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650A -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650A
KR20080050650A KR1020060121134A KR20060121134A KR20080050650A KR 20080050650 A KR20080050650 A KR 20080050650A KR 1020060121134 A KR1020060121134 A KR 1020060121134A KR 20060121134 A KR20060121134 A KR 20060121134A KR 20080050650 A KR20080050650 A KR 2008005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sensor
node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36864B1 (en
Inventor
안순신
이유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2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864B1/en
Publication of KR2008005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6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by allow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interwork are provided to quickly page a mobile terminal and save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Location information of a sensor node is generated according to a location information of a reference node(510), and transmitted to a cluster head(520). The cluster hea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itself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530). The cluster hea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to an access node(540). The access node generates its location information(550). The access node configure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with its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and that of the cluster head(560), and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a base station(570).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580). When a data inquiry request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is transmitted from an arbitrary client including an access node,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is provided to the arbitrary client(590).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 노드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sensor no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액세스 노드에서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FIG. 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of transmit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a base station in the access node of FIG. 5.

도 7은 도 5의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에서 위치정보 서버로 위치등록 메시지는 전송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FIG. 7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of transmit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from a base station receiv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of FIG. 5 to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도 8은 도 5의 위치정보 서버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FIG. 8 is a detailed flowchart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n arbitrary clien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of FIG. 5.

도 9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를 연산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를 연산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0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하여 센서 네트워크 망 내의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nsor node from a reference node in a sensor network by interwork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bout the system.

최근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 그리고 제반 인프라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관련 서비스의 다양성 및 확장성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화 및 관련 새로운 서비스의 시장 수요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가 가장 성장성이 높은 새로운 이동통신 서비스 분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the diversity and expandability of related service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location-based services ar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smart phones and the market demand for related new services. Is becoming the most growthable new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위치기반 서비스란 이동중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다양한 다른 유용한 정보와 실시간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가적인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최근 들어 위치기반서비스는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이용해 단순히 휴대폰 및 개인이동 정보단말기를 가진 사용자의 위치관련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광고, 주문배달서비스, 쿠폰서비스, 긴급정보서비스, 물류관제시스템 등 실생활에 가장 밀접한 형태로 생활 속에 파고들고 있다.Location-based services are defined as providing a variety of additional application services that users need by comb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ing user with various other useful information in real time. Recently, location-based services are simply mobile phones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addition to providing location-related information for users with personal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they are digging into life in the closest form to real life such as advertisement, order delivery service, coupon service, emergency information service, and logistics control system.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련 기술은 외부 환경으로 이동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측위 기술, 위치 결정 기술, 위치 데이 터 관리를 위한 기술 그리고 특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 응용기술로 구성된다.Related technologies that make up 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include wireless positioning technology for determining location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location technology, location data management technology, and especially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 for providing services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t consists of technology.

특히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은 이동통신 망과 위치기반서비스의 응용 서비스 사이에서 필요한 기반이 되는 제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가장 핵심적이고 개발 및 성장성이 큰 분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 기술은 외부 망과의 접속 및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그리고 실시간 대용량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위치 데이터 서버 기술 등으로 구분된다.In particular, location-based service technology is a platform for providing various technologies that are necessary foundation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application services of location-based services. These platform technologies are divided into access to external networks, location database construction, and location data server technology that processes real-time mass location information.

이런 플랫폼을 기반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는 처음에는 개인 위주의 서비스에서 점차 위치 측위 기술의 발달, 서비스 고도화에 따라 전자상거래, 교통, 환경, 의료 등 국가 전반적인 인프라 차원으로 확대되고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라크 전쟁을 통해 보듯이 미래 국방의 전략적 핵심기술로도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Based on these platforms, location-based services are initially expanding and developing into individual infrastructures, such as e-commerc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healthcar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ocation technology and the advancement of services. As seen through the war, it can be said to be positioned as a strategic core technology for the future defense.

IT 산업이 활성화된 이후부터 현재까지도 지도, 물류 위치 추적 등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는 지리적 정보 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및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GPS)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위치정보는 국방, 환경, 교통과 물류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사 서비스와는 다르게 위치기반 서비스가 일반인들에게 가장 큰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유는 바로 위치정보가 통신인프라 측면에서 가장 대중화되어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연결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Since the IT industry has been active, services using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maps and logistics location tracking, have been provided through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ocation information is widely used in defense,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However, unlike conventional similar services, location-based services are of interest to the general public because loc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which are most popular in terms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o create various consumer-oriented services. Because it can.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망을 독립적으로 이용한 위치 관리 기법은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개별적으로 운영되어 센서 노드의 센싱 데이터 및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으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기지국 단위의 위치정보로서 기지국의 반경이 수십 킬로미터(km)에 달하는 광역 기지국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오류가 발생하여 정확한 위치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ocation management techniqu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dependently operates independently from a sensor network including a sensor node to construct an independent sensor network to transmit sensing data of the sensor nod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to a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unit. In the case of a wide area base station having a radius of several tens of kilometers (km), an error occurs 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obtain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및 센싱 데이터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sensor network capable of mai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a sensor node, and sensing data. will b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interwork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interworking the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first technical problem,

레퍼런스 노드에 의해 생성된 센서 노드의 센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헤드의 헤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 및 상기 헤드 위치정보를 액세스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헤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노드의 액세스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및 상 기 액세스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구성된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위치정보 서버에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위치정보 서버에 위치정보에 대한 질의를 전송하면, 상기 위치정보 서버에서 상기 질의한 클라이언트에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액세스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Generating head position information of a cluster head by using sensor position information of a sensor node generated by a reference node, and transmitting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to an access node, using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ng access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node, construc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cluding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nfigured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the base station at the access node; 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a query f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from any client including the access node.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queryed client in the server, And provides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or th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interlocking which one of the sensor network and the mobile, including the step of sen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second technical problem,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노드, 상기 센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헤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클러스터 헤드, 상기 생성된 헤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 및 상기 헤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및 상기 생성된 액세스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는 액세스 노드, 상기 액세스 노드로부터 상기 구성된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전송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의 질의가 발생하면 상기 질의한 클라이언트에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액세스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A sensor node generating sensor position information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reference node, a cluster head generating head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storing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and using the generated head position information An access node for generating access location information, storing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cluding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access location information; A base station receiving the configured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from a node, and stor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quiring of any client including the access node to the querying client.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or the Access position at least one interlock which the one conta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server to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or networks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위치정보는 절대적 위치정보와 상대적 위치정보로 나눌 수 있다. 절대적 위치정보는 고정적으로 변동 없이 정해지는 위치정보이며, 상대적 위치정보는 절대적 위치정보를 가지는 노드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절대적 위치정보를 가지는 노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 위치정보이다. 즉, 상대적 위치정보는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와 위치정보 데이터 처리 제어부에서 생성한 범위의 개념을 합한 위치정보로 정의하고 이 상세 위치정보를 상대적 지리적 코드(GeoGraphical Code:GGC)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노드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absolute location information and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Absolute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fixedly unchanged, and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refers to position information of a node having absolute posi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position information of a node having absolute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is defined as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ad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reference node and the concept of the range genera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data processing control unit, and the detailed position information is called a relative geographic code (GGC). In this way, the node can generat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레퍼런스 노드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에서 생성하는 센서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센서 위치정보로 정의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generated by the sensor node is defined a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broadcast from the reference node.

그리고, 단위 클러스터 내에 포함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헤드에서 생성하는 클러스터 헤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헤드 위치정보로 정의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itself generated by the cluster head is defined as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ncluded in the unit cluster.

또한, 센서 네트워크 내의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노드에서 생성하는 액세스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액세스 위치정보로 정의한다.Further,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in the sensor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itself generated by the access node is defined as th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illustrate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레퍼런스 노드(111, 112,113)는 센서 네트워크 내에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노드로서 주변의 센서 노드(121,122,123)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준 노드가 된다. 위치정보는 위치와 범위의 개념을 포함한 것으로 레퍼런스 노드(111,112,113)에 고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레퍼런스 노드(111,112,113)는 센서 네트워크 망 내에서 기준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노드이므로 이동하지 않는 고정형 노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interwork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odes 111, 112, and 113 are nodes that store location information in a sensor network. 121, 122, and 123 to be a reference nod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concept of location and range and can be fixedly assigned to the reference nodes 111, 112, and 113. The reference nodes 111, 112, and 113 may be fixed nodes that do not move because the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as a reference in the sensor network.

한편, 레퍼런스 노드(111,112,113)에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자신의 3차원 위치정보, 즉 위도, 경도, 고도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3차원 위치정보는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GPS)에 의해 획득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는 주기적인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에 의해 주변 센서 노드에 전달된다.Meanwhile,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ference nodes 111, 112, and 113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thereof, that is,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The 3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PS) or by an administrator's inpu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thus obtained is transmitted to the neighboring sensor nodes by periodical broadcasting.

센서 노드(121,122,123)는 센서 네트워크 망 내의 정보를 센싱할 뿐만 아니라, 센서 네트워크 망 내에서 단위 클러스터(135)에 포함된 클러스터 헤드(130)에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센서 노드(121,122,123)는 각각 자신의 식별자 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속 이동형 또는 고정형 노드일 수 있다. 한편, 센서 노드(121,122,123)는 센서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인 지그비(Zigbee)모듈을 장착하고 있을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not only sense information in the sensor network but als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to the cluster head 130 included in the unit cluster 135 in the sensor network.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store their identifiers, respectively, and may be slow moving or fixed nodes.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may be equipped with a Zigbee module, which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in the sensor network, and may be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nvironment.

클러스터 헤드(130)는 복수 개로 구성된 센서 노드(121,122,123)의 집합인 클러스터(135)에서 센서 노드(121,122,123)로부터 센싱 정보를 취합(aggregation)하여 액세스 노드(140)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클러스터 헤드(130)는 센서 노드(121,122,123)에 비해 연산 능력 및 저장 능력이 우수하며 저속 이동형 또는 고정형 노드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네트워크 내의 통신을 위하여 지그비(Zigbee)모듈을 장착하고 있을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The cluster head 130 collects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in the cluster 135, which is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and sends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access node 140. The cluster head 130 is superior to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in terms of computing power and storage capacity, and may be a slow moving or fixed node. In addition, a Zigbee module may be mounted for communication in the sensor network, and a Bluetooth module may be mount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nvironment.

클러스터(135)는 클러스터 헤드(130)와 복수 개의 센서 노드(121,122,123)로 구성된 센서 노드의 집합이다. 클러스터(135) 내에 있는 센서 노드(121,122,123)는 클러스터(135)를 통해서만 다른 센서 노드(121,122,123)와 통신이 가능하다.The cluster 135 is a set of sensor nodes composed of the cluster head 130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The sensor nodes 121, 122, 123 in the cluster 135 may communicate with other sensor nodes 121, 122, 123 only through the cluster 135.

또한, 클러스터 헤드(130)는 센싱 정보를 센서 노드(121,122,123)로부터 받아들여 액세스 노드(140)로 전송한다. 액세스 노드(140)는 이동형 노드일 수 있으며, 무선 애드혹(adhoc)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uster head 130 receives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and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access node 140. The access node 140 may be a mobile node and may support a wireless ad hoc environment.

한편, 클러스터 헤드(130)는 단순히 센싱 정보의 전달뿐만 아니라 센싱 정보를 취합(aggregation)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노드(121,122,123)와 마찬가지로 센서 네트워크 내의 통신을 위하여 지그비(Zigbee) 모듈을 장착하고 있을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uster head 130 may perform an additional function of aggregation of the sensing information as well as simply transferring the sensing information. Like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a Zigbee module may be mounted for communication in the sensor network, and a Bluetooth module may be mount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nvironment.

액세스 노드(140)는 이동통신 망과 연동 기능을 가진 노드로 일반적으로 센서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한다. 액세스 노드(140)의 기본 기능은 클러스터 헤드(130)로부터 얻어진 센싱 정보를 이동통신 망에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 및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한다. The access node 140 is a node having an interworking fun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generally serves as a gateway of the sensor network. The basic function of the access node 140 serves as a gateway for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luster head 13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itself is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and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is configured.

한편, 여기서 액세스 노드(140)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무선랜 장치일 수 있다. 액세스 노드(140)는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센서 네트워크와의 통신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access node 140 may be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wireless LAN device. The access node 140 is configured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o communicate with a sensor network.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evision Multiple Access:CDMA) 또는 이동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와의 통신을 위하여 지그비(Zigbee) 모듈을 장착한 듀얼 모드(dual mode)로 구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module.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in a dual mode equipped with a Zigbee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node.

그리고, 블루투스(Bluetrooth)를 장착한 센서 노드(121,122,123)와의 통신에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evision Multiple Access:CDMA) 또는 이동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 모듈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equipped with Bluetooth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uetooth module,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is provided to provide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lternatively, the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module.

기지국(150)은 액세스 노드(140)에서 전송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망(160)으로 전송한다.The base station 150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ccess node 140 and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60.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150)으로 구성할 경우 액세스 노드(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센서 노드(121,122,123)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장착한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50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node 14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It may be equipped with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망(160)은 기지국 제어기, 이동통신 교환기, 유선 교환기,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VLR) 및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HLR)로 구성된 코어 망(Core network)으로, 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망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VLR),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HLR)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관리함으로써 기존의 이동통신 망을 통한 다양한 위치정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60 is a core network including a base station controller,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a wired switch,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Enables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network. In addition,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and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manage subscrib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able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위치정보 서버(170)는 종래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VLR),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HLR)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센서 네트워크 내의 레퍼런스 노드(111,112,113)를 통한 센서 노드(121,122,123)들의 위치정보, 클러스터 헤드(130) 및 액세스 노드(140)의 위치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형태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170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s 121, 122, and 123, the location of the cluster head 130, and the access node 140 through the reference nodes 111, 112, and 113 in the sensor network may be managed to enable more precise and various types of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do.

한편,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180)는 어떤 특정 센서 노 드(121,122,123), 클러스터 헤드(130) 또는 액세스 노드(140)의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서버(170)에 요청한다. 그리고, 위치정보 서버(170)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한 요청이 위치정보 서버(170)에 전송되면, 위치정보 서버(170)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질의한 임의의 클라이언트(180)에 제공한다.Meanwhile, any client 180 including an access node requests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170 for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sensor node 121, 122, 123, the cluster head 130, or the access node 140. When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170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170,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170 is provided to any client 180 that queries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되나, 도 1과는 달리 액세스 노드(240)는 이동통신 단말기 대신 무선랜을 장착한 노트북이거나 PDA 등과 같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기지국(150)은 도 2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터(Access Pointer:AP)(250)가 된다. 또한 코어 망으로서 도 1의 이동통신 망(160)은 무선랜 망(260)이 되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2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but unlike FIG. 1, the access node 240 may be a laptop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inste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wireless mobile terminal such as a PDA.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150 of FIG. 1 becomes a wireless access pointer (AP) 250 in FIG. 2. In addition, as a core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60 of FIG. 1 becomes a WLAN network 260 to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s.

도 3은 본 발명의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노드인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모듈(310), 센서 통신 모듈(320), 데이터 처리 제어부(330), 송신부(340), 수신부(350) 및 안테나(360)를 구비할 수 있다.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access node,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0,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320, a data processing controller 330, a transmitter 340, a receiver 350, and an antenna 360. It may be provided.

이동통신 모듈(310)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evision Multiple Access:CDMA) 또는 이동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에 해당하는 종래의 이동통신 망에서 음성과 데이터의 정보를 서비스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망에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0 provides information on voice and data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In addition to ser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provided to provide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그리고, 센서 통신 모듈(320)은 센서 네트워크 내의 센서 노드와 위치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용되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센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include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which is applied to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with sensor nodes in the sensor network.

데이터 처리 제어부(330)는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ata processing control unit 330 processes data related to location-based services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송신부(340)는 송신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조하여 안테나(360)로 출력하며, 수신부(350)는 안테나(360)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며, 안테나(360)는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위의 송신부(340)와 수신부(350)에 구비될 수 있다.The transmitter 340 modulates the transmission data into wireless data and outputs the data to the antenna 360. The receiver 350 demodulates and outputs the wireless data received from the antenna 360, and the antenna 360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data. In order to do so, the transmitter 340 and the receiver 350 may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 노드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sensor no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노드는 도 3과 유사하게 이동통신 모듈(410), 센서 통신 모듈(420), 데이터 처리 제어부(430), 송신부(440), 수신부(450) 및 안테나(46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nsor node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410,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420, a data processing controller 430, a transmitter 440, a receiver 450, and an antenna 460 similarly to FIG. 3. can do.

이동통신 모듈(410)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evision Multiple Access:CDMA) 또는 이동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SM)에 해당하는 종래의 이동통신 망에서 음성과 데이터의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 노드에 있어서 이동통신 모듈(410)은 선택적인 모듈로써, 액세스 노드인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직접적인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410 provides information of voice and data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It may be provided for servicing. However, in the sensor nod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410 is an optional modul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ly whe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access node, is required.

그리고, 센서 통신 모듈(420)은 센서 네트워크 내의 센서 노드와 위치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적용되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센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communication module 420 may include 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Zigbee which is applied to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with sensor nodes in the sensor network.

데이터 처리 제어부(430)는 위치정보를 포함한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데이 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ata processing control unit 430 serves to process location based service related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송신부(440)는 송신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조하여 안테나(460)로 출력하며, 수신부(450)는 안테나(460)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며, 안테나(460)는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위의 송신부(440)와 수신부(450)에 구비될 수 있다.The transmitter 440 modulates the transmission data into radio data and outputs the data to the antenna 460. The receiver 450 demodulates and outputs radio data received from the antenna 460. The antenna 460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data. In order to do so, the transmitter 440 and the receiver 450 may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에 따라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510 과정). 레퍼런스 노드의 3차원 위치정보는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GPS)에 의해 획득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는 주기적인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에 의해 주변 센서 노드에 전달된다.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a sensor node is generated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a reference node (step 510). The 3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may be obtain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r by an input of an administrat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thus obtained is transmitted to the neighboring sensor nodes by periodical broadcasting.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와 레퍼런스 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레퍼런스 노드로부터의 거리는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의 전송 신호의 강도를 인덱스로 하여 거리 측정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구한다. 시그널 세기에 근거한 거리 측정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에 충분한 실시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연산되는 레퍼런스 노드로부터의 거리는 범위의 개념이 되어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와 함께 센서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More specifically, to gener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tsel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node.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node is obtained by accessing a distance measurement database using the index of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ference node. Distance measurement database based on signal strength is databased through sufficient implementation in advance.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node computed by this database becomes the concept of range to generat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tself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ference node.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1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미리 충분한 실시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전송 신호의 강도에 따른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Table 1 above, the distances according to the strengths of the transmission signals which have been databased through sufficient implementation in advance are shown.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연산되는 레퍼런스 노드로부터의 거리와 함께,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센서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In this wa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tself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ference node together with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node calculated by the database.

즉, 미리 실제 센서 네트워크 망에서 레퍼런스 노드가 전송하는 전송 신호의 강도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 시그널의 세기를 참조하여 시그널 세기를 인덱스로 한다. 그리고, 인덱스화 된 전송 신호의 강도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거리와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센서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That is, the database is referred to in advance by referring to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reference node in the actual sensor network. The signal strength is indexed by referring to the signal strength. Then,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node is calculated by accessing a database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indexed transmission sig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obtained by combining the calculated distan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2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2

표 2는 센서 노드의 클러스터 헤드로의 위치정보 전송 메시지의 일례로 센서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클러스터 헤드로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클러스터 헤드의 경우에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즉, 표 2는 센서 노드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서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를 액세스 노드에 전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able 2 is a message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tself to the cluster head as an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ssage to the cluster head of the sensor node. In the case of the cluster hea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transmitted along with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Table 2 shows an example of the sensor nod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to the access node.

그 다음,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클러스터 헤드에 전송한다(520 과정). 생성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는 고정적 위치정보가 아니라 상대적 위치정보이다.Nex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generated from the reference node, and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transmitted to the cluster head (step 520). The genera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not fixed position information but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그 다음, 센서 노드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클러스터 헤드는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에 따라 클러스터 헤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530 과정).Next, the cluster head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node gener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itself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step 530).

센서 노드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클러스터 헤드는 센서 노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클러스터 헤드는 클러스터 내의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모두 전송받는다.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의 전송 신호 강도에 따른 센서 노드와의 거리 및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클러스터 헤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The cluster hea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node generat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ensor node. The cluster head receives al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sensor nodes in the cluster. The cluster head itself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sensor nod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그 다음, 클러스터 헤드에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및 생성된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를 액세스 노드에 전송한다(540 과정).Next, the cluster hea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and the generated cluster hea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access node (S540).

클러스터 헤드는 생성된 자신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동일한 클러스터에 포함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헤드는 자신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자신이 수신한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까지 액세스 노드로 전송한다.The cluster head stores not only its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but als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sensor nodes included in the same cluster. Accordingly, the cluster head transmits not only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but als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received by the cluster head to the access node.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액세스 노드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550 과정).The access node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luster head generat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step 550).

센서 노드 및 클러스터 헤드에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노드는 클러스터 헤드에서 전송된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imilar to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t the sensor node and the cluster head, the access node generat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transmitted from the cluster head.

이는,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전송된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와 거리 측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은 거리를 조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is can be obtained by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by comb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cluster head and the distance obtained from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base.

즉, 클러스터 헤드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액세스 노드에 브로드캐스팅한다.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위치정보는 노드 ID, 노드 타입(type) 및 3차원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3차원 위치정보는 위도, 고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된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의 전송 신호 중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신호 강도를 가지는 클러스터 헤드의 전송 신호 강도를 저장하고, 저장된 클러스터 헤드의 전송 신호 강도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액세스 노드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와의 거리를 연산한다. 그리고,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 및 상기 연산된 클러스터 헤드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That is, the cluster head broadcast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ccess node. The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from the cluster head includes a node ID, a node type, and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The 3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ltitude, and longitude. Stores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of the cluster head having a signal str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mong the transmission signal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cluster head, and stores the access node and the cluster head according to a database according to the stored signal strength of the cluster head.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and the calculated distance from the cluster head.

그 다음, 액세스 노드에서 액세스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및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한다(560 과정).Next, the access node construc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by comb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itsel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step 560).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3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3

상기 표 3은 클러스터 헤드 및 액세스 노드에 존재하는 하위 노드의 위치 정보 저장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표 3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저장 테이블은 센서 노드 식별자(ID), 센서 노드 타입(type), 위도, 고도 및 경도를 포함한 3차원 위치정보, 수신 시그널 세기(RSSI) 및 거리로 구성되며 고정된 테이블의 크기를 가진다. 테이블이 포화 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클러스터 헤드의 경우는 위치정보 전송 메시지를 구성하여 액세스 노드로 전송하고, 액세스 노드의 경우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Table 3 shows position information storage tables of subordinate nodes existing in the cluster head and the access node. Referring to Table 3,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table consists of a sensor node identifier (ID), a sensor node type (typ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ltitude, and longitude, a received signal strength (RSSI), and a distance, and is fixed. It has the size of the table. When the table is saturat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luster head constructs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access node, and the access node construc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4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4

상기 표 4는 표 3의 센서 노드을 센서 노드 타입을 도시한 것이다. 센서 노드 타입은 0×00 ∼ 0×ff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구현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able 4 shows sensor node types of the sensor nodes of Table 3. The sensor node type can be configured from 0x00 to 0xff, which can of course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ctual implement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액세스 노드는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자신의 위치정보,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및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More specifically, the access node may comprise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uster head,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5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5

상기 표 5는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위치등록 메시지 구성도로 기존의 위치등록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필드 이외에 단말기 자신의 위치정보 및 센서 노드의 위치 저장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필드로 구성된다.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필드는 센서 노드의 수만큼 변하게 된다.Tabl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 which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In addition to the fields included in the existing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sensors stored in the terminal'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storage table of the sensor node It consist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field of the node. The location information field of the sensor node is changed by the number of sensor nodes.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6
Figure 112006089612679-PAT00006

상기 표 6은 종래의 IS-2000 이동통신 망에서 사용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로서, 주기적 위치등록이나 파라미터 변경에 따른 위치등록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위치등록 방법이 존재한다. 이는 종래의 이동통신 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위치등록 방법으로 기존의 위치등록 메시지에 위치정보 필드만 추가하여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Table 6 i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used in a conventional IS-200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location registration methods in addition to location registration due to periodic location registration or parameter change. This is a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us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only a location information field to an existing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그 다음,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570 과정).Next,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step 570).

액세스 노드에서 기지국으로 위치정보들을 전송하는 방법은 기존의 위치등록 메시지에 위치정보 필드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위치등록 메시지 필드에 액세스 노드 자신의 위치정보 및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위치정보 필드를 추가한다.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n access node to a base st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field may be added to an existing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and transmitted. That is, a location information field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itself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added to the existing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field.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주기적 방법, 기지국 위치 변경, 시스템 식별자(System identifier) 또는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 identifier)등의 파라미터 변경에 의해 트리거(trigger)되는 방법, 이동통신 망 또는 기지국 요청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법 등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may be triggered by a periodic method, a base station location change, a parameter change such as a system identifier or a network identifie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Or a method made by a base station request.

이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시점은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이 포화 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시점으로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time poin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the base st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 time point after the table fo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aturated o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한편,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가 다량 누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취합(aggregation)하거나 압축(compression)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위치정보를 취합(aggregation)하거나 압축(compression)하여 한 번에 전송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어 여러 차례에 걸쳐 전송하는 방법을 적용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amount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accumulate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ggregated or compressed. Alternatively, whe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ggregate or compress location information at one time and transmit it at once, a method of transmitting a plurality of times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applied.

그 다음,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위치정보 서버에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580 과정).Next,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ep 580).

기지국은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와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위치정보 서버에 전송한다.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위치정보 서버는 위치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고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위치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which ha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maintain and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in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마지막으로,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에서 위치정보 서버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 질의 요청이 전송되면, 위치정보 서버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질의 요청한 임의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590 과정).Finally, when a data query request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is transmitted from any client including the access node,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is provided to the desired requesting client (step 590).

한편, 상기 기술한 내용은 센서 노드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의 일 실시예이다. 그러나, 계층적 구조가 아닌 수평적 구조의 센서 노드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의 센서 노드는 하위 노드에 의해서만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직접적으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위치정보를 가진 주변 노드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노드 역시 레퍼런스 노드나 거리상으로 가까운 센서 노드로부터 직접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ption is an embodiment when the sensor nodes are hierarchically configu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se in which a sensor node having a horizontal structure rather than a hierarchical structure is configured. In this case, the sensor node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reference node instead of obtaining its location information only by the lower node, or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neighboring node ha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ccess node may als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a reference node or a sensor node that is close in distance.

계층적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적은 수의 레퍼런스 노드가 필요하고 센서 노드가 하위 노드들의 위치정보를 단계적으로 위치정보를 취합(aggregation)하거나 압축(compression)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액세스 노드의 부하가 적으며, 수평적 구조에서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센서 노드나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가 짧은 시간에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위치정보를 레퍼런스 노드로부터 직접 수신하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In the hierarchical sensor network, a small number of reference nodes are required, and the load of the access node is less because the sensor node is aggregating or compres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wer nodes step by step. In the sensor network in the horizontal structure, the sensor node or the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node in a short time and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reference node, thereby obtaining precise position information. do.

도 6은 액세스 노드에서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570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570 of transmit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an eNB by an access node.

우선, 액세스 노드에서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671 과정)하여 위치정보 테이블에 센서 노드 및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672 과정).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 테이블은 클러스터 헤드의 위치정보 테이블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센서 노드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세스 노드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673 과정). 현재 생성된 위치정보가 이전에 생성된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와 다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674 과정), 현재 생성된 위치정보가 이전에 생성된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현재 생성된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675 과정). 이 경우,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는 전송하지 않고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만 기지국으로 전송한다.First, the access node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luster head (step 671)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and the cluster hea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step 672).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access node may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cluster head as it is. In the same way as the sensor node generat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he access node generat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step 67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ly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generated access node (step 674). If the currently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generated access node, the currently generated access is performed. In step 675,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od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without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한편, 현재 생성된 자신의 위치정보와 이전에 생성된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가 같은 경우에는 주기적 위치등록 시점까지 대기하여(676 과정), 위치등록 메시지에 액세스 노드의 위치정보와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677 과정). 기지국으로부터 위치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위치등록이 성공한 것이다(678 과정).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self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generated access node is the same (waiting step 676),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 step 677,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cluding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If the ACK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location registration is successful (step 678).

도 7은 도 5의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에서 위치정보 서버로 위치등록 메시지는 전송하는 단계(580)의 상세 흐름도이다.FIG. 7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580 of transmit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from a base station receiv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of FIG. 5 to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액세스 노드로부터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781 과정), 위치등록 메시지를 검사한다(782 과정). 검사 결과 오류가 있으면 이 위치등록 메시지는 폐기하고(783 과정) 다시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며, 오류가 없으면 위치등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어 액세스 노드로 응답(ACK) 메시지를 전송한다(784 과정).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위치등록 메시지를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위치정보 서버에 전송한다(785 과정).Referring to FIG. 7,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from the access node (step 781), the base station examine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step 782). If there is an error,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discarded (step 783) and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s received again. If there is no error, the location registration is determined to be successful and an ACK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ccess node (step 784). Finally,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ep 785).

도 8은 도 5의 위치정보 서버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590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8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tep 590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n arbitrary clien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of FIG. 5.

도 8를 참조하면 임의의 클라이언트에서 액세스 노드, 클러스터 헤드 또는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면(891 과정), 위치정보 요청을 받은 위치정보 서버는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검색한다(892 과정).Referring to FIG. 8, when an arbitrary client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node, a cluster head, or a sensor node (step 891),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trieves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step 892).

위치정보 서버는 위치정보가 위치정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893 과정), 위치정보 서버에 요청받은 위치정보가 저장된 경우 위치정보를 요청한 임의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894 과정).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step 833), and if the requested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ny requesting client (step 894).

위치정보 서버에 요청받은 위치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센서 네트워크 망 내에서 요청받은 센서 노드, 클러스터 헤드 또는 액세스 노드의 위치를 추적하여(895), 위치정보를 요청한 임의의 클라이언트에 위치정보를 제공한다(894 과정).If the requested location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e location of the requested sensor node, cluster head or access node in the sensor network network is tracked (895)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o any client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894).

도 9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를 연산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위치정보를 가진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최소한 3개의 위치정보, 즉 위치정보를 가진 위치정보 노드(910)로부터의 3차원 위치정보(X1, Y1, Z1), 위치정보 노드(920)로부터의 3차원 위치정보(X2, Y2, Z2) 및 위치정보 노드(930)로부터 3차원 위치정보의 값을 획득한다. 그 다음, 자신의 위치정보(x,y,z)를 획득하는 삼각 측량법에 따라 센서 노드(94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9, at least thre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node having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X1, Y1, and Z1 from a location information node 910 ha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location information node 920. 3D position information (X2, Y2, Z2) and position information node 930 from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940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method of obtain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x, y, z).

도 10은 본 발명의 위치정보를 연산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0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정보를 가진 위치정보 노드로부터 더욱 정밀한 거리 측정을 위하여, 위치정보 노드(1010,1020,1030)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위 노드로 전송할 경우, 처음부터 최대 전력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별로 전송파워를 늘려간다. 이와 같이 전송 파워를 단계별로 늘려감으로써 마침내 전송 메시지가 상위 노드에 도달하는 시점의 수신 시그널의 세기를 구한다. 이와 같은 수신 시그널의 세기에 근거하여 거리 측정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위치정보 노드(1010,1020,1030)로부터 떨어진 거리, 즉 d1, d2, d3를 산출해 낸다. 이는 도 9에서 상술한 d1, d2 및 d3를 더욱 정밀하게 산출해 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위치정보 노드(1010,1020,1030)는 동일한 메시지를 센서 노드(1040)가 마침내 수신할 때까지 복수 회에 걸쳐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nodes 1010, 1020, and 1030 transmit their location information to a higher node in order to measure distances more precisely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node having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nodes 1010, 1020, and 1030 transmit the full power from the beginning. Rather, increase transmission power step by step. By increasing the transmit power step by step in this way,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transmitted message finally reaches the upper node is obtained.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base is accessed to calculate distances dista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nodes 1010, 1020, and 1030, that is, d1, d2, and d3. This is to more accurately calculate the d1, d2 and d3 described above in FIG.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nodes 1010, 1020, and 1030 transmit the same message a plurality of times until the sensor node 1040 finally receives i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항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므로 더욱 정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도 위치정보 관리 서버를 통해 관리되어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페이징시 기지국 단위가 아닌 기지국 내의 건물 등의 특정 지역에 한정하여 호출이 가능하므로 빠른 착신 호출을 할 수 있고, 더욱이 기지국 전송 파워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quired from the sensor network, more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is also manag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o provide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It can be used for application, and can be called only in specific area such as building in base station, not base station unit when pag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fast incoming call can be made and moreover,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can be saved. have.

Claims (11)

레퍼런스 노드에 의해 생성된 센서 노드의 센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헤드의 헤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 및 상기 헤드 위치정보를 액세스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Generating head position information of a cluster head by using sensor position information of a sensor node generated by a reference node, and transmitting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to an access node; 상기 헤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노드의 액세스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및 상기 액세스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Generating acces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node using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and construct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cluding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액세스 노드에서 상기 구성된 위치등록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위치정보 서버에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by the access node, the configured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a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 the base station; And 상기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위치정보 서버에 위치정보에 대한 질의를 전송하면, 상기 위치정보 서버에서 상기 질의한 클라이언트에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액세스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When an arbitrary client including the access node transmits a query f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requests at least one of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or th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queryed client.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ny one loc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 노드의 센서 위치정보는,Sensor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상기 레퍼런스 노드의 전송 신호 강도에 따라 연산된 상기 센서 노드와 상기 레퍼런스 노드 간의 거리 및 상기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에 따라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And a distance between the sensor node and the reference nod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of the reference nod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는,Compris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상기 클러스터 헤드에서 상기 헤드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Broadcasting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in the cluster head;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헤드 위치정보의 전송 신호 중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신호 강도를 가지는 헤드 위치정보의 전송 신호 강도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of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having a signal str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mong the transmission signals of the broadcast head position information; 상기 저장된 헤드 위치정보의 전송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액세스 노드와 상기 클러스터 헤드와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access node and the cluster hea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strength of the stored head position information; And 상기 헤드 위치정보 및 상기 연산된 클러스터 헤드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액세스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And generating the access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alculated distance from the cluster hea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The step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상기 액세스 노드에서 이전에 생성된 액세스 위치정보가 상기 생성된 액세스 위치정보와 동일한 경우, 소정의 주기적 위치등록 시점에 상기 구성된 위치등록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When th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enerated at the access node is the same as the generated acces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configured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o the base station at a predetermined periodic location registration time point; And 상기 액세스 노드에서 이전에 생성된 액세스 위치정보가 상기 생성된 액세스 위치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생성된 액세스 위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acces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if th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enerated in the access node is not the same as the generated access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locking method. 레퍼런스 노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노드;A sensor node for generating sensor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node; 상기 센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헤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클러스터 헤드;A cluster head generating head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and storing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상기 생성된 헤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 위치정보 및 상기 헤드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및 상기 생성된 액세스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등록 메시지를 구성하는 액세스 노드;Generate access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generated head location information, store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 the location including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access location information. An access node composing a message; 상기 액세스 노드로부터 상기 구성된 위치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 및A base station receiving the configured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from the access node; And 상기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전송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액세스 노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클라이언트의 질의가 발생하면 상기 질의한 클라이언트에 상기 센서 위치정보, 상기 헤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액세스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base station stores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query of any client including the access node occurs,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he head location information or the access location to the querying client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 which a sensor network inclu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of information is link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센서 노드는,The sensor node, 지그비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듈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of at least one of the Zigbee module or Bluetooth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액세스 노드는,The access node,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with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센서 노드에 장착된 모듈을 포함하되, CDMA 모듈 또는 GSM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And a module mounted to the sensor nod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DMA module and a GSM modul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듀얼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망에서 위치등록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a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센서 네트워크 내의 상기 센서 노드와 센서 위치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센서 통신 모듈;A sensor communication module for exchanging sensor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sensor node in the sensor network; 상기 센서 위치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제어부;A data processing controller for processing data including the sensor position information; 상기 데이터 처리 제어부의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로 변조하는 송신부;A transmitter for modulating data of the data processing controller into wireless data;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무선 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및A receiver which demodulates and outputs wireless data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상기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wireless dat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센서 노드는,The sensor node, 저속 이동형 노드 또는 고정형 노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with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node of a low-speed mobile node or a fixed nod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The sensor network, 계층적 구조 또는 수평적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망을 연동한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terworking a sensor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hierarchical structure or a horizontal structure.
KR1020060121134A 2006-12-04 2006-12-04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 KR100836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34A KR100836864B1 (en) 2006-12-04 2006-12-04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34A KR100836864B1 (en) 2006-12-04 2006-12-04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50A true KR20080050650A (en) 2008-06-10
KR100836864B1 KR100836864B1 (en) 2008-06-11

Family

ID=3980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34A KR100836864B1 (en) 2006-12-04 2006-12-04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86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62B1 (en) * 2008-09-11 2010-03-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node using power loss index number
KR101047038B1 (en) * 2008-12-12 2011-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base station
KR101491146B1 (en) * 2008-07-21 2015-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zigbee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222A (en) * 2004-03-29 2005-10-05 오렌지로직 (주)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and/or vehicle burglar alarm,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or sensor information in devices
KR100682685B1 (en) * 2005-05-16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elivering message in home network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146B1 (en) * 2008-07-21 2015-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zigbee position
KR100945562B1 (en) * 2008-09-11 2010-03-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node using power loss index number
KR101047038B1 (en) * 2008-12-12 2011-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864B1 (en)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861B1 (en) Location tracking based on proximity-based ad hoc network
US8060018B2 (en) Data sharing based on proximity-based ad hoc network
US8756030B2 (en) Time code validation and correction for proximity-based ad hoc networks
US93924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d providing a relevant subset of wi-fl location information to a mobile client device so the client device may estimate its position with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KR101607605B1 (en) Peer-to-peer location service
US7822564B2 (en) Power management for proximity-based ad hoc networks
US7035647B2 (en) Efficient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units
CN102572736B (en) Inquiring and sending methods, device and system for hot information
KR100772583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ation of mobile phone using wpan, and localization serv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0902787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aware wi-fi access for a portable device
US20040266453A1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CN102291674A (en) Wireless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wireless fidelity (Wi-Fi)
CN102187693B (en) Method for conditional location retrieval
CN103200607A (en) Method and device determining user equipment (UE) positioning information in minimum drive test (MDT) process
KR201400863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position using ad hoc network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KR100836864B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with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ereof
CN101557561A (en) Message-sending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thereof
US202301997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ositioning according to movement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jma et al. IGBDD: Intelligent grid based data dissemination protocol for mobile sink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12464112A (en) Positioning method, position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038296A (en) Posotioning system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529858B1 (en) Method for providing and utilizing traffic information by making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GPS terminal
Lin et al. A survey on the location management problem in mobile networks
Muñoz Jiménez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architecture for wireless mobile users in convergent networks
CN101873523A (en) Mobile positio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