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620A -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620A
KR20080056620A KR1020070053613A KR20070053613A KR20080056620A KR 20080056620 A KR20080056620 A KR 20080056620A KR 1020070053613 A KR1020070053613 A KR 1020070053613A KR 20070053613 A KR20070053613 A KR 20070053613A KR 20080056620 A KR20080056620 A KR 20080056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value
unique identification
power
lighting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2059B1 (ko
Inventor
강전영
Original Assignee
씨앤디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디아이(주) filed Critical 씨앤디아이(주)
Publication of KR2008005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신호를 이용한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용 전원을 스위칭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유 식별 값과 상기 조명 장치의 전원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무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수단; 및 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 내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과 기 저장된 제2 고유 식별 값이 일치하면 상기 전원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무선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은 상기 무선송신수단 내에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은 상기 무선수신수단 내에 재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명 장치, 전원제어, 무선신호, 스위칭부, 고유 식별 값

Description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A power switching device for lighting equipments}
도 1은 종래의 조명장치 전원 스위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원 스위칭을 위한 무선송신수단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원 스위칭을 위한 무선수신수단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0 : 조명 장치 240 : 무선송신수단
250 : 무선수신수단 330 : 제2 고유 식별 값 입력부
260 : 제1 무선처리부 350 : 전원 공급부
410 : 제2 무선처리부 450 : 전자식 스위치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물 내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와 전등 및 전등제어 스위치 등의 전기 장치는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는 건물의 설계 시 이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그 위치가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건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장치의 경우, 건물의 미관을 고려하여 그 배선을 벽면 내부를 통해 연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치 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조명의 경우, 조명장치(120)는 실내 천정(1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조명장치(12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케이블(130)은 실내 천장(110)의 내부의 소정의 공간 또는 시멘트 내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천정(110)에 내설된다. 또한, 조명장치(12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150)는 실내 벽면(115)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전원의 온/오프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입력된 온/오프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140)은 시멘트 내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면(115)의 내부를 관통하고 이어서 천정(110)을 관통하여 조명장치(120)로 연결된다. 이때, 실내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경우, 실내 벽면 내부에 설치된 연결 케이블(140)을 새로 배선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노후된 연결 케이블(140)을 교체하는 경우, 벽면(115) 내부에 설치된 연결 케이블(140)을 철거하거나 새로운 연결 케이블(140)을 설치함에 있어서, 배선 공사가 더 복잡하고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벽면(115) 내부에 설계한 배선은 한번 설계한 이후 위치 변경이나,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는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유사한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조명장치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광 신호 중의 하나인 적외선 신호와 조명장치에서 조사되는 빛이 서로 혼합되는 빛의 간섭 현상으로 인해 적외선 신호의 수신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으로 조명장치의 전원을 원활하게 스위칭할 수 있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송신수단 및 전송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무선수신수단의 고유 식별 값의 저장 및 변경이 용이한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수신수단의 고유 식별 값의 변경을 통하여 하나의 무선송신수단을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접된 지점에 설치된 무선수신수단에 의한 조명장치용 전원의 잘못된 스위칭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명 장치용 전원을 스위칭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유 식별 값과 상기 조명 장치의 전원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수단; 및 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 내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과 기 저장된 제2 고유 식별 값이 일치하면 상기 전원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무선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은 상기 무선송신수단 내에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은 상기 무선수신수단 내에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신호는, 적외선 신호를 제외한 무선신호이다.
상기 무선신호는, 설치되는 장소의 고유 구분번호; 소정 영역 이내에서 설치되는 상기 조명장치의 구분번호; 및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송신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을 입력받기 위한 제1 고유 식별 값 입력부; 및 입력되는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송신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조명 장치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조명 제어신호 입력부; 상기 조명 제어신호와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기 위한 제1 무선 처리부 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을 입력받기 위한 제2 고유 식별 값 입력부; 및 입력된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처리부;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따라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조명 제어신호 및 제1 고유 식별 값을 구별하고, 구별된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이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인가한다.
상기 조명 제어 신호는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dimming) 신호이거나,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신호이다.
상기 스위칭부는 TRIAC, 기계식 스위치, IGBT, MOSFET, BJT 및 SCR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입력된다.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전송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상기 조명장치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동일 면상에 설치된다.
상기 무선송신수단은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은 상기 조명 제어신호의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없으면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며, 입력된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을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운용 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 전원 스위칭을 위한 무선수신수단(250)은 조명장치(230)와 연결되어 조명장치(230) 내 또는 조명장치(230) 외부의 천정(110)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무선수신수단(250)으로 조명장치 전원 스위칭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수단(240)은 벽(115)면 소정의 곳에 탈착이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때, 무선송신수단(240)은 벽(115)면에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조명장치(25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220)은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천정(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조명장치(230)와 연결되거나, 천정(110)의 상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조명장치(230)와 연결된다.
조명장치(23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수신수단(250)은 조명장치(230) 내부에 위치하여 무선송신수단(24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조명장치(230)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무선수신수단(250)에 연결된 안테나(도시되지 않았음)는 천정(110)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천정(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송신수단(240)에서 생성하는 무선신호는 적외선을 제외한 무선신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원제어를 위한 무선송신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송신수단은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조명 제어신호 입력부(310)와 조명제어신호 입력부(310)로부터 전송되는 조명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제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선송신수단에서 조명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수신수단에 대응되는 제1 고유 식별 값을 입력하기 위한 제1 고유 식별 값 입력부(330)가 제1 제어부(3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된 제1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340)가 제1 제어부(320)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무선송신수단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350)가 제1 제어부(32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조명 제어신호와 제1 고유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무선수신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해 제1 제어부(320)와 연결된 제1 무선처리부(360)는 전송받은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370)를 통해 무선수신수단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조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조명 제어신호 입력부(310)는 TACT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나, 스위치(310) 종류는 TACT 스위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조명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스위치인 경우, TACT 스위치를 대체하여 구성이 가능하며, 디밍(dimming) 제어가 가능하도록 디밍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조명 제어신호 입력부(310)가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고유 식별 값 입력부(330)는 무선송신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 고유 식별 값을 입력하기 위한 외부 I/O(입출력) 포트로서, 전원 스위칭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무선송신수단의 제1 고유 식별 값의 입력이 가능하며, 제1 고유 식별 값을 입력하기 위한 단말기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휴대폰, PDA, 노트북 등에서 전송할 수 있으며, 고유 식별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전용단말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제1 제어부(320)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제1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340)는 EEPROM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한 이후, 사용자에 의해 조명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제어부(320)로 제1 고유 식별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고유 식별 값은 예를 들면, 설치되는 장소의 고유 구분번호 즉, 아파트 등의 동호수와, 소정 영역 이내에서 설치되는 조명장치(230)의 구분번호 즉, 조명장치(230)의 일련번호와, 조명장치(230)의 전원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신호(0 또는 1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함)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일예로 101동 1204호에 설치된 10개의 조명장치(230)에는 "1011204(설치장소의 고유 구분번호, 동/호수)", "01(조명장치의 구분번호, 일련번호)", "0(조명 제어신호)" ~ "1011204", "10", "1"의 제1 고유 식별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1101동 1204호의 첫 번째 조명장치(230)는 "0"의 값에 의해 소등되고, 열 번째 조명장치(230)는 "1"의 값에 의해 점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고유 식별 값은 후술할 제2 고유 식별 값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 가능하며, 무선송신수단이나 별도의 설정장치를 통해 제1 고유 식별 값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제1 고유 식별 값의 설정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1 제어부(320)는 제1 고유 식별 값 입력부(330)를 통하여 모드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하고(S510), 모드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고유 식별 값 입력모드로 전환하며(S520), 무선송신수단이나 별도의 설정장치를 통해 제1 고유 식별 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1 고유 식별 값을 제1 메모리(340)에 저장하고(S530), 무선송신수단이나 별도의 설정장치에서 모드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540), 운용모드로 전환(S550)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조명장치(230)를 설치하더라도 새로운 제1 고유 식별 값을 등록하여 새로운 조명장치(23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50)는 평상시 제1 제어부의 전원을 stand by(대기상태) 상태로 유지하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며, 사용자에 의해 전원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350)로 신호입력을 알려 무선송신기의 전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1 무선처리부(360)를 통해 조명 제어신호 및 제1 고유 식별 값을 포함하는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가 무선수신수단으로 전송되면, 전원공급부(350)는 다시 전원을 stand by 상태로 유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원제어를 위한 무선수신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수신수단은 무선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인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405)와, 안테나(405)로 전송된 무선신호를 무선수신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무선처리부(410)와, 무선수신수단의 제2 고유 식별 값을 입력하기 위한 제2 고유 식별 값 입력부(420)와, 입력된 제2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425)와, 무선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포함된 조명 제어신호를 구별하거나 전원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1 고유 식별 값이 무선수신수단의 제2 고유 식별 값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 제어부(415)와, 제2 제어부(415)에서 판단된 제1 고유 식별 값과 제2고유 식별 값이 일치하는 경우, 전원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제어하도록 전원 공급 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50)와,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43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퓨즈(440) 및 제2 퓨즈(455)와, 조명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케이블(430)로부터 무선수신수단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20V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소자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AC/DC 변환부(4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원 케이블(430)의 소정의 위치에는 조명장치로 들어오는 전류의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회로(435)가 구성된다.
이때, 안테나(405)는 무선수신수단의 제2 무선처리부(4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안테나(405)의 위치는 조명장치 및 무선수신수단이 위치한 천정의 아래쪽에 설치되거나 실내의 미관을 위해 천정의 상부 내측 소정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유 식별 값 입력부(420)는 무선수신수단의 제2 고유 식별 값을 입력받기 위한 I/O(입출력) 포트로서, 사용자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2 고유 식별 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단말기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휴대폰, PDA 및 노트북 등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정보기기이다.
제2 메모리(425)는 제2 고유 식별 값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수신수단의 제2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EEPROM 등으로 구성된다.
즉, 제2 고유 식별 값은 전술한 제1 고유 식별 값과 동일한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고유 식별 값과 유사한 형태로 적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제2 고유 식별 값은 무선송신수단이나 별도의 설정장치를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제2 고유 식별 값의 설정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2 제어부(415)는 제2 고유 식별 값 입력부(420)를 통하여 모드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하고(S510), 모드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고유 식별 값 입력모드로 전환하며(S520), 무선송신수단이나 별도의 설정장치를 통해 제2 고유 식별 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1 고유 식별 값을 제2 메모리(425)에 저장하고(S530), 무선송신수단이나 별도의 설정장치에서 모드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S540), 운용모드로 전환(S550)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조명장치(230)를 설치하더라도 새로운 제2 고유 식별 값을 등록하여 새로운 조명장치(23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450)는 무선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명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전송되는 조명 제어신호인 온/오프 및 디밍(dimming)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전원의 점호각을 제어함으로써, 조명장치의 디밍 제어가 가능하다. 스위칭부(450)는 TRIAC, 기계식 스위치, IGBT, MOSFET, BJT 및 SCR 등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송신수단(240)에서 생성된 전원 제어신호는 무선송신수단에 연결된 안테나(370)를 통해 무선수신수단(250)으로 전송되며, 무선수신수단(250)은 전송되는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안테나(405)를 통해 수신하며, 무선수신수단(250)은 수신된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포함된 조명 제어신호와 제1 고유 식별 값을 판단하여, 무선수신수단(250)의 메모리에 저장된 무선수신수단의 제2 고유 식별 값과 일치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판단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송신수단(240)에서 생성된 조명장치 전원의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는 무선송신수단(240)에 연결된 안테나(370)를 통해 복수의 무선수신수단(250-1, 250-2, 250-n)으로 전송되고, 복수의 무선수신수단(250-1, 250-2, 250-n)은 전송되는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각각의 안테나(405-1, 405-2, 405-n)를 통해 수신하며, 복수의 무선수신수단(250-1, 250-2, 250-n)은 수신된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포함된 조명 제어신호와 제1 고유 식별 값을 판단하여, 제1 고유 식별 값과 각각의 무선수신수단(250-1, 250-2, 250-n)의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무선수신수단(250-1, 250-2, 250-n)의 제2 고유 식별 값이 일치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판단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한다. 이때, 무선송신수단(250-1, 250-2, 250-n)의 제1 고유 식별 값과 복수의 무선수신수단(250-1, 250-2, 250-n)에 저장된 각각의 제2 고유 식별 값이 동일한 경우, 무선송신수단(240)으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무선수신수단(250-1, 250-2, 250-n)에 연결된 조명장치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하나의 입력 동작에 의해 복수의 조명장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조명장치에 연결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종래의 실내 벽면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명장치의 스위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실내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등의 인테리어 공사 시에도 벽면 내부에 위치한 전원 스위치 케이블을 새로이 설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전원 제어를 위한 무선송신기 및 무선수신기 간의 고유 식별 값을 이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여, 하나의 무선 송신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무실 등의 천정에 복수로 설비된 조명장치의 전원을 한번에 제어하기 위해 천정에 설비된 조명장치의 고유 식별 값을 동일하게 설정한 이후, 이에 대응되게 설정된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조명장치 각각의 스위치를 작동하지 않아도 모든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설치한 후에 무선송신수단과 무선수신수단에 각각 제1 고유 식별 값과 제2 고유 식별 값을 설정함으로써, 조명장치의 교체 시에도 각각의 고유 식별 값의 설정 과정을 통해 조명장치의 전원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조명장치에 대하여 서로 구별되는 고유한 식별 값을 부여함으로써, 인접된 가정의 조명장치가 오작동 되는 등의 혼선이 발생할 우려가 배제된다.

Claims (17)

  1. 조명 장치용 전원을 스위칭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유 식별 값과 상기 조명 장치의 전원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수단; 및
    수신되는 상기 무선신호 내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과 기 저장된 제2 고유 식별 값이 일치하면 상기 전원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 장치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무선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은 상기 무선송신수단 내에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은 상기 무선수신수단 내에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적외선 신호를 제외한 무선신호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설치되는 장소의 고유 구분번호;
    소정 영역 이내에서 설치되는 상기 조명장치의 구분번호; 및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신호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을 입력받기 위한 제1 고유 식별 값 입력부; 및
    입력되는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 입력부;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과 상기 조명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기 위한 제1 무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을 입력받기 위한 제2 고유 식별 값 입력부; 및
    입력된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처리부;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따라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개별 스위칭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조명 제어신호 및 제1 고유 식별 값을 구별하고, 구별된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이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조명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상기 스위칭부에 인가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신호는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dimming) 신호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신호는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신호인 조명 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TRIAC, 기계식 스위치, IGBT, MOSFET, BJT 및 SCR 중 어느 하나인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12.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입력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전송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상기 조명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수단은 상기 조명장치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동일 면상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수단은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은 상기 조명 제어신호의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없으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조명장치용 전원 제어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며,
    입력된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을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을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운용 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고유 식별 값 또는 상기 제2 고유 식별 값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KR1020070053613A 2006-12-18 2007-06-01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KR100862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9147 2006-12-18
KR1020060129147 2006-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20A true KR20080056620A (ko) 2008-06-23
KR100862059B1 KR100862059B1 (ko) 2008-10-09

Family

ID=3980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613A KR100862059B1 (ko) 2006-12-18 2007-06-01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14B1 (ko) * 2008-08-27 2011-03-17 웰컨트롤 (주)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KR102233554B1 (ko) * 2020-07-07 2021-03-29 백중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댁내의 조명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568B1 (ko) * 1994-03-28 1998-04-09 정태흥 조명기구의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725720B2 (ja) * 2004-08-25 2011-07-1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の設定方法、設定器、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14B1 (ko) * 2008-08-27 2011-03-17 웰컨트롤 (주)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KR102233554B1 (ko) * 2020-07-07 2021-03-29 백중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댁내의 조명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059B1 (ko)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494B1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US916740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distributed devices
ES2789248T3 (es) Aparato de luz así como adaptador y red para el control inalámbrico del aparato de luz
KR101835085B1 (ko) 스마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
CA2831530C (en) Networked,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with distributed intelligence
JP5282337B2 (ja) ビデオインターホンまたはショッピング端末からac電源方式の器具を遠隔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755913B2 (en) Lighting control network
KR100887425B1 (ko) 무선 전원제어 설정장치, 무선제어 분전장치, 무선전원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원제어 설정 방법및 무선 전원제어 방법
US20070247134A1 (en) Control Apparatus
US20130339766A1 (en) Power supply dock with wireless network and power management functions
US201002764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within an unoccupied room
US20160239033A1 (en) Power Switch Control System with Area-Based Switch Grouping
KR20110002269A (ko) 절전형 멀티 탭 및 그 제어 시스템
WO2011043599A2 (ko) 무선 및 터치 겸용 조명스위치장치
CN103118070A (zh) 一种家庭网关的自动售后服务系统
WO2009064049A1 (en) Power saving apparatus for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62059B1 (ko)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KR101091001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센서 네트워크형 멀티탭
EP3811164B1 (en) Retrofit smart home controller device with power supply module, charger and dock
KR20120055749A (ko) 조명 및 콘센트 제어장치
KR101127641B1 (ko)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42399B1 (ko)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JP2007287681A (ja) 照明制御装置
KR100887452B1 (ko) 무선제어 스위치장치, 무선제어 조명장치, 무선 전원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원제어 방법
KR20050018206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