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627A -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방법, 어셈블리,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방법, 어셈블리,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627A
KR20080052627A KR1020087007801A KR20087007801A KR20080052627A KR 20080052627 A KR20080052627 A KR 20080052627A KR 1020087007801 A KR1020087007801 A KR 1020087007801A KR 20087007801 A KR20087007801 A KR 20087007801A KR 20080052627 A KR20080052627 A KR 20080052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ing
network
storage medium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095B1 (ko
Inventor
파벨 도스탈
피트르 고타르드
코르넬리아 카플러
라이너 립하르트
에르빈 포스트만
모르텐 슈라이게르
디 초우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5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 노드(12; 22; 32)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액세스 노드(14; 24; 34)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노드(14; 24; 34)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되고 또한 메모리 노드(26)의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어 있는 신원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된 신원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페이싱 메시지가 액세스 노드(14; 24; 34)로부터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된 주소에 의해서 정해지는 콘택 노드(13; 23; 33)에 전송되는 단계;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콘택 노드(12; 22; 32)를 통해서 액세스 노드(14; 24; 34)에 제공하여,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인터페이싱을 실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저장 매체(15; 25; 35; 45)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 어셈블리, 및 저장 매체{METHOD, ASSEMBLY, AND STORAGE MEDIUM FOR INTERFACING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 ACCESS NODE WIT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ENCOMPASSING A CONTACT NODE}
본 발명은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테면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 같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www.3gpp.org)에 따른 예컨대 제 3세대 모바일의 이동 무선 네트워크들은, 개별적인 단말기들이 예컨대 소위 UTRAN(UMTS)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그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소위 코어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싱되도록, 본래 설계되었다. 그러나, 그 동안에, 다른 타입들의 통신 네트워크들이 3GPP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될 수 있고, 따라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작을 조종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동안에 3GPP 이동 무선 네트워크들은 예컨대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지원한다. 이와 관련해서, 예컨대 WLAN 액세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아래의 문장에서는, 어떠한 제약없이 네트워크 운영자들로도 지칭될 것임)는 3GPP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와 상이할 수 있는데, 즉, 액세스 네트워크로서 기능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와 3GPP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동일할 필요가 없다.
문헌 "3GPP TS 23.234 V6.5.0(2005-06)"(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3GPP System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 Interworking; System Description (Release 6))에는 WLAN 액세스 네트워크와 3GPP 시스템, 즉, 3GPP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이 명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WLAN 및 로컬적으로 인터페이싱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3GPP 시스템을 통해서 인증되고 허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가 정의되어 있다. 또한, WLAN의 단말기들로 하여금 3GPP 시스템을 통해서 예컨대 제 3세대 이동 무선 네트워크들, 회사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외부 IP 네트워크들로의 접속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절차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설명된 구조에 따르면, WLAN 액세스 네트워크는 Wa 인터페이스로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소위 3GPP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및 Accounting) 서버와 인터페이싱한다. 서버의 이름에 따라서, 허가(즉, 특정 서비스 또는 특정 기능을 사용하도록 허용될 허가의 증명)를 위해서 인증(즉, 신원 증 명 및 신원 검사)하기 위한 정보 및 요금 청구를 위한 정보가 본질적으로 Wa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전한 형태로 전송된다. 관련된 3GPP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소위 홈 네트워크인데, 즉, 이 네트워크의 운영자와 사용자 간에는 일반적으로 계약적인 관계가 존재하고, 사용자-특정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된다.
또한, Wn 인터페이스로 지칭되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가 WLAN 액세스 네트워크와, WLAN 내에 있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3GPP 홈 이동 무선 네트워크 간에 제공된다. Wn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WLAN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있는 단말기는 3GPP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소위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WAG)에 접속된다. 그 결과로, WLAN 단말기로부터 오는 임의의 데이터 트래픽은 소위 터널의 형태인 안전한 접속을 통해서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추가적으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DG)에 전달된다.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는 실질적인 터널 엔드포인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유동적이면서 간단한 방법을 명시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되는데, 상기 방법은 액세스 노드에 의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메모리 노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을 판독하거나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로부터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주소에 의해서 명시되는 콘택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콘택 노드를 통해서 상기 액세스 노드에 제공하여,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싱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그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액세스 노드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간에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그러한 선행조건이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패킷 데이터 전송 능력은 접속이 없이 설정되는데, 즉, 데이터 또는 음성의 회선-교환 전송의 관점에서는 어떠한 정적인 접속도 설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임의의 타입의 통신 네트워크를 임의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타입의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싱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을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메모리 노드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것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의 유동적인 구성을 제공하는데, 상기 콘택 노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콘택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저장 매체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출력된다.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에 특정된 신원과는 별도로,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의 주소가 저장 매체에 또한 저장된다. 이는 유리하게도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로 하여금 주소에 의해 명시되는 콘택 노드에 그 콘택 노드의 위치에 상관없이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단지 저장 매체나 또는 그 저장 매체에 저장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바람직하게는 콘택 노드 간에 제공된다. 이는 액세스 노드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콘택 노드에 의해서 직접 설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에, 콘택 노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싱 메시지가 어떤 네트워크에 전송될 것인지, 즉, 어떠한 네트워크 노드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마지막으로 제공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단지 갖는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따라서, 콘택 노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로부터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추가적인 시퀀스를 결정하는 한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싱에 항상 포함된다. 데이터 패킷 서비스를 액세스 노드에 즉시 제공하는 것과는 별도로, 콘택 노드는 수신되는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추가적인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추가적인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제 2 통신 네트워크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가 서로를 인증하고 또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허가를 실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상호 인증이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되는 신원이 실제로 정확하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는 수반되는 통신 네트워크들 간의 요금청구에 대해서 또는 상호 인증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암호화로 인한 데이터 전송의 안전성에 대해서 문제들을 방지한다. 게다가, 제 1 통신 네트워크는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실제로 허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유리하게 허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저장 매체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는 것과 관련한 데이터를 또한 포함하기 때문이다. 저장 매체에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는 것과 관련한 모든 데이터로 하여금 함께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성공적인 인증 이후에 안전한 데이터 접속으로서 설정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에 안전한 데이터 접속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차단이 방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데이터 접속은 통상적인 회선-교환 전화통신에 있어서는 접속이 아니지만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할 준비 및 가능성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안전한 데이터 접속이 소위 VPN(Virtual Private Network) 터널의 형태로 설정된다. VPN 터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방식으로 암호화되는 접속이 심지어 안전하지 않은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의 개입을 통해서도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심지어 인터넷의 개입을 통해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서, 데이터 패킷들이 인캡슐화되는데, 즉,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IPSec(IP Security) 또는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와 같은 VPN 기술이 이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에 완전하게 혹은 부분적으로는 무선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가 복잡한 유선-접속에 비해서 종종 더욱 유동적이고 간단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의 요구청구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인증 및 허가에 관련한 데이터의 전송과는 별도로, 요금청구 데이터를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컨대, 이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로 하여금 상응하는 요금청구가 실행될 수 있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요금청구-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가 제 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의 직접적인 접속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대신에, 상기 접속은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인터넷의 개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들이 제 2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들의 사용자들은 유리하게도 예컨대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및/또는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거나 및/또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에서 인증, 허가 및 요금청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단말기의 사용자에 특정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각각의 경우에 단말기들이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그들 고유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이러한 실시예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단말기들이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데 있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에 구성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대신에, 단말기들은 각각의 경우에 제 1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개별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에 대한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로부터 제 1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보다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의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 서비스들이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들과 제 1 통신 네트워크 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각각의 경우에 안전한 데이터 접속으로서 구성된다. 이는, 예컨대, IPSec(IP Security) 접속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및 완전성을 보호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단말기들이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들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에 구성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에 구성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단말기들이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해서 각각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결합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로의 개별적인 그리고 어쩌면 안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구성할 때, 또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는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의 임의의 패킷 데이터 트래픽, 즉,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기들에 들어가고 나오는 임의의 패킷 데이트 트래픽이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일부로서 구성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생기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들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제 2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신원을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자신들을 인증 및/또는 허가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이 실시예는 유리한데, 그 이유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보면 상기 실시예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기들에 의해 개시되는 임의의 활용, 즉, 제 1 통신 네트워크로 및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바로 직접 고려하는 것이나 또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것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비록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기들 사용자들 간의 직접적인 요금청구가 가능하지만, 그것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들이 자신들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자신들의 인증 및/또는 허가한다. 이는 단말기로부터 제 2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사용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요금청구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단말기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독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저장 매체는 단말기를 식별하고 또한 인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바람직하게 저장되는 SIM 카드이다. 3GPP 표준의 일부로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hip)로도 지칭되는 SIM 카드가 일반적으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으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인증 및 코드 일치를 위해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의 등록 동안에 사용되어진 루틴들과 파라미터들, 국제 이동 가입자 디렉토리 번호 MSISDN(Mobile Subscriber ISDN Number) 및 국제 이동 가입자 신원(IMSI)과 같은 모든 가입자-특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SIM 카드는 예컨대 소위 ISIM(IP Multimedia Services Identity Module)과 같은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액세스 노드가 자신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위치를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 방법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 방법이 콘택 노드에 의해서 이후에 고려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상기 콘택 노드에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택 노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또는 액세스 노드)의 현재 위치에 따라서,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를 바람직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에 미리 통보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다이내믹하게 인터페이싱되어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 변경 가능성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 2 통신 네트워크는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개입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인지가능하지 않거나 혹은 미리 결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통신 네트워크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예컨대 소위 파이어월(firewall) 또는 소위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서비스일 수 있다.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는 것은 제 2 통신 네트워크로 하여금 자신이 지원하지 않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어떤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제 1 통신 네트워크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 간의 협약이 인터페이싱의 일부로서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리 계약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오프라인을 통해 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발행된 스마트 카드, SIM 카드 또는 파일이 저장 매체로서 사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칩 카드 또는 집적 회로 카드(ICC)로도 지칭되는 스마트 카드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통상적으로 구비하는 인빌트 마이크로칩(inbuilt microchip)을 갖도록 플라스틱으로 통상 제작되는 카드이다.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들을 인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입의 스마트 카드에 대한 특정 실시예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된 두 하드웨어-기반 솔루션들의 대안으로서, 저장 매체는 파일의 형태로 또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카드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프트웨어-기반 솔루션이다. 그러나, 비록 파일이 저장 매체로서 사용되더라도, SIM 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를 사용할 때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정보가 비허가된 사람들에 의해서 조작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SIM 카드, 스마트 카드 또는 파일을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들이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고,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 중요하거나 혹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 간의 계약 관계에 있어 중요한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가 그 주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 실시예가 유리한데, 그 이유는 IP 주소들이 패킷 데이터의 전송 동안에 주소지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 그 주소는 또한 예컨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를 식별하고 또한 소위 DNS(Domain Name System) 방법에 의해서 IP 주소로 변환되는 논리적인 주소일 수 있다. 이는 콘택 노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서 논리적인 주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액세스 노드가 메모리 노드로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 실시예가 유리한데, 그 이유는 액세스 노드가 저장 매체에 직접 액세스함으로써, 별도의 메모리 노드에 대한 필요성 및 액세스 노드와 그 메모리 노드 간의 통신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제 1 통신 네트워크로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는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표준에 따라 고정 네트워크 및 이동 무선 네트워크 양쪽 모두일 수 있다. 그러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가 제 1 통신 네트워크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이다. 3GPP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제 1 통신 네트워크로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것이 이동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패킷-데이터-기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동 무선 표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준의 광범위한 분포 및 연관된 매우 많은 수의 사용자들 또는 단말기들로 인해서, 이러한 3GPP 표준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들이 세계의 많은 여러 나라들 및 지역들에 걸쳐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 2 통신 네트워크는 예컨대 블루투스 표준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standard)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제 2 통신 네트워크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들의 통신 네트워크들은 핫스폿들(hotspots)로도 종종 지칭되는 대부분의 가변적인 위치들 또는 핫존들(hot zones)로도 지칭되는 영역들에 있는 데이터 네트워크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들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레인지먼트에 대해서, 본 발명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유동적이고 간단한 어레인지먼트를 명시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의 목적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에 의해서 달성되는데,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를 식별하는 주소가 저장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메모리 노드를 구비하고, 액세스 노드가 상기 메모리 노드의 저장 매체로부터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을 판독 또는 수신하고 또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주소에 의해서 미리 결정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트 노드에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전송하고, 콘택 노드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액세스 노드에 제공함으로써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싱을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유리한데, 그 이유는 상기 어레인지먼트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다이내믹하면서 위치에 상관없는 인터페이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를 식별하는 주소가 메모리 노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는데 사용된다는 사실로 인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들을 인터페이싱하는 위치에 맞도록 된 제 1 및/또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정적인 구조, 및 그에 따라서 그 구조를 힘들게 변경할 필요없이 예컨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 변경을 배제할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싱의 비유동적인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저장 매체에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것이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상호적인 신원 검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제 1 통신 네트워크는 소위 기준들을 사용함으로써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바람직하게 인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적인 인증은 암호화된 형태로 두 통신 네트워크들 간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선행조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된다. 이러한 실시예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인터페이싱이 예컨대 인터넷을 개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 간의 직접적인 접속이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로 인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는 위치에 거의 상관없이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또한 단말기들이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나타난다. 이 어레인지먼트에서, 단말기들은 예컨대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서비스들 및/또는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들이 제 1 및/또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각 단말기의 인증 및/또는 허가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수단을 구비한다. 이는 유리한데, 그 이유는 메모리 노드의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단말기들을 인증 및/또는 허가하는 대안으로서, 각각의 단말기가 제 1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특히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직접 인증 및/또는 허가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저장 매체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발행된 스마트 카드, SIM 카드 또는 파일인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이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에 의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필요로 하는 파라미터들의 간단하면서 유동적인 발행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각 단말기를 위한 SIM 카드의 공지된 발행과 유사하게, 저장 매체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발행될 수 있고, 이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로 하여금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위치에 상관없이 그리고 유동적으로 인터페이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노드가 메모리 노드이다. 액세스 노드가 또한 메모리 노드로의 액세스를 처리하고 따라서 저장 매체로의 직접적인 액세스를 획득한다는 사실은 상기 어레인지먼트를 단순화시킨다. 액세스 노드 및 상기 액세스 노드와 메모리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제 1 통신 네트워크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인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GPP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제 1 통신 네트워크로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것이 고성능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로 하여금 제공될 수 있게 하는 제 3세대의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동 무선 표준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또한 제 2 통신 네트워크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standard)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인 방식으로 유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표준들에 따른 네트워크들이 패킷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들 및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한 액세스 기술들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그 저장 매체에 관해서, 본 발명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유동적이면서 간단한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저장 매체를 명시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목적은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의해서 달성되고,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를 식별하는 주소가 제 2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매체가 유리한데, 그 이유는 상기 저장 매체가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를 식별하는 주소 양쪽 모두로 하여금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정보가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판독되어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매체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앞선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것은 제 1 통신 네트워크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상호 신원 검사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매체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싱에 관한 것이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는 모든 데이터가 저장 매체 및 그에 따라서 중앙 위치에 바람직하게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발행된 SIM 카드, 스마트 카드 또는 파일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이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예시적인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매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3GPP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형태로 제 1 통신 네트워크(11)를 도시하고 있다. 대안으로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는 임의의 다른 고정 네트워크 또는 이동 무선 표준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제 1 통신 네트워크(11)는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및 Accounting)의 형태로 콘택 노드(12)를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의 타입에 따라, 콘택 노드(12)는 예컨대 다음의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WLAN 액세스 게이트웨이(WAG),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DG) 또는 GGSN(GPRS Gateway Support Node).
또한, 도 1은 어프로칭 메이저 이벤트(approaching major event)의 위치에 구성되어진 WLAN의 형태로 제 2 통신 네트워크(13)를 도시한다. 대안으로서, 제 2 통신 네트워크(13)는 WiMAX 표준 또는 3GPP 표준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개인 네트워크, PAN(personal area network), BAN(body area network) 또는 애드-혹 네트워크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개인 네트워크는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사용자의 여러 단말기들, 즉, 자신들의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여러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PAN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일반적으로 한 사용자의 여러 네트워크-인에이블 단말기들에 대한 명칭이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단말기들의 액세스는 이동 라우터의 기능을 조정하는 단말기들 중 하나를 통해 실행되고, 상기 단말기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 인증 및 허가를 위한 SIM 카드를 구비한 단말기들 중 단지 하나일 수 있다. BAN이란 용어는 데이터가 중앙 단말기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전송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사람 몸에 착용된 센서들 및 실행기들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들을 통해서 다이내믹하게 구성된 네트워크의 명칭이다.
제 2 통신 네트워크(13)는 소위 WLAN 액세스 포인트의 형태로 액세스 노드(14)를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액세스 노드(14)는 예컨대 제 2 통신 네트워크(13)의 타입에 따라서 다음가 같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또는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두 네트워크 운영자들의 네트워크 간의 게이트웨이, WLAN 액세스 라우터, 이동 라우터, 또는 액세스 노드의 기능을 조정하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의 액세스 노드(14)는 저장 매체(15)를 구비하는데, 즉, 동시에 메모리 노드로서 배치된다. 액세스 노드(14)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WLAN-인에이블 단말기(16 및 17), 즉, WLAN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배치되는 단말기들에 접속된다. 또한, 단말기(18)가 제 2 통신 네트워크(13)의 액세스 노드(14)에 간접적으로, 즉, 단말기(16)를 통해 인터페이싱되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단말기들(16 및 18)은 PAN(personal area network)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13) 내에서 함께 접속되는 동일 사용자의 두 단말기들이다. 그 결과, 단말기(16)와는 대조적으로 자신의 고유 SIM 카드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18)가 PAN 내에서 단말기(16)를 통해 WLAN에 또한 액세스할 수 있는데, 즉, WLAN-인에이블 단말기(16)가 이동 라우터, 즉,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을 조정한다. 전체적인 PAN에 있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대한 인증 및 허가는 단말기(16)를 통해서 발생한다. 이는 단말기(18) 및 단말기(16) 양쪽 모두로 하여금 제 2 통신 네트워크(13)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이 액세스 노드(14)가 제 2 통신 네트워크(13)에 특정된 신원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11)의 콘택 노드(12)의 주소를 저장 매체(15)로부터 먼저 판독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다음의 단계에서는, 액세스 노드(14)가 제 2 통신 네트워크(13)에 특정된 신원을 제 1 통신 네트워크(11)의 콘택 노드(12)의 주소에 인터페이싱 메시지의 형태 로 전송한다. 게다가, 액세스 노드(14)는 자신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콘택 노드(12)에 인터페이싱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그 위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의해 방출되고 또한 예컨대 이동 무선 셀의 신원(셀 ID로도 지칭됨), 위치 영역(라우팅 영역으로도 지칭됨) 또는 로컬 통신 네트워크의 신원에 의해서 제공되는 신호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싱 메시지에 기초해서, 콘택 노드(12)는 액세스 노드(14)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안으로서, 제 1 이동 무선 네트워크(11)의 콘택 노드(12)는 또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의한 인터페이싱 메시지의 추가적인 처리를 조정할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그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통신 네트워크(1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또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부분적으로나 또는 완전하게 무선으로 생성될 수 있는데, 즉, 무선 링크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콘택 노드(12)와 액세스 노드(14) 간에 상호 인증이 실행된다. 또한, 콘택 노드(12)는, 성공적인 인증에 의해서 검증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13)의 신원에 기초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13)가 제 1 통신 네트워크(11)와 인터페이싱하도록 허가(즉, 허용)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 따르면, 제공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인증 및 허가에 관련한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제 2 통신 네트워크(13)와 제 1 통신 네트워크(11) 간에 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게다가, 액세스 노드(14)는 단말기들(16, 17 및 18)에 관 련한 요금청구 메시지들을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서 콘택 노드(12)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콘택 노드(12)가 액세스 노드(14)로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다이내믹한 IP 주소를 상기 액세스 노드(14)에 할당한다. 그러나, 이는 액세스 노드(14)의 IP 주소가 정적으로 미리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만 필요하다.
자신들의 고유 SI 카드를 구비하고 또한 그것을 사용하길 원하는 단말기들(16 및 17)은 이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대해서 자신들을 인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액세스 노드(14)는 제공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서 상응하는 인증 메시지들을 콘택 노드(12)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6)와 함께 PAN을 형성하고 자신의 고유 SIM 카드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18)는 자신의 인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고유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안으로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대해서 단말기들(16, 17 및 18)의 인증(그리고 어쩌면 그에 따른 허가)이, 앞선 설명과는 대조적으로, 액세스 노드(14)의 저장 매체(15)에 의해서, 일반적으로나 또는 단말기들(16, 17 및 18)이 그들의 고유 SIM 카드들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통신 네트워크(13)의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 1 통신 네트워크(11)의 네트워크 운영자의 관점에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대해 단말기들(16, 17 및 18)에 의해서 야기되는 전체적인 패킷 데이터 트래픽을 책임진다. 따라서, 이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로부터 단말기들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전송되는 모든 패킷 데이터에 관련된다. 그 결과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의 네트워크 운영자는 제 2 통신 네트워크(13)의 네트워크 운영자와 상응하는 패킷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요금을 정한다. 이 경우에 단말기들(16, 17 및 18) 또는 그들의 사용자들에게 요금을 청구하는 것은 제 2 통신 네트워크(13)의 네트워크 운영자를 통해서만 발생한다.
원칙적으로는, 단말기들(16, 17 및 18) 중 일부만이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대해서 저장 매체(15)에 의해 자신들을 인증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단말기들 중 나머지는 콘택 노드(12)에 대해서 자신을 직접 인증한다.
IP 주소들이 여러 방식들을 통해 단말기들(16, 17 및 18)에 발행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액세스 노드(14)가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으로 지칭되는 서비스를 생성하는 것, 즉, 로컬 IP 주소들을 단말기들(16, 17 및 18)에 할당하는 것에 있다. 대안으로서, 단말기들(16, 17 및 18)은 액세스 노드(14)에 할당된 프리픽스(prefix)를 사용하여 그들 고유의 IP 주소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의해서 단말기들(16, 17 및 18)에 그들의 각 IP 주소들이 할당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른 방법 단계에서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13)가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의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13)에 제공되는지 여부 및 어쩌면 어떤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제공되는지를 협의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서비스는 예컨대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서비스, 파이어월(firewall) 서비스 또는 요금청구에 대한 특정 협의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들(16, 17 및 18)의 IP 주소에 기초해서 요금청구가 발생하는 것이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예컨대, PAN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 단말기들(16 및 18)에는 단말기(16)의 SIM 카드에 기초해서 요금청구가 될 수 있다. 이는 심지어 단말기들(16 및 18) 양쪽 모두가 각각의 경우에 그들의 고유 SIM 카드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들(16, 17 및 18)은 이제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대한 그들 고유의 안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거나 제 1 통신 네트워크(11)에 의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상응하는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 있어서는, 두 통신 네트워크들(11 및 12) 간에 이미 존재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완전히 독립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게다가, 단말기들(16, 17 및 18)은 또한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 2 통신 네트워크(13)를 통해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제 2 통신 네트워크(13)는 WLAN 대신에 전체적으로 PAN(personal area network)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PAN은 단말기들(16 및 18)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단말기(17) 및 액세스 노드(14)를 포함할 것이다. 액세스 노드(14)는 이 경우에 있어서 SIM 카드의 형태로 저장 모듈(15)을 구비하는 단말기일 것이다. 그 저장 모듈(15)은 이제 위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제 1 통신 네트워크(11)와 PAN을 인터페이싱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설명된 어레인지먼트 및 설명된 방법이 대부분의 가변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에 인터페이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과 유사하게, 예컨대 GPRS 표준과 같은 3GPP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형태인 제 1 통신 네트워크(21)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통신 네트워크(21)는 콘택 노드(22)를 구비한다. 게다가, 도 2는 액세스 노드(24)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23)를 나타낸다. 제 2 통신 네트워크(23)는 메이저 이벤트들을 구성하는데 있어 전문적인 회사에 속하는 WLAN이다. 이와 관련해서, 그 회사는 메이저 이벤트들에서 그의 서비스들 중 하나로서, WLAN 액세스 라우터의 형태인 액세스 노드(24)에 의해 3GPP 네트워크들에서 서비스들 및 인터넷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서는, 다수의 WLAN 액세스 포인트들이 WLAN 액세스 라우터에 일반적으로 접속된다. 예컨대 올림픽 게임 또는 세계 축구 챔피온쉽과 같은 메이저 이벤트들이 일반적으로 시간적으로 제한되고 변경된 장소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는 회사의 전체적인 WLAN이 그의 장소를 빈번하게 변경하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각각의 경우에 각 메이저 이벤트의 현재 장소에서 구성되기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설치 이후에는, 제 1 통신 네트워크(2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23)의 인터페이싱이 각각의 경우에 필요하다.
액세스 노드(24)는 제 1 통신 네트워크(21)에 직접 접속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제 1 통신 네트워크(2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23) 간의 접속이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간에 개입된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를 통해서 실행된다. 상기 중간에 개입된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는 이 경우에 인터넷이다. 따라서, 예컨대, DSL(Digital Subscriber Line) 접속이 제 2 통신 네트워크(23)의 액세 스 노드(24)로부터 제 1 통신 네트워크(21)의 콘택 노드(22)에 상기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21)의 네트워크 운영자들은 소위 로밍 협약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협약은 제 1 통신 네트워크(21)의 네트워크 운영자와 접촉하는 사용자들의 단말기들(27 및 28)로 하여금 상기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는 제 1 통신 네트워크(2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일반적으로 기초해서 단말기들(27 미 28)을 인증하고 허가한다.
만약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 및 제 1 통신 네트워크(21)의 네트워크 운영자들이 로밍 협약을 하지 않았다면, 대안으로서 제 2 통신 네트워크(23)의 네트워크 운영자가 상기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의 네트워크 운영자와의 접촉을 종료하여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23)로 하여금 상기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통신 네트워크(23)는 액세스 노드(24) 이외에도 메모리 노드(26)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23)는 메모리 노드(26)에 액세스한다. 액세스 노드(24)와 메모리 노드(26) 간에는 액세스 노드(24)로 하여금 저장 매체(2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접속이 존재하는데, 이는 제 1 통신 네트워크(2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23)의 인터페이싱을 필요로 한다.
제 1 통신 네트워크(2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23)의 인터페이싱 이후에, 단 말기들(27 및 28)은 제 2 통신 네트워크(23) 및 중간에 개입된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에 의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21)의 데이터 및/또는 서비스들을 액세스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무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WLAN 액세스 라우터인 액세스 노드(24)와 단말기(27) 간에 발생한다. 단말기(28)는 WLAN 액세스 포인트인 메모리 노드(26)를 통해서 액세스 노드(24)와 간접적으로 인터페이싱된다.
하나의 제 3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수의 제 3 통신 네트워크들이 설명된 방법에 의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23)와 인터페이싱되거나 또는 그것을 통해 인터페이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제 3 통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싱은 제 2 통신 네트워크(23)와 직접 실행될 수 있는데, 즉, 제 3 통신 네트워크가 제 2 통신 네트워크(23)의 콘택 노드에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전송한다. 게다가, 제 2 통신 네트워크(23)가 제 3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 중간에 개입된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의 기능을 조정하는 것, 즉, 제 3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노드가 이 경우에 제 2 통신 네트워크(23)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21)의 콘택 노드(22)에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예시적인 제 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 2 통신 네트워크(33)는 인터넷의 형태인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39)를 통해서 3GPP 표준에 따라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형태인 제 1 통신 네트워크(31)와 인터페이싱되는 것이 또한 확인된다. 실질적으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노드(34)가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39) 및 VPN 게이트웨이(38)를 통해서 AAA 서버의 형태로 배치된 콘택 노드(32)에 접속 된다. 보호되지 않는 공용의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39)가 제 1 통신 네트워크(39)와 제 2 통신 네트워크(33) 간에 접속되기 때문에, 액세스 노드(34)와 콘택 노드(32) 간의 데이터 전송은 VPN 터널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터널은 제 1 통신 네트워크(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33) 사이의 환경으로부터 차폐되어진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2와 관련한 앞선 설명과 유사하게, 이 VPN 접속은 예컨대 요금청구 관련 데이터를 시그널링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 있어서는, 예컨대 IPSec(IP Security) 또는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와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VPN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예컨대,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DTLS(Datagram TLS)가 안전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 2 통신 네트워크(33)가 AAA 서버의 형태인 콘택 노드(32)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31)와 인터페이싱된다. 제 1 통신 네트워크(33)의 저장 매체(35)에 저장되어진 콘택 노드(32)의 주소 및 저장 매체(35)에 또한 저장되어진 제 2 통신 네트워크(33)에 특정된 신원을 사용함으로써, 제 2 통신 네트워크(33)와 제 1 통신 네트워크(31) 간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이를 위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31)의 네트워크 운영자와 제 2 통신 네트워크(33)의 네트워크 운영자 간의 새로운 계약 협상이나 정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제 2 통신 네트워크(33)를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 매체(35)에 저장된다. VPN 클라이언트를 갖는 액세스 노드(34)와 VPN 게이트웨 이(38) 간에 VPN 접속이 구성되는 것은 단지 성공적인 인증 및 허가 이후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서, VPN 게이트웨이(38)는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콘택 노드(32)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통신 네트워크(33)의 단말기(37)는 액세스 노드(34)에 의해서 예컨대 WLAN 액세스 포인트의 형태인 네트워크 노드(36)를 통해서, AAA 서버로서 배치된 콘택 노드(32)에 대해 자신을 인증하고 허가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인증 및 허가가 발생하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 3에는 미도시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DG)와 단말기(37) 간에 예컨대 IPSec 터널의 형태로 VPN 터널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33) 간에 형성된 VPN 접속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리빙된 터널들(즉, 터널들 내의 터널들)의 발생을 유리하게 막는 별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암호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35)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는 예컨대 제 1 통신 네트워크(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33)에만 통보되는 공유된 시크리트(secret)나 또는 인증 및 암호화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기준들일 수 있다. 암호화는 대칭 및 비대칭적인 구성성분들을 갖는 방법에 따라서 또는 대칭 또는 비대칭적인 것으로서 정해지는 방법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통신 네트워크(33)는 또한 다수의 제 1 통신 네트워크들(31)로의 안전한 접속들을 동시에 구성할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상이한 네트워크 운영자들의 3GPP 이동 무선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매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저장 매체(45)를 SIM 카드의 형태로 나타낸다. 저장 매체(45)에는,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특정된 신원, 콘택 노드의 주소,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한 인증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가 파라미터들로서 저장된다.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한 추가적인 데이터는 예컨대 제 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들 간의 계약에 관련한 데이터 및/또는 네트워크 우선순위 및/또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Claims (36)

  1. 콘택 노드(12; 22; 32)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액세스 노드(14; 24; 34)를 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액세스 노드(14; 24; 34)에 의해서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메모리 노드(26)의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된 신원을 판독하거나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된 신원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액세스 노드(14; 24; 34)로부터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된 주소에 의해 명시되는 콘택 노드(13; 23; 33)에 전송하는 단계;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상기 콘택 노드(12; 22; 32)를 통해서 액세스 노드(14; 24; 34)에 제공하여,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인터페이싱을 실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 및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는 서로 인증하고,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는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허가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성공적인 인증 이후에 안전한 데이터 접속으로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한 데이터 접속이 소위 VPN(Virtual Private Network) 터널의 형태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 간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무선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 간의 요금청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 39)를 통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인터페이싱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서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이 동작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이 각각의 경우에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에 대한 자신들 고유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과 상기 제 1 통 신 네트워크(11; 21; 31) 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각각의 경우에 안전한 데이터 접속으로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은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 간에 구성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은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이동 무선 네트워크(13; 23; 33)의 신원에 의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에 대해 자신들을 인증 및/또는 허가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은 상기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의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 및/또는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대해 자신들을 인증 및/또는 허가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14; 24; 34)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제 1 통신 네트워크의 콘택 노드(12; 22; 32)에 자신의 현재 위치를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는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싱 방법.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발행된 스마트 카드, SIM 카드 또는 파일이 저장 매체(15; 25; 35; 45)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관련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가 상기 주소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14; 24; 34)가 메모리 노드(11; 21; 31)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가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22.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standard)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싱 방법.
  23.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를 인터 페이싱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로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1; 21; 31)는 저장 매체(15; 25; 35; 45)를 포함하는 메모리 노드(26)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 매체(15; 25; 35; 45)에는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된 신원 및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콘택 노드(12; 22; 32)를 식별하는 주소가 저장되고,
    액세스 노드(14; 24; 34)가 상기 메모리 노드(26)의 저장 매체(15; 25; 35; 45)로부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된 신원을 판독하거나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된 신원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페이싱 메시지를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된 주소에 의해서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미리 결정된 콘택 노드(12; 22; 32)에 전송하며,
    상기 콘택 노드(12; 22; 32)는 액세스 노드(14; 24; 34)에 대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구성하여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인터페이싱을 실행하도록 배치되는,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는,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는 적 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통신 네트워크(29; 39)를 통해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인터페이싱되는,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26. 제 23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이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16, 17, 18; 27, 28; 37)은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 및/또는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의한 상기 각 단말기의 인증 및/또는 허가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28. 제 23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15; 25; 35; 45)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발행되는 스마트 카드, SIM 카드 또는 파일인,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29. 제 23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관련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 는,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30. 제 23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노드(14; 24; 34)는 메모리 노드(26)인,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31. 제 23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네트워크인,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32. 제 23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standard)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인,
    인터페이싱 어레인지먼트.
  33.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와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특정된 신원 및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콘택 노드(22; 32; 42)를 식별하는 주소가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서 사용될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는,
    저장 매체.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에 의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는,
    저장 매체.
  35. 제 33항 또는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네트워크(13; 23; 33)에 관련한 추가적인 데이터가 저장 매체(15; 25; 35; 45)에 저장되는,
    저장 매체.
  36. 제 33항 내지 제 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15; 25; 35)는 제 1 통신 네트워크(11; 21; 31)의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발행되는 SIM 카드, 스마트 카드 또는 파일인,
    저장 매체.
KR1020087007801A 2005-09-02 2006-08-30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방법, 어셈블리, 및 저장 매체 KR101282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90254.3A EP1761082B1 (de) 2005-09-02 2005-09-02 Verfahren und anordnung zum anbinden eines zweiten kommunikationsnetzes mit einem zugangsknoten an ein erstes kommunikationsnetz mit einem kontaktknoten
EP05090254.3 2005-09-02
PCT/EP2006/065807 WO2007025981A1 (de) 2005-09-02 2006-08-30 Verfahren, anordnung und speichermedium zum anbinden eines zweiten kommunikationsnetzes mit einem zugangsknoten an ein erstes kommunikationsnetz mit einem kontaktkno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627A true KR20080052627A (ko) 2008-06-11
KR101282095B1 KR101282095B1 (ko) 2013-07-04

Family

ID=3584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801A KR101282095B1 (ko) 2005-09-02 2006-08-30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방법, 어셈블리,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74158B2 (ko)
EP (1) EP1761082B1 (ko)
KR (1) KR101282095B1 (ko)
CN (1) CN101300861B (ko)
WO (1) WO2007025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4253B2 (en) * 2006-10-19 2010-11-30 Future Di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enclosure for exchanging secure data
US9398453B2 (en) 2007-08-17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Ad hoc service provider's ability to provide service for a wireless network
US9392445B2 (en) 2007-08-17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at an ad-hoc mobile service provider
US20100197272A1 (en) * 2009-02-03 2010-08-05 Jeyhan Karaoguz Multiple Network, Shared Access Security Architecture Supporting Simultaneous Use Of Single SIM Multi-Radio Device And/Or Phone
US9179367B2 (en) 2009-05-2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aximizing service provider utility in a heterogeneous wireless ad-hoc network
JP4802263B2 (ja) * 2009-07-17 2011-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暗号化通信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CN102546321B (zh) * 2010-12-30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个人网业务处理方法、系统和个人网设备
US8695060B2 (en) 2011-10-10 2014-04-08 Openpeak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ecure applications
US20140219164A1 (en) * 2013-02-07 2014-08-07 David Sanders Hardware-Based Private Network Using WiMAX
US9730157B2 (en) * 2013-11-08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ssisted network detection for user equipment
JP6193185B2 (ja) * 2014-07-09 2017-09-06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71040A1 (en) 2014-09-05 2016-03-10 Openpeak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ata usage accounting through a relay
US9350818B2 (en) 2014-09-05 2016-05-24 Openpeak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ata usage accounting for unreliable transport communication
US9100390B1 (en) * 2014-09-05 2015-08-04 Openpeak Inc. Method and system for enrolling and authenticating computing devices for data usage accounting
US9232013B1 (en) 2014-09-05 2016-01-05 Openpeak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ata usage accounting
US8938547B1 (en) 2014-09-05 2015-01-20 Openpeak Inc. Method and system for data usage accounting in a computing device
US9712256B2 (en) * 2015-02-03 2017-07-1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media by using BAN
US9232078B1 (en) 2015-03-16 2016-01-05 Openpeak Inc. Method and system for data usage accounting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JP7402697B2 (ja) * 2020-01-17 2023-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2681C2 (de) * 1997-09-26 2003-03-06 Ericsson Telefon Ab L M GPRS-Teilnehmerauswahl von mehreren Internet-Dienstanbietern
AUPQ141199A0 (en) * 1999-07-05 1999-07-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rate adaptation between mobile stations through transit fixed network
US20030202521A1 (en) * 1999-09-10 2003-10-30 Theodore Havinis System and method for negotiation of multi-media capabilities across networks
US6687243B1 (en) * 1999-09-29 2004-02-0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in private and public network environments
KR100379382B1 (ko) * 1999-11-01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US7039025B1 (en) * 2000-09-29 2006-05-02 Siemen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in a private wireless network
US7392034B2 (en) * 2000-12-04 2008-06-24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a serving network element
KR100464017B1 (ko) * 2000-12-26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ip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전송장치
WO2002063901A1 (en) * 2001-02-06 2002-08-15 Nokia Corporation Access system for a cellular network
KR100420265B1 (ko) * 2001-11-15 2004-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인터넷 망간 접속 방법
KR100464376B1 (ko) * 2001-12-10 200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20050201342A1 (en) * 2002-03-27 2005-09-15 Randy Wilkinson Wireless access point network and management protocol
JP4056849B2 (ja) * 2002-08-09 2008-03-05 富士通株式会社 仮想閉域網システム
CN1279780C (zh) * 2003-06-26 2006-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区域变化类位置信息请求的处理方法
EP1638261A1 (en) * 2004-09-16 2006-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figuring connection parameters in a handover between acc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095B1 (ko) 2013-07-04
CN101300861A (zh) 2008-11-05
EP1761082A1 (de) 2007-03-07
US20090219899A1 (en) 2009-09-03
US8374158B2 (en) 2013-02-12
WO2007025981A1 (de) 2007-03-08
CN101300861B (zh) 2014-12-17
EP1761082B1 (de) 201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095B1 (ko) 콘택 노드를 포함하는 제 1 통신 네트워크와 액세스 노드를포함하는 제 2 통신 네트워크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방법, 어셈블리, 및 저장 매체
US9445272B2 (en) Authentication in heterogeneous IP networks
RU230485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соединения через сеть доступа
JP4832756B2 (ja) Wlanローミングの間にgsm認証を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500223B1 (en) Transitive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in interworking between access networks
JP5199405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
JP4999884B2 (ja) 移動端末
EP1770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network
KR100935421B1 (ko)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키 분배를 위한 일반 인증아키텍처의 이용
KR101195053B1 (ko) Uicc 없는 호출들을 지원
US8261078B2 (en) Access to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RU2349057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оуминга cdma2000/gprs
JP2007508614A5 (ko)
JP2004266310A (ja) Wlan相互接続におけるサービス及びアドレス管理方法
EP1955513B1 (en)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ccess of a client terminal, which is non-compliant with the protocol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S2616499T3 (es) Aparatos y método para autenticación en redes de IP heterogéneas
Laurent-Maknavicius et al. Sécurité inter-domaine pour la mobilité IPV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