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569A -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569A
KR20080055569A KR1020070015079A KR20070015079A KR20080055569A KR 20080055569 A KR20080055569 A KR 20080055569A KR 1020070015079 A KR1020070015079 A KR 1020070015079A KR 20070015079 A KR20070015079 A KR 20070015079A KR 20080055569 A KR20080055569 A KR 20080055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using
vibration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성문
Original Assignee
아이필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필유(주) filed Critical 아이필유(주)
Publication of KR2008005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5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3/00Transducers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of magnetisable material directly co-acting with electromagnet
    • H04R13/02Telepho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A multi-functional vibrating microspeaker is provided to contribute to simplification of a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tion in occurrence rate of defective goods by providing a very simple structure in spite of high functionality. A multi-functional vibrating microspeaker includes a housing, an elastic supporting unit(11), a magnet supporting unit(12), a magnet(14), a vibrating coil unit(15), and a coil supporting unit(16). The housing a lateral housing(10a) to cover a lateral surface. The elastic suppor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bridge fixed to prevent eccentricity in the housing. The magnet supporting unit is concentrically joined to the elastic supporting unit by using a central joining member(13) on the elastic supporting unit. The magnet supporting unit supports the magnet in a lower portion thereof. The magnet is attached to the magnet supporting unit and has a size enough to be spaced from the lateral housing. The vibrating coil unit is spac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 The coil supporting unit supports the vibrating coil unit in a lower portion thereof.

Description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Multi-Functional Microspeaker}Multi-Functional Microspeaker

도 1은 종래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예시 단면도.1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ibrating microspeaker.

도 2는 종래 진동모터의 예시 단면도Figure 2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ibration moto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의 조립 단면도.Figure 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 type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numerals>

10 : 하우징 10a : 측부 하우징10 housing 10a side housing

10b : 하부 하우징 10c : 상부 하우징10b: lower housing 10c: upper housing

11 : 탄성지지부 12 : 마그네트 지지부11 elastic support 12 magnet support

13 : 중심결합부재 14 : 마그네트13: center coupling member 14: magnet

15 : 진동코일부 16 : 코일지지부15: vibration coil portion 16: coil support portion

본 발명은 복합 진동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음향 기능을 제외하고, 골전도 기능과 다양한 진동 기능 및 부착스피커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크기를 초소형화한 구조를 갖는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vibrating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scopic composite vibrating microspeak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one conduction function, various vibration functions, and the attachment speaker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have a miniaturized size except for the acoustic function. will be.

최근 마그네트를 이용한 스피커 중, 기존 음향재생부(다이아프레임)를 사용하지 않고, 발생하는 진동을 응용하는 진동 스피커가 등장하고 있는데, 주로 음향을 공기로 전달하지 않고 인체 뼈의 진동을 통해 전달하는 골전도 스피커 기능만 또는 진동을 촉각(피부)로 느끼게 하는 체감음향 스피커 기능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a speaker using a magnet, a vibration speaker that applies the vibration generated without using the existing sound reproducing unit (dia-frame) has appeared, mainly bone bones that transmit the sound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human bone without transmitting the sound to the air It is also used only as a speaker function or as a haptic speaker function that makes vibration feel tactile (skin).

도 1은 종래의 골전도 스피커의 일례로서, 진동모터로서의 기능을 하지 않고 골전도 기능만 구현을 하며, 진동을 하는 진동부코일 또는 마그네트와 연결된 부위가 본체 밖으로 이어져 배치되어 인체의 귀 부분에 접촉을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골전도 스피커는 외부에서 인체 접촉 부분에 압력을 가할 경우 진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않아 음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음향 품질의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같은 이유 때문에 불안정한 진동력을 제공하고 진동코일이 마그네트간이 아닌 마그네트와 요크 사이에 위치하여 약한 자기장이 형성되어 진동력도 떨어진다.1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speaker, which implements only a bone conduction function without functioning as a vibration motor, and a portion connected to a vibration part coil or a magnet that vibrates is placed outside the main body to contact an ear part of a human body It is done in such a way. Such a bone conduction speaker has a problem of sound quality in which sound pressure drops sharply when vibration is not made freely when external body pressure is applied to the human body, and for the same reason, it also provides unstable vibration force and the vibration coil is not a magnet between the magnets. Located between and the yoke, a weak magnetic field is formed, the vibration force is also reduced.

도 2는 종래 진동모터의 일례로서, DC 전류로 중심축을 회전을 시키면서 중심 축이 상하로 흔들리도록 설계가 되어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단순한 진동만 가능하며, 골전도 기능과 부착되는 물질이 음향스피커화 되는 부착스피커 기능 및 음원의 진동이 촉각으로 느껴지는 체감음향 기능은 지원되지 않는다. Figure 2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vibration motor, it is designed to swing the central axis up and down while rotating the central axis by DC current,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is possible only simple vibration, attached to the bone conduction function The attached speaker function, in which the material is acoustically loud, and the haptic sound function in which the vibration of the sound source is tactilely sensed are not supported.

회전형이 아닌 종래의 진동스피커는 하우징 최하위부에 설치한 판형의 코일이 마그네트에 진동력을 전달하나 마그네트와 연결된 좌우 양방향이며 2중으로 된 스프링이 너무 짧고 유연하여 진동을 하우징에 제대로 전달시켜 주지 못해 골전도 기능이 구현되지 않으며, 중심 마그네트, 요크, 스프링, 프레임 등 외경이 커지는 단점이 있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멀티미디어이동통신기기 등에 큰 크기로 인해 적합하지 않은 단점과 부품수가 많아 공정비용 및 원가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vibration speaker that is not rotary type has a plate-shaped coil install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housing to transmit the vibration force to the magnet, but it is bilaterally connected to the magnet and the double spring is too short and flexible, so it cannot transmit vibration to the housing properly. Bone conduction function is not implemented,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enter magnet, yoke, spring, frame, etc. is large, so it is not suitable for small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it is not suitable for many processes and cost.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마그네트를 이용한 진동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진동코일과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며 그러한 진동발생 구조는 여러 구조가 있을 수 있으나, 초소형화된 마이크로스피커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것이고 전혀 다른 구조의 창출을 요한다. Vibration speakers using magnets generally generate vibrations using vibration coils and magnets. Such vibration generating structures may have various structures, but they are not applicable to microminiature speakers and require the creation of completely different structures. .

최근 휴대폰과 같은 슬림형 멀티미디어 이동통신기기 등에 사용되는 기존 스피커는 단순히 벨소리 등으로 음악, 게임음향 등의 음원을 재생할 뿐이나, 음향의 진동을 피부로 느끼는 체감진동, 진동모터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진동을 구현하는 진동콘텐츠, 일반적인 귀(외이/중이)를 통하지 않고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 골전도 기능, 부착된 물질을 진동시켜 스피커화 하는 부착스피커 기능 등은 기존 일반 음향 마이크로스피커에서는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기존 진동모터도 단순 진동에 불과하다. Recently, the existing speakers used in slim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merely play sound sources such as music and game sounds as ringtones, but also realize various vibrations including bodily vibrations and vibration motor functions that feel the vibrations of the skin with the skin. Vibration content, bone conduction function that can recognize soun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eneral ear (earm / middle ear), and attached speaker function that vibrates the attached material to make the speaker are not provided in the existing general acoustic microspeakers. A vibration motor is also just a vibration.

마그네트를 이용한 스피커는 음향부를 제거하더라도 남은 중심 구조를 최대의 진동력과 효율성을 갖도록 재구성한다면 단일 진동 스피커 구조로 골전도 스피커, 부착스피커 및 다양한 진동모드를 갖는 진동 모터의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일체형 복합 진동 스피커의 구현이 가능하다.If the speaker using magnet is reconfigured the remaining center structure to have the maximum vibration force and efficiency even if the acoustic part is removed, it is a single vibration speaker structure that provides all the functions of bone conduction speaker, attachment speaker and vibration motor with various vibration mode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ibrating speaker.

그러나 하나의 진동 스피커 구조에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다 보면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여 휴대폰과 같은 소형 멀티미디어 통신기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며, 크기를 줄일 경우 마그네트, 코일 등의 부품 양산성 저하, 작은 마그네트, 코일 등으로 인한 진동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초소형으로써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조의 개선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However, adding various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o one vibrating speaker structure increases the overall size, which causes problems that cannot be applied to small multimedia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when the size is reduced, parts such as magnets and coils can be mass-produced. Since problems such as degradation of vibration performance due to degradation, small magnets, coils, etc. occur, it is urgent to improve the structure so that various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microminiatures.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일체형 복합 진동 스피커에 있어서, 최근 슬림형 휴대폰에 채택될 수 있는 초소형 크기에서 통화용 스피커로 사용될 수 있는 골전도 스피커 기능 뿐만 아니라 단순 진동모드의 일반 진동모터가 아닌 다양한 진동모드를 갖는 진동모터기능과 부착된 물질에서 음향이 증폭되는 부착스피커 기능, 체감음향 기능이 모두 구현이 되어 휴대폰과 같이 슬림화되고 있는 최근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막대한 원가/공간절감 효과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매우 효용가치가 높은 초소형 복합 진동 스피커의 구조 개선에 대한 독보적인 연구를 진행해 왔다.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ors have various vibration modes other than the general vibration motor of the simple vibration mode as well as the bone conduction speaker function that can be used as a speaker for the call in the ultra-small size that can be adopted in a recent slim mobile phone. The vibration motor function, the attached speaker function that amplifies the sound from the attached material, and the haptic sound function are all implemented, and when applied to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multimedia terminal, which is slimming like a mobile phone, it is very useful for users as well as a huge cost / space saving effect. We have conducted unique research on improving the structure of high value miniature composite vibration speaker.

여기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충분한 진동력과 음향신호 응답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창출이나, 이는 양산성과 관련하여 원가절감이나 제조의 용이성을 함께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서 이 모든 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구조를 창출하는 것은 난제가 아닐 수 없다. The biggest problem here is the creation of a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overall size while ensuring sufficient vibration force and acoustic signal response, but all of these requirements must be pursued together with cost reduction or ease of manufacturing in relation to mass production. Creating the optimal structure to meet is a challenge.

본 발명은 상술한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를 초소형화할 경우에 발생되는 내부구조에 의한 진동력 및 음향 신호 응답성 등의 성능 저하문제를 해결하여 초소형 크기 구조로 본 발명이 의도하는 슬림형 휴대폰 등 소형 이동통신멀티디미어 단말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골전도/부착스피커/진동의 초소형 복합 진동 스피커를 구현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erformance degradation problems such as vibration force and acoustic signal response caused by the internal structure generated when miniaturizing the complex vibration microspeaker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idea of implementing a compact composite vibration speaker of bone conduction / attachment speaker / vibration that can be applied to a multimedia termin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측부 면을 커버하는 하우징; 마그네트 지지부의 하부에서 중심결합을 하고 측부 하우징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브리지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탄성지지부 상에서 중심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와 중심결합하되, 마그네트의 외곽을 제외한 마그네트 중심 부분만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마그네트 지지부; 상기 마그네트 지지부 상에 부착되고 측부 하우징과 이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마그네트에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코일부; 상기 탄성지지부와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고 외연이 측부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코일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코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cover the side surface, including a side housing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An elastic support including at least one elastic bridge which is center-bonded at the bottom of the magnet support and is fixed to prevent eccentricity from the side housing; A magnet support that is centrally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by using a center coupling member on the elastic support, and supports only a magnet center portion except for the outside of the magnet; A magnet attached to the magnet support and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housing; Vibration coil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paced below the magnet to generate a vibration force on the magnet; And a coil support part positioned between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magnet and having an outer edge fixed to the side housing to support the vibration coil part from the bottom thereof.

상기 하우징은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하우징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The housing may optionally have one or more of an upper housing covering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housing covering the lower por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의 분해 사시도로서, 구성요소별 결합관계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type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우징은 적용 대상의 설계상 필요에 따라 사각기둥형,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한 부분으로 하우징의 형상은 내부 구성요소의 형상에도 영향을 미치는바,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내부구성요소 또한 축척을 달리하는 유사한 형상으로 구현하게 된다. The housing is a part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column and a cylinder according to the design needs of the application target. The shape of the housing also affects the shape of the internal components. The internal components are also scal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using. It will be implemented in a similar shape with different.

도 3은 그 중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원통형 관체 형상의 측부 하우징, 원판형인 상부 및 하부 하우징으로 구성된 하우징을 채택하고 내부 구성요소 또한 원형을 기본 형상으로 하고 있다. Fig. 3 shows, a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a housing composed of a cylindrical tubular side housing, a disc shaped upper and lower housing, and the internal components also have a circular base shape.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뿐 하우징 및 내부구성요소의 형상이 이에 국한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only one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mean that the shape of the housing and internal components is limited thereto.

도시된 하우징은 원통형 관체 형상의 측부 하우징, 원판형인 상부 및 하부하우징으로 나눌 수 있고 이들은 일체형일 수도 있으나, 제조공정을 생각한다면 원통형 관체인 측부 하우징, 원판형의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분리되고 측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또는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어 구비된 상태에서 내부 구성요소가 적층된 후 최종적으로 상부 하우징(또는 하부 하우징)을 결합하는 구조가 될 것이다. The illustrated housing can be divided into a cylindrical tubular side housing, a disc shaped upper and lower housing, and they may be integral, but in consider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cylindrical tubular side housing, a disc shaped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are separated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side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or the lower housing) are combined, the internal components will be stacked and finally the upper housing (or the lower housing) will be structured.

이때 스피커 전체의 두께를 더욱 줄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case, when the entire thickness of the speaker needs to be further reduced, one or more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may be selectively omitted.

이하, 원통형이고 전체면을 커버하는 하우징을 채택한 경우의 내부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 불가피하게 상기 원통형의 하우징에 적합한 형상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더라도, 이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그 형상에 국한하고자 함이 아님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Hereinafter, although inevitably referring to a shape suitable for the cylindrical housing in describing the internal components in the case of adopting the cylindrical and covering the whole surface, this is only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nd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gai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scope is not limited to the image.

탄성지지부(11)는 금속의 탄성을 이용하여 진동을 그대로 외부에 전달하면서도 하우징 내부에서 진동폭을 제한할 수 있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인 탄성브리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양단의 일측은 마그네트 지지부의 하부에서 중심결합을 하고 타측은 측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The elastic support 11 includes at least one elastic bridge, which is an elastic body such as a leaf spring that can limit the vibration width inside the housing while still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outside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metal,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magnet support The center is engag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 so that the eccentricity does not occur in the side housing or the lower housing.

이때 상기 탄성브리지가 중심결합 및 하우징에 고정됨에 있어서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간접 부착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elastic bridge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center coupling and the housing, but may be indirectly attached using a separate support member.

도 3의 실시예는 링형의 외연을 지지부재로 하여 측부 하우징에 간접 부착되는 경우이며, 외연에서 중심에 이르도록 형성된 4개의 탄성브리지가 제공되고 각 탄성브리지 양단 중 일측이 중심결합을 위해 중심에 모여있고 타측은 외연을 형성하는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링형의 지지부재가 측부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간접 결합을 예시하고 있다. The embodiment of Figure 3 is a case of being indirectly attached to the side housing with a ring-shaped outer edge as a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four elastic bridges formed from the outer edge to the center and one side of each elastic bridge at the center for the center coupling Gathered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to form an outer edge to illustrate the indirect coupling by the ring-shaped support member is fixed to the side housing.

탄성지지부는 진동에 방해되지 않는 탄성을 가지면서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바, 상기 탄성 브리지의 개수와 형상은 탄성지지부(11)의 크기, 진동추(중심마그네트, 외륜마그네트, 마그네트지지부, 중심결합부재 및 보호부재의 일체화된 부분)의 무게 및 진동력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상기의 기술적 사 상을 충족하는 한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elastic support has elasticity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vibration, so that the eccentricity does not occur. The number and shape of the elastic bridges are the size of the elastic support 11, the oscillating weight (center magnet, outer ring magnet, magnet support) , The center coupling member and the integrated portion of the protective memb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and vibration force and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above technical concept is met.

구체적인 구현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하우징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 외연에서 중심에 이르도록 형성된 판스프링을 중심결합하는 경우 2 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 ~ 4개)의 탄성체를 중앙에서 결합함으로써 일자형, 삼발이형, 십자형 등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mbodiment, when fixing by using a separate support member in the side housing when the center of the plate spring formed from the outer edge to the center when two or more (preferably 2 to 4) elastic body By combining in the center it is possible to form a combination of straight, trigeminal, cruciform and the like.

또한 상기 탄성체는 물결형상, 토션 스프링 형상, 회오리 형상 등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상기 탄성체를 포함하여 어떠한 형상으로 탄성지지부를 형성하든 요구되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탄성브리지 각각의 양단 중 일측이 중심결합하고 타측은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진동의 발생 및 전달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for providing elasticity, such as a wave shape, a torsion spring shape, a whirlwind shape, and formed to provide the required elasticity in any shape including the elastic body in any shape. One of the ends of each of the at least one elastic bridge is centrally coupled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ide housing or the lower housing so that eccentricity does not occur, it is sufficient that the structure that can faithfully perform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vibration.

상기 탄성지지부(11) 상에 장착되는 원판형의 마그네트 지지부(12)는 마그네트의 자력 손실을 방지하고 마그네트를 탄성지지부에 고정하게 되는바, 중심결합부재(13)가 리벳이나 핀 등일 경우 탄성지지부(11) 및 마그네트 지지부(12)는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는 별도의 부재(11b, 12a)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disc-shaped magnet support 12 mounted on the elastic support 11 prevents magnetic loss of the magnet and fixes the magnet to the elastic support bar. When the center coupling member 13 is a rivet or a pin, the elastic support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11 and the magnet support 12 adopt separate members 11b and 12a that form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따라서 상기 중심결합부재(13)는 리벳, 핀 또는 접착제 등의 결합부재로서 탄성지지부(11)와 마그네트 지지부(12)를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공고히 중심결합한다. Therefore, the center coupling member 13 is firmly centered so that the elastic support 11 and the magnet support 12 are not separated or separated as coupling members such as rivets, pins or adhesives.

여기서 중심 결합이라는 것은 중심을 잡아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서의 결합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center coupling means a coupling in a position where the center is held so that eccentricity does not occur.

마그네트 중 가능하면 많은 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이 진동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바, 상기 마그네트 지지부(12)는 마그네트의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하면 족하고 가능한 마그네트의 많은 부분이 진동코일부의 영향을 받도록 노출시켜야 한다.Exposing as much of the magnet as possible helps to improve the vibration force. The magnet support 12 should be formed so as not to cause the eccentricity of the magnet. Expose as much of the magnet as possible to be affected by the vibration coil part. You have to.

이렇게 형성된 마그네트 지지부(12) 상에는 마그네트가 부착하여 결합하는데, 마그네트(14)는 측부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The magnet is attached to and coupled to the magnet support 12 thus formed, the magnet 14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housing.

상기 마그네트(14)는 측부 하우징(10a)과 이격 고정될 수 있으며, 단일체로 형성된 마그네트(14)는 마그네트(14) 하단부에 강한 자기력을 제공하여, 마그네트(14) 하부에서 수평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진동코일부(15)와의 상호 작용으로 강한 진동력을 일으키게 된다. The magnet 14 may be fix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housing (10a), the magnet 14 formed as a single body provides a strong magnetic force on the lower end of the magnet 14, the vibration is installed horizontally spaced below the magnet 14 The strong vibra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coil unit 15.

상기 진동코일부는 마그네트 하부에서 마그네트 지지부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 및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on coil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and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a portion which is not covered by the magnet support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magnet.

상기 마그네트(14)의 상부는 순철 등의 재료를 이용한 플레이트 형상의 보호부재(14a)로 커버하여 자력의 손실을 막는다.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 14 is covered with a plate-shaped protective member 14a using a material such as pure iron to prevent loss of magnetic force.

상기 진동코일부(15)는 링형의 코일지지부(16) 상에 부착되는바, 상기 코일지지부(16)는 탄성지지부(11)와 마그네트(14)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그 외연이 측부 하우징(10a)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코일부(15)를 지지하게 된다.The vibration coil part 15 is attached to the ring-shaped coil support 16, the coil support 16 is positioned horizontally between the elastic support 11 and the magnet 14, the outer edge side housing (10a) It is fixed to) to support the vibration coil portion 15.

여기서, 진동력은 상기 진동코일부(15)와 마그네트(14)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바, 가능하면 상기 진동코일부(15)와 상기 마그네트(14)가 영향을 주고 받는 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 지지부(12) 의 크기는 그 기능성을 유지하는 한 최대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vibration force is determined by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vibration coil part 15 and the magnet 14, and if possible, the area affected by the vibration coil part 15 and the magnet 14 is affected. It is important to maximize. Therefore, the size of the magnet support 12 is preferably formed as small as possible to maintain its functionality.

최상위에는 상부 하우징(10c)를 결합하여 하우징을 완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고 진동력을 방해할 수 있는 외부적 요인을 차단하며, 상부 하우징에도 진동력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By combining the upper housing (10c) at the top to complete the housing, it protects the internal components from external shocks, blocks external factors that can interfere with the vibration force, and evenly transmits the vibration force to the upper housing .

상기 탄성지지부 및 코일지지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Either or both of the elastic support and the coil suppo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도 4는 상기 구성요소가 결합된 진동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단면도로서, 진동코일부(15)가 마그네트(14)와 탄성지지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격 고정됨으로써 진동시 일체화된 진동추(마그네트/마그네트지지부/보호부재/결합부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 상부는 보호부재(14a)를 이용하여 자력의 손실을 막아 진동에 참여할 전자기력을 최대화하였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ng micro-speaker combined with the above components, wherein the vibration coil 15 is fixed horizontally spaced between the magnet 14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to be integrated with the vibration weight (magnet / magnet support / It can be seen that the vibration is generated without disturbing the movement of the protective member / coupling member). In addition, the magnet upper portion prevents the loss of magnetic force by using the protection member (14a) to maximize the electromagnetic force to participate in the vibration.

자체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진동형 스피커는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진동모터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진동력을 제공하였다.As a result of their experiments, the vibrating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 powerful vibration force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vibration motor despite the simple structure.

이상 원통형 하우징을 채택한 일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형상이나 결합방법 자체에 기술적 사상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각 구성요소 간의 배치 구조에 특징이 있다할 것인 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닌 부분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대체 또는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 employing the cylindrical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ist in the shape of each component or the coupling method itself, but rather in an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lternatives or modific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non-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조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최종적인 구성요소의 배치를 위주로 하였을 뿐 특정 제조공정이나 방법을 언급하지 않았는바, 제조방법과 관련해서 어떠한 방법을 채택하든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와 동일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the arrangement of the final components, and does not mention a specific manufacturing process or method. In the same case, it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부를 제거하고 마그네트와 탄성지지부 사이에 수평으로 진동코일부를 마그네트를 도입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하여 초박형의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의 제공이 가능한 바, 체감진동, 골전도 기능 및 부착스피커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ltra-thin composite vibration microspeaker by removing the acoustic part and introducing the vibration coil part horizontally between the magnet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so that the sensory vibration, bone conduction function and attachment speaker can be provided.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using.

또한 고기능성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단순한 구조를 제공하여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불량품 발생율 감소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기존 통화용 스피커(리시버)와 진동모터를 본 발명품의 골전도 스피커 및 진동모터 기능으로 대체하는 바, 휴대폰과 같은 소형 이동통신멀티미디어 기기의 원가절감의 탁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despite its high functionality, it provides a very simple structure that not only contributes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s the incidence of defective products, but also replaces the existing speaker (receiver) and vibration motor with the bone conduction speaker and vibration moto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o make an excellent contribution to cost reduction of small mobile communication multimedia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골전도 서비스와 다양한 진동모드, 체감음향, 부착스피커 등의 새로운 기능은 소비자들에게 편리성과 재미(fun)를 제공하므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매출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New features such as bone conduction services, various vibration modes, haptic sounds, and attached speakers provide convenience and fun to consumers, which is expected to give a good response in the market.

특히, 골전도는 진동을 통해서 소리가 전달되므로 기존의 통화스피커(리시버)가 귀 근처에 해당되는 기기의 한 부분에만 장착되어야 하는 기구적 설계의 제약을 없애주어 기구설계의 장점도 가진다. In particular, since bone conduction transmits sound through vibration, it eliminates the limitation of mechanical design in which the existing call speaker (receiver) should be mounted only on one part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ar, and has the advantage of mechanical desig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복합 진동 마이크로스피커는 크기, 기능, 디자인 및 경제성을 모두 충족하는 시장 경쟁력 있는 기술로서, 관련 시장에서 상당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Therefore, the micro-compact vibration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ket-competitive technology that satisfies all the size, function, design and economy, and is considered to have considerable value in the relevant market.

Claims (5)

측부 하우징을 포함하여 측부 면을 커버하는 하우징;A housing covering the side face, including a side housing; 마그네트 지지부의 하부에서 중심결합을 하고 하우징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브리지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An elastic support having a center coupling at the bottom of the magnet support and including at least one elastic bridge fixed to prevent eccentricity of the housing; 상기 탄성지지부 상에서 중심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와 중심결합하되, 마그네트의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그네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마그네트 지지부;A magnet supporter which is centrally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er by using a center coupling member on the elastic supporter, the magnet supporter supporting the magnet from below so that the eccentricity of the magnet does not occur; 상기 마그네트 지지부 상에 부착되고 측부 하우징과 이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마그네트; A magnet attached to the magnet support and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housing; 상기 마그네트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진동코일부;Vibration coil portion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agnet; 상기 진동코일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코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And a coil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vibration coil part from the bottom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하우징,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하우징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The vibrating microspea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selectively includes one or more of an upper housing cover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housing covering the lower por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상부는 보호부재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The vibration type micro-speak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gnet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memb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코일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에서 상기 마그네트 지지부에 의해서 커버되지 못한 부분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The vibration type micro-speak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ibration coil part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magnet that is not covered by the magnet support part.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탄성지지부 및 코일지지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The vibration type microspeak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with any one or both of the elastic support and the coil support.
KR1020070015079A 2006-12-14 2007-02-13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2008005556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651 2006-12-14
KR20060127651 2006-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569A true KR20080055569A (en) 2008-06-19

Family

ID=3980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079A KR20080055569A (en) 2006-12-14 2007-02-13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556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914A (en) * 2017-12-12 2018-04-24 歌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oudspeaker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914A (en) * 2017-12-12 2018-04-24 歌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oudspeaker module
CN107959914B (en) * 2017-12-12 2020-10-09 歌尔股份有限公司 Loudspeaker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003B1 (en) Micro speaker generating acoustic vibration and sound
CN1319410C (en) Speak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peaker
CN110603816B (en) Speaker unit having electromagnetic speaker and micro speaker
JP3577467B2 (en) Vibration speaker
JP5086441B2 (en) Multi-function speaker
US1107011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vibrating actuator
JP2009543421A (en) Multi-function micro speaker
TWI436651B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US9386375B2 (en) Miniature speaker
US10820113B2 (en) Speaker
TWI422239B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KR20160067344A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KR20080055571A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WO2008072830A1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100992043B1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100893899B1 (en) Multi-Function Microspeaker
KR20110110685A (en) A hi-end sound speaker unit for an earphone
KR20050044828A (en) Multi-function micro speaker using both one voice coil and one moving coil
KR20080055569A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200221515Y1 (en) Structure of speaker and buzzer with multi function
KR20080095962A (en) Electronic sound-transforming unit having structure of generating bass reflex with same phase for preventing distortion
JP2004502365A (en) Small high-performance speaker
KR20080055570A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CN219876071U (en) Micro-speaker and audio device
US11589167B1 (en) Multifunctional electromagnetic trans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