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554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554A
KR20080049554A KR1020060120218A KR20060120218A KR20080049554A KR 20080049554 A KR20080049554 A KR 20080049554A KR 1020060120218 A KR1020060120218 A KR 1020060120218A KR 20060120218 A KR20060120218 A KR 20060120218A KR 20080049554 A KR20080049554 A KR 20080049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liquid crystal
shield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001B1 (ko
Inventor
박대성
이강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0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에 구비된 트랜스포머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하부커버나 쉴드커버에 착교하는 것을 방지하여 트랜스포머의 열화를 방지하고, 소비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 램프;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커버; 제 1 차측 코일과 제 2 차측 코일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 상기 트랜스포머의 제 1차측 코일과 제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는 쉴드부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에 구성된 트랜스포머의 측면과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측면과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4, 214, 314 : 인버터
118, 218, 318 : 트랜스포머
118a, 218a, 318a, 318b : 쉴드부
118a1, 218a1, 318a1, 318b1 : 쉴드부의 지지부
113, 313 : 하부커버
215, 315 : 쉴드커버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에 구비된 트랜스포머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하부커버나 쉴드커버에 착교하는 것을 방지하여 트랜스포머의 열화를 방지하고, 소비전력의 손실을 최소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어진 다수의 제어용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상부기판인 컬러필터(color filter)기판과 하부기판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기 판이 서로 대향하고 그 사이에 액정층이 충진된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스캔 신호 및 화상정보를 공급하여 액정패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에는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종횡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며, 각각의 화소에는 스위칭소자가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에는 각각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구비되어, 화상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이 구동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표시장치는 CRT나 LED에 비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소자이므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램프 등의 광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으로서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 light assembly)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전체적으로 발광부와 도파부로 나누어지는데, 도파부는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며 반사판, 확산판, 광학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광부는 램프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보호하기 위한 쉴드커버(shield cover)가 구비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 램프(11)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액정패널(1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9); 상기 액정패널(10)을 테두리하며 덮는 상부커버(12); 상기 액정패널(10)과 램프(11)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커버(13); 상기 하부커버(13)의 배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도 2의 18 참조)를 구비하는 인버터 (14); 및 상기 인버터(14)를 덮어서 보호하는 쉴드커버(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9)는 램프(11); 상기 램프(11)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광학시트(16); 상기 램프(11)들의 배면에 위치하여 램프(11)로부터 방출된 광을 액정패널(10)로 반사하는 반사시트(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에 구성된 트랜스포머의 측면과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작된 인버터(14)의 구성요소로서 실장된 트랜스포머(18)의 측면을 따라 쉴드커버(15)와 하부커버(13)까지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었다.
상기 인버터(14)의 구성요소로서 구비된 트랜스포머(18)에서는 외부전원을 램프(11)에 공급하기 위한 적절한 전압으로의 변환이 이루어지는데,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고용량의 트랜스포머(18)를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넓은 범위의 자계(Magnetic Flux)가 하부커버(13) 또는 쉴드커버(15)에 착교하게 되며, 이는 많은 양의 완전류손(Eddy Current Loss)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와전류손으로 인하여 트랜스포머(14)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전력손실로 인하여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부커버(13)와 쉴드커버(15)의 재질로서 알루미늄(이하, Al)을 주로 사용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가격적인 면에서 경쟁력이 뛰어난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이하 EGI)을 채택한 액정표시장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하부커버(13)나 쉴드커버(15)를 EGI 재질로 형성할 경우에, 상기와 같은 트랜스포머(18)의 와전류에 의한 문제점이 더욱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포머의 하부 또는 상부에 쉴드부를 형성하여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범위를 변경함으로써, 와전류손을 최소화하여 트랜스포머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전력손실을 최소화하여 손실전력을 최소화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 램프;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커버; 제 1 차측 코일과 제 2 차측 코일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 상기 트랜스포머의 제 1차측 코일과 제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는 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트랜스포머의 주위 구성요소에 착교되어 트랜스포머의 온도가 상응되고 전력이 낭비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트랜스포머의 하부 또는 상부에 쉴드부를 형성한 것이며, 이러한 쉴드부가 형성된 트랜스포머의 구조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쉴드부가 형성된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를 하나의 예로 하여 설명함을 밝힌다.
따라서, 본 발명이 쉴드부가 형성된 상기 트랜스포머가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요소로서 구비된 경우로 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와 같이 쉴드부가 형성된 트랜스포머가 액정표시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구비된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힌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9에 나타내지 않은 액정패널과 램프 등,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 1을 참조하겠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측면과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인버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트랜스포머의 측면을 따라 하부커버까지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도 1의 10 참조); 램프(도 1의 11 참조);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커버(113); 제 1 차측 코일과 제 2 차측 코일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118)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114); 상기 트랜스포머(118)의 제 1차측 코일과 제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트랜스포머(118)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는 쉴드부(11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118a)는 트랜스포머(218)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기판인 컬러필터 기판과 하부기판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이 대향하며 그 사이에 액정층이 충진되어 형성된다.
상기 램프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광학시트(도 1의 16 참조); 상기 램프들의 배면에 위치하여 램프로부터 방출된 광을 액정패널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도 1의 17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램프에 공급하기 알맞게 변환하여서 램프에 공급하는 인버터(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인버터의 외부에는 외부 정전기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인버터(114)를 보호하기 위한 쉴드커버(도 1의 15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쉴드커버에는 인버터(114)에서 발생하는 열을 원활히 방출하기 위하여 쉴드커버의 표면에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기도 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가 대형화되어가는 추세에 따라 인버터(114)를 구성하는 트랜스포머(118) 또한 고용량의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용량 트랜스포머(188)는 저용량의 트랜스포머에 비해 트랜스포머로 인해 형성되는 자계의 범위가 더 넓으며, 그 전계 내의 자속밀도 또한 높다. 따라서, 넓은 범위의 자계가 하부커 버까지 미치게 되어 더 많은 자속이 하부커버에 닿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커버에 착교되는 자계에 의해서 많은 양의 와전류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랜스포머(114)의 하부에 쉴드부(118a)를 구비하여, 트랜스포머(11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여 자계의 범위가 하부커버(113)까지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쉴드부(118a)는 트랜스포머(114)의 내부에 감겨 있는 1차측 코일과 2 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쉴드부(118a) 상부의 양 끝단에 지지부(118a1)가 형성되는데, 이 지지부(118a1)의 끝단은 트랜스포머(118) 커버부(118b)의 하부 끝단과 부착되며, 이에 따라 쉴드부(118a)는 트랜스포머(118) 내부의 코일과 이격된다. 상기 지지부(118a1)의 높이는, 트랜스포머(118)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상기 쉴드부(118a)에 의해 차폐되어서 그 범위가 하부커버(113)까지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설계해서 적용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118a)는 트랜스포머(118)의 내부에 감겨 있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되, 쉴드부(118a)가 트랜스포머(118) 내부와 적절히 이격되어서 자계가 하부커버(113)에까지 미치지 않도록 한 범위 내에서는 상기 지지부(118a1)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부(118a)와 트랜스포머(118)의 커버부(118b)가 부착되는 지점 또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쉴드부(118a)는 트랜스포머(118)에서 형성되는 자계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 망간 또는 니켈이 있다.
상기와 같이 트랜스포머(118)의 하부에 쉴드부(118a)를 형성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118)로 인해 형성되는 자계의 범위가 조정되며, 그 자계가 하부커버(113)에 닿아서 하부커버(113)와 착교하게 되는 범위가 줄어든다. 따라서, 와전류손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트랜스포머(118)의 열화가 방지되며 누설전력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하부커버(113)의 재질을 AL에서 EGI로 변경하는 모델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EGI는 열연강판을 냉간압연, 어닐링, 조릴 압연공정을 거친 후 냉연강판 상태에서 전기작용에 의하여 아연을 도금한 전기 아연도금 강판이며, 이 EGI재질의 하부커버(113)는 AL 재질의 하부커버(113)에 비해 가격적인 면에서 훨씬 경제적이다.
하지만, EGI 재질의 하부커버(113)는 AL 재질의 하부커버(118)에 비해서, 트랜스포머(118)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하부커버(113)에 착교하여 발생하게 되는 와전류손이 많아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고 많은 양의 손실전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쉴드부(118a)를 구비한 트랜스포머(118)는 EGI 재질의 하부커버(113)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형성하였을 때,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인버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트랜스포머의 측면을 따라 쉴드커버까지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도 1의 10 참조); 램프(도 1의 11 참조);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커버(도 1의 13 참조); 제 1 차측 코일과 제 2 차측 코일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218)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214); 상기 트랜스포머(218)의 제 1차측 코일과 제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트랜스포머(218)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는 쉴드부(218a); 상기 인버터(214)를 덮어서 보호하는 쉴드커버(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218a)는 트랜스포머(218)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쉴드부(218a)는 트랜스포머(218)의 내부에 감겨 있는 1차측 코일과 2 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쉴드부(218a) 하부의 양 끝단에는 지지부(218a1)가 형성되는데, 이 지지부(218a1)의 끝단은 트랜스포머(218)의 커버부(218b)의 상부 끝단과 부착되며, 이에 따라 쉴드부(218a)는 트랜스포머(218) 내부의 코일과 이격된다. 상기 지지부(218a1)의 높이는, 트랜스포머(218)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차폐되어 그 범위 가 쉴드커버(215)까지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설계해서 적용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218a)는 트랜스포머(218)의 내부에 감겨 있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되, 쉴드부(218a)가 트랜스포머(218) 내부와 적절히 이격되어서 자계가 쉴드커버(215)에까지 미치지 않도록 한 범위 내에서는 상기 지지부(218a1)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부(218a1)와 트랜스포머(218)의 커버부(218b)가 부착되는 지점 또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쉴드부(218a)는 트랜스포머(218)에서 형성되는 자계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 망간 또는 니켈이 있다.
상기와 같이 트랜스포머(218)의 상부에 쉴드부(218a)를 형성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218)로 인해 형성되는 자계의 범위가 조정되며, 그 자계가 쉴드커버(215)까지 형성되어 쉴드커버(215)와 착교하게 되는 범위가 줄어든다. 따라서, 와전류손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218)의 열화가 방지되며 누설전력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쉴드커버(215)의 재질을 AL에서 EGI로 변경하는 모델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EGI 재질의 쉴드커버(215)는 AL 재질의 쉴드커버(215)에 비해서, 트랜스포머(218)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쉴드커버(215)에 착교하여 발생하게 되는 와전류손이 많아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고 많은 양의 손실전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쉴드커버에 트랜스포머 상단부와 대응하는 영역만큼 천공하여 트랜스포머에 의해 형성된 자계가 쉴드커버에 착교하는 것을 방지한 액정표시장치가 고안되었지만, 이는 트랜스포머에 의해 형성된 자계가 상기 천공된 영역을 통해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부에 연결된 배선에 영향을 주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영상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적용이 힘들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쉴드부(218a)를 구비한 트랜스포머(218)는 EGI 재질의 쉴드커버(215)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쉴드커버(215)에 트랜스포머(218)의 상단부가 대응되는 영역만큼 천공하지 않고, 트랜스포머(218)의 상부에 쉴드부(218a)를 구비함으로써 트랜스포머(218)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쉴드커버(215)에 착교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218)에 의해 형성된 자계가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부에 연결된 배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영상 노이즈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주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인버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트랜스포머의 측면을 따라 하부커버와 쉴드커버까지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 널(도 1의 10 참조); 램프(도 1의 11참조);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커버(313); 제 1 차측 코일과 제 2 차측 코일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318)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314); 상기 트랜스포머(318)의 제 1차측 코일과 제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트랜스포머(318)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는 쉴드부(318a,318b); 상기 인버터(314)를 덮어서 보호하는 쉴드커버(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318a,318b)는 트랜스포머(318)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쉴드부(318a)는 트랜스포머(318)의 내부에 감겨 있는 1차측 코일과 2 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랜스포머(318)의 하부에 형성된 쉴드부를 제 1 쉴드부(318a)로, 트랜스포머(318)의 상부에 형성된 쉴드부를 제 2 쉴드부(318b)로 칭하겠다.
상기 각 쉴드부(318a,318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이, 쉴드부(318a,318b)의 양 끝단에는 지지부(318a1,318b1)가 형성된다. 이 제 1 쉴드부(318a)의 지지부(318a1) 끝단은 트랜스포머 커버부(318c)의 하부 끝단과 부착되는데, 이에 따라 제 1 쉴드부(318a)는 트랜스포머(318) 내부의 코일과 이격된다. 또한, 이 제 2 쉴드부(318b)의 지지부(318b1) 끝단은 트랜스포머 커버부(318c)의 상부 끝단과 부착되는데, 이에 따라 제 2 쉴드부(318b)는 트랜스포머(318) 내부의 코일과 이격된다. 상기 각 지지부(318b1)의 높이는, 트랜스포머(318)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차폐되어 그 범위가 하부커버(313) 및 쉴드커버(315)까지 미치지않도록 적절히 설계해서 적용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쉴드부(318a,318b)는 트랜스포머(318)의 내부에 감겨 있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되, 각 쉴드부(318a,318b)가 트랜스포머(318) 내부와 적절히 이격되어서 자계가 하부커버(313) 및 쉴드커버(315)에 까지 미치지 않도록 한 범위 내에서는 상기 지지부(318a1,318b1)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각 지지부(318a1,318b1)와 트랜스포머(318)의 커버부(318c)가 부착되는 지점 또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쉴드부(318a,318b)는 트랜스포머(318)에서 형성되는 자계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 망간 또는 니켈이 있다.
상기와 같이 트랜스포머(318)에 쉴드부(318a,318b)를 형성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318)로 인해 형성되는 자계의 범위가 조정되며, 그 자계가 하부커버(313) 및 쉴드커버(315)와 착교하게 되는 범위가 줄어든다. 따라서, 와전류손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318)의 열화가 방지되며 누설전력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하부커버(313) 및 쉴드커버(315)의 재질을 AL에서 EGI로 변경하는 모델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EGI 재질의 하부커버(313) 및 쉴드커버(315)는 AL 재질의 하부커버(315) 및 쉴드커버(315)에 비해서, 트랜스포머(318)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하부커버(313) 및 쉴드커버(315)에 착교하여 발생하게 되는 와전류손이 많아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고 많은 양의 손실전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쉴드부(318a,318b)를 구비한 트랜스포머는 EGI 재질의 하부커버 및 쉴드커버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형성하였을 때,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인버터의 구성요소인 트랜스포머의 하부 또는 상부에 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부커버 또는 쉴드커버에 트랜스포머의 자계가 착교되어 발생하는 와전류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와전류손이 최소화됨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열화현상을 방지하고 누설전력을 최소화하여 소비전력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액정패널;
    램프;
    상기 액정패널과 램프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부커버;
    제 1 차측 코일과 제 2 차측 코일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
    상기 트랜스포머의 제 1차측 코일과 제 2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트랜스포머에서 발생되는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는 쉴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트랜스포머의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를 덮어서 보호하는 쉴드커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쉴드부는 트랜스포머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쉴드부는 트랜스포머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트랜스포머 내부의 코일과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에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트랜스포머는 커버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자계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망간 또는 니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보빈;
    상기 보빈의 일측에 감긴 제 1 차측 코일;
    상기 보빈의 타측에 감긴 제 2 차측 코일;
    상기 보빈의 통로에 삽입되어 자속을 유도하는 코어;
    상기 제 1 차측 코일과 제 2 차측 코일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자속의 범위를 제어하는 쉴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트랜스포머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에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4. 제 13항에 있어서, 트랜스포머는 커버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트랜스포머의 커버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자속을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망간 또는 니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1020060120218A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KR10130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218A KR101308001B1 (ko)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218A KR101308001B1 (ko)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554A true KR20080049554A (ko) 2008-06-04
KR101308001B1 KR101308001B1 (ko) 2013-09-12

Family

ID=3980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218A KR101308001B1 (ko)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0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67B1 (ko) * 2004-06-21 2011-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0730608B1 (ko) * 2004-09-30 2007-06-20 그레이트칩 테크날러지 캄퍼니 리미티드 인버터 트랜스포머
KR101115722B1 (ko) * 2004-09-30 2012-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001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202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JP4231028B2 (ja) シールドカバー及びこれを採用した液晶表示装置
US78085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heat conducting pads between shield cover and inverter IC and transformer
US8184446B2 (en) Inver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US20090180048A1 (en) Receiving member,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090054225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결합 방법
JP2008021994A (ja) 印刷回路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装置
KR10146357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2843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device thereof
KR10136213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6929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30800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21013355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6667B1 (ko) 인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1254804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8076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070084690A (ko) 인버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396940B1 (ko) 백라이트유니트 및 표시장치
KR101053006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20170012614A (ko) 표시장치
KR20070067896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80391B1 (ko) 인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9009081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4219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2261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