-12-21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792A true KR20080057792A (en) 2008-06-25
KR100844595B1 KR100844595B1 (en) 2008-07-07

Family

ID=3980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497A KR100844595B1 (en) 2006-12-21 2006-12-21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5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18A1 (en) * 2012-05-21 2013-11-28 (주)우진네트웍스 Multi-effector device using analog input signals
WO2017091157A1 (en) * 2015-11-26 2017-06-01 Centa Urban Device for digital processing of analog sound effec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520Y1 (en) * 1987-07-14 1991-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Envelope generation circuit of electronic instrument
KR970007062U (en) * 1995-07-13 1997-02-21 Playing sound separation playback device
KR19990050494A (en) * 1997-12-17 1999-07-05 전주범 Spectrum output device for each instrument
KR100720337B1 (en) 2005-09-06 2007-05-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ystems for processing sound using nonlinear amplif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18A1 (en) * 2012-05-21 2013-11-28 (주)우진네트웍스 Multi-effector device using analog input signals
KR101385680B1 (en) * 2012-05-21 2014-04-16 (주)우진네트웍스 Multi-effector apparatus based on analog input signal
WO2017091157A1 (en) * 2015-11-26 2017-06-01 Centa Urban Device for digital processing of analog sound eff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595B1 (en) 200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8985B2 (en) Standalone electronic module for use with musical instruments
US7304232B1 (en) Joystick gain control for dual independent audio signals
US20050183566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a built in hand-held type computer
US20100225455A1 (en) Polyphonic Doorbell Chime System
CN1845775B (en) Multi-sound effect system including dynamic controller for an amplified guitar
JP4320782B2 (en) Performance control device and program
JP2011100156A (en) Automatic play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acoustic/electric guitar
WO2017057530A1 (en) Audio processing devic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WO2007073351A1 (en) A portable media player
KR100844595B1 (en) Sound Apparatus Having Simultaneous Setting Function
US7915510B2 (en) Tuner for musical instruments and amplifier with tuner
US7247785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JP2005037845A (en) Music reproducing device
JP2022191521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14066922A (en) Musical piece performing device
JP2587737B2 (en) Automatic accompaniment device
US10396726B2 (en) Preamplifier for musical instruments
JP2020106766A (en) Performance correction method and performance correction device
JP2008511029A (en) Instrument amplifier, especially guitar amplifier
JPH038557B2 (en)
JP6587396B2 (en) Karaoke device with guitar karaoke scoring function
JPH0667658A (en) Music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JP2017073590A (en) Program for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JP2024031358A (en) Volume control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volum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30055475A (en) Smart Electric Gui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