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910A - Relay connector - Google Patents

Relay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910A
KR20080053910A KR1020070128540A KR20070128540A KR20080053910A KR 20080053910 A KR20080053910 A KR 20080053910A KR 1020070128540 A KR1020070128540 A KR 1020070128540A KR 20070128540 A KR20070128540 A KR 20070128540A KR 20080053910 A KR20080053910 A KR 20080053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bstrate
core conductor
gnd
ma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5225B1 (en
Inventor
히사시 스즈키
료이치 히라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ublication of KR2008005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9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of microwave or radiofrequency circuits

Abstract

A relay connector is provided to prevent a core conductor from being bent when a substrate is insert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a substrate support by disposing an insulation cover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support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core conductor. A dielectric member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at a main block(20) of a conductive member to fix an outer GND, and a core conductor(22c) is protruded from the opposite side to fix a coaxial connector(22). A GND block(26) of the conductive member having a substrate support(26b) is relatively moved in a linear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from which the core conductor is protruded in a guide pin and a guide hole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are separated to insert a substrate so as to be supported therebetween. After the substrate is inserted, a terminal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core conductor and a GND electrode is inserted in series into the substrate support, the GND block and the main block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outer GND, respectively.

Description

중계 커넥터{RELAY CONNECTOR}Relay connector {RELAY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의 검사 등을 위해, 기판의 표면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기판의 이면에 설치된 GND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lay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re conductor of a coaxial connector to a terminal electrode provided on a surface of a substrate for inspection of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er GND of the coaxial connector to a GND electrod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It is about.

고주파 회로 기판 등의 설계 제작에 있어서, 설계 도중에 그 특성 평가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단자 전극으로부터 얻어지는 고주파 신호에 기초하여 특성 평가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를,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종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기판에 동축 커넥터를 접속하기 전의 종래의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에 있어서, 기판(10)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12, 12 …)에 동축 커넥터(일례로서, SMA형 커넥터)(14, 14, …)의 코어 컨덕터(14a, 14a, …)가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판(10)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16)에 동축 커넥터(14, 14, …)의 외곽 GND(14b, 14b, …)가 남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design production of a high frequency circuit board etc.,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characteristic evaluation in the middle of a design. Therefore,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electrode provided at the surface end of the substrate, and the outer GND of the coaxial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ND electrod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based on the high frequency signal obtained from the terminal electrode. Characteristic evaluation is done.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nventional coaxial connector to a substrat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5 and 26. 25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axial connector to a substrate.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ructure before connecting a coaxial connector to a board. 25 and 26, the core conductors 14a, 14a of the coaxial connectors (for example, SMA type connectors) 14, 14,... To the terminal electrodes 12, 12... Which are provided at the surface ends of the substrate 10. , ...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soldering, and the outer GNDs 14b, 14b, ... of the coaxial connectors 14, 14, ... are soldered to the GND electrode 16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10 by soldering. Electrically connected.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동축 커넥터(14, 14, …)를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납땜 작업이 번잡하다. 또한, 동축 커넥터(14, 14, …)를 기판(10)으로부터 떼어 낼 때의 땜납을 용융하는 작업도 번잡하다. 또한, 납땜 및 땜납을 용융할 때에, 동축 커넥터(14)의 구성 부품인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부재에 열이 가해지고, 유전체 부재의 변형 및 전기적 특성 변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며,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회수가 한정되어 있어 경제적이지 않다.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25 and FIG. 26, the soldering work at the tim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axial connectors 14, 14, ... to the board | substrate 10 is complicated. Moreover, the operation | work which melts the solder at the time of removing coaxial connector 14,14, ... from the board | substrate 10 is also complicated. In addition, when soldering and melting the solder, heat is applied to the dielectric member made of a resin memb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coaxial connector 14, which may cause deformation and change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member. There is a limited number of times that it is not economical.

그래서, 납땜하지 않고,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술이 미국 특허 제5,017,865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동축 커넥터 외곽 GND를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에서 이 블록의 일면으로부터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돌출시키며, 블록의 이 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이동 부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 부재에 기판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 이동 부재를 코어 컨덕터측으로 이동시키고,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을 코어 컨덕터에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을 얻으며,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이 이동 부재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동 부재와 블록을 통해 외곽 GND에 전기적으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납땜하지 않고,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Thus, a techniqu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axial connector to a substrate without soldering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5,017,865. Briefly describing this technique, a coaxial connector outer GND is fixed to a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electrically insulated conductor can project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from one side of the block and move along this side of the block. It is comprised by providing the moving member which consists of ashes. In the state where the substrate is mounted on the movable member, the movable member is moved to the core conductor side, and the terminal electrode provided at the surface end of the substr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re conductor to ob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GND electrod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is Since it is mounted on the movable membe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er GND through the movable member and the block. Therefore, the coaxial connect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without soldering.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제5,017,865호 공보[Patent Document 1] US Patent No. 5,017,865

전술한 미국 특허 제5,017,865호 공보에 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기판을 탑재하는 이동 부재를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복잡하며, 장치 전체로서 상당히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보다 소형이며, 기판에 대하여 보다 간단하게 동축 커넥터를 부착 및 떼어 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echnique shown in the above-mentioned U.S. Patent No. 5,017,865, the structure for moving the moving member on which the substrate is mounted to the core conductor side of the coaxial connector is complicated and is considerably large as the whole apparatus. It is desirable to be smaller and able to attach and detach the coaxial connector more easily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형이며, 간단한 조작으로 기판에 동축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떼어 낼 수 있도록 한 중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situation, Comprising: It aims at providing the relay connector which can be coaxially connected to a board | substrate by a compact and simple operation, and can be easily detach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는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가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로서,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유전체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 블록의 일면에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고정하고, 상기 유전체 부재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를 상기 메인 블록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키며, 기판의 단부를 적재하는 기판 지지부를 갖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한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기 상대 이동에 이해 상기 코어 컨 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를 서로 접근 분리시켜 그 사이에 상기 기판을 삽입하여 협지시키고,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하는 면에서 상기 기판 지지부와 상기 접근 분리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하는 절연 커버를 배치하며,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onnects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to the terminal electrode provided at the surface end of the substrate, and connects the outer GND to the GND electrod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A relay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he dielectric member of the coaxial connector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fix the outer GND of the coaxial connector on one surface of the main block, and peeled off from the dielectric member. The core conductor protrud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lock, the GND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substrate support for loading the end of the substrat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ore conductor protruded by the guide member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Relative movement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Understan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lock and the GND block by separating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from each other, inserting and sandwiching the substrate therebetween, and separating the substrate support and the access in terms of protruding the core conductor. The insulation cov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re conductor is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and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사이에서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elastically pressed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substrate is connect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be sandwiched.

또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기판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Further, a movement restricting means for regulating relative movement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the state where the substr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GND 블록에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고정하고, 이 판 스프링을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탄성 접촉시켜 상기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Further, a leaf spring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fixed to the GND block, and the leaf spring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main block so as to be slidable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to electrically connect the GND block to the main block.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에 가이드 핀을 세워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에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a guide pin is installed in one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and a guide hole for inserting the guide pin in the access separation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configure the guide member. Also good.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가이드 구멍에 가이드 나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한쪽 측에 그 선단부를 나사 결합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여도 좋다.Further, a through guide hole extending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is formed in one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nd a guide screw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guide hole from the other side to screw the tip portion to the one side. The guide member may be configured.

또한, 상기 메인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상기 기판 지지부와 반대측에 조작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메인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GND 블록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며,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상기 기판 지지부가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압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Further, an operation member is disposed on the main block opposite to the substrate support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and an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main block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lock. Elastically pressing, connecting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GND block with a connecting member, and pressing the moving member toward the main block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substrate support moves in a sepa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And pressurize the manipulation member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expand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to insert a substrate into the space, and release the pressing of the manipulation member to release the elastic member.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edge by the elastic force of May be configured to sandwich the substrate between portions.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a separation direction, and expand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is elastic force. The substrate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in a state such that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moved relativ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 an approaching direction so as to sandwich the substrat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You may comprise.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걸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기 분리 방향의 힘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is engaged betwee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an approaching direction, and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a separation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Relative movement extends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to insert the substrate in the space, releases the forc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and releases the for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sandwich the.

또한, 상기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를 축 방향으로 상기 절연 커버로부터 돌출시켜 구성하여도 좋다.The tip end portion of the core conductor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insulating cover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을 상기 동축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 치수와 동일하게 구성하여도 좋다.The transverse width of the relay connector may be the same as the transverse width of the coaxial connector.

또한, 상기 GND 블록의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향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폭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substrate supporting portion of the GND block may be formed by forming a groove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outer shape of the core conductor, facing the core conductor.

또한, 상기 GND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의 돌출 선단보다도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기판 지지부에 연속하며,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이 상기 상대 이동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의 돌출하는 높이로부터 벗어나는 경사면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GND block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for inserting the substrate from the protruding end of the core conductor, and provides a guide portion, and the front side for continuous insertion of the substrate in the guide portion,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and the relative movement. The inclined surface deviating from the height which protrudes from the said core conductor may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또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상대 이동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하여도 좋다.The guide portion may be configured as an isosceles triangle having a vertex angle of 90 ° as viewed from the core conductor side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또한, 상기 메인 블록에 배치한 프레임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반대측에 누름 레버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누름 레버의 제1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에 가압 이동시켜 상기 조작 부재를 가압 상태로 하고, 상기 누름 레버의 제2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여 해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Further, the frame disposed on the main block allows the pressing lever to be swingabl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ain block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is plac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t the first swinging position of the pressing lever. It may be configured to pressurize and move the operation member against the main block side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is in a pressurized state, and release the pressuriz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in the second swing position of the push lever to release the pressure.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고정하고, 복수대의 상기 중계 커넥터의 상기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1장의 상기 기판의 변부를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된 상기 기판의 상기 변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자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를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Further, a plurality of relay connectors according to claim 15 can be fixed to one pedestal, and on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of the relay conne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The core conductors of the coaxial connector may be arranged to face the plurality of terminal electrodes provided at the surface end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는 제1 면, 상기 제1면에 반대측의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통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가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가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게, 상기 동축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도전성의 제1 블록, 그 양면에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각각 형성된 기판을 배치할 수 있는 제3 면을 구비하는 도전성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 사이의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치수를 변경하도록 상기 제1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에 접촉되게, 상기 공간 내에 배치 가능하여도 좋다.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is the first surface. A conductive first block includ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coaxial connector is inser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GND of the coaxial connector, the substrate having first and second terminal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And a conductive second block having a third surface on which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disposed, wherei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formed of the first block. A second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change a dimens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projecting from the first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of the second block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The substrate may be movable, and the substrate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contacts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and the second terminal contacts the third surface of the second block. .

청구항 1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의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사이의 거리를 분리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접근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협지시킬 수 있다.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가 기판 표면에 설치한 단자 전극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판 이면에 설치한 GND 전극이 기판 지지부를 갖는 GND 블록으로부터 메인 블록을 통해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간단히, 기판을 동축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분리시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기판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코어 컨덕터에 접하여 기판 지지부와 반대측에 절연 커버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웠을 때에 코어 컨덕터가 구부러지는 일도 없다.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is separated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nd the substrate is inserted therebetwee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art by the relative movement. The substrate can be sandwiched in between.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is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electrode provided on the substrate surface, and the GND electrod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GND of the coaxial connector through the main block from the GND block having the substrate support. As a result, the substrat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axial connector simply. Moreover, the distance between a core conductor and a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can be isolate | separated by relative movement, and the board | substrate inserted between them can be removed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insulating cover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bstrate support in contact with the core conductor, the core conductor does not bend when the substr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에 의해,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서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여, 그 탄성력에 의해 기판을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협지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탄성력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기판을 적정한 일정한 힘으로 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하는 힘이 일정해지며, 전기적 접속이 안정된다.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the main member and the GND block are elastically pressed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substrate is forc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Since it is made to sandwich, the board | substrate can be pinched by a suitable constant force by setting elastic force suitably. As a result, the contacting force becomes constant,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stabilized.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에 기판을 끼운 상태에서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을 협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 등이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하다.Further,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since the movement restric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the state where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n elastic member for sandwiching the substrate. There is no need for a back and the structure is simple.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 GND 블록에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을 고정하고, 이 판 스프링을 메인 블록에 대하여 탄성 접촉시켜 GND 블록을 메인 블록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GND 블록과 메인 블록을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the plate spring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fixed to the GND block, and the plate spring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main block to electrically connect the GND block to the main block. The block and the main block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reliably.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 또는 GND의 한쪽에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핀을 세워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여, 접근 분리 방향이 직선 방향이 되도록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다.Moreover, in the relay connector of Claim 5, a guide pin is installed in one side of a main block or GND in an access separation direction, and a guide hole into which a guide pin is inserted in an access separation direction is formed in the other side, and an access separation is carried out. Since the guide member which regulates relative movement so that a direction becomes a linear direction is comprised, the structure is simple.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 또는 GUD 블록의 한쪽에 접근 분리 방향으로 관통시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측으로부터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에 가이드 나사를 삽입 관통하여 한쪽 측에 그 선단부를 나사 결합시켜,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다.Further,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one of the main block or the GUD block is made to pass in the direction of access separation to form a guide screw through hole, and a guide screw is inserted into the guide screw through hole from the other side to penetrate one side. Since the tip part is screwed to the side and the guide member which restricts relative movement in an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is comprised, the structure is simple.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를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조작 부재와 연결 부재로 연결된 기판 지지부가 코어 컨덕터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를 확장하여 그 사이에 기판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울 수 있다.Further,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7, when the operation member is moved to the main block sid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moves relatively in the separation direction from the core conductor. It is possible to extend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and to insert the substrate therebetween. Then, when the pressing of the operation member is released, the substrate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또한, 청구항 8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과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이 탄성력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가 확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판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울 수 있다.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8, since th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and provided betwee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nd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elastically pressed in the separation directio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are caused by this elastic force. The substrate can be easily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space is extended. In addition, the substrate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relatively moving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또한, 청구항 9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과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팽팽하게 걸어,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를 확장하여 기판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방향의 힘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울 수 있다.Moreover, in the relay connector of Claim 9, since the elastic member is tightened firmly betwee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nd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elastically pressed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the main block is opposed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GND block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separation direction to extend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to insert the substrate. When the forc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is released, the substrate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를 축 방향으로 절연 커버로부터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기판을 삽입할 때에, 돌출되어 있는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에 단자 전극을 대향하도록 함으로써, 기판의 용이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Further,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0, sinc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re conductor is projected from the insulating cov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terminal electrode is opposed to the distal end of the protruding core conductor when the substrate is inserted. Can be easily positioned.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이 동축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 수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배치할 수 있는 최대의 밀도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를 기판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1, since the transverse width of the relay connector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transverse width value of the coaxial connector,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aximum density that can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relay connector on the substrate.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GND 블록의 기판 지지부에 코어 컨덕터에 대항하여 코어 컨덕터의 외형과 대략 동일 폭의 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에서 기판이 홈에 들어가도록 약간 변형함으로써, 기판의 두께 방향의 압축이 경감되고, 기판이 받는 힘이 분산되어 전체적인 변형이 적어진다. 또한, 홈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기판의 GND 전극이 확실하게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진다.Further,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2, since the grooves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outer shape of the core conductor are formed in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of the GND block against the core conductor, the substrate is pressed i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is inserted. By slightly deforming so as to enter this groove, the compres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is reduced, and the force received by the substrate is dispersed to reduce the overall deformation. In addition, the GND electrode of the board | substrate reliably contacts both edge parts of a groove | channel,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가이드부의 경사면을 따라 기판의 가장자리부를 삽입함으로써 용이하며, 확실하게 기판을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삽입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Further,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3, it is easy to insert th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which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to insert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can be reliably insert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There is excellent workability.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이드부를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모퉁이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하여 배치하여도 서로 방해되는 일이 없다.Further,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4, since the vertex angle is formed of an isosceles triangle having a 90 degree angle as viewed from the core conductor side in the relative moving direction,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substrate. ° Two adjacent arrangements in different direction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누름 레버를 제1요동 위치로 하면, 조작 부재를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측에 가압 이동시켜 가압 상태로 하고,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분리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레버를 제2 요동 위치로 하면,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여 해제 상태로 하여,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접근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협지할 수 있다.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5, when the push lever is set to the first swing position, the operation member is pressed to the main block sid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be in a pressurized state, an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By separating the distance of the substrate can be inserted between them. In addition, when the push lever is in the second swinging position, the pressure on the operating member is released to be in a released st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can be approached to sandwich the substrate therebetween.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고정된 청구항 1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의해, 1장의 기판의 변부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에 복수의 중계 커넥터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6, a plurality of relay connectors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a plurality of terminal electrodes provided at the edge surface side edges of one board by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5 fixed in plural to one pedestal.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중계 커넥터에 기판을 끼운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도 25 및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1 is an exter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front view, FIG. 1B is a plan view, and FIG. 1C is a left side view.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rrow direction A-A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relay connector of FIG. 1. In FIGS. 1-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or equivalent to FIG. 25 and 26,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20)에 관통 구멍(20a)을 형성하고, 동축 커넥터(일례로서, SMA형 커넥터)(22)의 외곽 GND(22a)로부터 돌출된 유전체 부재(22b)를 이 관통 구멍(20a)에 이측(裏側) 면으로부터 삽입하고, 이측 면에 외곽 GND(22a)을 나사에 의해 고정하며, 유전체 부재(22b)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22c)를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여기서, 유전체 부재(22b)의 단면은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들어간 위치에 있다. 또한, 코어 컨덕터(22c)가 돌출하는 축 방향은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다. 그리고, 메인 블록(20)에 표측 면과 평행한 가이드 핀(24, 24)이 세워 설치된다.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GND 블록(26)에는 가이드 핀(24, 24)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26a, 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가이드 구멍(26a, 26a)에 가이드 핀(24, 24)을 삽입 착탈 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이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GND 블록(26)에는 코어 컨덕터(22c)와 대향하는 기판 지지부(26b)가 설치되고,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22c)에 대하여 기판 지지부(26b)가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핀(24, 24)과 가이드 구멍(26a, 26a)으로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에서 기판 지지부(26b)와 접근 분리 방향으로 반대측에 코어 컨덕터(22c)에 접하여 절연 커버(28)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이 절연 커버(28)는 코어 컨덕터(22c)를 축 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기판 지지부(26b)측이 확장된 얕은 コ자형이며, 코어 컨덕터(22c)에 기판 지지부(26b)와 반대측 일부분만이 접하고 있다. 또한, 코어 컨덕터(22c)의 선단부가 축 방향으로 절연 커버(28)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1 to 4,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20a is formed in the main block 2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coaxial connector (for example, an SMA type connector) ( The dielectric member 22b protruding from the outer GND 22a of 22 is inserted into this through hole 20a from the back side, and the outer GND 22a is fixed to the back side with a screw, and the dielectric member The core conductor 22c peeled and exposed from 22b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dielectric member 22b is at a position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inclin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In addition, the axial direction from which the core conductor 22c protrudes 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And guide pins 24 and 24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are mounted on the main block 20. The guide holes 26a and 26a into which the guide pins 24 and 24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GND block 26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guide pins 24 and 24 are formed in the guide holes 26a and 26a. The GND block 26 can be relatively moved relative to the main block 20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by inserting in a detachable insert. In addition, the GND block 26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support 26b facing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can move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22c by relative movement. . Here, the guide member is comprised by the guide pins 24 and 24 and the guide holes 26a and 26a. Further, the insulating cover 28 is fixed by screws in contact with the core conductor 22c on the opposite side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from the substrate support 26b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This insulating cover 28 is a shallow U-shape with the substrate support 26b side extended when the core conductor 22c is viewed from the axial distal end side, and only a portion of the core conductor 22c opposite to the substrate support 26b is formed on the core conductor 22c. I'm in contact. Further, the tip end portion of the core conductor 22c is set so as to project slightly from the insulating cover 28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조작 부재(30)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이동 범위 규제 관통 구멍(30a, 30a)에 이동 범위 규제 나사(32, 32)를 축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관통시키고, 그 선단측을 GND 블록(26)을 배치한 것과 반대측의 메인 블록(20) 측에 나사 결합시켜, 조작 부재(30)를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코어 컨덕터(22c)에 대한 GND 블록(26)의 접근 분리 방향과, 메인 블록(20)에 대한 조작 부재(30)의 접근 분리되는 방향은 대략 평행하다. 또한, 조작 부재(30)와 메인 블록(20) 사이에 탄성 부재로서의 탄성 나사(34, 34)가 축소 설치되어 조작 부재(30)가 메인 블록(20)으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된다. 그리고, 또한, 조작 부재(30)와 GND 블록(26)이 연결 핀(36, 36, …)에 의해 연결 부재(38, 38)로 연결된다. 이 연결 부재(38, 38)가 조작 부재(30)의 접근 분리 방향의 이동에 따라 GND 블록(26)을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좋다. 그리고, 또한, GND 블록(26)에는 도전성을 갖는 판 스프링(40)이 비스로 고정되고,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메인 블록(2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탄성 접속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 제1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W)은 동축 커넥터(22)의 가로방향 폭 치수와 동일하며, 예컨대 12.7 mm로 설정되어 있다.Further, the moving range regulating through holes 30a and 30a formed to penetrate the operation member 30 are allowed to move through the moving range regulating screws 32 and 32 so as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ront end side thereof is a GND block. (26) is screwed to the side of the main block 2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rrangement,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30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ain block 20 in the direction of access separation in a predetermined range. Here,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of the GND block 26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20 are substantially parallel. Moreover, the elastic screws 34 and 34 as elastic members are reduced and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member 30 and the main block 20, and the operation member 30 is elastically pressed from the main block 20 in the separation direc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member 30 and the GND block 26 are also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s 38 and 38 by the connection pins 36, 36,... The connection members 38 and 38 may move the GND block 26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access sepa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 In addition, a conductive leaf spring 40 is fixed to the GND block 26 by a vis and is disposed so as to b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lock 20 which is relatively moved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Further, the transverse width W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transverse width dimension of the coaxial connector 22, and is set to, for example, 12.7 mm.

이러한 구성의 제1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30)를 탄성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에 접근 방향으로 가압하면, 연결 부재(38, 38)로 연결된 GND 블록(26)이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기판 지지부(22b)가 코어 컨덕터(22c)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이동되고, 기판 지지부(26b)와 코어 컨덕터(22c) 사이의 공간이 확장된다. 그래서,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기판(10)을 위치 맞춤시켜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 부재(3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 부재(30)가 메인 블록(20)으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따라 기판 지지부(26b)가 코어 컨덕터(22c)에 접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기판(10)을 협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판(10)의 삽입은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12)을 절연 커버(28)로부터 돌출하는 코어 컨덕터(22c)의 선단부에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기판(10)을 코어 컨덕터(22c)에 용이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이 기판(10)이 끼워지면, 단자 전극(12)이 코어 컨덕터(22c)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고, 기판(10)의 이면 단부의 GND 전극(16)이 기판 지지부(26b)를 갖는 GND 블록(26)과, 판 스프링(40)과, 메인 블록(20)과의 직렬 접속을 통해 외곽 GND(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D 전극(16)이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절연 커버(28)가 배치되기 때문에,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에 기판(10)을 끼웠을 때에, 코어 컨덕터(22c)를 구부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절연 커버(28)에 작용하여, 코어 컨덕터(22c)가 구부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절연 커버(28)는 코어 컨덕터(22c)에 적은 부분이 접하고, 유전체 부재(22b)로부터 돌출한 코어 컨덕터(22c)의 표면적 대부분이 공기에 노출되어 있으며, 절연 커버(28)를 배치함에 따른 임피던스의 변화가 적다. 그리고, 재차 조작 부재(30)를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에 접근 방향으로 가압하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 사이가 확장되어 용이하게 기판(10)을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그 가로방향 폭(W)이 동축 커넥터(22)의 가로방향 폭과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10)에 단체인 동축 커넥터(22)를 복수로 병렬하여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중계 커낵터를 기판(10)에 높은 밀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relay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ion member 30 is pressed against the main block 20 in the direction of approach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34 and 34, the connecting members 38 and 38 are connected. The connected GND block 26 is moved relative to the main block 20 so that the substrate support 22b is moved in the separation direction from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pace between the substrate support 26b and the core conductor 22c is Is expanded. Thus, the substrate 10 is positioned and insert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And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 is released, the operation member 30 will be moved to the separation direction from the main block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34 and 34, and, accordingly,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Moves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to the core conductor 22c. Thereby, as shown in FIG. 4, the board | substrate 10 can be clamp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In this case, the insertion of the substrate 10 is arranged so that the terminal electrode 12 provided at the surface end face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ore conductor 22c protruding from the insulating cover 28, thereby placing the substrate 10 in the core conductor 22c. Can be easily positioned. When the substrate 10 is fitted, the terminal electrode 12 contacts the core conductor 22c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GND electrode 16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10 connects the substrate support 26b.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GND 22a through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GND block 26, the leaf spring 40, and the main block 20 which it has. As a result, the terminal electrode 12 and the GND electrode 16 of the substrate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axial connector 22. Here, since the insulating cover 28 is arranged, when the substrate 10 is sandwich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a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bending the core conductor 22c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cover ( 28, the core conductor 22c does not bend. In addition, a sm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cover 28 is in contact with the core conductor 22c, and most of the surface area of the core conductor 22c protruding from the dielectric member 22b is exposed to air. The impedance change is small. When the operation member 30 is pressed again against the main block 20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34 and 34, the gap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 is easily extended. The substrate 10 can be removed. In the relay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the width W is set to the same dimension as the width width of the coaxial connector 22, so that the coaxial connector 22 which is a single member of the substrate 10 is provided. As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parallel connectors are provided in parallel, a plurality of relay connectors can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 at a high density.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8의 (a)는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평면도이고, 도 8의 (c)는 외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is an exter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front view, FIG. 8B is a plan view, and FIG. 8C is an outer side view.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 B-B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rrow C-C of FIG. 5.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In FIGS. 5-8,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or equivalent to FIGS. 1-4, 25, and 26,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5 내지 도 8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20)에 관통 구멍(20a)을 형성하고, 동축 커넥터(22)의 외곽 GND(22a)로부터 돌출된 유전체 부재(22b)를 이 관통 구멍(20a)에 이측 면으로부터 삽입하고, 이측(a) 면에 외곽 GND(22a)을 나사로 고정하며, 유전체 부재(22b)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22c)를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돌출된 코어 컨덕터(22c)와 접하여,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에 절연 커버(28)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이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GND 블록(26)에는 코어 컨덕터(22c)에 대향하여 기판 지지부(26b)가 설치되며,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22c)에 대하여 기판 지지부(26b)가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행해지는 것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또한, GND 블록(26)에는 도전성을 갖는 판 스프링(40)이 비스로 고정되고,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메인 블록(2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탄성 접속하도록 배치되는 것 및 이 제2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W)이 동축 커넥터(22)의 가로방향 폭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 부재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GND 블록(26)에는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과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26d)이 각각 형성되고, 메인 블록(20)과 반대측 면으로부터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을 관통하여 가이드 나사(42, 42)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26d)을 관통하여 이동 조정 나사(44)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에 삽입되고, 가이드 나사(42, 42)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탄성 부재인 압축 스프링(46, 46)이 GND 블록(26)과 메인 블록(20) 사이에 축소 설치된다. 이들의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과 가이드 나사(42, 42)에 의해,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을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조정 나사(44)의 나사 결합의 정도에 의해 메인 블록(20)으로부터 GND 블록(26)이 분리되는 거리가 규제되어 있다.5 to 8,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20a is formed in the main block 2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outer GND 22a of the coaxial connector 22 is formed. The core member 22b protruding from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a from the side surface, and the outer GND 22a is screwed to the side surface (a) with a screw, and the core conductor exposed and peeled off from the dielectric member 22b ( Projecting 22c)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also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the insulating cover 28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by screw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core conductor 22c. In addition, the GND block 26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ain block 20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The GND block 26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22c. The substrate support part 26b is provided toward the side, and i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so that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may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22c by the relative movement. In addition, the GND block 26 is provided with a leaf plate 40 having a conductivity, which is fixed with a vis, and is arranged to elastically connect to the main block 20 that is relatively moved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and The width W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et equal to the width of the coaxial connector 22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memb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guide screw through holes 26c and 26c and the movement adjustment screw through holes 26d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GND block 26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and the guide screw through holes 26c are formed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main block 20. , The guide screws 42 and 42 are screwed into the main block 20 through the 26c, or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44 is screwed into the main block 20 through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through-hole 26d. Combined. In addition, compression springs 46 and 46, which are elastic members inserted into the guide screw through holes 26c and 26c and loosely fitted to the guide screws 42 and 42, are disposed between the GND block 26 and the main block 20. Reduced installation. These guide screw through holes 26c and 26c and guide screws 42 and 42 constitute a guide member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GND block 26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20. . 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which the GND block 26 is separated from the main block 20 is regulated by the degree of screwing of the movement adjustment screw 44.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블록(20)으로부터 GND 블록(26)이 분리된 상태에 있으며,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가 확장된 상태에 있다. 그래서,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가 확장되어 있는 공간에 기판(10)을 삽입하고, 이동 조정 나사(44)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인 블록(20)을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GND 블록(26)측에 접근시켜,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의 공간이 좁혀져서 기판(10)이 협지된다. 그러면, 기판(10)의 단자 전극(12)에 동축 커넥터(2, 2)의 코어 컨덕터(22c)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판(10)의 GND 전극(16)이 기판 지지부(26b)와 판 스프링(40) 및 메인 블록(20)의 직렬 접속을 통하여 동축 커넥터(22)의 외곽 GND(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도, 이동 조정 나사(44)에 의해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을 GND 블록(26)측에 접근시킴으로써, 간단히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D 전극(16)을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조정 나사(44)를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판(10)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 이 이동 조정 나사(44)의 체결에 의해, 기판(10)을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끼운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이 이동 조정 나사(44)가 이동 규제 유닛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 조정 나사(44)의 체결 대신에 메인 블록(20)을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GND 블록(26)측에 가압하여,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기판(10)을 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가압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기판(10)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GND block 26 is separated from the main block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s 46 and 46, and the state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is extended. Is in. Therefore, the board | substrate 10 is inserted in the space which this core conductor 22c and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are extended,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44 is rotated in a fastening direction, and the main block 20 is made into the compression spring (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is narrowed so as to approach the GND block 26 sid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46 and 46 to sandwich the substrate 10. Then, the core conductors 22c of the coaxial connectors 2 and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electrodes 12 of the substrate 10, and the GND electrode 16 of the substrate 10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support 26b and the plat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GND 22a of the coaxial connector 22 through the serial connection of the spring 40 and the main block 20. Accordingly, also in the relay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lock 20 is brought closer to the GND block 26 sid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s 46 and 46 by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44. The terminal electrode 12 and the GND electrode 16 of the substrate 1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axial connector 22 simply. Then, by rotating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44 in the release direction, the substrate 10 can be easily removed. When the board | substrate 10 is hold | maintain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by fastening this movement adjustment screw 44, this movement adjustment screw 44 acts as a movement regulation unit. do.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main block 20 is pressed against the GND block 26 sid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s 46 and 46 instead of the fastening of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44, so that the core conductor ( The substrate 10 may be sandwiched between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In this case, the substrate 10 can be detached simply by releasing the pressuriz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3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2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2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2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 화살 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9 is an exter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A is a front view, FIG. 12B is a plan view, and FIG. 12C is a left side view.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9.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 E-E in FIG. 9.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In FIGS. 9-1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or equivalent to FIGS. 1-8, 25, and 26,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20), 동축 커넥터(22), GND 블록(26), 절연 커버(28), 및 판 스프링(40)의 구조는 대략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그런데, 제3 실시예가 제2 실시예와 다음 사항이 다르다. 우선, GND 블록(26)에는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이 형성되지만,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26d)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메인 블록(20)과 반대측 면으로부터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을 관통하는 가이드 나사(42, 42)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되지만, 이동 조정 나사(4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들의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과 가이드 나사(42, 42)에 의해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을 접근 분리 방향으로 직선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블록(20)의 GND 블록(26)측 면과 GND 블록(26)의 메인 블록(20)측 면에 각각 반대되도록 스프링 삽입 구멍(20b, 20b, 26e, 26e)이 형성되고, 그 각각에 탄성 부재로서 인장 스프링(48, 48)의 양단이 삽입되며, 고정 핀(50, 50, …)에 의해 양단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의해, GND 블록(26)과 메인 블록(20)이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된다.9 to 12,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lock 20, the coaxial connector 22, the GND block 26, the insulation cover 28, and the leaf spring 40 are shown. The structure of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However,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following matters. First, the guide screw through holes 26c and 26c are formed in the GND block 26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but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through holes 26d are not formed. The guide screws 42 and 42 penetrating the guide screw through holes 26c and 26c from the surface opposite to the main block 20 are screwed to the main block 20, but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44 is provided. Not. The guide member which controls so that the GND block 26 can be moved in a lin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20 by these guide screw through-holes 26c and 26c and guide screws 42 and 42 in a direction of approach separation is comprised. It is. Further, spring insertion holes 20b, 20b, 26e, and 26e are formed so as to be opposite to the GND block 26 side surface of the main block 20 and the main block 20 side surface of the GND block 26,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s 48, 48 are inserted as resilient members,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s 50, 50, ... are prevented. In addition, the GND block 26 and the main block 20 are elastically pressed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s 48 and 48.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 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떼어놓고,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확장한다. 그리고,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를 넓힌 공간에 기판(10)을 삽입한 상태에서, 분리하는 방향의 힘을 해제하면,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이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의해 접근하여,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가 좁혀져 그 사이에 기판(10)이 협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도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의해 기판(10)을 협지하고, 간단히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D 전극(16)을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차,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떼어놓고,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가 확장됨으로써 기판(10)을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are separated in the separating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s 48 and 48, and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Expand. Then,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are pulled out by releasing the force in the separating direction while the substrate 10 is inserted in the space where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26b are widened. Approach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s 48 and 48,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are narrowed, and the board | substrate 10 is clamped between them. Accordingly, also in the relay connector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10 is sandwich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s 48 and 48, and the terminal electrode 12 and the GND electrode 16 of the substrate 10 are simply sandwiche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axial connector 22. Then,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eparation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s 48 and 48, and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is expanded. The substrate 10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4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3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3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3의 (c)는 좌측면도이며, 도 13의 (d)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G-G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있어서, 도 1내지 도 12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13 is an exter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is a front view, FIG. 13B is a plan view, FIG. 13C is a left side view, and FIG. (D) is a right side view.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rrow F-F in FIG. 13.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arrow G-G of FIG. 13.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In FIGS. 13-1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or equivalent to FIGS. 1-12, FIG. 25, and FIG. 26,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3 내지 도 16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20), 동축 커넥터(22), GND 블록(26), 절연 커버(28), 및 판 스프 링(40)의 구조, 그리고, GND 블록(26)에 형성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에 삽입 관통한 가이드 나사(42, 42)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되고,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략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탄성 스프링(34, 34)이나 제2 실시예의 압축 스프링(46, 46)이나 제3 실시예의 인장 스프링(48, 48)에 해당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20)에 GND 블록(26)에 미끄럼 접촉하는 멈춤 나사용 설부(舌部)(20c)가 설치되고, GND 블록(26)에는 이 멈춤 나사용 설부(20c)를 접근 분리 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오목부(26f)가 설치된다. 또한, 멈춤 나사용 설부(20c)에 코어 컨덕터(22c)와 대략 평행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여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유닛으로서의 멈춤 나사(52)가 나사 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GND 블록(26)의 오목부(26f)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다.13 to 16,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lock 20, the coaxial connector 22, the GND block 26, the insulation cover 28, and the plate spring 40 ), And guide screws 42 and 42 inserted into the guide screw through holes 26c and 26c formed in the GND block 26 are screwed to the main block 20, and the guide member is configured. This is roughly the same as in the third embodiment. Further, in the fourth embodiment, springs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springs 34 and 34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mpression springs 46 and 46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ension springs 48 and 48 of the third embodiment are installed. It is not. In the fourth embodiment, a stopper screw tongue 20c in sliding contact with the GND block 26 is provided in the main block 20, and the stopper tongue for the stop screw 26 is provided in the GND block 26. The recessed part 26f which accommodates 20c slidingly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an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is provided. In addition, a stop screw 52 as a movement regulating unit for screwing in a substantially parallel direction with the core conductor 22c to the stop screw tongue 20c to regulate relative movement is provided by screwing, and the tip end thereof is provided by a GND block. I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face of the recessed part 26f of (26).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멈춤 나사(52)를 GND 블록(26)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적절히 떼어놓아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확장한다. 그리고,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를 넓힌 공간에 기판(10)을 삽입하고,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접근시켜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좁혀 기판(10)을 그 사이에 협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멈춤 나사(52)를 GND 블록(26)에 밀어 넣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중계 커넥 터에 있어서도, 멈춤 나사(52)의 적절한 설정으로 간단히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R 전극(16)을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멈춤 나사(52)를 느슨하게 하여 재차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떼어놓고,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넓힘으로써, 기판(10)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are appropriately separated in the separat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ing is loos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op screw 52 is removed from the GND block 26. It extends between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Then, the substrate 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where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26b are widened, and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26b are provided. ) And the substrate 10 is sandwiched therebetween. In this state,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are fixed by screwing and tightening the stop screw 5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op screw 52 is pushed into the GND block 26. Accordingly, also in the relay connecto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electrode 12 and the GNR electrode 16 of the substrate 10 are simp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axial connector 22 with the proper setting of the set screw 52. Can be connected. Then, the mounting screw 52 is loosened,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are separated again in the separation direction, and the substrate 10 is widened by widening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substrate support 26b. You can simply remove it.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5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7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7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7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의 (a)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하고, 도 18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19는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의 (a)는 도 5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하며, 도 19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다. 도 20은 기판의 모퉁이부에 대해서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시켜 배치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2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6 및 도 25 및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is an exter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A is a front view, FIG. 17B is a plan view, and FIG. 17C is a left side view. FIG. 18 is a diagram showing the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while the substrate is pressed by the core conductor, and FIG. 18A shows the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in the fifth embodiment, and FIG. 18B is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of the board | substrate in 1st Example is shown. FIG. 19 is a diagram showing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s in a state where the substrate is pressed by the core conductor, and FIG. 19A shows the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s in the FIG. 5 embodiment, and FIG. The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 in the first embodiment is shown. 20 is a diagram in which two relay connectors of the fifth embodimen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90 degrees with respect to a corner of the substrate. In FIGS. 17 and 20, the same or equivalent members as those in FIGS. 1 to 16, 25, and 26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7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GND 블록(26)의 기판 지지부(26b)에 코어 컨덕터(22c)에 대향하여 돌출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폭의 홈(26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GND 블 록(26)에 코어 컨덕터(22c)의 돌출 선단보다도 기판(10)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가이드부(26h)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26h)에, 기판 지지부(26b)에 연속하며, 기판(10)을 삽입하는 전방측이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이 돌출하는 높이로부터 벗어나는 경사면(26i)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6h)가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 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7, the substrate support 26b of the GND block 2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line of the core conductor 22c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pposite the core conductor 22c. A groove 26g of width is formed.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26h is provided on the GND block 26 so as to project toward the front side where the substrate 10 is inserted rather than the protruding tip of the core conductor 22c.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26b is provided on the guide portion 26h. ), And the inclined surface 26i is provided so that the front side into which the substrate 10 is inserted is deviated from the height at which the core conductor 22c protrudes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guide part 26h is seen from the core conductor 22c side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the vertex angle is comprised from the isosceles triangle of 90 degrees.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GND 블록(26)의 기판 지지부(26b)에 기판(10)을 삽입하고, 코어 컨덕터(22c)에 대하여 기판(10)이 가압되면,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0)이 홈(26g)에 들어가도록 약간 변형됨으로써 기판(10)의 두께 방향의 압축이 경감되고, 기판(10)이 받는 힘이 분산되어, 전체로서의 변형이 적어진다. 또한, 홈(26g) 양측의 가장자리부에 기판(10)의 GND 전극(16)이 확실하게 접촉되어 확실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기판 지지부(26b)에 홈(26)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0)이 두께 방향으로 크게 압축되어 기판(10)의 양측이 부상하고, GND 블록(26)에 기판(10)의 GND 전극(16)이 적은 접촉 면적에 접촉하여 확실한 공기적 접속을 얻을 수 없다. 이 결과, 도 19의 (a)에 도시하는 제5 실시예의 고주파 손실 특성과 같이, 도 19의 (b)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고주파 손실 특성에 비하여, 5 GHz∼10 GHz로 고주파 손실 특성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ubstrate 10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support 26b of the GND block 26 and the substrate 10 is pressed against the core conductor 22c, as shown in FIG. 18A. Similarly, by slightly deforming the substrate 10 to enter the grooves 26g, compres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 is reduced, and the force received by the substrate 10 is dispersed, so that the deformation as a whole is reduced. Moreover, the GND electrode 16 of the board | substrate 10 contact | connects the edge part of both sides of the groove 26g reliably, and a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groove 26 is not formed in the substrate support part 26b as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B, the substrate 10 is greatly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by providing the substrate 10. ), Both sides float, and the GND block 26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area where the GND electrode 16 of the substrate 10 is small, so that a reliable air connection cannot be obtained. As a result, like the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19A, the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 is 5 GHz to 10 GHz, compared to the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9B. Improvements are being made.

또한,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판(10)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부터 돌출시켜 설치한 가이드부(26h)의 경사면(26i)을 따라 기판(10)의 가장자리부를 삽입함으로 써,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기판(10)을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삽입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가이드부(26h)를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0)의 모퉁이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시켜 배치하여도 서로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10 is inser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6i of the guide portion 26h protruding from the front side into which the substrate 10 is inserted. The board | substrate 1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22c and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and it is excellent in work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vertex angle is comprised from the isosceles triangle of 90 degrees when viewed from the core conductor 22c side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as shown in FIG. 20, in the corner part of the board | substrate 10, On the other hand, even if two relay connectors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by 90 °,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6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 누름 레버를 제1 요동 위치로 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누름 부재를 제2 요동 위치로 한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배치하여, 1장의 기판 변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응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0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ide view of the relay connector push lever of the FIG. 6 embodiment in a first swing position; FIG. Fig. 23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the pressing member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sixth embodiment in a second swinging positio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nnector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on one pedestal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 electrodes provided at the surface ends of one substrate edge; . In FIGS. 21-2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member same as or equivalent to FIGS. 1-20, 25, and 26,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6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82)의 메인 블록(20)을 아래로부터 양측을 감싸도록 판금으로 이루어지며 コ자형으로 절곡된 프레임(60)이 배치되고, 스페이서(62)를 사이에 두고 접시 나사(64)로 메인 블록(20)에 고정된다. 스페이서(62)는 접시 나사(64)의 헤드부 두께를 흡수하여, 하면을 평평하게 하기 위해 이 용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60) 양측의 コ자형 아암부의 선단부가 조작 부재(30)를 넘은 상측까지 신장되고, 조작 부재(30)의 상측에서 프레임(60)의 아암부 선단부에 조작 부재(30)의 조작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요동 지지축(66)이 배치된다. 이 요동 지지축(66)에 누름 블록(68)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레버 부재(70)가 구멍(72)에 삽입된 나사(74)에 의해 이 누름 블록(68)에 고정된다. 누름 블록(68)은 요동 지지축(66)과 직교하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그 모퉁이부가 둥굴게 된 형상이다. 그 직사각형의 대략 중심 위치에 요동 지지축(66)이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누름 블록(68)과 레버 부재(70)로 누름 레버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60) 아암부의 선단부에 스토퍼(76)가 나사(78, 78)에 의해 고정되고, 레버 부재(70)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며, 프레임(60) 아암부의 선단부가 확장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1 to 23, the main block 20 of the relay connector 82 of the first or fifth embodiment is made of sheet metal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from below. The frame 60 bent in a U-shape is disposed, and is fixed to the main block 20 with the countersunk 64 with the spacer 6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pacer 62 is used to absorb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of the countersunk 64 and flatte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tip part of the Ko-shaped arm part of both sides of the frame 60 extends to the upper side beyond the operation member 30, and the operation member 30 is operated by the arm part tip part of the frame 60 from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member 30. A swing support shaft 66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is disposed. The pressing block 68 is disposed on the swing support shaft 66 so as to be swingable. The lever member 70 is fixed to this pressing block 68 by a screw 74 inserted into the hole 72. The pressing block 68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swing support shaft 66, and has a rounded corner portion. The swing support shaft 66 penetrates to the substantially center position of the rectangle. And a press lever is comprised by the press block 68 and the lever member 70. As shown in FIG. Further, the stopper 76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60 of the frame 60 by screws 78 and 78, restricts the swing range of the lever member 70, and restricts the distal end of the arm 60 of the frame 60. Doing.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70)를 세운 제1 요동 위치에서는 스토퍼(76)에 의해 레버의 요동이 규제되고, 누름 블록(68)의 요동 지지축(66)으로부터 먼 변(邊)이 조작 부재(30)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30)를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GND 블록(26)을 하강시켜, 기판 지지부(26b)와 코어 컨덕터(22c) 사이를 두어 그 사이에 기판(10) 변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70)를 눕힌 제2 요동 위치에서는 누름 블록(68)의 요동 지지축(66)으로부터 가까운 변이 조작 부재(3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조작 부재(30)는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블록(20)으로부터 분리되어 GND 블 록(26)이 올려져서, 기판 지지부(26b)와 코어 컨덕터(22c)의 사이가 근접되고, 그 사이에 삽입된 기판(10)의 변부를 협지하여, 기판(10)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12)에 코어 컨덕터(22c)를 탄성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가 된다.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2, the swing of the lever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76 in the first swing position in which the lever member 70 is raised, and the swing support shaft 66 of the push block 68 is fixed. The operation member 30 is move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34 and 34 in a state where the side farther from the contact with the operation member 30, thereby lowering the GND block 26, The board | substrate support part 26b and the core conductor 22c are interposed, and it is set as the state which allows insertion of the edge part of the board | substrate 10 between them. Moreover, as shown in FIG. 23, in the 2nd rocking position which laid the lever member 70, the operation member in the state which the side close to the rocking support shaft 66 of the press block 68 opposes the operation member 30. As shown in FIG. 3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lock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34 and 34 so that the GND block 26 is raised so that the substrate support 26b and the core conductor 22c are close to each other. The edge part of the board | substrate 10 inserted in between is sandwiched, and the core conductor 22c is elastically conta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electrode 12 provided in the surface edge part of the board | substrate 10. FIG.

레버 부재(70)를 제1 요동 위치와 제2 요동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중계 커넥터(82)에 기판(10)을 협지한 상태와, 기판(10)의 삽입을 허용하는 상태로 적절히 그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누름 블록(68)의 단면 직사각형의 형상 치수를 기판(10)의 삽입과 협지에 적합한 것으로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레버 부재(70)를 세운 제1 요동 위치에서, 조작 부재(30)에 접촉하는 누름 블록(68)의 면을 평면으로 함으로써, 제1 요동 위치를 간단히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블록(68)과 레버 부재(70)로 누름 레버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 마모되기 쉬운 누름 블록(68)만을 교환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누름 블록(68)을 레버 부재(70)에 고정하는 나사(74)를 삽입한 구멍(72)에 드라이버 등의 가는 막대기를 삽입하여 이 드라이버 등을 레버 부재(70)의 연장용 부재로서 이용하면, 보다 작은 힘으로 레버 부재(70)를 조작할 수 있다.By switching the lever member 70 to the first rocking position and the second rocking position, the operating state is appropriately held in the state of sandwiching the substrate 10 in the relay connector 82 and in a state of allowing the insertion of the substrate 10. Can be se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dimension of the cross-sectional rectangle of the press block 68 is set to one suitable for insertion and sandwiching of the substrate 10. Moreover, by making the surface of the press block 68 which contacts the operation member 30 planar at the 1st rocking position which raised the lever member 70,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can hold | maintain a 1st rocking position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push lever is constituted by the push block 68 and the lever member 70, only the push block 68 that is easily worn as needed can be replaced, and management and repair are easy. In addition, a thin rod such as a driver is inserted into the hole 72 in which the screw 74 for fixing the pressing block 68 to the lever member 70 is inserted, and the driver or the like is used as an extension member of the lever member 70. If used, the lever member 70 can be operated with a smaller force.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응용예에 있어서는 1대의 대좌(80)에 복수대의 제6실시예의 누름 레버가 설치된 중계 커넥터(90, 90, …)가, 각각에 스페이서(84, 84, …)를 사이에 두고 나사(64)와 동일한 고정 나사(86, 86, …)로 고정된다. 대좌(80)에 고정된 복수대의 중계 커넥터(90, 90, …)는 GND 블록(26, 26, …)의 기판 지지부(26b, 26b, …)와 동축 커넥터(22, 22, …)의 코어 컨덕터(22c, 22c, …) 사이에 1장의 기판(10)의 변부를 삽입할 수 있고, 동축 커넥터(22)의 코어 컨덕 터(22c, 22c, …)는 삽입된 기판(10) 변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12, 12, …)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좌(80)에는 기판(1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치대(88)가 설치되고, 기판(10)의 변부가 GND 블록(26, 26, …)의 기판 지지부(26b, 26b, …)와 동축 커넥터(22, 22, …)의 코어 컨덕터(22c, 22c, …) 사이에 확실하게 안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대좌(80)를 그라운드 전극으로 하고, 스페이서(84, 84, …) 및 고정 나사(86, 86, …)를 도전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프레임(60, 60, …) 및 스페이서(84, 84, …)를 도전재로 형성하면, 중계 커넥터(82, 82, …)의 GND 블록(26, 26, …)이 하나의 대좌(80) 그라운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스페이서(84, 84, …) 및 고정 나사(86, 86, …)을 절연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프레임(60, 60, …) 및 고정 나사(86, 86, …)를 절연 부재로 형성하면 중계 커넥터(82, 82, …)의 GND 블록(26, 26, …)을 대좌(80)의 그라운드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pplication example shown in FIG. 24, relay connectors 90, 90, ...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sh levers of the sixth embodiment on one pedestal 80 each have spacers 84, 84,... It is fixed with the same fixing screws 86, 86, ... as the screws 64 in between. The plurality of relay connectors 90, 90,... Fixed to the pedestal 80 are the cores of the coaxial connectors 22, 22,... With the board supports 26b, 26b... Of the GND blocks 26, 26,. One side of the substrate 1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conductors 22c, 22c, ..., and the core conductors 22c, 22c, ... of the coaxial connector 22 have the surface of the side of the substrate 10 inserted therein.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as to oppose each of the some terminal electrode 12, 12, ... provided in the edge part. In addition, a pedestal 88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substrate 10 is provided in the pedestal 80, and the edges of the substrate 10 are provided with substrate support portions 26b, 26b,... Of the GND blocks 26, 26,. ) And the core conductors 22c, 22c, ... of the coaxial connectors 22, 22, ... are reliably guided. Then, the base 80 is used as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spacers 84, 84, ..., and the fixing screws 86, 86, ... are formed of a conductive member, or the frames 60, 60, ..., and the spacers 84, 84, ...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GND blocks 26, 26, ... of the relay connectors 82, 82, ...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ground electrode 80. In addition, the spacers 84, 84, ..., and the fixing screws 86, 86, ...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ember, or the frames 60, 60, ..., and the fixing screws 86, 86, ...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ember. The GND blocks 26, 26, ... of the lower surface relay connectors 82, 82, ... may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ground electrode of the pedestal 80.

이러한 구성의 응용예에 있어서는 모든 중계 커넥터(82, 82, …)의 레버 부재(70, 70, …)를 제1 요동 위치로 한 상태에서 기판(10)을 삽입하고, 전기적으로 접속을 필요로 하는 단자 전극(12, 12, …)에 대향하는 중계 커넥터(82, 82, …)의 레버 부재(70, 70, …)만을 제2 요동 위치로 작동할 수 있다. 레버 부재(70, 70, …)를 제1 요동 위치 또는 제2 요동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내용에 따라 기판(10)에 설치된 단자 전극(12, 12, …)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절히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In the application of such a structure, the board | substrate 10 is inserted in the state which made the lever member 70, 70, ... of all the relay connectors 82, 82, ... into the 1st rocking position, and requires electrical connection. Only the lever members 70, 70, ... of the relay connectors 82, 82, ... opposing the terminal electrodes 12, 12, ... can operate in the second swinging position. Since the lever members 70, 70,... Can be held in either the first swing position or the second swing position, all or all of the terminal electrodes 12, 12,... A par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suitably.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을 직선 형으로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을 규제하는 기구는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더브테일 홈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기판(10)의 GND 전극(16)이 탑재되는 기판 지지부(26a)가 설치된 GND 블록(26)을 메인 블록(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판 스프링(40)을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시블한 전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켜도 좋으며, 확실한 도통을 얻을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라도 좋다.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판형의 스프링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멈춤 나사(52) 대신에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다른 구조의 이동 규제 유닛을 이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GND block 26 in a straight lin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2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nd it is appropriate to use a dovetail groove or the like. You may form.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GND block 26 provided with the substrate support part 26a on which the GND electrode 16 of the substrate 10 is mounted to the main block 20 is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40 as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what was used,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flexible wire, and what kind of structure may be sufficient as long as reliable conduct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although the coil spring is used as an elastic member in 1st Example-3rd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ese, A plate-shaped spring etc. may be used. In addi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instead of the set screw 52, a movement limiting unit having another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ain block 20 and the GND block 26 may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의 (c)는 좌측면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front view, FIG. 1B is a plan view, and FIG. 1C is a left side view.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direction A-A of FIG.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4는 도 1의 중계 커넥터에 기판을 끼운 상태의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relay connector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5의 (a)는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평면도이고, 도 5의 (c)는 좌측면도이다.Fig. 5 is an exter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front view, Fig. 5B is a plan view, and Fig. 5C is a left side view.

도 6은 도 5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B-B in FIG. 5; FIG.

도 7은 도 5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7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C-C in FIG. 5; FIG.

도 8은 도 5의 분해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도 9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3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9의 (a)는 정면도이며, 도 9의 (b)는 평면도이고, 도 9의 (c)는 좌측면도이다.FIG. 9 is an exter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front view, FIG. 9B is a plan view, and FIG. 9C is a left side view.

도 10은 도 9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10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 D-D in FIG. 9; FIG.

도 11은 도 9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E-E in FIG. 9; FIG.

도 12는 도 9의 분해 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도 13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4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3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3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3의 (c)는 좌측면도이며, 도 13의 (d)는 우측면도이다.FIG. 13 is an exter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is a front view, FIG. 13B is a plan view, FIG. 13C is a left side view, and FIG. (D) is a right side view.

도 14는 도 13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14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F-F in FIG. 13; FIG.

도 15는 도 13의 G-G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FIG. 15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arrow G-G in FIG. 13; FIG.

도 16은 도 13의 분해 사시도.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도 17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5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7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7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7의 (c)는 좌측면도이다.17 is an exter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A is a front view, FIG. 17B is a plan view, and FIG. 17C is a left side view.

도 18은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기판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의 (a)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8 is a diagram showing the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while the substrate is pressed by the core conductor, and FIG. 18A is a diagram showing the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in the fifth embodiment, and FIG. Is a diagram showing a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9는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의 (a)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9 is a diagram showing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s in a state where the substrate is pressed by the core conductor, and FIG. 19 (a) is a diagram showing the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s in the fifth embodiment, and FIG. 19 (b). ) Is a diagram showing a high frequency loss characteristic in the first embodiment.

도 20은 기판의 모퉁이부에 대하여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시켜 배치한 도면.FIG. 20 is a view in which two relay connectors of the fifth embodimen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90 degrees with respect to a corner portion of the substrate.

도 2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6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누름 레버를 제1 요동 위치로 한 측면도.Fig. 22 is a side view of the push lever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sixth embodiment in a first swing position;

도 23은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누름 레버를 제2 요동 위치로 한 일부 절결 측면도.Fig. 23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the push lever of the relay connector of the sixth embodiment in a second swing posi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배치하여, 1장의 기판의 변부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응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elay connector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on one pedestal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 electrodes provided at the edge surface side edges of one board; .

도 25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25 illustrates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nventional coaxial connector to a substrate.

도 26은 종래의 기판에 동축 커넥터를 접속하기 전의 분해 사시도.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fore connecting a coaxial connector to a conventional boar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기판 12 : 단자 전극10 substrate 12 terminal electrode

14, 22 : 동축 커넥터 14a, 22c : 코어 컨덕터14, 22: coaxial connector 14a, 22c: core conductor

14b, 22a : 외곽 GND 16 : GND 전극14b, 22a: outer GND 16: GND electrode

20 : 메인 블록 20a : 관통 구멍20: main block 20a: through hole

20b, 26e : 스프링 삽입 구멍 20c : 멈춤 나사용 설부20b, 26e: spring insertion hole 20c: tongue for set screw

22 : 동축 커넥터 22b : 유전체 부재22: coaxial connector 22b: dielectric member

24 : 가이드 핀 26 : GND 블록24: guide pin 26: GND block

26a : 가이드 구멍 26b : 기판 지지부26a: guide hole 26b: substrate support

26c :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 26d :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26c: guide screw through hole 26d: shift adjustment screw through hole

26f : 오목부 26g : 홈26f: recess 26g: groove

26h : 가이드부 26i : 경사면26h: guide portion 26i: inclined surface

28 : 절연 커버 30 : 조작 부재28: insulation cover 30: operation member

30a : 이동 범위 규제 관통 구멍 32 : 이동 범위 규제 나사30a: Moving range regulating through hole 32: Moving range regulating screw

34 : 탄성 스프링 36 : 연결핀34: elastic spring 36: connecting pin

38 : 연결 부재 40 : 판 스프링38: connection member 40: leaf spring

42 : 가이드 나사 44 : 이동 조정 나사42: guide screw 44: shift adjustment screw

46 : 압축 스프링 48 : 인장 스프링46: compression spring 48: tension spring

50 : 고정 핀 52 : 멈춤 나사50: fixing pin 52: stop screw

60 : 프레임 62, 84 : 스페이서60: frame 62, 84: spacer

64 : 접시 나사 66 : 요동 지지축64: plate screw 66: swing support shaft

68 : 누름 블록 70 : 레버 부재68: pressing block 70: lever member

72 : 구멍 74, 78 : 나사72: hole 74, 78: screw

76 : 스토퍼 80 : 대좌76: stopper 80: pedestal

86 : 고정 나사 88 : 가치대86: fixing screw 88: value band

82 : 제1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82: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or fifth embodiment

90 : 제6 실시예의 누름 레버가 설치된 중계 커넥터90: relay connector provided with push lev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Claims (17)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로서,A relay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re conductor of a coaxial connector to a terminal electrode provided at a surface end of a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n outer GND of the coaxial connector to a GND electrode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ubstrate.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유전체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 블록의 일면에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고정하고, 상기 유전체 부재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를 상기 메인 블록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키며, Inserting the dielectric member of the coaxial connector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fix the outer GND of the coaxial connector to one surface of the main block, and expose the core conductor peeled off from the dielectric member to the core block. Protrude from the opposite side, 기판의 단부를 적재하는 기판 지지부를 갖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한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The GND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substrate support portion for loading the end of the substrate to be relatively moved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core conductor protrudes by the guide member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를 서로 접근 분리시켜 그 사이에 상기 기판을 삽입하여 협지시키고,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llows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inserting and sandwiching the substrate therebetween,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하는 면에서 상기 기판 지지부와 상기 접근 분리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하는 절연 커버를 배치하며, Disposing an insulating cover in contact with the core conductor on a side opposite to the substrate support and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from a surface on which the core conductor protrudes,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사이에서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The elastic member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elastically pressed in an approaching direction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and the substrate is pressed against the core conductor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 relay connector, configur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을 마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ovement limiting means for regulating relative movement of said main block and said GND block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said substrate is sandwiched between said core conductor and said substrate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ND 블록에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고정하고, The leaf spring of claim 1, wherein a leaf spring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fixed to the GND block. 이 판 스프링을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상기 메인 블록에 탄성 접속시켜 상기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the leaf spring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lock that slides in the access separation direction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GND block to the main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핀을 세워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The guide p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pin is installed in one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and a guide hole in which the guide pin is inserted in the access separation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relay connector comprising a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으로부터 상기 관통 가이드 구멍에 가이드 나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한쪽 측에 그 선단부를 나사 결합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2. The tip of claim 1, wherein a through guide hole is formed in one of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to extend in the approach separation direction, and a guide screw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guide hole from the other side, and the tip end thereof is located on the one side. And a screw connector to configure the gu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상기 기판 지지부와 반대측에 조작 부재를 배치하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ember is disposed in the main block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bstrate support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메인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An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main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operation member in a sepa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lock,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GND 블록을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Connecting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GND block by a connecting member,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상기 기판 지지부가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When the operation member is pressed and moved to the main block sid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substrate support is made to mov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conductor,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압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Pressing the manipulation member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o expand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to insert a substrate into the space, 상기 조작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releasing the pressuriz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so as to sandwich the substrat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도록 하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a separation direct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is caused by the elastic force. Insert the substrate into the space in the expanded state,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are moved relativ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to sandwich the substrat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걸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elastic member is placed between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to elastically press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an approaching direction,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 The substrate is inserted into the space by extending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relatively moving the main block and the GND block in a separation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분리 방향의 힘을 해제하여, Release the forc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the substr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를 축 방향으로 상기 절연 커버로부터 돌출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중계 커넥터.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ip portion of said core conductor is formed to protrude from said insulating cover in the ax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을 상기 동축 커넥터의 가 로방향 폭 치수와 동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2. 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verse width of the relay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equa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axial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ND 블록의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향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의 외형과 대략 동일 폭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ove having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shape of the core conductor is formed in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of the GND block to face the core co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ND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의 돌출 선단보다도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A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the GND block by protruding toward the front side to insert the substrate from the protruding end of the core conductor.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기판 지지부에 연속하며, Continuous to the guide portion,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이 상기 상대 이동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되는 높이로부터 벗어나는 경사면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the inclined surface of which the front side into which the board is inserted is deviated from the height at which the core conductor protrudes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is configur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상대 이동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The relay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an isosceles triangle having a 90 ° vertex angle when viewed from the core conductor side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에 배치한 프레임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반대측에 누름 레버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8. The push lev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ush lever is pivotably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ain block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member by a frame disposed on the main block. 상기 누름 레버의 제1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 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에 가압 이동시켜 상기 조작 부재를 가압 상태로 하고, The operation member is pressed in the main block sid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t the first swing position of the push lever to bring the operation member into a pressurized state, 상기 누름 레버의 제2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여 해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a release state for releasing the pressing of the operation member at the second swinging position of the push lever. 제15항에 있어서,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고정하고, 복수대의 상기 중계 커넥터의 상기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1장의 상기 기판의 변부를 삽입할 수 있고, 1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plurality of relay connectors are fixed to one pedestal, and one edge of the substrat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of the relay connector and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삽입된 상기 기판의 상기 변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자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를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And the core conductors of the coaxial connector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plurality of terminal electrodes provided at the surface ends of the edge portions of the inserted substrate, respectively. 제1 면, 상기 제1면에 반대측의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통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가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가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게, 상기 동축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도전성의 제1 블록,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extend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protrudes from the first surface, thereby causing the coaxial A conductive first block compris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coaxial connector is inserted such that the outer GND of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그 양면에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각각 형성된 기판을 배치할 수 있는 제3 면을 구비하는 도전성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A conductive second block having a third surface on which the substrate hav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formed thereon can be disposed;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 사이의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치수를 변경하도록 상기 제1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may be configured to change a dimens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core conductor protruding from the first face of the first block and the third face of the second block. Ar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에 접촉되게, 상기 공간 내에 배치 가능한 것인 중계 커넥터.And the substrate is disposed in the space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contacts the core conductor of the coaxial connector and the second terminal contacts the third surface of the second block.
KR1020070128540A 2006-12-11 2007-12-11 Relay connector KR1014252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33086 2006-12-11
JP2006333086 2006-12-11
JPJP-P-2007-00286924 2007-11-05
JP2007286924A JP4916024B2 (en) 2006-12-11 2007-11-05 Relay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910A true KR20080053910A (en) 2008-06-16
KR101425225B1 KR101425225B1 (en) 2014-07-31

Family

ID=3951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540A KR101425225B1 (en) 2006-12-11 2007-12-11 Relay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6024B2 (en)
KR (1) KR101425225B1 (en)
CN (1) CN101202403B (en)
TW (1) TWI41682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986A (en) * 2008-11-20 2010-05-28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Relay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1014B2 (en) 2009-01-28 2013-07-17 株式会社ヨコオ Relay connector
JP5229956B2 (en) 2009-02-03 2013-07-03 株式会社ヨコオ Relay connector fixing structure
KR102355289B1 (en) 2020-02-27 2022-01-25 주식회사 센서뷰 Connector assembly coupled to a side of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30Y2 (en) * 1986-03-03 1991-03-20
JPH0692417B2 (en) * 1986-10-29 1994-11-16 ファイザ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6- (1-carbamoyl-1-hydroxymethyl) penicillanic acid derivative
JPS644083A (en) * 1987-06-25 1989-01-09 Sanyo Electric Co Photovoltaic device
JPH0350629Y2 (en) * 1987-06-26 1991-10-29
US5017865A (en) * 1989-06-07 1991-05-21 Wiltron Company Coaxial microwave device test fixture
US4995815A (en) * 1990-02-26 1991-02-26 At&T Bell Laboratories Coaxial transmission line to strip line coupler
DE4300177C2 (en) * 1993-01-07 1996-05-02 Rose Walter Gmbh & Co Kg Connection and branch sleeve for coaxial cables or the like
JPH078961U (en) * 1993-07-14 1995-02-07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Coaxial cable connector
US5909063A (en) * 1996-12-30 1999-06-0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witchable or automatically terminating connecting device and combination thereof
US5997314A (en) * 1997-12-15 1999-12-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ual purpose connection for interface with an antenna or connection interface
US6007347A (en) * 1998-05-20 1999-12-28 Tektronix, Inc. Coaxial cable to microstrip connection and method
JP2001052819A (en) * 1999-08-16 2001-02-2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High frequency connector with flange
CN2481019Y (en) * 2001-05-16 2002-03-06 四川省中光高技术研究所 Coaxial adapter
JP4050582B2 (en) * 2002-09-19 2008-02-20 株式会社ヨコオ Clip-type relay connector
JP4053950B2 (en) * 2003-08-08 2008-0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axial connector, and connector and notebook computer use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986A (en) * 2008-11-20 2010-05-28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Relay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38058A (en) 2008-09-16
CN101202403A (en) 2008-06-18
JP2008171801A (en) 2008-07-24
KR101425225B1 (en) 2014-07-31
TWI416825B (en) 2013-11-21
CN101202403B (en) 2011-07-06
JP4916024B2 (en)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886B1 (en) Spring-operated plug terminal
US6776624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7306494B2 (en) Connector
US20120115345A1 (en) Connector assemblies having moveable mating arrays and power connectors
US5145416A (en) Jack assembly
JPS6313288A (en) Zero insertion card edge connector
JP2000133353A (en) Intermediate electric connector
KR20080053910A (en) Relay connector
JPH0254632B2 (en)
US7484999B2 (en) Relay connector
JP5004233B2 (en) Relay connector
US1013516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dependently biasable conducting terminals
KR101500577B1 (en) Electric connector for a power cable
US7887340B2 (en) Fix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JP5241014B2 (en) Relay connector
US8011953B2 (en) Relay connector
JP307649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C card
WO2023058274A1 (en) Impedance adjustment method and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JP3002163B2 (en) Screwless terminals and terminal blocks
JPH11353955A (en) Flat cable terminal structure and connector for connecting same
JP4117827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CA2029630A1 (en) Ja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