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765A -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765A
KR20080050765A KR1020060121447A KR20060121447A KR20080050765A KR 20080050765 A KR20080050765 A KR 20080050765A KR 1020060121447 A KR1020060121447 A KR 1020060121447A KR 20060121447 A KR20060121447 A KR 20060121447A KR 20080050765 A KR20080050765 A KR 2008005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panel
enlarged
pixels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7386B1 (en
Inventor
홍형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386B1/en
Publication of KR2008005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3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Abstract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xpanded image is provided to offer an image of higher quality by removing a phenomenon in which a specific color is strongly recognized and a color of the entire image is distorted. A plurality of image pixels are arranged in a display panel(120). A visual field generating unit(130), disposed in a front and a rear of the display panel, generates a plurality of visual field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he image pixels. The first reflection unit(150a) is disposed in the first side end selected among all directions of the display panel. The first reflection unit reflects the second image among a plurality of images to the same visual field as the first image among images displayed by a plurality of the image pixels.

Description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

도 1은 일반적인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general parallax barrier type video display device.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4배 확대된 영상표시장치와, 이에 포함되는 시역생성부의 구조와, 관측자가 인지하는 표시패널 및 가상표시패널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A to 2C schematically illustrate an image display apparatus 4 times enlarg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of a viewing unit included therein, and shapes of a display panel and a virtual display panel perceived by an observer. Drawing.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응용하여 6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D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n image enlarged 6 times by apply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e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응용하여 9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E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n image magnified 9 times by apply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a의 표시패널 및 시역생성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viewing unit of FIG. 2A.

도 4a 및 도 4b는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시역생성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A and 4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structures of an enlarge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view generation unit included there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도 4a의 표시패널 및 시역생성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이 다.FIG. 5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viewing unit of FIG. 4A.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 및 시역생성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display panel and a view generation unit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영상표시장치 120 : 표시패널100: image display device 120: display panel

130 : 시역생성부 150a,b : 제1, 제2 반사부130: viewing generation unit 150a, b: first and second reflecting uni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보다 큰 면적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larger area than the display panel.

일반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이 실제로 표시되는 표시패널과 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표시패널에는 2차원 매트릭스 형태의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하고자 하는 하나의 영상을 각 화소단위로 세분하여 표시패널을 통해 하나의 화면을 표시한다.In general,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includes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actually displayed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image, and a plurality of pixels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atrix ar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Such an image display device subdivides one image to be displayed in each pixel unit and displays one screen through the display panel.

상기의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구현소자의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시야각 특성을 갖는다.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표시패널에 구비되는 액정층을 통과한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시야각에 따라 액정층을 통과한 빛의 경로 가 달라지므로 특정 시야각 이상에서는 원하는 영상과는 다른 영상이 표시되기도 한다.Each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has different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implementation elements of the display pan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 image is displayed by us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Since a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varies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an image different from the desired image may be different from a desired viewing angle. It may be displayed.

최근에는 표시패널과 관측자 사이에 특정되는 위치별로 장벽(Barrier)을 구성하여 시야각에 따라 장벽 사이로 보이는 화소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시야각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가 달라지고 시야각에 따라 서로 다른 시역(Viewing zone)을 형성하는 장벽 방식 영상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벽 방식 영상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시역에 기여하는 화소는 서로 다르며, 이들 화소로 서로 다른 영상신호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서, 서로 다른 시역에서는 서로 다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Recently, barriers are formed for each position specifi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observer, so that the pixels viewed between the barrier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The pixels displaying the image var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different viewing area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Barrier-type image display apparatuses for forming a viewing zone have been proposed. Such a barrier type image display device may display pixel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contribute to different viewing areas, and display different image signals with these pixels, so that different images may be displayed at different viewing areas.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특성을 3차원(3-Dimension) 영상구현에 적용한 3차원 영상표시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두 눈의 스테레오(Stereo) 시각원리에 의한다.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re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image implementation, which is based on the stereo visual principle of two eyes.

두 눈의 시차, 다시 말하면 약 65mm 떨어져 존재하는 두 눈 사이의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는 바라보는 객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좌우 눈이 각각 연관된 평면영상을 볼 경우에 뇌는 이들 서로 다른 두 영상을 융합하여 3차원 영상 본래의 깊이감과 실재감을 재현할 수 있다.The parallax between two eyes, that is, the binocular parallax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wo eyes that are about 65mm apar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 object look three-dimensional. Fusion of these two different images can reproduce the original depth and reality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이러한 3차원 표시방법 중, 좌/우안용 스테레오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관측자 사이에, 스트라이프(Strip)형태의 개구부와 배리어(Barrier)를 배치하여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Among these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s, a parallax barrier (Parallax) that allows a viewer to feel three-dimensional by arranging a stripe-shaped opening and a barrier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viewer that simultaneously display left and right stereo images. barrier).

도 1은 일반적인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general parallax barrier type video display device.

도면을 참조하면,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영상표시장치(1)는 좌우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패널(2)과 패럴랙스 배리어(3)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arallax barrier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1 includes a display panel 2 and a parallax barrier 3 that simultaneously display left and right images.

표시패널(2)에는 좌안용 영상을 표시하는 좌안 화소(L)와 우안용 영상을 표시하는 우안 화소(R)가 번갈아 정의되어 있고, 패럴랙스 배리어(3)는 표시패널(2)과 관측자(4)사이에 배치된다. 패럴랙스 배리어(3)에는 좌/우안 화소(L,R)로부터 나오는 빛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개구부(6)와 배리어(8)가 관측자에 대해 세로방향을 향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있다.The display panel 2 alternately defines a left eye pixel L for display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pixel R for displaying a right eye image. The parallax barrier 3 includes a display panel 2 and an observer ( 4) is placed between. In the parallax barrier 3, an opening 6 and a barrier 8 for selectively passing the light from the left and right pixels L and R, respectively,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e form of a strip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iewer.

이에 따라, 표시패널(2)의 좌안 화소(L)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IL)은 패럴랙스 배리어(3)의 개구부(8)를 거쳐 관측자(4)의 좌안에 도달되고, 표시패널(2)의 우안 화소(R)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IR)은 패럴랙스 배리어(3)의 개구부(8)를 거쳐 관측자(4)의 우안에 도달하는데, 이때 좌/우안 영상(IL, IR)에는 각각 인간이 감지 가능한 시차를 고려한 별개의 영상이 담겨 있고, 관측자(4)는 이 두 가지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인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eft eye image I L displayed on the left eye pixel L of the display panel 2 reaches the left eye of the observer 4 through the opening 8 of the parallax barrier 3, and the display panel ( The right eye image I R displayed in the right eye pixel R of 2) reaches the right eye of the observer 4 through the opening 8 of the parallax barrier 3, wherein the left / right eye images I L , I R ) contains separate images considering the parallax that can be detected by humans, and the observer 4 combines the two images to recogniz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활용하여 표시패널의 크기보다 확대된 영상을 재현하는 확대된 영상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데 제 1 목적이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 enlarged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reproduces an image enlarged than the size of a display panel by utiliz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또한, 상기의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는 특정 색상이 강하 게 인지되어 전체영상의 색상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개선하여, 보다 고 품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제 2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a phenomenon in which a specific color is strongly recognized and the color of the entire image is distorted occurs,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and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providing a higher quality image. It is a second object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다수의 영상화소와;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배열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시역을 생성하는 시역생성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1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mage pixels; A display panel on which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re arranged; A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 first reflector disposed at a first side end selected amo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a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a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R,G,B 삼원색을 표시하는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화소와;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 중, 상하로 이웃하는 영상화소가 상기 서브화소 단위로 수평방향으로 엇걸려 배열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시역을 생성하는 시역생성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1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 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pixels including sub-pixels displaying R, G, and B primary colors; A display panel in which vertically neighboring image pixels of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re stagger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units of the sub-pixels; A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 first reflector disposed at a first side end selected amo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a second image of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서브화소는 스트라이프(Stripe)타입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pixels may be arranged in a stripe type.

상기 영상화소는, 상기 서브화소 하나만큼 수평방향으로 엇걸려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pixels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one sub-pixe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R,G,B 삼원색을 표시하는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화소가 배열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시역을 생성하는 시역생성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1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pixels including sub-pixels displaying R, G, and B primary colors are arranged. and; A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 first reflector disposed at a first side end selected amo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a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a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서브화소는 모자이크(Mosaic)타입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pixels may be arranged in a mosaic type.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공통적인 특징으로서,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럭스 배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common featur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iewing generation unit i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lens.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격자형태로 반복 배열되는 개구부 및 배리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ewing generation unit may pass through the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selectively, and include openings and barriers arranged in a lattice form.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영상화소의 수평 및 수직폭보 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ewing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width of the opening smaller than a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of the image pixel.

상기 개구부는, 상기 영상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may be arranged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pixel.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2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3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4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flector disposed at a secon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reflecting a fourth image of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a third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랙스 배리어 및 렌티큘러 렌즈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ewing unit generates a combination of a parallax barrier and a lenticular lens.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시역으로 형성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가 형성한 시역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allax barrier forms the first imag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and the lenticular lens forms the second image, and the viewing area formed by the parallax barrier in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상기 제2 영상은 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ima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is inverted.

상기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image and the fourth imag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bottom,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respectively.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3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5 및 제6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3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may be disposed at a thir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reflect the fifth and sixth images of the plurality of images to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It further comprises a reflector.

상기 제5 영상 및 제6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좌우 및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fth image and the sixth image may be in a form in which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respectively.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4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4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s disposed at a fourth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includes a seventh image, an eighth image, and a ninth image in the same viewing area as a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reflector configured to reflect the image.

상기 제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상하좌우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venth image, the eighth image, and the ninth imag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bottom, left, right, and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respectively.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영상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one 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표시장치와, 이에 포함되는 시역생성부의 구조와, 관측자가 인지하는 표시패널 및 가상표시패널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A to 2C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large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of a view generation unit included therein, and shapes of a display panel and a virtual display panel perceived by an observer. .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120)과, 표시패널상부로 구비되는 시역생성부(130)와, 표시패널(120)과 일정한 각(θ)을 이루며 표시패널의 일 측단에 배치된 제1, 제2 반사부(150a, 150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the enlarge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20, a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130 disposed above th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panel 120. And first and second reflecting parts 150a and 150b disposed at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at a predetermined angle θ.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120)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한 다수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4 영상화소(PI1 내지 PI4)를 포함하고, 이는 하나의 영상을 4등분하여 상하좌우쪽 부분영상을 구한 후, 각 방향으로 할당하는 영상을 달리한다.In more detail, the display panel 120 includes first to fourth image pixels PI1 to PI4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obtained by dividing one image, which i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and is divided in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fter obtaining the partial image, different images are allocated in each direction.

시역생성부(13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20)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배리어(132) 및 개구부(134)가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시역생성부(130)는 패럴랙스 배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B, the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130 is repeatedly arranged in a lattice form with a barrier 132 and an opening 134 for selectively passing an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120. The view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lens.

또한, 표시패널(120)과 일정한 각(θ)을 이루며 제1, 제2 반사부(150)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각(θ)은 바람직하게는 90도의 값을 가진다. 여기서 제1, 제2 반사부(150a, 150b)는 일반적인 거울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150 are disposed to form a constant angle θ with the display panel 120, and the angle θ has a value of 90 degrees. Here, a general mirror may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ng parts 150a and 150b.

따라서, 표시패널(120)의 영상을 제1 ,제2 반사부(150a, 150b)를 통해 반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표시패널에 반사부를 구비할 경우, 표시되는 영상은 위치에 따라 영상의 상하좌우가 반전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20 is ref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ng units 150a and 150b, when the reflecting unit is provided in a general display panel, the displayed image may be vertically, horizontally Will be reversed.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영상화소(PI1)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 그대로의 형태로 표시패널(120)의 위치에서 인지된다.More specifically,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mage pixel PI1 is recognized by the viewer 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20 in the form of the original image.

또한, 제1 및 제2 반사부(150a ,150b)는 각 제1 내지 제3 가상패널(120a 내지 120c)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제2 영상화소(PI2)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제1 가상패널(120a)의 위치에서 인지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ng units 150a and 150b form the first to third virtual panels 120a to 120c, and thus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mage pixel PI2 is provided to the viewe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recogniz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panel 120a in an inverted form.

제3 영상화소(PI3)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의 상하가 반전된 형태로 제3 가상패널(120c)의 위치에서 인지된다.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third image pixel PI3 is recognized at the position of the third virtual panel 120c in a form in which the observer is inverted up and down of the original image.

제4 영상화소(PI4)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의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제2 가상패널(120b)의 위치에서 인지된다.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fourth image pixel PI4 is recognized by the observer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panel 120b in a form in which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여기서, 제2 가상패널(120b)은 제1 가상패널(120a) 및 제3 가상패널(120c)을 각각 반사하여 형성되는 재(再)가상패널이며, 이 제2 가상패널(120b)은 제1 가상패널(120a)에 표시되는 영상(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영상)을 상하가 반전된 형태로 표시하고, 이와 오버랩 되도록 제3 가상패널(120c)에 표시되는 영상(원 영상의 상하가 반전된 영상)을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Here, the second virtual panel 120b is a ash virtual panel formed by reflecting the first virtual panel 120a and the third virtual panel 120c,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irtual panel 120b is a first virtual panel 120b. The image displayed on the virtual panel 120a (the imag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is displayed in a vertically inverted form,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third virtual panel 120c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riginal image is inverted) so as to overlap the image. The image is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left and right are reversed.

따라서, 특정 시역의 관측자는 표시패널(120) 및 제1 내지 제3 가상패널(120a 내지 120c)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동시에 인지하고, 이 영상은 결합되어 관측자는 원 영상보다 최대 4배 확대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n observer of a specific viewing area simultaneously recognizes an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120 and the first to third virtual panels 120a to 120c, and the images are combined so that the viewer is enlarged up to four times larger than the original image. You can watch the video.

또한, 상기 표시패널에 제3, 제4 반사부를 더 구비하여, 원 영상보다 최대 6배, 9배 확대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third and fourth reflectors to realize an image that is enlarged up to 6 times and 9 times larger than the original image.

도 2d 및 도 2e 는 각각 도 2a에 도시한 4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제3 반사부(150c)를 더 구비하여 최대 6배 및 9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D and 2E are each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enlarged 4 times as shown in FIG. 2A,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reflector 150c to display an image enlarged 6 times and 9 time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apparatus.

먼저, 도 2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6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상술한 4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제3 반사부(150c)를 더 구비하여 최대 6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2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the image enlarged 6 times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third reflector 150c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the image enlarged 4 times. Displays a 6x magnified image.

이러한 6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106)는, 상술한 4배 확대된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식이 동일하며 다만, 표시패널(120)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한 다수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6 영상화소(PI1 내지 PI6)를 포함하고, 이는 하나의 영상을 6등분하여 상하좌우쪽 부분영상을 구한 후, 각 방향으로 할당하는 영상을 달리한다. The image display device 106 displaying the 6 times magnified imag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4 times magnified image display apparatus, but the display panel 120 divides one image into a plurality of images. First to sixth image pixels (PI1 to PI6) for displaying a, which is obtained by dividing one image into six equal parts to obta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artial images, and different images allocated to each direction.

또한, 제1 내지 제3 반사부(150a 내지 150c)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3 반사부(150a 내지 150c)를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내지 제5 가상패널(미도시)를 형성하여, 최대 6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한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first to fifth virtual panels (not shown)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reflecting parts 150a to 150c and through the first to third reflecting parts 150a to 150c. Up to 6 times magnified image is displayed.

또한, 도 2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9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상술한 6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제4 반사부(150d)를 더 구비하여 최대 9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magnified 9 times further includes a fourth reflector 150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image enlarged 6 times. Displays a 9x magnified image.

이러한 9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109)는, 상술한 6배 확대된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식이 동일하며 다만, 표시패널(120)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한 다수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9 영상화소(PI1 내지 PI9)를 포함하고, 이는 하나의 영상을 9등분하여 상하좌우쪽 부분영상을 구한 후, 각 방향으로 할당하는 영상을 달리한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9 displaying the 9 times magnified image has the same driving method as the above 6 times magnified image display apparatus, but the display panel 120 divides one image into a plurality of images. First to ninth image pixels (PI1 to PI9) for displaying a, which is obtained by dividing one image into nine equal parts to obta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artial images, different images allocated to each direction.

또한, 제1 내지 제4 반사부(150a 내지 150d)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4 반사부(150a 내지 150d)를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내지 제8 가상패널(미도시)를 형성하여, 최대 9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한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first to eighth virtual panels (not shown)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reflecting parts 150a to 150d an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reflecting parts 150a to 150d. Up to 9 times magnified image is displayed.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100, 106, 109)에 있어서, 시역생성부(130)는, 서로 다른 시역간의 크로스토 크(Crosstalk)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134)의 수평 및 수직폭을 표시패널(1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 하나의 수평 및 수직폭보다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이웃한 영상화소(PI1 내지 PI4)간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134)의 폭이 표시패널(1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폭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특정 시역에서 이에 해당하지 않는 영상화소가 포함되기 때문이다.Meanwhile,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100, 106, and 109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130 crosstalks between different viewing regions.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the openings 134 should be smaller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one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the display panel 120. This is for minimizing the influence between neighboring image pixels PI1 to PI4. When the width of the opening 13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the display panel 120, the width of the opening 134 may be reduced. This is because an image pixel that is not applicable is included.

따라서, 개구부(134)의 폭이 표시패널(1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폭보다 작게 설계된 시역생성부(130)는 개구부(134)가 특정화소로 편중하여 맞추어진다.Accordingly, the viewing unit 130 design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opening 134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the display panel 120 is aligned with the opening 134 biased to the specific pixel.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도 2a의 표시패널 및 시역생성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는 각각 삼원색의 서브화소(R,G,B)를 포함하고, 서브화소(R,G,B)는 표시패널(120)에서 스트라이프(Stripe) 타입으로 배열된다. More specifically, 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viewing unit of FIG. 2A. As illustrated,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the display panel 120 each have three primary colors. (R, G, B), and the subpixels R, G, B are arranged in a stripe type on the display panel 120.

여기서 상기 스트라이프 타입은, 삼원색의 서브화소(R,G,B)가 수평방향으로는 R,G,B가 교번으로 배열되고, 수직방향으로는 동일한 색만이 배열되는 형태를 말한다.Here, the stripe type refers to a form in which three primary subpixels R, G, and 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nly the same color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시역생성부(130)는 표시패널(120)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수평 및 수직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개구부(13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130 is dispos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20 and includes an opening 134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one image pixel PI1 to PI4.

여기서, 시역생성부(130)의 개구부(134)를 통해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녹색서브화소(G)가 드러나는 영역이 다른 적, 청색서브화소(R,B)보다 더 크게 할당 된다.Here, the area where the green subpixel G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34 of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130 is larger than other red and blue subpixels R and B.

이에 따라, 관측자는 표시되는 영상에서 녹색성분을 더 강하게 인지하게 되고, 이는 영상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된다.Accordingly, the observer becomes more aware of the green component in the displayed image, which is a major cause of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이하,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영상의 품질저하 현상을 개선하여, 보다 고 품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for providing a higher quality image by improving a quality deterioration phenomenon of an imag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이하의 설명에서는 4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예로서 제2, 제3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6배, 9배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적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 4 times magnified image, but may be appli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the 6 times and 9 times magnified imag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시역생성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A and 4B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structures of an enlarged image display device and a view generation unit included there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후술하는 표시패널(220)과, 제1 내지 제3 가상표시패널(220a 내지 220c)은 종래의 관측자가 인지하는 표시패널 및 가상표시패널의 형태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도 2c의 표시패널(120) 및 제1 내지 제3 가상표시패널(120a 내지 120c)의 부호만 대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 since the display panel 220 and the first to third virtual display panels 220a to 220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the same as those of a display panel and a virtual display panel recognized by a conventional observer, the display panel of FIG. 120 and only the symbols of the first to third virtual display panels 120a to 120c will be described.

즉,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c의 표시패널(120)의 부호는 표시패널(220)로, 제1 내지 제3 가상표시패널(120a 내지 120c)의 부호는 제1 내지 제3 가상표시패 널(220a 내지 220c)이다.That i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splay panel 120 of FIG. 2C is denoted by the display panel 220, and the first through third virtual display panels 120a through 120c are denoted by the first through third virtual display panel ( 220a to 220c).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220)과, 표시패널상부로 구비되는 시역생성부(230)와, 표시패널(220)과 일정한 각(θ)을 이루며 표시패널의 일 측단에 배치된 제1, 제2 반사부(250a, 250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A, the enlarge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220, a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230, and a display panel 220 disposed above the display panel.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250a and 250b are disposed at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at a constant angle θ.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220)은 하나의 영상을 분할한 다수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4 영상화소(PI1 내지 PI4)를 포함하고, 이는 하나의 영상을 4등분하여 상하좌우쪽 부분영상을 구한 후, 각 방향으로 할당하는 영상을 달리한다.In more detail, the display panel 220 includes first to fourth image pixels PI1 to PI4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obtained by dividing one image, which i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and is divided in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fter obtaining the partial image, different images are allocated in each direction.

여기서, 제1 내지 제4 영상화소(PI1 내지 PI4)는, 상하로 배치되는 화소간에 하나의 서브화소(미도시)씩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형태로서, 상하 화소간에는 엇갈린 형태이다.Here, the first to fourth image pixels PI1 to PI4 are horizontally moved by one subpixel (not shown) between pixels arranged up and down, and are alternated between upper and lower pixels.

시역생성부(23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220)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배리어(232) 및 개구부(234)가 격자 형태로 반복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시역생성부(230)는 패럴랙스 배리어와 렌티큘러 렌즈를 조합하거나, 이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230 is repeatedly arranged in a lattice form with a barrier 232 and an opening 234 for selectively passing an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220. Here, the viewing unit 230 may combine the parallax barrier and the lenticular lens, or may be implemented as one selected from among them.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구조의 시역생성부(230)는 표시패널(220)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다수의 시역으로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시역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2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orms an image coming from the display panel 220 into a plurality of viewing areas, and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이는, 도 4b에 도시한 형태의 패럴랙스 배리어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격자모양의 렌티큘러 렌즈 중 선택되는 하나를 통해 수평 및 수직방향의 시역을 모 두 형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스트라이프(Stripe)형태의 패럴랙스 배리어와 렌티큘러 렌즈를 조합하여, 수평방향의 시역은 패럴랙스 배리어로 형성하고, 수직방향의 시역은 렌티큘러 렌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의 반대 일수도 있다. 또한, 시역의 방향(수평,수직)은 시역생성부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This can form both a horizontal and vertical viewing field through a parallax barrier of the type shown in FIG. 4B or one of a grid-shaped lenticular lens that is not shown, and a stripe-like parallax in general. By combining the lax barrier and the lenticular lens, the horizontal viewing area may be formed by the parallax barrier, and the vertical viewing area may be formed by the lenticular lens, and vice versa. In addition, the direction (horizontal and vertical) of the viewing area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또한, 시역생성부(230)의 개구부(234)는, 상하로 배치되는 개구부(234)간에 표시패널(2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서브화소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형태로서, 상하 개구부(234)간에는 엇갈린 형태이다.In addition, the opening portion 234 of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23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ubpixels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the display panel 220 between the openings 234 arranged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234 are staggered.

또한, 표시패널(220)과 일정한 각(θ)을 이루며 제1, 제2 반사부(250)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각(θ)은 바람직하게는 90도의 값을 가진다. 여기서 제1, 제2 반사부(250a, 250b)는 일반적인 거울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250 are disposed to form a constant angle θ with the display panel 220, and the angle θ has a value of 90 degrees. Here, a general mirror may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250a and 250b.

따라서, 표시패널(220)의 영상을 제1 ,제2 반사부(250a, 250b)를 통해 반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표시패널에 반사부를 구비할 경우, 표시되는 영상은 위치에 따라 영상의 상하좌우가 반전되는데, 이는 종래의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와 동일하다.Therefore, since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220 is ref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flecting units 250a and 250b, when the reflecting unit is provided in a general display panel, the displayed image may be divided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Inverted, which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영상화소(PI1)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 그대로의 형태로 표시패널(120)의 위치에서 인지된다.More specifically,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mage pixel PI1 is recognized by the viewer 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nel 120 in the form of the original image.

또한, 제1 및 제2 반사부(도 2a 의 150a ,150b)는 각 제1 내지 제3 가상패널(120a 내지 120c)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제2 영상화소(PI2)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제1 가상패널(120a)의 위치에서 인지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150a and 150b form the first to third virtual panels 120a to 120c, so that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mage pixel PI2 is In addition, the viewer is recogniz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panel 120a in a form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제3 영상화소(PI3)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의 상하가 반전된 형태로 제3 가상패널(220c)의 위치에서 인지된다.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third image pixel PI3 is recognized at the position of the third virtual panel 220c in a form in which the observer is inverted up and down of the original image.

제4 영상화소(PI4)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관측자에게 원 영상의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제2 가상패널(220b)의 위치에서 인지된다.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fourth image pixel PI4 is recognized by the viewer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panel 220b in a form in which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여기서, 제2 가상패널(220b)은 제1 가상패널(220a) 및 제3 가상패널(220c)을 각각 반사하여 형성되는 재(再)가상패널이며, 이 제2 가상패널(220b)은 제1 가상패널(220a)에 표시되는 영상(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영상)을 상하가 반전된 형태로 표시하고, 이와 오버랩 되도록 제3 가상패널(220c)에 표시되는 영상(원 영상의 상하가 반전된 영상)을 좌우가 반전된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Here, the second virtual panel 220b is a ash virtual panel formed by reflecting the first virtual panel 220a and the third virtual panel 220c,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irtual panel 220b is a first virtual panel 220b. The image displayed on the virtual panel 220a (the imag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are inverted) is displayed in a vertically inverted form,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third virtual panel 220c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riginal image is inverted) so as to overlap the image. The displayed image) is displayed in the inverted form.

따라서, 특정 시역의 관측자는 표시패널(220) 및 제1 내지 제3 가상패널(220a 내지 220c)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동시에 시청하고, 이 영상은 결합되어 관측자는 원 영상보다 최대 4배 확대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n observer of a specific viewing area simultaneously views an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anel 220 and the first to third virtual panels 220a to 220c, and the images are combined to allow the viewer to be enlarged up to 4 times larger than the original image. You can watch the video.

이때, 시역생성부(230)는, 서로 다른 시역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234)의 수평 및 수직폭을 표시패널(2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 하나의 수평 및 수직폭보다 작게 설계된다. In this case, the viewing unit 230 may displa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the openings 234 in on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the display panel 220 in order to prevent crosstalk between different viewing areas. And smaller than the vertical width.

이에 따라, 시역생성부(230)의 개구부(234)는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중앙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면적상으로 볼 때, 하나의 영상화소를 구성하는 적,녹,청색 서브화소(R,G,B)중 녹색 서브화소(G)가 적,청색 서브화소(R,B)보다 더 크게 드러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opening 234 of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23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the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constituting one image pixel in view of area. Among the (R, G, B), the green subpixel (G) is revealed to be larger than the red and blue subpixels (R, B).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도 4a의 표시패널 및 시역생성부의 일부를 개략적 으로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2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는 각각 삼원색의 서브화소(R,G,B)를 포함하고, 서브화소(R,G,B)는 표시패널(120)에서 스트라이프(Stripe)타입으로 배열된다. 또한, 시역생성부(230)는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수평 및 수직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개구부(234)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FIG. 5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viewing unit of FIG. 4A. As illustrated,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the display panel 220 each have three primary colors. (R, G, B), and the sub-pixels (R, G, B) are arranged in a stripe type on the display panel (120). In addition, the viewing area generating unit 230 is dispos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n opening 234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one image pixel PI1 to PI4.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시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성분이 영상화소(PI1 내지 PI1)각각에 해당하는 서브화소(R,G,B)가 각각 균일하게 할당됨으로서, 특정 서브화소의 색상이 강하게 인지되어 발생하는 색의 왜곡이 방지되게 된다.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mponent of the image displayed in each viewing area corresponds to each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1. Since (R, G, B) is uniformly assigned to each other, the color of a particular sub-pixel is strongly perceived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color generated.

이하, 표시되는 영상의 색의 왜곡이 방지되는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stortion of the color of the displayed image is prevented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표시패널(320)에서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서브화소(R,G,B)의 배열형태가 스트라이프 타입이 아닌 모자이크(Mosaic) 타입배열이고, 시역생성부(330)는 종래의 시역생성부(도 2b의 130)와 동일한 형태가 적용된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display panel 320 includes sub-pixels of the image pixels PI1 to PI4. The R, G, and B arrays are mosaic type arrays, not stripe types, and the viewing generation unit 330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viewing generation unit 130 of FIG. 2B.

여기서 모자이크 타입은, 삼원색의 서브화소(R,G,B)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는 R,G,B가 교번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말한다.Here, the mosaic type refers to a form in which three primary colors subpixels R, G, and 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 및 시역생성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320)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는 각각 삼원색의 서브화소(R,G,B)를 포함하고, 서브화소(R,G,B)는 표시패널(320)에서 모자이크(Mosaic)타입으로 배열된다. 또한, 시역생성부(330)는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배치되고, 하나의 영상화소(PI1 내지 PI4)의 수평 및 수직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개구부(334)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display panel and a view generation unit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image pixels PI1 to PI4 of 320 include three primary subpixels R, G, and B, and the subpixels R, G, and B each have a mosaic type in the display panel 320. Are arranged. In addition, the viewing unit 33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 an opening 334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one image pixel PI1 to PI4.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시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성분이 영상화소(PI1 내지 PI1)각각에 해당하는 서브화소(R,G,B)가 각각 균일하게 할당됨으로서, 특정 서브화소의 색상이 강하게 인지되어 발생하는 색의 왜곡이 방지되게 된다.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b-pixels whose components of the image displayed in each viewing area correspond to the image pixels PI1 to PI1, respectively. Since (R, G, B) is uniformly assigned to each other, the color of a particular sub-pixel is strongly perceived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color generated.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표시패널로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영상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display pane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a flat panel display may be used. Specifically,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may be used. , Plasma Display Panel,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etc. may be us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다수의 영상화소와, 상기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시역을 생성하는 시역생성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일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들을 동일한 시역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함으로서, 원 영상보다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Theref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pixels, and a plurality of viewing areas dispos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nd a viewing uni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reflect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end selected from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to the same field of view. Will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에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영상화소와, 상기 영상화소 중 상하로 배열되는 영상화소들간에 한 서브화소 크기만큼 엇갈려 배열되고, 시역생성부의 개구부 중 상하로 배열되는 개구부들이 상기 영상화소들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엇갈려 배열됨으로서, 상기 영상화소를 이루는 서브화소들이 동일한 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pixels arranged in a stripe type on a display panel, and a sub-pixel between the image pixels arranged up and down among the image pixels. The pixel arrays are alternately arranged by the pixel size, and the openings arranged up and down among the openings of the viewing generation unit are alternately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image pixels, so that the subpixels forming the image pixels display an image with the same area.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에 모자이크 타입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영상화소와, 시역생성부의 개구부가 상기 영상화소에 대응하도록 배열됨으로서, 상기 영상화소를 이루는 서브화소들이 동일한 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pixels arranged in a mosaic type on a display panel and an opening of a viewing region generating part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mage pixels. Sub-pixels constituting the image pixel display an image with the same area.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예에 의한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특정 서브화소의 색상이 강하게 인지되어 발생하는 색의 왜곡이 방지되어, 고 품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the enlarg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lor distortion caused by strongly perceived color of a specific subpixel, thereby displaying a high quality image. can do.

Claims (48)

다수의 영상화소와;A plurality of image pixels;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배열되는 표시패널과;A display panel on which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re arranged; 상기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시역을 생성하는 시역생성부와; A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1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A first reflector disposed at a first side end selected amo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a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럭스 배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part generating unit i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le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격자형태로 반복 배열되는 개구부 및 배리어부;The viewing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a barrier unit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and arranged in a lattice for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영상화소의 수평 및 수직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area generator is configured to display an enlarged image, wherein the width of the opening is smaller than a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of the image pixe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개구부는, 상기 영상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opening portion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pix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2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3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4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The display panel includes: a second reflector disposed at a secon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reflecting a fourth image of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a third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랙스 배리어 및 렌티큘러 렌즈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part generating unit is a combination of a parallax barrier and a lenticular len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시역으로 형성하고, The parallax barrier forms the first imag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가 형성한 시역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lenticular lens forms the second imag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viewing region formed by the parallax barrier among the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영상은 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The second image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is invert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third image and the fourth image are enlarged images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3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5 및 제6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3 반사부;The display panel may be disposed at a thir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reflect the fifth and sixth images of the plurality of images to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Reflecting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5 영상 및 제6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좌우 및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fifth image and the sixth image are enlarged images of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4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4 반사부;The display panel is disposed at a fourth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includes a seventh image, an eighth image, and a ninth image in the same viewing area as a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 fourth reflector reflecting an imag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상하좌우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seventh image, the eighth image, and the ninth image are enlarged images up, down, left, right, and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영상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The display panel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R,G,B 삼원색을 표시하는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화소와;A plurality of image pixels including sub-pixels displaying R, G, and B primary colors;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 중, 상하로 이웃하는 영상화소가 상기 서브화소 단위로 수평방향으로 엇걸려 배열되는 표시패널과;A display panel in which vertically neighboring image pixels of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re stagger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units of the sub-pixels; 상기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시역을 생성하는 시역생성부와; A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1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A first reflector disposed at a first side end selected amo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a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서브화소는 스트라이프(Stripe)타입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sub-pixels are arranged in a stripe typ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영상화소는, 상기 서브화소 하나만큼 수평방향으로 엇걸려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image pixel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one sub-pixel.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럭스 배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part generating unit i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lens.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격자형태로 반복 배열되는 개구부 및 배리어부;The viewing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a barrier unit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and arranged in a lattice for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영상화소의 수평 및 수직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area generator is configured to display an enlarged image, wherein the width of the opening is smaller than a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of the image pixel.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개구부는, 상기 영상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opening portion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pixel.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2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3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 4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second reflector disposed at a secon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reflecting a fourth image of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a third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랙스 배리어 및 렌티큘러 렌즈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part generating unit is a combination of a parallax barrier and a lenticular lens.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시역으로 형성하고, The parallax barrier forms the first imag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가 형성한 시역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lenticular lens forms the second imag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viewing region formed by the parallax barrier among the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2 영상은 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The second image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is inverted.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third image and the fourth image are enlarged images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2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3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5 및 제6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3 반사부;The display panel may be disposed at a thir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reflect the fifth and sixth images of the plurality of images to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Reflecting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제5 영상 및 제6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좌우 및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fifth image and the sixth image are enlarged images of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2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4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4 반사부;The display panel is disposed at a fourth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includes a seventh image, an eighth image, and a ninth image in the same viewing area as a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 fourth reflector reflecting an imag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3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제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상하좌우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seventh image, the eighth image, and the ninth image are enlarged images up, down, left, right, and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영상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The display panel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R,G,B 삼원색을 표시하는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다수의 영상화소가 배열되는 표시패널과;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pixels including sub-pixels displaying R, G, and B primary colors are arranged; 상기 표시패널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시역을 생성하는 시역생성부와; A viewing region generating unit dispos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상기 표시패널의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1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2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A first reflector disposed at a first side end selected amo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and reflecting a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서브화소는 모자이크(Mosaic)타입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sub-pixels are arranged in a mosaic type.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럭스 배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part generating unit i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lens.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며, 격자형태로 반복 배열되는 개구부 및 배리어부;The viewing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a barrier unit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and arranged in a lattice for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3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시역생성부는,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영상화소의 수평 및 수직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area generator is configured to display an enlarged image, wherein the width of the opening is smaller than a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 of the image pixel. 제 3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개구부는, 상기 영상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opening portion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pixel.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2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3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4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The display panel includes: a second reflector disposed at a secon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reflecting a fourth image of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e same viewing area as a third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시역생성부는 패럴랙스 배리어 및 렌티큘러 렌즈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viewing part generating unit is a combination of a parallax barrier and a lenticular lens. 제 4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시역으로 형성하고, The parallax barrier forms the first imag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다수의 시역 중 상기 패럴랙스 배리어가 형성한 시역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lenticular lens forms the second imag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viewing region formed by the parallax barrier among the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제2 영상은 원 영상의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The second image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is inverted.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third image and the fourth image are enlarged images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3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3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5 및 제6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3 반사부;The display panel may be disposed at a third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reflect the fifth and sixth images of the plurality of images to the same viewing area as the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Reflecting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4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제5 영상 및 제6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좌우 및 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fifth image and the sixth image are enlarged images of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 4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표시패널은,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제4 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영상화소가 표시하는 영상 중 제1 영상과 동일한 시역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 중 제 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4 반사부;The display panel is disposed at a fourth side end selected among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nd includes a seventh image, an eighth image, and a ninth image in the same viewing area as a first image among the images displayed by the plurality of image pixels. A fourth reflector reflecting an imag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4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6, 상기 제7 영상, 제8 영상 및, 제9 영상은, 각각 원 영상의 상하, 상하좌우 및, 상하좌우가 반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And the seventh image, the eighth image, and the ninth image are enlarged images up, down, left, right, and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제ㅇ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영상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The display panel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OLED).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KR1020060121447A 2006-12-04 2006-12-04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 KR101287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47A KR101287386B1 (en) 2006-12-04 2006-12-04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47A KR101287386B1 (en) 2006-12-04 2006-12-04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765A true KR20080050765A (en) 2008-06-10
KR101287386B1 KR101287386B1 (en) 2013-07-18

Family

ID=3980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447A KR101287386B1 (en) 2006-12-04 2006-12-04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Enlarged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38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9779B2 (en) * 1994-08-19 2001-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3D display device
GB2405489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Display and ref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386B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7772B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colour filter therefor
JP4400172B2 (en) Image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method
JP5161742B2 (en) Driving method of 3D image display device
US7532225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JP4197716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101170120B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4714115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method
US7817339B2 (en) Display panel for 3-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3-dimension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6411025B2 (en) Time-division parallax barrier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WO2013042332A1 (en) Video display method, video display panel, and video display apparatus
US20130194521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utostereoscopic 3d or 2d/3d switchable pixel arrangement
JP5621501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method
JP5806156B2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KR101329962B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JP2009080144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US20170208319A1 (en)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modified sub-pixel structure
JP2013088685A (en) Display device
TWI439731B (en) Parallax barrier filter
US20160165219A1 (e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control circuit
TW201519636A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CN191364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o image generation structure use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JP5621500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method
CN108271013B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954917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JP6924586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