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328A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328A
KR20080056328A KR1020060129091A KR20060129091A KR20080056328A KR 20080056328 A KR20080056328 A KR 20080056328A KR 1020060129091 A KR1020060129091 A KR 1020060129091A KR 20060129091 A KR20060129091 A KR 20060129091A KR 20080056328 A KR20080056328 A KR 20080056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ocket
upper plate
rf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51363B1 (en
Inventor
안현우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12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363B1/en
Priority to EP07860638.1A priority patent/EP2100262B1/en
Priority to US12/519,636 priority patent/US20090312053A1/en
Priority to PCT/KR2007/006600 priority patent/WO2008075868A1/en
Publication of KR2008005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3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ing arrangement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the antenna being of the very-near field type, e.g. capaci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capable of mounting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mount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offer a user an efficient structure, portability, and convenient operation. An RFID reader unit(40) forms a front surface of a reader main unit(10) and includes an RFID module which reads information stored in an RFID tag when the RFID tag is approached. A pocket unit(60) is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reader main unit and includes a connector, which connects to the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interacting with the RFID module, at one inner side. A grip unit(35) supports the read main unit by coupling with the reader main unit at a rear side of the RFID reader unit and includes a switching unit, which turns on/off operation of the RFID module selectively, at one side. A controller outputs the RFID tag information read by the RFID module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The reader main unit includes an upper plate attaching the pocket unit and coupled with an upper end of the grip unit at one area, and a front plate(3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RFID reader unit.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대한 이미지이다.1 is an image of an RFID reader mountable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미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age of FIG. 1 from another angle. FIG.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FIG. 2.

도 4는 내장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개략적인 내부 투영 측면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internal projection side view of FIG. 2 for explaining interior components. FIG.

도 5는 탄성돌기부가 분리된 포켓부의 전면 사시도이다.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ocket portion from which the elastic protrusions are separated.

도 6은 보조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분리된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5 in which 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PCB) is separated.

도 7은 리더기본체의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면 사시도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late of the reader main body.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8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커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cker shown in FIG. 8 from another angle.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토커에 대한 확대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ocker shown in FIG. 8. FIG.

도 11은 도 8의 결합상태에 따른 로커 및 스토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ocker and a stoker according to the coupled state of FIG. 8.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개스킷에 대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12A and 12B are front and back perspective views of the gasket, respectively.

도 13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7.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보조 PCB에서 포그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og pin region in the auxiliary PCB shown in FIG. 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산업용 PDA 10 : 리더기본체1: Industrial PDA 10: Reader Base

20 : 상부 플레이트 30 : 전면 플레이트20: upper plate 30: front plate

35 : 파지부 38 : 스위칭유닛35: holding part 38: switching unit

40 : RFID 판독부 42 : RFID 모듈40: RFID reader 42: RFID module

50 : 연결부 60 : 포켓부50: connection part 60: pocket part

63 : 접속단자부 70 : 로킹부63: connecting terminal portion 70: locking portion

72 : 로킹슬롯 74 : 로커72: locking slot 74: rocker

79 : 탄성부재 80 : 스토퍼79: elastic member 80: stopper

90 : 탄성돌기부90: elastic projec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며, 휴대가 가능하고 동작이 간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ID reader that can be mounted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n be mounted and used, as well as having an efficient structure, being portable and easy to oper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ID reader capable of mounting a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 고 개인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s a terminal that can be used freely while moving regardless of a pla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calle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 term 'mobile terminal' used herein includes all of these terms, but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사회 속에서 각각의 개인은 각자 나름대로의 정보를 보관하거나 유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개인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그것들 중의 하나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다.In a complex and diversified society, each individual has a need to store and maintain his or her own information, and various products are currently on the market to meet such individual needs. One of them i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쓰인다.PDA, also known as a pocket computer, is a generic term for a palm-sized device that has a calculation, data storage and retrieval function for personal or business use, and is often used to maintain schedule calendars and address book information.

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dustrial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re currently being used mainly in the logistics industry, and the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산업용 PDA는 일반 PDA에 없는 바코드스캐너, 카드 결제기 등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로서,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는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 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Industrial PDA is a PDA with a variety of office functions such as barcode scanner, card payment machine, etc., which are not found in general PDA. When using an industrial PDA,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arry out delivery, data management and related tasks. For example, insurers can carry out various insurance-related tasks such as customer information management, customer search, schedule management, counseling logbook management, anniversary search, and invoice processing. In hospitals, medical records, medical history, prescriptions, and image images and graphics such as X-rays can be entered and retrieved by an industrial PDA carried by medical personnel without time and place restrictions. The police officers are allowed to work on their mobile phones through industrial PDAs, allowing them to immediately pay the financial institutions the violations of traffic laws that can be paid only 2-3 days after the crackdown. It can dramatically shorten.

한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사물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의 총칭이다.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이다.On the other h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a general term for a technology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object using a small semiconductor chip. It is a non-contact recognition system that attaches a small chip to various items and transmits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t radio frequency.

판독, 해독기능이 있는 판독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 태그(RF ID tag),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 전파식별 시스템은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A radio ident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a reader with a reading and decoding function, an RF ID tag with built-in information, operating software, and a network, processes information by identifying a thin flat tag attached to an object.

RF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에는 스스로 작동하기 위해 RF 태그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실리콘 반도체 칩을 사용하는 칩 태그와 LC소자,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polymer:중합체) 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 구분하기도 한다.RF tags consist of a semiconductor-made transponder chip and an antenna, which are passive and active. While passives operate by receiving energy from the reader's radio signal without an internal power source, the active has a built-in RF tag cell to operate on its own. It is also classified into a chip tag using a silicon semiconductor chip and a chipless tag composed only of an LC device, a plastic or a polymer device.

전파식별 기술은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으며, 활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저주파 전파식별 시스템(30 kHz~500 kHz)은 1.8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시스템(850 MHz~950 MHz 또는 2.4 GHz~2.5 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oes not require direct contact or scanning in the visible band as a bar code. Because of these advantages, it is evaluated as a technology to replace the bar code, and the range of application is expanding. Low frequenc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30 kHz to 500 kHz) are used at short distances of less than 1.8 m, while high frequency systems (850 MHz to 950 MHz or 2.4 GHz to 2.5 GHz) are known to be able to transmit over a distance of 27 m or more.

이러한 RFID 기술로 인해 공정 관리, 자산 관리, 물류 관리, 재고 관리, 출입 보완, 위치 추적, 문화재 관리 등의 각종 관리 시스템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RFID 기술을 적용한 RFID 리더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다양한 제품이 출시 중에 있다. 출시중인 RFID 리더기는 산업용 PDA에 그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RFID 리더기로부터 일정한 테이블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고정용 RFID 리더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This RFID technology enables various management systems such as process management, asset management, logistics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access compensation, location tracking, and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to be more conveniently performed. Research is actively underway and a variety of products are already on the market. RFID readers on the market range from portable RFID readers with built-in functions to industrial PDAs to fixed RFID readers that are fixed to a table, and the scope of their application is expanding.

다만, RFID 리더기의 기능을 PDA에 내장시키는 경우 실질적으로 PDA의 크기가 거대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단순한 PDA 기능만을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 반대로, 고정용 RFID 리더기의 경우에는 휴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일부 국한된 장소 외에는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function of the RFID reader is embedded in the PDA, the size of the PDA may actually be huge, which may be somewhat inconvenient for a user who wants to use only a simple PDA function.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 fixed RFID reader, it is difficult to use other than a limited place because it is not portable.

따라서 산업 전반에 걸쳐 PDA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PDA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별도의 RFID 리더기가 개발된다면 필요시에 RFID 리더기를 통한 다양한 관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Therefore, considering that PDAs are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if a separate RFID reader that can be used with a PDA is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management systems through the RFID reader can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목적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며, 휴대가 가능하고 동작이 간편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ID reader capable of mount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mounted and used, as well as having an efficient structure and is portable and easy to operate.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리더기본체; 상기 리더기본체의 전면을 형성 하며,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RFID 판독부; 상기 리더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RFID 모듈과 상호작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접속단자부가 내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포켓부; 상기 RFID 판독부의 후방에서 상기 리더기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리더기본체를 지지하며, 일측에 상기 RFID 모듈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이 결합되어 있는 파지부; 및 상기 스위칭유닛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RFID 모듈에서 판독된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er base; An RFID reader configured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reader main body and mounted adjacent to an RFID tag to be read, and equipped with an RFID module configured to read information in the RFID tag; A pocke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ader main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a terminal portion formed on a mobile terminal interacting with the RFID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thereof; A holding part coupled to the reader main body at the rear of the RFID reader to support the reader main body, and having a switching unit coupled to one side to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RFID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in the RFID tag read from the RFID module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여기서, 상기 리더기본체는, 상기 포켓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영역에서 상기 파지부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RFID 판독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eader base body, the pocket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he upper plate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gripping portion in one region; And a front plate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RFID reader.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부분적으로 절곡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op plate may have a substantially flat planar shape, and the front plate may have a partially curved curved shape.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상기 RFID 모듈을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듈지지용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a module support cover for receiving the RFID module to be accommodated may be detachably coupled.

일단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모듈지지용 커버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켓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더기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end may be coupl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module support cover, and the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ocket part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leader base body.

상기 연결부는 아크(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have an arc shape.

상기 포켓부 내에는 상기 접속단자부가 결합되는 보조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보조 PC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결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RFID 모듈에는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PCB, 상기 연결 PCB 및 상기 보조 PCB는 각각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pocket part, 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PCB) 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is coupled, and a connected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PCB. The RFID module may include a main printed circuit (PCB). Board) may be provided, and the main PCB, the connection PCB and the auxiliary PC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상기 접속단자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보조 PCB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포그핀; 및 상기 보조 PCB 상에서 상기 다수의 포그핀을 일체로 지지하는 핀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g pins coupled to the auxiliary PCB so as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unit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 pin support block integral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og pins on the auxiliary PCB.

상기 복수의 포그핀 각각은, 일단은 상기 보조 PCB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 PCB의 판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노출단에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핀수용부; 일단이 상기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핀수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핀; 상기 핀수용부 내에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보조 PCB와 상기 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핀을 상기 핀수용부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핀이 상기 노출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노출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탈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fog pins, one end is coupled to the auxiliary PCB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ate surface of the auxiliary PCB, the pi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exposed end exposed; A pin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in accommodation portion such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pin receiving part and disposed at both ends between the auxiliary PCB and the pin to elastically bias the pin in a direction exposed from the pin receiving part; And a release block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pin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so as to prevent the p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xposed hole.

상기 보조 PCB에는 전원공급용 단자부와,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부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용 단자부와 상기 USB 단자부는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The auxiliary PCB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and a USB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portion, wherein the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and the USB terminal portion are provided through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provided in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May be exposed.

상기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이 형성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에는, 일측 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이 형성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단자개폐커버가 더 마련될 수 있다.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a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formed while pivoting the hin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Can be prepared.

상기 단자개폐커버가 위치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에는 상기 단자개폐커버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노브가 더 마련될 수 있다.A confinement knob for selectively restraining rotation of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 which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is located.

상기 스위칭유닛은, 상기 파지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고, 일측의 피봇축을 축심으로 회동하는 가압하는 가압버튼부; 상기 가압버튼부의 회동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RFID 모듈을 동작시키는 모듈동작부; 및 상기 가압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버튼부의 동작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is provided to be exposed from one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the pressing button portion for pressing to rotate the pivot axis of the one axis; A module operating unit which operates the RFID module based on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unit; And a return spring coupled to the pressing button part to return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part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파지부 내에는 상기 RFID 모듈로 전원을 인가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The hold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replaceable battery for applying power to the RFID module.

상기 리더기본체와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연결고리가 더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leader base and the gripping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에 마련되어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ortion for selectively locking and unlocking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pocket portion.

상기 로킹부는,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슬롯; 및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로킹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locking slo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unit; And a rocker coupled to the upper plate so as to be rotat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passes through the locking slot to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part.

상기 로킹슬롯은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locking slots may be provided in pair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part.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로커를 동작시키는 가압버튼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후크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압버튼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cker may include a body portion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ortion; A pressure butt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exposed to an underside of the upper plat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a plat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operate the rocker; A pair of hook hook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end portions exposed through the pair of locking slots to selectively catch and release the hook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otation shaft part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pressing button part to form a rotation shaft core of the rocker.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로커결합부 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커결합부 내에 형성된 축수용부 내에 수용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로커의 몸체부와 상기 로커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가압 해제 시에 상기 로커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rocker may be coupled in a rocker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rotating shaft portion may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button portion to be accommodated in the shaft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rocker coupling portion, An elastic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of the rocker and the rocker coupling portion to elastically bias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he rock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button portion is released.

상기 가압버튼부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버튼부는 아크(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essing button portion may have an arc shape so that the pair of locking hooks may be rotated in the pair of locking slots when pressing the pressing button portion in the plat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상기 가압버튼부의 노출 판면에는 미끄럼방지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An anti-slip jaw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exposed plate surface of the pressing button part.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의 단부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An end surface of the pair of hook hooks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in the pocket.

상기 로커에 인접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adjacent to the rocker to selectively restrain the operation of the rocker.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커의 몸체부 밑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구속하는 스토퍼몸체; 및 상기 스토퍼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스토퍼몸체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include a stopper body selectively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rocker while moving in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to constrain the operation of the rocker; And a stopper ro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topper body and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operate the stopper body.

상기 스토퍼몸체에는 상기 로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body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that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stepped portion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rocker.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탄성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to elastically engage and release the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탄성돌기부는,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돌기지지판; 일측변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부분이 상기 돌기지지판으로부터 절취되도록 상기 돌기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지지판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에 가로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판스프링형 절취부; 및 상기 판스프링형 절취부에서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rojection portion, the projection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A leaf spring-shaped cutout portion formed on the protrusion support plate so as to cut away from one side of the protrusion support plate and elastically mov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cket portion in the protrusion support plate; And an elastic protrusion provided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part from the leaf spring-type cutout part and selectively fit into a groove par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탄성돌기부는 대면하는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facing each other.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의 공간을 기밀 유지시키는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to mainta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상기 개스킷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의 외곽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가 상호 맞닿아 결합되는 영역 전반에 걸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gasket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and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over an area where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개스킷은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의 해당 위치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돌기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gaske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rib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on at least one surface of both sides.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산업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be an industri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2는 도 1의 이미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내장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개략적인 내부 투영 측면도이며, 도 5는 탄성돌기부가 분리된 포켓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보조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분리된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리 더기본체의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커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토커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8의 결합상태에 따른 로커 및 스토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개스킷에 대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보조 PCB에서 포그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n image of an RFID reader mountable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age of FIG. 1 from another angle,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and FIG. 4 Figure 2 is a schematic internal projection side view of Figure 2 for explaining the interior parts, Figure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ocket portion separated elastic projections,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with the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PCB) separated.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late of the leader base body,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cker shown in FIG. 8 from another angle,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ocker shown in FIG. 8,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ocker and the stoker according to the coupling state of FIG. 8, and FIGS. 12A and 12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gasket, respectively. Degree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7, and FIG.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og pin region in the auxiliary PCB shown in FIG. 6.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는,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리더기본체(10)와, 리더기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며 RFID 모듈(42, 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는 RFID 판독부(40)와, 리더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모바일 단말기 장착되는 포켓부(60, 도 5 및 도 6 참조)와, RFID 판독부(40)의 후방에 마련되고 일측에 RFID 모듈(4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38)이 결합되어 있는 파지부(35)와, 스위칭유닛(38)의 동작에 기초하여 RFID 모듈(42)에서 판독된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1 to 4, mainly referring to FIGS. 1 to 4, an RFID reader to whic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may include a reader main body 10 forming an overall appearance and a front surface of the reader main body 10. And an RFID reader 40 having an RFID module 42 (see FIG. 4), a pocket portion 60 (see FIGS. 5 and 6)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ader main body 10 and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A holding unit 35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ading unit 40 and having a switching unit 38 coupled to one side to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RFID module 42, and a switching unit (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outputting information in the RFID tag read by the RFID module 42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of 38).

여기서, 본 실시예의 RFID 리더기는, 별도의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RFID 리더기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가 필요한데,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로는, 휴대폰, 그리고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 및 일반 개인휴대단말기를 포함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플립형이든 폴더형이든 그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 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주로 플립형으로 제작되는 산업용 PDA(1, 도 3 및 도 11 참조)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RFID reader of this embodiment is used in a state where a separate mobile terminal is mounted.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RFID reader of the present embodiment, a mobile terminal is required. Such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bile phone and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cluding an industri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gener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flip type or the clamshell type may be variously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to an industrial PDA (refer to FIGS. 1 and 3 and 11) mainly manufactured in a flip type.

리더기본체(10)는, 포켓부(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영역에서 파지부(35)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20, 도 7 및 도 13 참조)와, RFID 판독부(4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The reader main body 10 includes a top plate 20 (refer to FIGS. 7 and 13) to which the pocket part 60 is detachably coupled,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grip part 35 is coupled in one region, and an RFID reader ( And a front plate 30 forming a front surface of 40.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데 반해 전면 플레이트(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절곡된 곡면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S. 7 and 13, the top plate 20 has a substantially flat planar shape, whereas the front plate 30 has a partially curved curved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4. Hav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할 때, RFID 판독부(40)는 리더기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 내부에는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 도 4 참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모듈(42, 도 4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RFID 모듈(42)에는 메인 PCB(43, Printed Circuit Board)이 결합되어 있다.1 to 4, the RFID reader 40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reader main body 10. The RFID module 42 (refer to FIG. 4)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RFID tag (refer FIG. 4) of a reading object and which reads the information in an RFID tag is mounted in the in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43 is coupled to the RFID module 42.

메인 PCB(43)는 포켓부(60) 내에 마련된 보조 PCB(44, Printed Circuit Board, 도 6 참조) 및 연결 PCB(45, Printed Circuit Board, 도 6 참조)와 각각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RFID 모듈(42)과 PDA(1)를 연결하는 신호 라인을 형성한다.The main PCB 43 is an auxiliary PCB (44, Printed Circuit Board, see FIG. 6) and a connection PCB (45, Printed Circuit Board, see FIG. 6) provided in the pocket portion 60 and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respectivel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signal line connecting the RFID module 42 and the PDA 1.

메인 PCB(43)와 함께 RFID 모듈(42)이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는, 전면 플레이트(30)와 함께 메인 PCB(43) 및 RFID 모듈(42)을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듈지지용 커버(41)가 결합 된다. 이 때, 모듈지지용 커버(41)의 유지보수를 위해 모듈지지용 커버(41)는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서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back of the front plate 30, the main PCB 43 and the RFID module together with the front plate 30 so that the RFID module 42 together with the main PCB 43 can be mounted on the back of the front plate 30. The module support cover 41 which supports 42 is receivably coupled. At this time, for maintenance of the module support cover 41, the module support cover 41 is preferably detach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30).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 모듈지지용 커버(41)를 착탈시키는 구성으로서는 후크 조합 및 볼트 조합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모듈지지용 커버(41)와 전면 플레이트(30)가 결합된 후, 모듈지지용 커버(41)와 전면 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물 등이 유입되어서는 아니되므로 모듈지지용 커버(41)와 전면 플레이트(30) 사이에는 별도의 고무 패킹 등이 더 마련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configuratio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module support cover 41 on the back of the front plate 30 can be simply implemented by a hook combination and a bolt combination. Of course, after the module support cover 41 and the front plate 30 are coupled, foreign matter or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module support cover 41 and the front plate 30, so that the module support It may be advantageous that a separate rubber packing or the lik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ver 41 and the front plate 30.

모듈지지용 커버(41) 하부, 다시 말해 리더기본체(10)의 하부 영역에는 그 일단이 전면 플레이트(30)와 모듈지지용 커버(41)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포켓부(60)의 하부에 결합되어 리더기본체(10)의 하부를 형성하는 연결부(5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50)는 RFID 판독부(40)와 포켓부(60)를 연결하여 RFID 판독부(40)와 포켓부(60)를 지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50)는 아크(arc)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굳이 연결부(50)가 아크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연결부(50)는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One end thereof is coupled between the front plate 30 and the module support cover 4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support cover 41, that is, the lower region of the leader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lower portion of the pocket part 60.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50 coupled to form the lower portion of the leader main body (10). The connection unit 50 also serves to support the RFID reader 40 and the pocket 60 by connecting the RFID reader 40 and the pocket 60.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 50 has an arc shape.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connection part 50 has an arc shape.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connection part 50 may be excluded in configuration.

연결부(50)에는 연결고리(51)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더기본체(10)의 상부 플레이트(20)의 전면에도 연결고리(52, 도 2, 도 7 및 도 8 참조)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들 연결고리(51,52)는 본 RFID 리더기를 일정한 곳에 매달아 두거나 혹은 목걸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 때에 목걸이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활용 된다. 물론, 연결고리(51,52) 역시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고, 또한 전술한 부분 외의 다른 곳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51 is further formed with a connecting ring 51. In addition, a connection ring 52 (see FIGS. 2, 7 and 8)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of the leader main body 10. These linkages (51, 52) is used as a part to which the necklace is fixed when the RFID reader is hung on a certain place or hanged around the neck of the user using a necklace. Of course, the connecting rings (51, 52) may also be excluded in configuration, or may be provided i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part.

포켓부(60)는 PDA(1)가 결합되는 장소이다. 따라서 포켓부(60)에는 PDA(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PDA(1)를 견고하게 로킹시키거나 로킹해제시키는 각종 구성이 갖춰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다.The pocket part 60 is a place where the PDA 1 is coupled. Therefore, the pocket part 60 i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which firmly lock or unlock the PDA 1, so that the PDA 1 may not be easily detach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포켓부(60)는 리더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켓부(60)는 리더기본체(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20)에는 복수의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고, 포켓부(60)에는 체결공(21)을 통과한 볼트(B, 도 13 참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보스(6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부 플레이트(20)의 체결공(21)들과 포켓부(60)의 체결보스(61)들을 상호 연통시킨 상태에서 체결공(21)들을 통해 볼트(B)를 삽입한 후 체결보스(61)에 체결함으로써 포켓부(60)는 상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포켓부(60)가 상부 플레이트(20)에 고정되기 전에 이들 간에 유격이 발생해서는 아니되므로 포켓부(60)와 상부 플레이트(20) 사이에는 개스킷(55, 도 12a 및 도 12b 참조)이 더 개재된다.The pocket part 6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ader main body 10. In more detail, the pocket part 60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20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leader main body 10. To this e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1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20, and a plurality of bolts B (see FIG. 13)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 ar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pocket part 60. The fastening boss 61 is formed. Accordingly, the bolts B are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1 in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holes 21 of the upper plate 20 and the fastening bosses 61 of the pocket part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fastening bosses By fastening to 61, the pocket part 60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Of course, there is no play between them before the pocket portion 60 is fixed to the top plate 20, so that a gasket 55 (see FIGS. 12A and 12B) is formed between the pocket portion 60 and the top plate 20. More intervening.

개스킷(55)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의 공간을 기밀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 공간에 대한 방수 기능을 담당한다.First, the gasket 55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gasket 55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20 and the pocket part 60 to allow the upper plate 20 and the pocket part ( 60) keeps the space between them confidential. In other words, the gasket 55 is responsible for waterproofing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 20 and the pocket portion 60.

이를 위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의 외곽을 포함하여,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가 상호 맞닿아 결합되는 영역 전반에 걸쳐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이를 세분하여 설명하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의 외곽에 배치되는 외곽부분(55a)과, 후술할 로커결합부(28)의 외곽에 배치되는 단위외곽부분(55b)과, 전술한 체결공(21) 및 체결보스(61)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부분(55c)과,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가 맞닿는 기타의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부분(55d)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gasket 55 is formed integrally over the region where the upper plate 20 and the pocket portion 60 abut each other, including the ou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0 and the pocket portion 60. .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asket 55 includes an outer portion 55a disposed at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late 20 and the pocket portion 60, and a unit outer portion disposed at the outer side of the rocker coupling portion 28 to be described later. 55b,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55c disposed in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hole 21 and fastening boss 61 region, and other regions in which the upper plate 20 and the pocket portion 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ummy part 55d is included.

이러한 개스킷(55)의 일면, 다시 말해 포켓부(60)의 저면에 닿는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된 반면, 상부 플레이트(20)에 닿는 부분에는 상부 플레이트(20)의 각부에 형성된 그루브(22, 도 7 및 도 8)에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돌기리브(55e)가 더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22)는 상부 플레이트(20)의 외곽 부분을 비롯하여 각 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리브(55e) 역시 개스킷(55)을 이루는 외곽부분(55a), 단위외곽부분(55b), 다수의 결합부분(55c) 및 더미부분(55d)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스킷(55)을 이루는 외곽부분(55a), 단위외곽부분(55b), 다수의 결합부분(55c), 더미부분(55d) 및 돌기리브(55e)는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단일 재료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이 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gasket 55, that is, a portion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part 60 is formed flat, while the portion that contacts the upper plate 20 has grooves 22 formed in each of the upper plate 20. And a projection rib 55e fit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FIG. 8). Since the grooves 22 are formed in each part, including the outer part of the upper plate 20, the protrusion ribs 55e also include the outer part 55a, the unit outer part 55b, and the plurality of parts forming the gasket 55.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both the engaging portion 55c and the dummy portion 55d. Meanwhile, the outer portion 55a, the unit outer portion 55b, 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55c, the dummy portion 55d, and the protrusion rib 55e constituting the gasket 55 are integrally manufactured by a single material. desirable. The single material at this time may be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한편, PDA(1)가 결합되기 위해, 포켓부(60)는 일측면과 상면이 개구된 개략적인 박스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PDA(1)는 포켓부(6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PDA(1)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포켓부(60)의 후벽에는 PDA(1)에 형성된 단자부(미도시, 데이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63, 도 6 및 도 14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PDA 1 to be coupled, the pocket part 60 takes the form of a rough box with one side and an upper surface opened. Therefore, the PDA 1 can be mounted while being partially received in the pocket 60. On the rear wall of the pocket portion 6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DA 1 is inserted,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63 (see FIGS. 6 and 14)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portion (not shown, data terminal portion) formed in the PDA 1 is provided. It is prepared.

도 14를 먼저 참조하여 접속단자부(63)에 대해 살펴보면, 접속단자부(63)는 PDA(1)에 형성된 단자부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보조 PCB(44)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포그핀(64)과, 보조 PCB(44) 상에서 다수의 포그핀(64)을 일체로 지지하는 핀지지블록(65)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6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6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g pins 64 coupled to the auxiliary PCB 44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terminal unit formed in the PDA 1. A pin support block 65 integrally supports a plurality of fog pins 64 on the auxiliary PCB 44.

포그핀(64) 각각은, 일단은 보조 PCB(44)에 결합되고 타단은 노출공(64a)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핀수용부(64b)와, 핀수용부(64b)의 노출공(64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핀수용부(64b)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핀(64c)과, 핀(64c)의 하단면과 보조 PCB(44) 사이의 핀수용부(64b) 내에 마련되어 핀(64c)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핀(64c)을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64d)를 구비한다. 탄성부재(64d)와 접촉하는 핀(64c)의 하단 영역은 핀(64c)이 핀수용부(64b)의 노출공(64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핀(64c)의 상단 영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이러한 핀(64c)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핀수용부(64b)의 내경은 핀(64c)의 하단부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며 핀수용부(64b)의 노출공(64a)의 내경은 핀(64c)의 상단부의 외경과 거의 일치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핀(64c)은 탄성부재(64d)의 탄성력에 의해 노출공(64a) 방향으로 밀리되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해 핀(64c)들과 PDA(1)에 형성된 단자부들이 서로 강하게 접속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현상이 저지될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fog pins 64 has a hollow pin receiving portion 64b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auxiliary PCB 44 and the other end having an exposed hole 64a formed therein, and the exposed hole 64a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64b. Pin 64c partially accommodated in pin receiving portion 64b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in, and provided in pin receiving portion 64b between bottom surface of pin 64c and auxiliary PCB 44. )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64d) for elastically biasing the pin (64c) in the exposed direction. The lower region of the pin 64c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64d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region of the pin 64c so that the pin 64c is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exposed hole 64a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64b.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in 64c, the inner diameter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64b is almost identic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pin 64c,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exposed hole 64a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64b is the pin. It almost coincides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64c. Thereby, each pin 64c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exposure hole 64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4d, but is not separated. As a result, since the pins 64c and the terminal portions formed on the PDA 1 are strongly connected to each other, an electrical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접속단자부(63)가 결합되어 있는 보조 PCB(4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부(44b)가 더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 단자부(44b)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에 마련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다만, 평상 시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 단자부(44b)가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면, 이물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As shown in FIG. 6, the power supply terminal unit 44a and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unit 44b are further coupled to the auxiliary PCB 44 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63 is coupled. At this time, each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44a and the USB terminal portion 44b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23a and 23b provided in the upper plate 20, as shown in FIG. have. However, if the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44a and the USB terminal portion 44b are normally expo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23a and 23b, they may be contaminated by foreign materials.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25a)를 축심으로 회동하면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20)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단자개폐커버(25)가 더 마련되어 있다. 도 13의 경우, 단자개폐커버(25)가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서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힌지부(25a)를 축심으로 단자개폐커버(25)를 회동시키면, 단자개폐커버(25)가 개방되면서 상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을 통해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 단자부(44b)가 노출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13, the hinge portion 25a formed at one side is pivotally rot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23a and 23b are formed. A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25 is furth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on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23a and 23b are formed. In the case of FIG. 13, the terminal opening / closing cover 25 is clos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20. However, when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25 is rotated around the hinge portion 25a,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25 is opened to op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23a and 23b formed in the upper plate 20. The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44a and the USB terminal portion 44b are exposed.

이 때, 단자개폐커버(25)가 쉽게 회동해서는 아니되므로, 단자개폐커버(25)가 위치한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는 단자개폐커버(25)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노브(26)가 더 마련되어 있다. 구속노브(26)는 해당 위치에서 볼트와 같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단부(26a)를 통해 단자개폐커버(25)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25 is not easily rotated, the restraint knob 26 selectively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25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20 where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25 is located. There is more. The restraint knob 26 selectively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opening / closing cover 25 through the protruding end portion 26a formed at one side thereof while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s a bolt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다시 도 4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RFID 리더기에는 RFID 리더기를 용이하 게 들고 다니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파지부(35)가 마련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35)는 RFID 판독부(40)의 후방에서 리더기본체(10)와 결합되어 리더기본체(10)를 지지하며, 일측에 RFID 모듈(4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38)이 결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파지부(35)의 내부에는 RFID 모듈(42)로 전원을 인가하는 교체형 배터리(36)가 더 구비되어 있다. 교체형 배터리(36)의 교환을 위해, 파지부(35) 역시 앞서 기술한 RFID 판독부(4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후방커버(미도시)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4 again, the RFID read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grip unit 35 so as to easily carry and work with the RFID reader. As described above, the gripper 35 is coupled to the reader main body 10 at the rear of the RFID reader 40 to support the reader main body 10,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RFID module 42 at one side. The switching unit 38 for turning on / off is coupled. In addition, a replaceable battery 36 for supplying power to the RFID module 42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gripping part 35. In order to replace the replaceable battery 36, the grip portion 35 also has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by a separate rear cover (not shown), like the RFID reader 40 described above.

스위칭유닛(38)은, 사용자가 파지부(35)를 파지할 경우,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위칭유닛(38)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35)의 일측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고, 일측의 피봇축(38a)을 축심으로 회동하는 가압하는 가압버튼부(38b)와, 가압버튼부(38b)의 회동 동작에 기초하여 RFID 모듈(42)을 동작시키는 모듈동작부(38c)와, 가압버튼부(38b)에 결합되어 가압버튼부(38b)의 동작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8d)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부(35)를 전체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어느 한 손가락으로 가압버튼부(38b)를 가압하면 피봇축(38a)을 기초로 가압버튼부(38b)가 회동하면서 모듈동작부(38c)를 동작시켜 RFID 모듈(42)이 동작되며, 가압했던 가압버튼부(38b)를 놓으면 복귀스프링(38d)에 의해 가압버튼부(38b)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The switching unit 38 is disposed at the front side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ing portion 35. As shown schematically in FIG. 4, the switching unit 38 is provided to be exposed from one side of the gripping part 35, and presses the pressing button part to press the pivot shaft 38a on one side to pivot. 38b), the module operating portion 38c for operating the RFID module 42 based on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and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to be coupled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And a return spring 38d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with one finger while holding the gripping portion 35 as a whole, the pressing portion 38b is rotated based on the pivot shaft 38a and the module operating portion ( The RFID module 42 is operated by operating 38c, and when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is released,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38d.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리더기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포켓부(60)는 PDA(1)가 결합되는 장소이다. 따라서 포켓부(60)에는 PDA(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PDA(1)를 견고하게 로킹시키거나 로킹해제시키는 각종 구성이 갖춰져 있다. 이에 대해 도 3,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ocket portion 6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der main body 10 is a place where the PDA (1) is coupled. Therefore, the pocket part 60 i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which firmly lock or unlock the PDA 1, so that the PDA 1 may not be easily detach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to 11.

PDA(1)가 포켓부(60) 내에서 견고하게 결합되거나 혹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에는 포켓부(60)에 장착되는 PDA(1)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부(70, 도 7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The top plate 20 and the pocket portion 60 may optionally have a PDA 1 mounted to the pocket portion 60 so that the PDA 1 can be firmly coupled or easily detached within the pocket portion 60. A locking portion 70 (see FIG. 7) for locking and unlocking is provided.

로킹부(70)는, 포켓부(6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로킹슬롯(72, 도 6 참조)과,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로킹슬롯(72)을 통과하여 포켓부(6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커(74, 도 8, 도 9 및 도 11 참조)를 포함한다.The locking portion 70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locking slots 72 (see FIG. 6)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60 and the upper plate 20 so as to be rotat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upper plate ( 20 is exposed to the underside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rocker (74, Figs. 8, 9 and 11) through the locking slot 72 expos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pocket portion (60).

로킹슬롯(72)은 포켓부(60)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로킹슬롯(72)은 포켓부(60)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locking slot 72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6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slots 72 are provided in pair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part 60.

로커(74)는 상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형성된 로커결합부(28) 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로커(74)는,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부(75)와, 몸체부(75)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부 플레이트(20)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20a)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로커(74)를 동작시키는 가압버튼부(76)와, 몸체부(75)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한 쌍의 로킹슬롯(72)을 통해 노출되어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 도 3 및 도 11 참조)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후크부(77)와, 가압버튼부(76)에 형성되어 로커(74)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 전축부(78)를 구비한다.The rocker 74 is coupled to the rocker coupling portion 28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The rocker 74, the body portion 75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20 and the pocket portion 60, and extends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75, the end of the upper plate 20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20a) forme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to operate the rocker 74, and extends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5 and the end is A pair of hook hooks 77 which are exposed through a pair of locking slots 72 and are selectively locked to and released from the catching jaw 1a (see FIGS. 3 and 1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DA 1; And a rotation shaft portion 78 formed on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to form a rotation axis of the rocker 74.

몸체부(75)는 가압버튼부(76)와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를 일체로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대략 부분적으로 각진 반달 형상을 이룬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ody portion 75 is a portion that integrally supports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and the pair of hooking hook portions 77 to form an approximately partially angled half moon shap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가압버튼부(76)는 실질적으로 로커(74)를 구동시키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는 가압버튼부(76)를 가압함으로써 PDA(1)를 포켓부(6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버튼부(76)는, 가압버튼부(76)를 상부 플레이트(20)의 판면 방향으로 가압할 때 한 쌍의 걸림후크부(77)가 한 쌍의 로킹슬롯(72)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아크(arc)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가압버튼부(76)의 노출 판면에는 미끄럼방지턱(76a)이 더 형성되어 있다.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is a portion that substantially drives the rocker 74. That is, the user can separate the PDA 1 from the pocket portion 60 by pressing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is a pair of locking hooks 77 are rotated in the pair of locking slots 72 when pressing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in the plat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0. It has an arc shape. The non-slip jaw 76a is further formed on the exposed plate surface of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몸체부(75)의 양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상부 플레이트(20)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20a)을 통과하여 포켓부(60) 내로 돌출되면서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 도 3 및 도 11 참조)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한 쌍의 걸림후크부(77)의 단부에는 PDA(1)가 포켓부(60)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77a)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77a)으로 인해 PDA(1)는 포켓부(60)에 쉽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The pair of hook hooks 77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75.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hook hooks 77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20a forme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to protrude into the pockets 60 and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DA 1. (1a, FIG. 3 and FIG. 11) is a component that is selectively engaged and released. At the ends of the pair of hook hooks 77, an inclined surface 77a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DA 1 is mounted on the pocket 60 is further formed. The inclined surface 77a allows the PDA 1 to be easily mounted in the pocket part 60.

회전축부(78)는 가압버튼부(76)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축부(78)는 로커결합부(28) 내에 형성된 축수용부(28a) 내에 수용 지지된 후, 별도의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되어 로커(74)의 회전축심을 형성 한다.The rotary shaft portion 78 protrudes in opposite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The rotary shaft portion 78 is accommodated in the shaft receiving portion 28a formed in the rocker coupling portion 28, and then fixed by a separate bolt (not shown) or the like to form the rotary shaft core of the rocker 74.

로커(74)의 몸체부(75)와 로커결합부(28) 사이에는, 가압버튼부(76)의 가압 해제 시에 로커(7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79)가 더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재(79)는 그 양단이 로커결합부(28)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부(28b)와 로커(74)의 몸체부(75)의 밑면에 형성된 홈부(75a)에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장착된다.Between the body portion 75 and the rocker engaging portion 28 of the rocker 74, an elastic member 79 that elastically biases in a direction to return the rocker 74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button 76 is released. Is further provided.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79 ar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28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cker coupling portion 28 and the groove portion 75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5 of the rocker 74, respectively. do.

이에, PDA(1)가 포켓부(60)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 방향으로 가압버튼부(76)를 가압하면, 가압된 힘에 의해 로커(74)는 회전축부(78)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한다(실선에서 이점쇄선 방향). 로커(74)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으로부터 걸림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가압버튼부(76)를 놓으면, 탄성부재(79)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커(74)는 원상태로 복귀된다(이점쇄선에서 실선 방향).Thus, when the PDA 1 is mounted in the pocket portion 60, as shown in FIG. 11,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in the A direction, the rocker 74 is pressed by the pressed force. ) Rotates in one direction with the rotational shaft portion 78 as the axis (from the solid line to the double-dotted line). By the rotation of the rocker 74, the pair of hook hooks 77 can be released from the latching jaw 1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DA 1. Thereafter, when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is released, the rocker 7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9 (in the dashed line in the solid line direction).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버튼을 누르는 단순한 방법만으로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으로부터 걸림해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RFID 리더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혹은 임의로 가압버튼이 눌려서는 아니된다. 만약에 임의로 가압버튼이 눌려진다면, 포켓부(60)로부터 PDA(1)가 분리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스토퍼(80)가 더 구비된다.As such, the pair of hook hooks 77 may be released from the hooking jaw 1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DA 1 by a simple method of pressing the press button. However, the pressing button should not be pressed accidentally or arbitrarily in the process of using the RFID reader. If the pressing button is arbitrarily press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DA 1 is separated from the pocket portion 60. The stopper 80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is.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0)는, 로커(74)에 인접한 상부 플레이트(20)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로커(74)의 동작을 선 택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S. 8, 10, and 11, the stopper 80 is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20 adjacent to the rocker 74 in one direction to selectively restrain the operation of the rocker 74. It plays a role.

이러한 스토퍼(80)는, 상부 플레이트(20)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커(74)의 몸체부(75) 밑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로커(74)의 동작을 구속하는 스토퍼몸체(81)와, 스토퍼몸체(8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 형성된 관통공(20b)을 통해 노출되어 스토퍼몸체(81)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로드(82)를 포함한다.The stopper 80 is a stopper body 81 which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75 of the rocker 74 to move in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0, restr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cker 74, And a stopper rod 8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topper body 81 and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0b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to operate the stopper body 81.

이 때, 스토퍼몸체(81)에는 로커(74)의 몸체부(75)에 형성된 단턱부(75b)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돌기부(81a)가 더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돌기부(81a)가 단턱부(75b)에 배치됨으로써 로커(74)의 동작이 구속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0)가 B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81a)가 단턱부(75b)에 배치되면 로커(74)의 동작이 구속되고, 스토퍼(80)가 이점쇄선으로 동작되어 돌기부(81a)가 단턱부(75b)에서 이탈되면 로커(74)는 동작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topper body 81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81a that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stepped portion 75b formed on the body portion 75 of the rocker 74. Substantially, the protrusion 81a is disposed on the stepped portion 75b to constrain the operation of the rocker 7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topper 80 moves in the B direction, as shown by the solid line, when the protrusion 81a is disposed on the stepped portion 75b, the operation of the rocker 74 is stopped. When the stopper 80 is operated by a double-dashed line and the protrusion 81a is separated from the stepped portion 75b, the rocker 74 can be operated.

한편, 전술한 로킹부(70)의 구성만으로도 포켓부(60) 내에 PDA(1)를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포켓부(60)에 장착된 PDA(1)의 결합력이 다소 약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70 described above is sufficient to lock and unlock the PDA 1 in the pocket portion 60. However, in some cases, the coupling force of the PDA 1 mounted in the pocket part 60 may be somewhat weak.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성돌기부(90, 도 5 참조)가 더 구비된다. 탄성돌기부(90)는, 포켓부(60)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 도 3 참조)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된다. 결국, 탄성돌기부(90)는 로킹부(70)와 더불어 포켓부(60) 내에 PDA(1)를 지지하는 수단인 셈이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n elastic protrusion 90 is further provided. The elastic protrusion 90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60 and elastically locked to and released from the groove 1b (see FIG. 3)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DA 1. As a result, the elastic protrusion 90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PDA 1 in the pocket 60 together with the locking portion 70.

탄성돌기부(90)는, 포켓부(60)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돌기지지판(91)과, 일측변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부분이 돌기지지판(91)으로부터 절취되도록 돌기지지판(91)에 형성되고, 돌기지지판(91)에서 PDA(1)가 포켓부(60)에 장착되는 방향에 가로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판스프링형 절취부(92)와, 판스프링형 절취부(92)에서 포켓부(6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돌기(93)를 구비한다.The elastic protrusion 90 is formed on the protrusion supporting plate 91 such that the protrusion supporting plate 91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60 and the outer portion except for one side are cut off from the protrusion supporting plate 91. In the projection supporting plate 91, the plate spring cutout 92 and the plate spring cutout 92 which are elastically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DA 1 is mounted on the pocket 60 are provided.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rotrusion 93 is provided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60 selectively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1b) formed on the side of the PDA (1).

이러한 탄성돌기부(90)는 대면하는 포켓부(60)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장착홈(60a) 내에 각각 하나씩 끼워진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탄성돌기부(90)가 포켓부(60)의 내벽면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도 좋다.The elastic protrusions 90 are inserted into the protrusions mounting grooves 60a respectively formed on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pocket portion 60 facing each other. Of course,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astic protrusion 9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60.

이에, PDA(1)를 포켓부(60) 내에 장착하면, PDA(1)에 형성된 걸림턱(1a)이 로커(74)의 걸림후크부(77)에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에 탄성돌기(93)가 끼워지게 된다. 즉, PDA(1)가 포켓부(60) 내에 삽입될 때는 돌기지지판(91)에 대해 판스프링형 절취부(92)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홈부(1b)가 탄성돌기(93) 영역에 다다르면 돌기지지판(91)에 대해 판스프링형 절취부(92)가 다시 원상태로 튀어 나오게 됨으로써 탄성돌기(93)는 홈부(1b)에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when the PDA 1 is mounted in the pocket portion 60, the locking jaw 1a formed on the PDA 1 is caught by the locking hook portion 77 of the rocker 74, and at the same time, the PDA 1 The elastic protrusions 93 are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s 1b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reof. That is, when the PDA 1 is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60, the leaf spring cutout portion 92 is push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support plate 91, and the groove portion 1b is placed in the elastic protrusion 93 region. When the plate spring-shaped cutout portion 92 is projected to the original state again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support plate 91 will be able to be coupled to the groove (1b).

이러한 구성을 갖는 RFID 리더기의 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ly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RFID read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우선, PDA(1)를 포켓부(60) 내에 장착하기 위해 포켓부(60) 내에 PDA(1)를 부분적으로 수용시키면서 밀어 넣는다. 그러면, 회전축부(78)를 축심으로 하여 로커(74)가 일방향으로 밀린 후에 최종적으로 한 쌍의 걸림후크부(77)가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돌기지지판(91)에 대해 후방으로 밀린 판스프링형 절취부(92)가 다시 전방으로 튀어 나오면서 탄성돌기(93)는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First, in order to mount the PDA 1 into the pocket portion 60, the PDA 1 is partially pushed into the pocket portion 60 while being accommodated therein. Then, after the rocker 74 is pushed in one direction with the axis of rotation 78 as the axis, the pair of hook hooks 77 finally catches the hooking jaw 1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DA 1. At the same time, the leaf spring-shaped cutout portion 92 push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support plate 91 protrudes forward again, so that the elastic protrusion 93 can be coupled to the groove portion 1b formed on the side of the PDA 1. do.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지부(35)를 파지한 후,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 도 4 참조)에 인접하게 RFID 판독부(40)를 배치한다. 그리고는 어느 한 손가락으로 스위칭유닛(38)의 가압버튼부(38b)를 가압한다. 그러면 피봇축(38a)을 기초로 가압버튼부(38b)가 회동하면서 모듈동작부(38c)를 동작시켜 RFID 모듈(42)이 동작되어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 내의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된 결과는 메인 PCB(43)를 통해 보조 PCB(44)로 전송된 후, 접속단자부(63)를 통해 PDA(1)의 화면으로 출력되면서 저장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관리 시스템을 수행하면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grasps the holding part 35 and then arranges the RFID reading part 40 adjacent to the RFID tag (see FIG. 4) to be read. Then, pressing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of the switching unit 38 with one finger. Then, the pressing button portion 38b is rotated based on the pivot shaft 38a to operate the module operation portion 38c to operate the RFID module 42 to read information in the RFID tag to be read. The read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PCB 44 through the main PCB 43, and then output to the screen of the PDA 1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63 and stored therein.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various management systems can be implemented.

사용이 완료되면, PDA(1)를 분리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으로 가압버튼부(76)를 가압한다. 그러면, 가압된 힘에 의해 로커(74)는 회전축부(78)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한다(실선에서 이점쇄선 방향). 로커(74)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으로부터 걸림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켓부(60)로부터 PDA(1)를 뽑으면 된다. 이후, 가압했던 가압버튼부(76)를 놓으면, 탄성부재(79)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커(74)는 원상태로 복귀된다(이점쇄선에서 실선 방향).When the use is complete, as shown in FIG. 11 to separate the PDA 1, the pressing button portion 76 is pressed in the A direction. Then, the rocker 74 rotates in one direction with the rotation shaft 78 as an axis by the pressurized force (solid line to double chain lin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cker 74, the pair of hook hooks 77 can be released from the latching jaw 1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DA 1. In this state, the PDA 1 may be removed from the pocket part 60. Subsequently, when the pressurizing button portion 76 that has been pressed is released, the rocker 74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9 (in the dashed line in the solid line direc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PDA(1, 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며, 휴대가 가능하고 동작이 간편할 수 있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다양한 관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1 may be mounted and used, as well as having an efficient structure, being portable and simple in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management systems anytime and anywhere more eff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며, 휴대가 가능하고 동작이 간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n be mounted and used, as well as having an efficient structure, being portable and easy to operate.

Claims (33)

리더기본체;Leader primitives; 상기 리더기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며,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RFID 판독부;An RFID reader configured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reader main body and mounted adjacent to an RFID tag to be read and equipped with an RFID module configured to read information in the RFID tag; 상기 리더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RFID 모듈과 상호작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접속단자부가 내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포켓부;A pocke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ader main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a terminal portion formed on a mobile terminal interacting with the RFID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thereof; 상기 RFID 판독부의 후방에서 상기 리더기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리더기본체를 지지하며, 일측에 상기 RFID 모듈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이 결합되어 있는 파지부; 및A holding part coupled to the reader main body at the rear of the RFID reader to support the reader main body, and having a switching unit coupled to one side to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RFID module; And 상기 스위칭유닛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RFID 모듈에서 판독된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in the RFID tag read from the RFID module to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더기본체는,The reader basic body, 상기 포켓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영역에서 상기 파지부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An upper plate to which the pocket part is detachably coupled and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part is coupled in one region; And 상기 RFID 판독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front plate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RFID read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는 부분적으로 절곡된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top plate has a substantially flat planar shape, and the front plate has a partially curved curved shap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상기 RFID 모듈을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듈지지용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rear side of the front plate, the RFID reader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e suppor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support the RFID modu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일단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모듈지지용 커버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포켓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더기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One end is coupl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module support cove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cke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reader base body,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RFID read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연결부는 아크(arc)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connection part has an arc sha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켓부 내에는 상기 접속단자부가 결합되는 보조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상기 보조 PC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결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마련되어 있고,An auxiliary printed circuit board (PCB) 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is coupled and a connected printed circuit board (PCB)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PCB are provided in the pocket part. 상기 RFID 모듈에는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마련되어 있으며,The RFID module is provided with a main PCB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메인 PCB, 상기 연결 PCB 및 상기 보조 PCB는 각각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main PCB, the connection PCB and the auxiliary PCB are each electrically connected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접속단자부는,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보조 PCB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포그핀; 및A plurality of fog pins coupled to the auxiliary PCB so as to correspond to terminal portions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보조 PCB 상에서 상기 다수의 포그핀을 일체로 지지하는 핀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pin support block integral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og pins on the auxiliary PCB.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복수의 포그핀 각각은,Each of the plurality of fog pins, 일단은 상기 보조 PCB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 PCB의 판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노출단에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핀수용부;One end is coupled to the auxiliary PCB and the other end is project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plate surface of the auxiliary PCB, the pin receiving portion is exposed hole is formed in the exposed end; 일단이 상기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핀수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핀;A pin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in accommodation portion such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상기 핀수용부 내에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보조 PCB와 상기 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핀을 상기 핀수용부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pin receiving part and disposed at both ends between the auxiliary PCB and the pin to elastically bias the pin in a direction exposed from the pin receiving part; And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핀이 상기 노출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노출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탈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release stopper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pin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and formed to be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exposed hole so that the pin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xposed hol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조 PCB에는 전원공급용 단자부와,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부가 더 결합되어 있으며,The auxiliary PCB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and a USB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portion, 상기 전원공급용 단자부와 상기 USB 단자부는 각각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을 통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and the USB terminal portion are exposed through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provided in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이 형성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에는, 일측 에 형성된 힌지부를 축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이 형성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단자개폐커버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a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surface of the upper pl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formed while pivoting the hin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RFID reader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자개폐커버가 위치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에는 상기 단자개폐커버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노브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restraint knob for selectively restraining rotation of the terminal open / close cover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 which the terminal open / close cover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칭유닛은,The switching unit, 상기 파지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고, 일측의 피봇축을 축심으로 회동하는 가압하는 가압버튼부;A pressing button part provided to be exposed from one side of the gripping part and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pivot shaft on one side by an axis; 상기 가압버튼부의 회동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RFID 모듈을 동작시키는 모듈동작부; 및A module operating unit which operates the RFID module based on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unit; And 상기 가압버튼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버튼부의 동작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return spring coupled to the pressing button portion to return the pressing button por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지부 내에는 상기 RFID 모듈로 전원을 인가하는 교체형 배터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replac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RFID module in the gripp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더기본체와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연결고리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t least one side of the reader main body and the gripp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n RFID read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에 마련되어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to selectively lock and unlock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pocket part.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로킹부는,The locking unit,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슬롯; 및At least one locking slo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part; And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로킹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mobi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so as to be rotat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locking slot and includes a rocker exposed to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portion Mountable RFID Reader.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로킹슬롯은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locking slots are provided in pai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cket part.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로커는,The locker is,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부;A body portion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ortion;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로커를 동작시키는 가압버튼부;A pressure butt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exposed to an underside of the upper plat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a plat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operate the rocker; 상기 몸체부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후크부; 및A pair of hook hook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end portions exposed through the pair of locking slots to selectively catch and release the hook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압버튼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RFID reader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shaft portion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pressing button portion to form a rotation axis of the rocker.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로커결합부 내에 결합되어 있으며,The rocker is coupled in the rocker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커결합부 내에 형성된 축수용부 내에 수용 지지되어 있으며,The rotating shaft portion is protrude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button portion is supported in the shaft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rocker coupling portion, 상기 로커의 몸체부와 상기 로커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가압 해제 시에 상기 로커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Between the body portion of the rocker and the rocker coupling portion, the RFID reader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o elastically bias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he locker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release button release pressure .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가압버튼부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버튼부는 아크(arc)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pressing button portion has an arc shape so that the pair of locking hook portions can be rotated in the pair of locking slots when the pressing button portion is pressed in the plat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RFID reader can be mounted.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가압버튼부의 노출 판면에는 미끄럼방지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RFID reader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jaw is further formed on the exposed plate surface of the pressing button.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의 단부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 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cket portion at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hook hook portions.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로커에 인접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stopper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adjacent to the rocker in one direction to selectively restrain the operation of the rocker.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스토퍼는,The stopper is,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커의 몸체부 밑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구속하는 스토퍼몸체; 및A stopper body selectively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of the rocker while moving in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to constrain the operation of the rocker; And 상기 스토퍼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스토퍼몸체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stopper rod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topper body to b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operate the stopper body.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스토퍼몸체에는 상기 로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stopper body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RFID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selectively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rocker.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탄성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RFID read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protrusion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pocket and elastically locked to and released from a groove formed on a side of the mobile terminal.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탄성돌기부는,The elastic protrusions,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돌기지지판;A projection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part; 일측변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부분이 상기 돌기지지판으로부터 절취되도록 상기 돌기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지지판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에 가로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판스프링형 절취부; 및A leaf spring-shaped cutout portion formed on the protrusion support plate so as to cut away from one side of the protrusion support plate and elastically mov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cket portion in the protrusion support plate; And 상기 판스프링형 절취부에서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resilient protrus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eaf spring-shaped cutou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and selectively fit into a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탄성돌기부는 대면하는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elastic protrusion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facing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의 공간을 기밀 유지시키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pocket part to keep the spa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pocket part airtight.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개스킷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의 외곽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가 상호 맞닿아 결합되는 영역 전반에 걸쳐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And the gasket includes an ou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and is integrally manufactured over an area in which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개스킷은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의 해당 위치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돌기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gasket has at least one side of the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RFID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pocke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산업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The mobile terminal is an RFID reader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stri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20060129091A 2006-12-18 2006-12-18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100851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91A KR100851363B1 (en) 2006-12-18 2006-12-18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EP07860638.1A EP2100262B1 (en) 2006-12-18 2007-12-17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US12/519,636 US20090312053A1 (en) 2006-12-18 2007-12-17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PCT/KR2007/006600 WO2008075868A1 (en) 2006-12-18 2007-12-17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91A KR100851363B1 (en) 2006-12-18 2006-12-18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28A true KR20080056328A (en) 2008-06-23
KR100851363B1 KR100851363B1 (en) 2008-08-11

Family

ID=3980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091A KR100851363B1 (en) 2006-12-18 2006-12-18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36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049A (en) * 2014-01-21 2015-07-29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typ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combin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WO2015111910A1 (en) 2014-01-21 2015-07-30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Mobile rfid reader
KR20200128818A (en) * 2019-05-07 2020-11-17 (주)블루버드 Wearable device for information reading
KR20200128819A (en) * 2019-05-07 2020-11-17 (주)블루버드 Wearable battery device and wearable system for information reading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287B1 (en) * 2020-10-28 2023-03-02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Antenna replacement RFID read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45189B1 (en) * 1998-08-14 2008-05-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applications
US6708887B1 (en) * 2001-08-18 2004-03-23 Gsl Solutions, Inc. Detachable hand-held computer handle
US6916128B1 (en) 2001-12-07 2005-07-12 Zih Corp. Printer attachable to various models and types of portable devices and terminals for operation therewith
US6999797B2 (en) * 2002-06-11 2006-02-14 Symbol Technologies, Inc. Handle grip for a mobile terminal
KR100683247B1 (en) * 2005-12-27 2007-02-15 주식회사 세니온 Holder including reader module for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049A (en) * 2014-01-21 2015-07-29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typ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combin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WO2015111910A1 (en) 2014-01-21 2015-07-30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Mobile rfid reader
KR20200128818A (en) * 2019-05-07 2020-11-17 (주)블루버드 Wearable device for information reading
KR20200128819A (en) * 2019-05-07 2020-11-17 (주)블루버드 Wearable battery device and wearable system for information reading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363B1 (en) 200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0262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101164098B1 (en) Mobile terminal
EP244511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KR100851363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US7672691B2 (en) SIM/UIM card arrangement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6447140B1 (en) Handheld personal aid
KR100851364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101025794B1 (en) Mobile Terminal
US8011590B2 (en) Assembly consisting of a micro-module and a reproduc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contact-free near-communication means
US6709127B2 (en) Handheld personal aid
KR100801122B1 (en) Mobile terminal
US20080072336A1 (en) Electronic device
JP201316805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567780B2 (en) Data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RF data transmission
KR101052496B1 (en) Mobile Readers
KR101088048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KR101542458B1 (en) Portable Battery Of Mobile Terminal
JP4653420B2 (en) Device accommodation state detection device
TW201528145A (en) Data reading assembly and data delivering system
KR10102579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bar-code reader module
CA2645819C (en) Data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rf data transmission
JP2022153864A (en) RFID switch
JP2001256429A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JP2005149333A (en)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