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034A -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034A
KR20080051034A KR1020070102611A KR20070102611A KR20080051034A KR 20080051034 A KR20080051034 A KR 20080051034A KR 1020070102611 A KR1020070102611 A KR 1020070102611A KR 20070102611 A KR20070102611 A KR 20070102611A KR 20080051034 A KR20080051034 A KR 2008005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home subscriber
subscriber server
ro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7046B1 (ko
Inventor
윤미영
문정모
노현석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5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5Temporary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과 다이어미터(Diameter) 이동 IP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해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구성 요소들과 연동될 수 있고, 다른 이동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 세션에 대한 관리와 라우팅 경로의 설정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성 관리수단과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관리하는 라우팅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망 등록 요청을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했던 이전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션 재설정을 위한 이동 IP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홈 가입자 서버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동 IP 등록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세대, WCDMA, LTE, 차세대, 패킷, 기반, 이동, 통신, 로밍, 인터넷

Description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 로밍 방법{Roaming Method between the Packet based on System and 3GPP System}
본 발명은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2/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과 다이어미터(Diameter) 이동 IP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해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구성 요소들과 연동될 수 있고, 다른 이동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 세션에 대한 관리와 라우팅 경로의 설정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로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SAE(Service Architecture Evolution)에서 논의되는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다이어미터(Diameter)는 이동 인터넷 및 이동 IP 가입자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기술 중에서 최근에 제안되고 있는 정보 보호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404-32, 과 제명: 3G Evolution 단말 기술 개발].
현재 3GPP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음성 서비스의 경우 무선 자원을 한 번 할당받으면,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해당 단말만이 사용하는 서킷 스위치(Circuit Switched)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3GPP에서는 이와 같은 서킷 스위치 방식에 기반한 3세대 WCDMA 시스템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패킷 서비스 기반의 LTE 시스템에 대한 규격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다시 말해, 서킷 스위치 방식의 자원 사용에 대한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킷 스위치 방식을 패킷 스위치(Packet Switch) 방식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패킷 기반 차세대 시스템은 2010년 정도의 상용화를 목표로 해서 100Mbps 정도의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현재 패킷 기반 차세대 시스템은 그 전송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OFDMA 방식은 코드를 할당하여 각 단말들을 위한 무선자원을 구별하는 CDMA 방식과 달리, 주파수와 시간으로 구별되는 2차원 구조의 무선 자원을 가지고 있다. 즉, OFDMA 방식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물리 채널에 대해 시간과 주파수로 구성된 무선 자원을 나누어 송신하게 되며, 무선 자원은 송신 주기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와 부반송파(sub carrier) 그룹으로 나누어진 무선 자원 블록을 사용한다. 이러한 무선 자원을 구성 하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0.5 millisecond 크기의 슬롯(또는 TTI)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10 millisecond의 무선 프레임의 경우에는 20개의 슬롯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패킷 스위치 방식은 무선 자원을 특정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단말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패킷 스위치 방식은 데이터의 송수신 필요 유무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되는 단말의 무선 채널 상황에 따라 무선 자원이 할당될 단말이 선택된다는 점에서 무선 자원 사용의 효율성이 서킷 스위치 방식에 비해 높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현재 논의 중인 패킷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LTE 시스템)과 기존 2/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로밍을 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안되고 있다.
유휴(idle) 모드의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이 이동 또는 다른 이유로 셀에 대한 재선택의 과정에서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과 2/3G 이동통신망 사이의 로밍이 발생할 때,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정보 및 베어러에 대한 라우팅 변경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로밍을 위한 후보 시나리오에는 기존의 UMTS/GPRS의 로밍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UE)의 로밍 시,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에 사용자 단말(UE)의 이동 사건을 등록하고, 새로운 라우팅 경로를 기존의 GTP를 이용하여 터널을 재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도통신망과 2/3G 이동통신망과의 연동을 루즈(loose)한 방식으로 정의하여, 두 망사이의 연결을 이동(Mobile) IP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각각의 망을 하나의 도메인으로 정의하고, 이 도메인 내부의 이동은 NETLMM같은 지역성을 가지는 이동성 관리 방법으로 관리하고, 도메인 사이의 로밍에 대해서는 이동 IP를 이용하여 라우팅 경로에 대한 재설정을 관리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두 번째 로밍 방법은, 세션에 대한 관리가 기존 3GPP 방식을 이용하여 홈 가입자 서버(HSS)와 연동하여 이루어지고, 라우팅 경로의 변경시에만 이동 IP를 이용하여 새로운 라우팅 경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두 번째 로밍 방식은 세션 관리와 라우팅 경로 관리가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이 다른 무선 시스템과 로밍 시, 그 과정이 복잡하게 되고, 로밍이 원활히 수행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과 다이어미터(Diameter) 이동 IP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해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구성 요소들과 연동될 수 있고, 다른 이동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 세션에 대한 관리와 라우팅 경로의 설정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로밍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방법은, 이동성 관리수단과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관리하는 라우팅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망 등록 요청을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했던 이전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션 재설정을 위한 이동 IP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홈 가입자 서버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동 IP 등록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방법은, 이동성 관리수단과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관리하는 라우팅 관리수단과,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를 포함하는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이동성 관리수단으로부터 망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인증 성공에 따라 상기 이동성 관리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우터 광고 메시지가 전송되고,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라우팅 관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세션 재설정을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라우팅 정보 변경을 위해, 이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서버로 라우팅 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c) 단계에 따라 라우팅 정보의 변경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라우팅 관리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과 다이어미터(Diameter) 이동 IP 응용 프로토콜을 이용해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구성 요소들과 연동될 수 있고, 향후 무선 인터넷 시스템이나 3G 이동통신 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 세션에 대한 관리와 라우팅 경로의 설정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과 2/3G 이동통신망이 혼재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2/3G 이동통신망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UE)(101)과, 사용자 단말(UE)들을 무선 구간에서 제어하는 노드(node) B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102)과, 무선 접속망(RAN)과 연동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GGSN(Gateway GPRS Support Node)(103)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HSS)(104)를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RAN)(102)은 기존의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한 기지국 전송기(RTS: Radio Transceiver Subsystem)와 무선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RAN)(102)은 사용자 단말(101)로부터의 통신 요청 신호,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 및 업로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SGSN(103)으로 전송하고, SGSN(103)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는 3GPP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을 WCDMA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과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기지국 전송기는 3GPP 무선 접속 규격에서 노드(Node) B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무선 제어국(RNC)는 유무선 채널 관리, 사용자 단말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 처리, 핵심망(Core Network)과의 프로토콜 정합,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는 GPRS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발신 및 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은 GPRS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세션을 관리하며,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WCDMA와 인터넷망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홈 가입자 서버(HSS)(104)는 사용자 단말의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사용자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LTE)망은 사용자 단말을 무선 구간에서 제어하기 위한 E-node B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망(RAN)(105)과,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드로 세션 관리를 위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관리하는 사용자 평면 장비(UPE: User Plane Equipment)(106)를 포함한다. MME/UPE(106)는 이동 IP의 FA의 기능을 가진다. MME/UPE(106)는 2G/3G 이동통신망과 LTE 이동통신망과 이동성 제공을 위해 접속 시스템간 앵커(IASA: Inter Access System Anchor)(107)와 연동하여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을 제어한다.
상기 IASA(107)는 자체 내부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또한 개방형 프로토콜인 이동 IP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IASA(107)는 이동 IP의 HA의 기능을 수행한다. 2/3G 이동통신망과 LTE 이동통신망 사이의 로밍 시, 사용자 인증은 홈 가입자 서버(HSS)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3G 이동통신망과 LTE 이동통신망 간의 로밍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UE)과 무선 접속망(RAN) 사이의 무선 구간에 대한 처리 과정은 일반적인 규격을 따르면,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UE)은 2G/3G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있고, 유휴 상태로 있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UE)은 규칙적으로 셀의 상태를 감시하고 새로운 셀을 검사한다. 사용자 단말(UE)이 새로운 셀로 LTE 이동통신망에 있는 셀을 발견하고, 사용자 단말(UE)은 내부 정책이나 무선 상태의 변경의 이유로 인하여 LTE 이동통신망으로 접속망을 변경하기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UE)은 LTE 이동통신망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LTE 망의 MME/UPE로 망 등록을 요청한다(201). 이때 사용자 단말은 이전 망에서 할당받았 던 임시 식별자 및 이전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MME/UPE로 전송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는 사용자 단말의 망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시스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이 이전에 접속했던 SGSN을 찾는다. 그리고 MME는 찾은 SGSN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임시 식별자를 전송한다(202).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유휴 상태를 관리하고 있던 SGSN은 해당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포함하는 IP 베어러 정보인 사용자 단말 컨텍스트를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 반환한다(203).
사용자 단말이 이전에 접속하고 있던 SGSN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컨텍스트를 전달받은 MME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및 홈 가입자 서버(HSS)와 연동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205).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은 통상의 기술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UPE는 라우터 광고 메시지인 에이전트 광고(Agent advertisement) 메시지에 랜덤 값인 챌린지(challenge)를 포함시켜 전송한다(205).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UE)은 라우팅 경로와 세션에 대한 재설정을 위하여 이동 IP 등록 요청(Mobile IP Registration Request)메시지를 UPE로 전송한다(206). 상기 이동 IP 등록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UPE는 수신된 이동 IP 등록 요청 메시지의 사용자 NAI를 기반으로 홈 가입자 서버(HSS)를 결정하고, 결정된 홈 가입자 서버로 수신된 이동 IP 등록 요청 메시지 의 정보를 가지고 다이어미터(Diameter) 이동 IP 응용 메시지인 AA-MobileNode-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여 홈 가입자 서버(HSS)로 전송한다(207).
홈 가입자 서버(HSS)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하면, 접속 시스템간 앵커(IASA)로 홈 에이전트 이동 IP 요청(Home-Agent-MIP-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라우팅 정보의 변경을 요청한다(208).
접속 시스템간 앵커(IASA)는 라우팅 경로를 새로운 UPE로 변경하고, 응답으로 홈 에이전트 이동 IP 응답(Home-Agent-MIP-Answer)을 반환한다(209). 홈 가입자 서버(HSS)는 홈 에이전트 이동 IP 응답(Home-Agent-MIP-Answer)을 수신하고, 결과값을 AA-MobileNode-Answer 메시지로 만들어 UPE로 반환한다(210).
UPE는 홈 가입자 서버(HSS)로부터 전달된 AA-MobileNode-Answer 메시지에서 이동 IP 등록 응답 부분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을 등록한다(211).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세션과 라우팅 경로의 변경이 이루어진다.
한편, 홈 가입자 서버(HSS)는 이전 세션 정보의 삭제를 위하여 이전 GGSN으로 세션 삭제를 요청하는 Abort-Session-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212). GGSN은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Abort-Session-Answer 메시지를 홈 가입자 서버(HSS)로 반환한다(213).
GGSN는 이전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삭제를 위해 세션 삭제를 요청하는 Session-Termination-Request 메시지를 홈 가입자 서버(HSS)로 전송한다(214). 홈 가입자 서버(HSS)는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전 세션 정보를 삭제하 고 삭제된 결과값을 Session-Termination-Answer 메시지로 하여 GGSN으로 반환한다(21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과 2세대/3세대 이동통신망이 혼재된 망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의 로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8)

  1. 이동성 관리수단과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관리하는 라우팅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망 등록 요청을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했던 이전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우터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세션 재설정을 위한 이동 IP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홈 가입자 서버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동 IP 등록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후, 상기 이동성 관리수단이 상기 홈 가입자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동성 관리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했던 이전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임시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IP 베어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망 등록 요청에는 이전 시스템으로부터 할당받은 임시 식별자와 이전 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라우터 광고 메시지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에 랜덤 값인 챌린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방법.
  6. 이동성 관리수단과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 경로를 관리하는 라우팅 관리수단과,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를 포함하는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이동성 관리수단으로부터 망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인증 성공에 따라 상기 이동성 관리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라우터 광고 메시지가 전송되고,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라우팅 관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세션 재설정을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라우팅 정보 변경을 위해, 이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서버로 라우팅 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상기 (c) 단계에 따라 라우팅 정보의 변경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라우팅 관리수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라우팅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밍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상기 홈 가입자 서버가 이전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전 세션에 대한 삭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라우터 광고 메시지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에 랜덤 값인 챌린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방법.
KR1020070102611A 2006-12-04 2007-10-11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KR100937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273 2006-12-04
KR20060121273 2006-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034A true KR20080051034A (ko) 2008-06-10
KR100937046B1 KR100937046B1 (ko) 2010-01-15

Family

ID=3980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611A KR100937046B1 (ko) 2006-12-04 2007-10-11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0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8832B (fi) * 1999-03-09 2002-03-28 Nokia Corp IP-reitityksen optimointi accessverkossa
US7457265B2 (en) 2001-06-13 2008-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high data 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470071B1 (ko) * 2002-12-23 2005-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망간 연동 시스템의 통합정보 관리기능을 가지는인증 서버 장치
KR100770848B1 (ko) * 2003-11-06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아이피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046B1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436B1 (ko) 네트워크 공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선택한 코어 네트워크오퍼레이터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통지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70955B1 (ko)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및 선택된 공공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와의 통신 방법
US6970452B2 (en) Common subscrib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functional modeling of a common subscriber server for use in an ALL-IP network and method therefor
US8644247B2 (en) Inter-system handoffs in multi-access environments
US8520584B2 (en) Data over signaling (DOS) optimization over wireless access networks
EP1829413B1 (en) A default subscription profile for a roaming terminal device in a packet data 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073933A1 (en) Inter-system handoffs in multi-access environments
US20050130659A1 (en) Method for optimizing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US8155086B2 (en) Handover method between systems of multi-mode terminal
JP2004519179A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間のハンドオーバーをサポートする方法
US2010020869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core network, user equipment, and program
US84831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US7792078B2 (en) Forwarding a terminal identity between core network nodes
KR100968093B1 (ko) 휴면 데이터 세션 동안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데이터접속을 유지하는 방법
KR20150035143A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2850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게이트웨이 서비스 방법 및 망 연동 장치
US20100118774A1 (en) Method for changing radio channels, composed network and access router
KR100623291B1 (ko) 씨디엠에이 2000과 휴대인터넷 망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KR20020058405A (ko)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 망에서의 패킷 전용 단말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KR20010091168A (ko)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망에서 통합 가입자 서버의 기능적모델링을 통한 통합 가입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937046B1 (ko)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KR100623292B1 (ko) 휴대 인터넷망에서 씨디엠에이 2000 망으로의 핸드오프 방법
EP1322130B1 (en) A terminal-based service identification mechanism
KR102362560B1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03055237A2 (en) A terminal-based service identificat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