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672A -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672A
KR20080050672A KR1020060121180A KR20060121180A KR20080050672A KR 20080050672 A KR20080050672 A KR 20080050672A KR 1020060121180 A KR1020060121180 A KR 1020060121180A KR 20060121180 A KR20060121180 A KR 20060121180A KR 20080050672 A KR20080050672 A KR 2008005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opening
refrigera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50018B1 (en
Inventor
곽광현
김주현
김민섭
박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018B1/en
Publication of KR2008005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A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simplify the opening of a door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a door handle by mounting a door-opening assistant unit on the door handle for pushing a side of a main body of the door. A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includes a door-opening assistant unit(400) for assisting the opening of a door by pushing a side of a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through relative motion carried out by a gear element(460), when a door handle(300) is operated. The door-opening assistant unit includes a handle element(420) extended from the door handle, a pushing element(440) for reciprocating through relative mo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element for pushing the main body, and the gear element positioned between the handle element and the pushing element by engaging with them for making the handle element and the pushing element to move relatively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adopted in an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작동을 보인 상태도.Figure 4a and Figure 4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uxiliary means that is the main component of an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20. 냉동실100. Main body 120. Freezer

140. 냉장실 200. 도어140. Refrigerator 200. Door

220. 냉동실도어 222. 디스펜서220. Freezer door 222. Dispenser

240. 냉장실도어 242. 홈바240. Refrigerator door 242. Home bar

260. 안착부 300. 도어핸들260. Seating part 300. Door handle

320. 파지부 340. 연장부320. Gripping part 340. Extension part

400. 개방보조수단 420. 핸들부재400. Opening aid 420. Handle member

422. 수용부 424. 개구부422. Receptacle 424. Openings

426. 제1치형부 440. 작용부재426. First tooth 440. Actuating member

442. 접촉부 444. 삽입부442. Contacts 444. Inserts

446. 제2치형부 460. 기어부재446. Second tooth portion 460. Gear member

462. 회전축 480. 장착브라켓462. Rotating shaft 480. Mounting bracket

490. 핸들커버 S. 저장공간490. Handle cover S. Storage spac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핸들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의 일측을 밀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provided with an opening auxiliary means for selectively push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acilitate opening of the doo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handle of the do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and stored in a refrigerator or refriger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ood to be stored.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매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 action of the refrigerant, is continuously supplied into the refrigerator while repeatedly performing a cycle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nd the supplied refrigerant is supplied by convection. It is evenly distributed inside the refrigerator to store food in the refrigerator at a desired temperature.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다.Such refrigerator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versatile as the dietary changes and user's preferences are diversified.

즉,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 및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의 구조 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며, 대표적으로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한 탑마운트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와, 냉동실이 하방에 위치한 바텀프리즈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 그리고, 좌우에 각각 냉동실과 냉장실이 위치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로 분류되며, 이들의 상세한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That is, refrigerator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doors that shield the storage space. Typically, refrigerators of the top mount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Bottom freeze type refrigerator located below, and 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 having freezer and refrigerating compartments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ir detailed configuration is general and detaile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이러한 냉장고 외에도 김치의 저장을 위한 김치냉장고, 또는 와인의 저장을 위한 와인냉장고 등 저장하고자하는 식품의 특성에 맞추어 다른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들도 있다.In addition to these refrigerators, there are also refrigerator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ds to be stored, such as kimchi refrigerators for storing kimchi, or wine refrigerators for storing wine.

이들 냉장고의 저장공간은 도어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전후방향 인출입에 의해 개폐되는 서랍식도어로 구성됩니다.The storage space of these refrigerators is shielded by doors, and these doors are composed of a pivoting doo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pivoting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and a drawer type doo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front and rear drawers.

이와 같은 도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파지하는 도어핸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핸들을 파지한 채로 도어를 회동시키거나 인출입시켜 저장공간의 개폐를 결정하게 된다.Such a door is equipped with a door handle for gripp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Accordingly, the door is rotated or withdrawn while the door handle is gripped to determin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rage spa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회동시켜야하며,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을 파지한 채로 회동시키거나 당기는 등의 조작을 하여야 한다.In order to open the storage space of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 door must be rotated, and for this purpose, the user must rotate or pull the door handle while holding it.

이때, 상기 냉장고 도어의 이면과 상기 냉장고 본체의 사이에는 가스켓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소정의 힘을 가해 주어야만 한다. 즉,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의 이면과 냉장고 본체 사이가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해주어야만 한다.In this case, a predetermined force must be applied to open the door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by the gasket. That is, in order to open the door, a forc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refrigerator main body should be applied.

특히, 회동식 도어의 이면에 식품이 저장되는 경우 또는 서랍식 도어에서 서랍의 내부에 식품이 많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 자체의 무게 또한 무겁게 되어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food is stored on the back of the revolving door or when a lot of food is stored inside the drawer in the drawer door, the weight of the door itself is also heavy, requiring more force to operate the door. Done.

이와 같은 냉장고 도어의 개방시 가해지는 힘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등에 따라 조작하기 힘들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될 수 있다.The force applied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may be difficult to manipulate depending on the gender or age of the user, which may be a problem of de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의 핸들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의 일측을 밀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f the refrigerator door, the refrigerator doo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uxiliary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f the door by selectively push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It is to provide an open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어부재에 의해 상대운동하는 핸들부재와 작용부재로 구성되는 개방보조수단이 도어핸들에 구비되어 도어핸들의 조작으로 도어의 용이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which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uxiliary means composed of a handle member and an actuating member that are relatively moved by a gear member, so that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by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고 본체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과; 상기 도어핸 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시 기어에 의한 상대운동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oo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body in which food is stored; A door hand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and gripped by the user during rotation;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uxiliary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f the door by selectively push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relative movement by the gear when operating the door handle.

상기 개방보조수단은, 상기 도어핸들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재와 상대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운동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을 밀어주는 작용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와 작용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핸들부재 및 작용부재의 일측과 기어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재와 기어부재를 상대운동시키는 기어부재로 구성된다.The opening assisting means includes a handle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oor handle; An action member inserted into an inside of the handle member to selectively move back and forth by the relative movement with the handle member to push one side of the main body; Interposed between the handle member and the action member, the gear membe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dle member and the action member is composed of a gear member for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handle member and the gear member.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작용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의 치형과 기어결합되는 제1치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andle member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portion having one surface open to accommodate the action member and having a hollow inside;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omprises a first tooth portion geared with the tooth of the gear portion.

상기 작용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일단을 차폐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과 접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의 치형과 기어결합되는 제2치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ctuating memb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for shielding an open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An insertion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ntact part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tooth gear coupled to the tooth of the gear.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The gear member is mounted to rotate about a rotating shaft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through the open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의 조작과 동시에 개방보조수단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door is opened by the opening auxiliary means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handl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와 냉장고 도어의 개폐방식에 관계없이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Of cours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side of the side (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ll refrigerators regardless of the type of refrigerato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refrigerator door Make it possibl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각각 좌우로 구획된 냉동실(120)과 냉장실(140)이 형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side the main body 100, a freezing chamber 120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is provided. The refrigerating chamber 140 is formed.

상기 냉동실(120)과 냉장실(140)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냉동실(120)과 냉장실(140)은 각각 냉장고 도어(20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200)는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240)로 구성되며, 상기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240)는 각각 상기 본체의 좌/우 측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Front surface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2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40 are formed to be opened, and the opened freezing compartment 12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40 are respectively shielded by the refrigerator door 200. The refrigerator door 200 includes a freezing chamber door 220 and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240, 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220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40 are rotatably mounte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do.

따라서, 상기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는 바깥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고의 저장공간(S)인 냉장실(140)과 냉동실(120)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Therefore,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40 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220 may be rotated outward,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40 which is the storage space S of the refrigerator by rotat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40 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220. ) And the freezer compartment 120 are selectively shielded.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220)의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222)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도어(240)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냉장실도어(240)를 개방하지 않고 내부의 식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홈바(242)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front sid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2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222 for extracting purified water or ice from the outside as needed, and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40,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40 from the outside There is provided a home bar 242 to take out the food inside without opening).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전면에는 도어핸들(30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300)은 상기 도어(200)의 개방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220)의 전면 우측단과 상기 냉장실도어(240)의 전면 좌측단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door of the refrigerator door 200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300. The door handle 300 is held by the user when the door 200 is opened, and is provided at the right front end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20 and the front left end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40.

상기 도어핸들(300)은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환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부터 다소 전방으로 이격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조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The door handle 300 extend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refrigerator door 200, and the part held by the user is formed in an annular bar shape, and is slightly spaced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oor 200 to allow the user to It is formed to facilitate gripping and to facilitate operation.

상기 도어핸들(300)의 구성은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에 관계없이 동일하며, 그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냉장실도어(240)와 냉동실도어(220)를 구분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도어핸들(300)의 형상 또한 상하 대칭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어핸들(300)의 상부만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door handle 300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40 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220, and since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e mounting positio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40 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220 are not distinguished from the following. Since the shape of the door handle 300 is also vertically symmetrical,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handle 300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도어핸들(300)은 파지부(320)와 연장부(340)로 구성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oor handle 300 is composed of a grip part 320 and an extension part 340. .

상기 파지부(320)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조작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환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2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파지부(320)가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320)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도어(200)측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gripping part 320 is formed in a round bar shape as a part held by a user when the door handle 300 is operated, and extends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of the door 200. The extension part 340 extends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grip part 320 toward the door 200 to allow the grip part 3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0.

상기 연장부(34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장착시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320)의 위치가 상기 도어(200)의 일측단에서 다소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파지 및 조작이 한층 더 용이하도록 형성된다.The extension 34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e extension part 340 is formed to be curved outwardly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0 when the door handle 300 is moun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ip part 320 is the door 200. By being able to be positioned somewhat inward at one end of the user's gripping and manipulation is further formed.

한편, 상기 도어핸들(300)의 상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장부(340)의 좌측단에는 개방보조수단(40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uxiliary means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door handle 300, more specifically, the left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340.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은 상기 도어핸들(300)의 조작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도어(200)의 개방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 그리고 기어부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pening assistance means 400 is to protrude selectivel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300 to assist the opening of the door 200 by pushing the main body 100, the handle member 420 and It comprises a working member 440 and the gear member 460.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기 도어핸들(300)의 일단 즉, 상기 연장부(340)의 좌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340)에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좌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handle member 420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door handle 300, that is, the left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340, the left side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extension portion 340 It will be preferred to extend to form integral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작용부재(440)가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부(422)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수용부(422)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좌측단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좌측단을 통해 작용부 재(440)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member 420 is hollow to accommodate the action member 44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o form a receiving portion 422. That is, the accommodation portion 422 forms an inner space of the handle member 420. In addition, the left end of the handle member 420 is formed to be opened so that the acting member 44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opened left end.

상기 핸들부재(42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형성된 개구부(42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4)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기어부재(460)의 장착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어부재(460)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penings 424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handle member 420 ar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pening 424 is to enable the mounting and movement of the gear member 46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t will be preferable to be formed somewhat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ear member 460. .

한편, 상기 개구부(424)의 상단에는 제1치형부(42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치형부(426)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어부재(4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과 기어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부재(460)와 상기 핸들부재(420)가 서로 상대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부재(460)의 치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Meanwhile, a first tooth portion 42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pening 424. The first tooth portion 426 is to be coupled to the too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ear member 460 to be described below, the gear member 460 and the handle member 420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with each other It may be desirabl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eth of the gear member 460.

상기 제1치형부(426)는 상기 개구부(424)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며, 대략 중앙부에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도어핸들(3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424)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기어부재(460)의 형상 또는 구조에 따라 상기 도어핸들(300)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first tooth portion 426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424, an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only in the opening 42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handle 300. However, according to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gear member 460 it may also be form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door handle 300.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의 수용부(422)의 내측에는 작용부재(440)가 삽입된다. 상기 작용부재(44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내측, 즉 상기 수용부(422)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핸들(3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용부(422)의 내외측으로 선택적인 진퇴운동을 하여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을 밀어주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ction member 440 is inser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422 of the handle member 420. The actuating member 44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member 420, that is, into the receiving part 422 to selectively move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receiving part 422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door handle 300. It is configured to push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작용부재(440)는 상기 수용부(4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444)와 상기 삽입부(444)의 좌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접하는 접촉부(442)로 구성된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action member 440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444 and the insertion portion 44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22 and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tact portion 442 is in contact.

상기 삽입부(444)는 상기 접촉부(442)의 우측면에서 우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수용부(422)의 내측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444)가 상기 수용부(422)의 내측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442)가 상기 핸들부재(420)의 개구된 좌측면을 차폐하게 된다.The inserting portion 44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ntact portion 442 to the right side, and is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inner length of the receiving portion 422 so that the inserting portion 444 is the receiving portion ( When fully inserted into 422, the contact portion 442 shields the open left side of the handle member 420.

그리고, 상기 삽입부(444)의 상하폭은 아래에서 설명할 기어부재(460)의 외주면과 접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삽입부(444)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용부(422)의 내측에서 원활하게 진퇴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422)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는 대략 '

Figure 112006089642515-PAT00001
'형상(좌측에서 볼 때)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insertion portion 444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member 460 to be described below. The insertion part 444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pproximately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accommodation part 422 so as to smoothly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the accommodation part 422.
Figure 112006089642515-PAT00001
It may be formed into a shape (viewed from the left).

또한, 상기 삽입부(444)의 상단에는 제2치형부(446)가 형성된다. 상기 제2치형부(446)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어부재(4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과 기어결합 하는 것으로, 상기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삽입부(444)가 기어부재(460)와 상대운동하여 상기 핸들부재(420)의 내측에서 좌우로 진퇴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되며, 기어부재(4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tooth 44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part 444. The second tooth portion 446 is to be coupled to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ear member 460 to be described below, the insertion portion 444 relative to the gear member 460 by the gear coupling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inside of the handle member 420, it will be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ear member 460.

그리고, 상기 제2치형부(446)는 상기 삽입부(444)가 완전히 상기 수용부(422)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치형부(426)에 비해 다소 오른쪽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며, 기어부재(4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치형부(426)와 제2치형부(446)가 상대운동하여 상기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second tooth portion 446 is formed to be slightly biased to the right of the first tooth portion 426 when the insertion portion 444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22. The first tooth portion 426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446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gear member 460 so that the handle member 420 and the action member 440 ar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It would be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do so.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와 작용부재(440)의 사이에는 기어부재(460)가 개재된다. 상기 기어부재(46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운동에너지를 상기 작용부재(440)로 전달하여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평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ear member 460 is interposed between the handle member 420 and the action member 440. The gear member 460 transfers the kinetic energy of the handle member 420 to the operating member 440 to move the operating member 44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ndle member 420.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eneral spur gear.

상기 기어부재(46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내측 즉, 상기 수용부(422)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424)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재(46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462)은 상기 핸들부재(420)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424)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The gear member 460 is provided inside the handle member 420, that is, in the receiving portion 422, and is mounted to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424.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462,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gear member 460,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rough the opening 42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member 420.

이때, 상기 회전축(462)은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200)에 단차지도록 형성된 안착부(260)에 결합되는 스크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260)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재(420)를 후면을 감싸 고정하는 장착브라켓(480)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rotation shaft 462 may be formed by a screw coupled to a seating portion 260 formed to be stepped on the door 200 to allow the opening auxiliary means 400 to be mounted, and the seating portion 260. It may be formed by a protrus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to the mounting bracket 480 to wrap around the rear of the handle member 420.

상기 기어부재(460)는 하나의 기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다수의 기어가 맞물려 형성된 기어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gear member 460 may be formed by one gea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by a gear assembly formed by engaging a plurality of gears.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의 전면에는 핸들커버(490)가 장착된다. 상기 핸들커버(49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전면을 차폐하는 한편,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이 상기 도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cover 49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member 420. The handle cover 490 is formed to shield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member 420 and to prevent the opening assistance means 4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200.

상기 핸들커버(490)는 장착시 상기 도어핸들(300)의 연장부와 동일 높이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장착브라 켓(480) 또는 상기 안착부(260)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200)의 일측단 외형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The handle cover 490 is formed to have a surfac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door handle 300 when mounted so as to have a sense of unity, the mounting bracket 480 or the seating portion 260 It is combined with to form a portion of one side end of the door 200.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핸들(300)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도어핸들(300)의 파지부(320)와 연장부(340)는 상기 도어(20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은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보조수단(400)이 구비된 도어(200)의 일단은 핸들커버(490)에 의해 차폐되어 도어(200)의 일측단이 돌출된 부분 없이 매끄럽게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door handle 300 is mounted, the grip part 320 and the extension part 340 of the door handle 30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0. It is configured to, the opening auxiliary means 400 is located inside the door 200. In addition, one end of the door 200 provided with the opening auxiliary means 400 is shielded by the handle cover 490 so that one side end of the door 200 is smoothly form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a door of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open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의 일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개방보조수단의 작동을 보인 상태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is op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 main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n assisting means.

이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200)가 개방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우선 냉장고 도어(200)는 저장공간(S)을 차폐하기 위해 닫힌 상태에서는 본체(100)의 일측과 접하게 된다.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door 200 is opened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first, the refrigerator door 20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a closed state to shield the storage space (S).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핸들부재(420)의 수용부(422) 내측으로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 4a 에 이와 같은 상 태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In this state, the actuating member 440 maintains a state of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22 of the handle member 420, such a state is shown in detail in Figure 4a.

즉, 상기 작용부재가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핸들부재의 개구된 좌측면을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접촉부(442)의 좌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면접촉 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접촉부(442)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밀착되지 않고 다소 떨어져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actuating member is completely retracted, the contact part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contact part 442 as well as shielding the open left side surface of the handle member. do. Of course,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442 may be somewhat apart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핸들부재(420)의 내측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420) 내측의 상기 기어부재(460)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제1치형부(426) 및 상기 작용부재(440)의 제2치형부(446)와 기어결합되어 맞물린 상태가 된다.The gear member 460 inside the handle member 420 is the first tooth portion 426 of the handle member 420 in a state where the action member 44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andle member 420.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446 of the action member 440 is engaged with the gear.

이때, 상기 제1치형부(426)는 상기 기어부재(460)의 회전축(462)을 기준으로 다소 좌측으로 치우친 상태이며, 상기 제2치형부(446)는 상기 기어부재(46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다소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1치형부(426)와 제2치형부(446)는 좌우측으로 다소 엇갈리도록 위치하게 되며, 중앙에 상기 기어부재(460)가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ooth portion 426 is slightly biased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462 of the gear member 460, the second tooth portion 446 is a rotation shaft of the gear member 460 As a guide, it is in a state slightly biased to the right. That is, the first tooth portion 426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446 are positioned to be slightly stagger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gear member 46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한편, 상기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핸들(300)을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300)의 파지부(3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420)와 기어부재(460)의 상대운동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 형성된 상기 도어핸들(300)의 연장부(340)와 파지부(320)가 전방으로 다소 돌출되고, 상기 작용부재(440)는 상기 기어부재(460)와의 상대운동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을 밀면서 상기 도어(200)를 개방하게 된 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open the door 200, the user pulls the door handle 300 to the front. When the user pulls forward while holding the holding part 320 of the door handle 300, the door handle formed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handle member 420 and the gear member 460 ( The extension portion 340 and the grip portion 320 of the 300 is slightly protruded forward, the action member 440 is projected to the rear by the relative movement with the gear member 460 is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While pushing the door 200 is opened.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가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핸들(300)의 파지부(320)를 파지한 채로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핸들(30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핸들부재(420)가 전방(도 4b 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Looking in more detail, when the user pulls forward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320 of the door handle 300 to open the door 200, the handle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handle 300 420 moves forward (right in FIG. 4B).

이때,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상기 핸들부재(420)의 전방이동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300)을 당겨줌에 따라 상기 도어핸들(300) 즉, 상기 파지부(320)와 연장부(340)는 다소 전방으로 돌출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separate configuration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member 420,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handle member 420, so as the user pulls the door handle 300, the door handle ( 300, that is, the gripping portion 320 and the extension portion 340 slightly protrude forward.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부재(420)의 제1치형부(426)와 기어결합된 상태인 상기 기어부재(4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기어부재(4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부재(460)와 기어결합된 상기 제2치형부(446)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제2치형부(446)가 형성된 상기 작용부재(440)를 후방(도 4b 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As the handle member 420 moves, the gear member 460 in a gear-coupled state with the first tooth portion 426 of the handle member 42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gear member ( As the 460 rotates, the second tooth 446 geared to the gear member 460 is pushed backward so that the actuating member 440 on which the second tooth 446 is formed is rearward (FIG. Will move to the left) in 4b.

즉, 상기 핸들부재(420)의 강제 이동으로 상기 기어부재(46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기어부재(46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기어부재(460)와 맞물린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핸들부재(42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gear member 460 is rotated by the forced movement of the handle member 420, the action member 440 meshed with the gear member 460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of the gear member 460 is the handle The member 420 moves backwar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ember 420.

상기 작용부재(440)가 완전하게 상기 핸들부재(4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상기 도 4b 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도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작용부재(440) 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개구된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이때 상기 기어부재(46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치형부(426)는 우측(도 4b 에 볼 때)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치형부(446)는 좌측(도 4b 에서 볼 때)에 위치하게 된다.The state in which the actuating member 440 completely protrudes out of the handle member 420 is shown in FIG. 4B,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ctuating member 440 is an opening of the handle member 420. The first tooth 426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 4B) based on the gear member 460, and the second tooth 446 is on the left side. (As seen in FIG. 4B).

이와 같이 상기 도어핸들(300)을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는 상기 작용부재(44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100)와 접하거나 인접한 위치에 있던 상기 작용부재(440)의 접촉부(442)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면접촉하면서 상기 본체(100)를 밀어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를 이격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는 도 3 에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handle 300 is pulled forward, the actuating member 440 moves backward to protrud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portion of the actuating member 440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main body 100. 442 pushes the main body 100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space the main body 100 and the door 200, and this state is shown in detail in FIG. 3.

상기 작용부재(440)의 후방돌출로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는 보다 손쉽게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0)가 상기 본체(100)로부터 이격된 후에는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도어(200)를 회동시키거나 인출시키는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The main body 100 and the door 200 may be more easily separated by the rear protrusion of the actuating member 440. After the door 2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the user may easily open the door. The operation such as rotating or drawing out the 200 can be made.

한편, 상기 도어(200)를 닫을 때에는 상기 도어(200)를 회동시켜 본체(100)와 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도어(200)의 이면보다 먼저 상기 본체(100)와 접하게 되며, 상기 작용부재(440)가 상기 본체(100)와 접하여 상기 핸들부재(4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기어부재(460)가 회전하여 상기 핸들부재(420)를 원상태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도어핸들(300)은 상기 도어(200) 개방 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door 200 is closed, the door 200 is rota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440 contacts the main body 100 before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0. The gear member 460 is rotated to move the handle member 420 to its original state as the actuating member 440 contacts the main body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member 420. The door handle 300 is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opening the door 200.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 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핸들을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개방보조수단의 핸들부재와 기어부재 그리고 작용부재의 상대운동에 의해 상기 도어핸들을 당기는 힘만큼 작용부재가 본체의 일측을 밀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When the door handle is pulled forward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the actuating member pushes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force of pulling the door handle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handle member, the gear member and the actuating member of the opening auxiliary means. Spaced apart from the body.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가장 많은 힘이 드는 상기 본체와 도어의 이격순간에 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남녀노소 사용자의 제한 없이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door can be opened with a smaller force at the moment of separa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which has the most forc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us the user can expect the effect of being easy to use without restriction of age and sex users.

그리고, 상기 도어핸들을 당기게 될 때 상기 도어핸들이 다소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감이 더욱 우수해지게 됨은 물론 도어의 개방순간을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When the door handles are pulled, the door handles are protruded to the front,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oor handles is more excellent, and the usability of the doors can be sensed. You can expect.

또한, 상기 도어를 적절한 힘으로 개방가능하게 되며, 순간적으로 강한 힘으로 개방하게 되어 상기 도어의 이면에 저장된 식품들이 쓰러지거나 탈거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향상기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oor can be opened with an appropriate force, and instantaneously opened with a strong forc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falling or removing food stored on the back of the doo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in use. You can lean.

Claims (5)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고 본체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A door for selectively shielding a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body in which food is stored;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동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과;A door hand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and gripped by the user during rotation; 상기 도어핸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핸들의 조작시 기어에 의한 상대운동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밀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보조하는 개방보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handle, 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uxiliary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f the door by selectively push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relative movement by the gear when operating the door handle rescu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방보조수단은,The opening auxiliary means, 상기 도어핸들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핸들부재와;A handle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oor handle;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재와 상대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진퇴운동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을 밀어주는 작용부재와;An action member inserted into an inside of the handle member to selectively move back and forth by the relative movement with the handle member to push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핸들부재와 작용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핸들부재 및 작용부재의 일측과 기어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재와 기어부재를 상대운동시키는 기어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is interposed between the handle member and the actuating member, the gear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dle member and the actuating member to relatively move the handle member and the gear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핸들부재는,The handle member, 상기 작용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된 수 용부와;A receiving part having one surface open to receive the working member and having a hollow inside; 상기 수용부의 전면과 후면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의 치형과 기어결합되는 제1치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tooth portion geared with the tooth of the gear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작용부재는,The acting member,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일단을 차폐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과 접하는 접촉부와;A contact portion for shielding an open end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An insertion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ntact part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상기 삽입부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의 치형과 기어결합되는 제2치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The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ooth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teeth of the gear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The gear member is a refrigerator door op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through the opening to rotate about a rotating shaft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KR1020060121180A 2006-12-04 2006-12-04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KR101350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80A KR101350018B1 (en) 2006-12-04 2006-12-04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80A KR101350018B1 (en) 2006-12-04 2006-12-04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72A true KR20080050672A (en) 2008-06-10
KR101350018B1 KR101350018B1 (en) 2014-01-14

Family

ID=398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80A KR101350018B1 (en) 2006-12-04 2006-12-04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01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5790A (en) * 2010-05-07 2011-11-09 三星电子株式会社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3148663A (en) * 2013-03-20 2013-06-12 海尔集团公司 Refrigerating appliance
US20150260443A1 (en) * 2014-03-11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16108652A1 (en) * 2014-12-31 2016-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054245A1 (en) * 2015-02-03 2016-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2211517A (en) * 2019-07-12 2021-01-1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530B1 (en) * 1986-06-01 1990-01-31 주식회사 금성사 Door of refrigerator
KR19990012388U (en) * 1997-09-08 1999-04-06 전주범 Door opening of the refrigerator
KR100247727B1 (en) * 1997-09-08 2000-04-01 전주범 Door open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JP3886393B2 (en) * 2002-02-22 2007-02-28 Ntn株式会社 Door opener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5790B (en) * 2010-05-07 2015-09-09 三星电子株式会社 Door handle and there is the refrigerator of this door handle
US20110273070A1 (en) * 2010-05-07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10123478A (en) * 2010-05-07 2011-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385331B1 (en) * 2010-05-07 2018-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523302B2 (en) * 2010-05-07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2235790A (en) * 2010-05-07 2011-11-09 三星电子株式会社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3148663B (en) * 2013-03-20 2015-05-27 海尔集团公司 Refrigerating appliance
CN103148663A (en) * 2013-03-20 2013-06-12 海尔集团公司 Refrigerating appliance
US11543170B2 (en) 2014-03-11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20150260443A1 (en) * 2014-03-11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605891B2 (en) *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782063B2 (en) 2014-03-11 2020-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066866B2 (en) 2014-03-11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203148B2 (en) 2014-03-11 201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7407517B (en) * 2014-12-31 2020-06-30 Lg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with a door
WO2016108652A1 (en) * 2014-12-31 2016-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7407517A (en) * 2014-12-31 2017-11-28 Lg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US10174990B2 (en) 2014-12-31 2019-01-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5841429A (en) * 2015-02-03 2016-08-10 三星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US9933202B2 (en) 2015-02-03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3054245A1 (en) * 2015-02-03 2016-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2211517A (en) * 2019-07-12 2021-01-1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018B1 (en)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07B1 (en) Door hand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00310B1 (en) Refrigerator
US7765645B2 (en) Refrigerator
KR20080100555A (en) Door open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1350018B1 (en)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KR20110009348A (en) Door open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10941973B2 (en) Refrigerator
JP2002522738A (en) Refriger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459759B2 (en)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KR20110064720A (en) Refrigerator
KR20100122230A (en) Refrigerator
KR20060081923A (en) Refrigerator
KR101017826B1 (en) Door-basket structure of refrigerator
US20230304729A1 (en) Refrigerator
KR101013683B1 (en) refrigerator
KR101322118B1 (en) Refrigerator
KR101334477B1 (en) Door open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KR100688659B1 (en) Refrigerator
KR100717434B1 (en)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cemaking room door in a refrigerator
KR20070020119A (en) Double-withdrawal structure of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KR200340653Y1 (en) A home bar of side by side type refrigerator
KR20060094586A (en) Double-withdrawal structure of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KR20060088593A (en) A structure of homebar-handle for refrigerator
KR102158881B1 (en) refrigerator
JP2003287362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