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494A - DMB Baseband Receiver - Google Patents

DMB Baseband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494A
KR20080049494A KR1020060120126A KR20060120126A KR20080049494A KR 20080049494 A KR20080049494 A KR 20080049494A KR 1020060120126 A KR1020060120126 A KR 1020060120126A KR 20060120126 A KR20060120126 A KR 20060120126A KR 20080049494 A KR20080049494 A KR 2008004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signal
fic
m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8198B1 (en
Inventor
백서영
전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198B1/en
Publication of KR2008004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하여 FIC(Fast Information Channel) 정보와 MSC(Main Service Channel) 정보를 추출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하고, 추출된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출력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기타 응용 디바이스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DMB의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가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DMB와 관련한 다양한 장치의 개발과 응용이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baseband processing to receiv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o extract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information and main service channel (MSC) information, and add header information to the extracted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A new interface structure for output allows interoperability with audio / video decoders and other application devic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lexibly interface with various devices using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of the DMB, thereby enabl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devices related to the DMB.

Description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Baseband Receiver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의 일 실시예,1 is an embodiment of a DMB baseband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인터페이부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an interface unit;

도 3은 인터페이스 신호의 개요,3 is an overview of the interface signal,

도 4는 헤더 정보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header information;

도 5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5 is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a control unit;

도 6은 제어부가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의 예,6 i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controller operates according to an output selection signal;

도 7은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일 실시예,7 is an embodiment of a baseband processor;

도 8은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구체적인 실시예이다.8 is a detailed embodiment of the baseband processo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 11: 베이스밴드 처리부10: DMB baseband receiver 11: baseband processing unit

11-1: 채널분리부 11-2: FIC 처리부11-1: Channel Separator 11-2: FIC Processor

11-3: MSC 처리부 12: 클록발생기11-3: MSC Processing Unit 12: Clock Generator

13: 인터페이스부 21: 출력단자13: interface 21: output terminal

22: 제어부 70: 안테나22: control unit 70: antenna

71-1: 튜너 71-2: 자동이득제어기71-1: Tuner 71-2: Automatic Gain Controller

71-3: A/D 변환기 71-4: 모드검출부71-3: A / D converter 71-4: Mode detector

71-5: I/Q 분배기 71-6: 신호동기부71-5: I / Q distributor 71-6: Signal synchronization unit

71-7: OFDM 복조기 71-8: 주파수 역인터리빙부71-7: OFDM demodulator 71-8: Frequency deinterleaving unit

71-9: 채널분배기 72: FIC 처리부71-9: Channel distributor 72: FIC processing unit

73-1: 시간 역인터리빙부 73-2: 길쌈 복호화기73-1: time deinterleaving unit 73-2: convolutional decoder

73-3: 에너지 역스크램블부 73-4: 채널분배기73-3: energy reverse scrambler 73-4: channel distributor

73-5: 길쌈 역인터리빙부 73-6: RS 복호화기73-5: convolutional deinterleaving unit 73-6: RS decoder

본 발명은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하여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추출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하고, 추출된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출력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각종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기타 응용 디바이스(Device)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MB baseband receive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erforms baseband processing to extract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and adds header information to the extracted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ew interface method, it can be linked with various audio / video decoders and other application devices.

방송의 디지털화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도 영향을 주어 디지털 라디오 방송 시대의 도래를 앞당겼다. 또한, 음성 라디오 방송 서비스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모두 포괄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이 가능해졌다. DMB는 전송채널에 발생하는 잡음과 왜곡에 강하고, 전송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Digitalization of broadcasts has also affected analog radio broadcasts, speeding up the advent of the digital radio broadcast era. In additi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which includes not only a voice radio broadcasting service but also a data service and a multimedia service, has become possible. DMB is resistant to noise and distortion occurring in the transmission channel, has a high transmission efficiency and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various multimedia services.

한국에서 채택된 DMB는 유럽의 지상파 라디오 표준으로 채택된 Eureka-147 디지털 라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기반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방송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된 것은 전송채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집에러(Burst Error)에 강한 특성을 보이는 RS 코드(Reed-Solomon Code)와 길쌈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이다. 추가된 상기 두 블록은 송신기에서 DAB 앙상블(Ensemble) 입력 신호에 대해 적용하며, 이동 수신 환경에서도 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할 만큼 충분히 낮은 에러율을 제공한다.DMB adopted in Korea is based on Eureka-147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which has been adopted as the European terrestrial radio standard. Ad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ultimedia broadcasting is the RS code (Reed-Solomon Code) and the convolutional interleaver that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burst errors that can occur in the transmission channel. The two additional blocks are applied to the DAB Ensemble input signal at the transmitter and provide an error rate low enough for video service even in a mobile reception environment.

DMB의 전송채널은 무선 이동수신 채널로써, 수신신호의 크기(Amplitude)가 시변(Time-Varying)할 뿐만 아니라, 이동 수신기의 영향으로 수신신호 스펙트럼(Spectrum)의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DMB 송신방식은 직교신호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기반하고 있다. 또한,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에 대한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수행하여 전송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transmission channel of the DMB is a wireless mobile reception channel, and the amplitude of the received signal is not only time-varied, but also the Doppler Spreading phenomenon of the spectrum of the received signal occu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obile receiver. do.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such a channel environment, the DMB transmission method is based 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In addition, interleaving of signals in the time domain and the frequency domain may be performed to correct an error occurring in the transport channel.

DMB 송신신호는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신호에 비해 매우 작은 신호 세기로 전송되며, 도심과 같이 심한 페이딩(Fading) 채널 환경과 자동차에서와 같은 이동수신을 고려하면, 실제 수신신호의 세기는 매우 작다.DMB transmission signals are transmitted at a much smaller signal strength than conventional analog radio broadcast signals. In consideration of severe fading channel environments such as urban areas and mobile reception in automobiles, the actual received signal strength is very small.

따라서 DMB 수신기는 이러한 열악한 수신환경에서도 최대한 수신신호를 받아들여 전송에러를 보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동수신 단말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제한된 비용을 들여 최대의 수신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MB 수신기 구성의 핵심요건이 된다.Therefore, the DMB receiver should be able to correct the transmission error by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as much as possible even in such a poor reception environmen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a mobile receiving terminal, it is a key requirement of the DMB receiver to provide maximum reception performance at a limited cost.

한편, 일반적으로 SoC(System on Chip) 형태의 지상파 DMB 수신기는 오디오/비디오 디코더(Audio/Video Decoder)를 포함한 것을 의미하나 베이스밴드 수신기의 경우에는 내부에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칩(Chip)의 크기가 작다. 또한, 베이스밴드 수신기가 독립적으로 구성되면 여타의 다른 오디오 디코더나 비디오 디코더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생긴다. 그러므로, 베이스밴드 수신기의 독립적 구성에 관한 여러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에 관한 인터페이스 규격은 정해져 있지 않다.Meanwhile, a terrestrial DMB receiver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means an audio / video decoder, but a baseband receiver does not include an audio / video decoder. Chip size is small. In addition, if the baseband receiver is configured independently,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using other audio or video decoders. Therefore, various methods regarding the independent configuration of the baseband receiver are required. However, the interface specification for the DMB baseband receiver is not determined y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DMB 신호를 수신하여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추출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하고, 추출된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출력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방식을 통해 각종 오디오 디코더, 비디오 디코더, 기타 여러 응용 디바이스와 서로 연동할 수 있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meet the above needs, the baseband processing to extract the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DMB signal, and adds the header information to the extracted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to outpu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MB baseband receiver that can interoperate with various audio decoders, video decoders, and many other application devices through a new interface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는, DMB 신호를 수신하여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추출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 기준 클록 신호를 발생하여 클록 출력단자(CLOCK)를 통해 출력하는 클록 발생기; 및 상기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 그리고 인터페이스용 부가 신호를 각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여 타 장치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MB baseband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DMB signal to extract the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ference clock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a clock output terminal CLOCK; And an interface unit for adding header information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FIC information, the MSC information, and the interface additional signal to which the header information is added,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to interface with other devices. Is don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출력할 출력단자(DATA); 상기 출력단자(DATA)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알려주는 신호를 출력할 출력단자(VALID); 및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서 추출된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각 출력단자를 통해 해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n output terminal DATA to output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to which the header information is added; An output terminal VALID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data currently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is valid dat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d header information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baseband processor and to control a corresponding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respective output terminals.

상기 출력단자 CLOCK, DATA, 및 VALID는 하나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terminals CLOCK, DATA, and VALID may be configured as on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시작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하나의 출력단자(SOP)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단자(SOP)를 통해 해당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further include one output terminal SOP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a start point of the transport stream TS, an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corresponding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SOP. .

상기 FIC 정보와 MSC 정보에 추가되는 헤더 정보는 해당 데이터가 FIC 정보인지 또는 MSC 정보인지를 알려주는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eader information added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may include a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data is FIC information or MSC information.

상기 헤더 정보는 32 비트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해당 데이터가 FIC 정보인지 또는 MSC 정보인지를 알려주는 필드는 1 비트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der information may have a 32-bit size, and the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data is FIC information or MSC information may have a 1-bit size.

상기 MSC 정보에 추가되는 헤더 정보는 서브 채널 단위로 추가될 수 있다.Header information added to the MSC information may be added in units of subchannels.

상기 MSC 정보에 추가되는 헤더 정보는 서브 채널 식별자, 서브 채널 크기, CIF 시작시점, 및 서브 채널 시작시점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er information added to the MSC information may include a field for indicating a subchannel identifier, a subchannel size, a CIF start time, and a subchannel start time.

상기 클록 발생기는 클록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클록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클록 주파수는 Masked 4.096MHz와 Fixed 6.144MHz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lock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a clock signal hav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lock frequencies according to a clock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lock frequencie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asked 4.096MHz and Fixed 6.144MHz.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출력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selection signal and to selectively control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according to the output selection signal.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상기 출력단자 DATA를 통해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모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Auto)와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Manual)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selection signal may include a signal Auto for outputting both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to which header information is add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and a signal Manual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ignal.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상기 Manual 신호와 함께 FIC 정보를 출력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신호(FIC ON/OFF)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 Manual과 FIC ON/OFF에 따라 상기 FI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selection signal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signal (FIC ON / OFF) for outputting FIC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anual signal,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header information in the 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s Manual and FIC ON / OFF.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by adding a.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오디오/데이터와 비디오를 선택하는 선택신호(DAB/DM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 DAB/DMB에 따라 상기 MSC 정보 중 오디오/데이터 정보 또는 비디오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출력단자(DATA)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selection signal includes a selection signal (DAB / DMB) for selecting audio / data and video, and the controller controls header information on audio / data information or video information among the MS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DAB / DMB.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서브 채널 식별자를 지정하는 선택신호(SCHID_SEL)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 SCHID_SEL에 따라 상기 MSC 정보 중 해 당 서브 채널의 정보만을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출력단자(DATA)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selection signal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ignal (SCHID_SEL) for designating a sub channel identifier, and the control unit adds header information of only subchannel information among the MS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SCHID_SEL to add the header information to the output terminal ( Data).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DMB 신호를 처리하여 FIC 채널과 MSC 채널을 분리하는 채널분리부, 상기 분리된 FIC 채널에 실린 신호를 복호화하는 FIC 처리부, 및 상기 MSC 채널에 실린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데이터 정보와 비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MSC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aseband processing unit, a channel separ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separate the FIC channel and the MSC channel, the FIC processing unit for decoding the signal carried on the separated FIC channel, and the signal carried on the MSC channe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MSC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output the audio / data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 상기 클록 발생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일 집적회로 칩(IC Chip)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band processor, the clock generator, and the interfac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a single integrated circuit chi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지상파 DMB 신호에 대하여 살펴보자면, DMB 신호는 크게 데이터 구성정보(Configuration)와 서비스 정보에 대해 알려주는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부분, 및 실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의 정보가 실려 있는 MSC(Main Service Channel)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므로, FIC 부분에 실려 있는 정보를 디코딩하면 MSC 부분에 실려 있는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는 구성정보를 알 수 있다. 즉, FIC 정보 디코딩을 통해 MSC 부분에서 전송되는 채널의 수와 채널 크기 그리고 코딩률(Coding Rate) 등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MSC 부분의 정보를 디코딩하게 된다.First, the terrestrial DMB signal will be described. The DMB signal includes a fast information channel (FIC) part that informs about data configur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and an MSC (including actual audio, video, and data). Main Service Channel). Therefore, i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IC portion is decode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capable of decod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MSC portion can be known. That is, the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from the MSC portion, the channel size, and the coding rate can be known through the decoding of the FIC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information of the MSC portion is decoded.

또한, MSC 부분은 여러 개의 서브 채널(Sub Channel)로 구성되는데, 최대 64개의 서브 채널까지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 채널은 고유의 식별자(ID)를 가지고 있다. 서브 채널 식별자는 0부터 63까지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브 채널에는 오디오/비디오 또는 다른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SC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channels (Sub Channel), up to 64 sub-channels can be included, each sub-channel has a unique identifier (ID). The sub channel identifier may exist from 0 to 63, and each sub channel may include data for indicating audio / video or other information.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1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1), 클록 발생기(12), 및 인터페이스부(13)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he DMB baseband re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band processor 11, a clock generator 12, and an interface unit 13.

베이스밴드 처리부(11)는 DMB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DMB 신호로부터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추출하여 인터페이스부(13)에 전달한다. 이 때, MSC 정보에는 오디오/데이터 정보와 비디오 정보가 포함된다.The baseband processor 11 receives the DMB signal, extracts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DMB signal, and transfers the FIC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unit 13. At this time, the MSC information includes audio / data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클록 발생기(12)는 타 장치(91)가 인터페이스부(13)에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신호를 이용하여 원하는 신호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준 클록 신호를 발생시켜 클록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The clock generator 12 generates a reference clock signal and outputs it through the clock output terminal in order for the other device 91 to find a desired signal by using the interface signal output from the interface unit 13.

한편, 인터페이스부(13)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1)에서 추출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타 장치(9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고,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하나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The interface unit 13 transfers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1 to another device 91. In particular, the interface unit 13 adds header information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and adds the header.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with the added information are output through one output terminal.

또한, 인터페이스용 부가 신호를 각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즉, 인터페이스부(13)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10)의 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을 규정하게 되며,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10)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오디오 디코더, 비디오 디코더, 기타 응용 디바이스 등 타 장치(91)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In addition, an interface additional signal is output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That is, the interface unit 13 defines the output interface method of the DMB baseband receiver 10, and other devices such as various audio decoders, video decoders, and other application devices that can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the DMB baseband receiver 10. It is in charge of the interface with 91.

도 2를 참조하여, 인터페이스부(13)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인터페이스부(13)는 여러 출력단자(21)와 각 출력단자를 통해 인터페이스용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pecific embodiment constituting the interface unit 13 will be described. The interface unit 13 is a control unit 22 that outputs an interface signal through various output terminals 21 and respective output terminals. Can be done.

출력단자(21)는 오디오 디코더, 비디오 디코더, 기타 응용 장치(91)와 접속하는 부분이다. 출력단자(21)로는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출력할 출력단자(DATA), 출력단자(DATA)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알려주는 신호를 출력할 출력단자(VALID)가 있으며, 클록발생기(12)에서 발생한 기준 클록 신호를 출력할 출력단자(CLOCK)도 존재한다.The output terminal 21 is a part for connecting with an audio decoder, a video decoder, and other application devices 91. As the output terminal 21,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data currently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to output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to which header information is added and the output terminal DATA is valid data ( VALID), and there is also an output terminal CLOCK for outputting a reference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clock generator 12.

또한, 출력단자(21)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의 시작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출력단자(SOP)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21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utput terminal (SOP)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the start time of the transport stream (TS).

이 때, 출력단자 CLOCK, DATA, VALID, SOP 등은 하나의 단자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output terminals CLOCK, DATA, VALID, SOP, etc. consist of one terminal.

제어부(22)는 각 출력단자를 통해 해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22 controls to output a corresponding signal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도 3을 참조하여 각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신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출력단자 CLOCK, DATA, VALID, SOP가 존재하는 실시예에서는 총 4 비트의 출력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an interface signal output from each output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terminals CLOCK, DATA, VALID, and SOP exist, the output signals may be configured as a total of 4 bits.

출력단자 CLOCK에서 출력되는 클록 신호는 출력단 데이터의 동기를 위한 것이며, 출력단자 VALID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현재 출력단자 DATA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유효한 데이터임을 표시한다. 이 때, 유효한 데이터의 출력을 버스트(burst)하게 구성하여 출력단자 VALID에서의 신호가 일정하게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CLOCK is for synchronization of output data,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VALID indicates that the signal output from the current output terminal DATA is valid data. At this time, the output of valid data can be configured to burst so that the signal at the output terminal VALID changes constantly.

한편, 지상파 DMB의 논리적 프레임(Logical Frame)의 단위는 CIF(Common Interleaved Frame)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개의 CIF 내에는 최대 64개의 서브 채널(Sub Channel)이 포함될 수 있다. 채널 구성 정보가 변화하지 않는 한 1개의 CIF의 데이터 전송량은 일정하므로, 버스트(burst)하게 구성되는 VALID 신호도 CIF 단위로 일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unit of a logical frame of the terrestrial DMB includes a common interleaved frame (CIF), and up to 64 subchannels may be included in one CIF. As long as the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does not change, the data transmission amount of one CIF is constant, so that a burst-configured VALID signal may also be configured in CIF units.

또한, 출력단자 SOP(Start of Packet)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시작시점을 나타낸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시작시점은 항상 16진수 '47'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 신호를 서비스하지 않으면 이를 필요로 하는 다른 장치에서 16진수 '47'을 검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출력단자 DATA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DMB 데이터인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시작시점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SOP (Start of Packet) indicates the start time of the transport stream packet (TS Packet). Since the start point of a transport stream packet is always composed of hexadecimal '47', if it is not serviced, it is troublesome to detect hexadecimal '47' from another device that needs it. If the data is DMB data, it can be configured to indicate the start point of the transport stream packet.

한편, 출력단자 DATA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더 정보(H)가 추가된 FIC 정보 또는 MSC 정보이며, 헤더 정보의 내용이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FIC 정보나 MSC 정보에 추가되는 32 비트 크기의 헤더 정보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DATA is the FIC information or MSC information to which the header information (H) is add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or size of the header information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32-bit header information added to FIC information or MSC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예와 같이, 헤더 정보는 해당 데이터가 FIC 정보인지 또는 MSC 정보인지를 알려주는 필드(fic/msc)를 포함할 수 있는데, 헤더 정보에 뒤따라오는 데이터가 FIC 정보인지 또는 MSC 정보인지를 구별하면 되므로 1 비트 크기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이 필드의 논리값이 '0'(또는'1')이면 FIC 정보임을 표시하고, '1'(또는 '0')이면 MSC 정보임을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S. 4A and 4B, the header information may include a field (fic / msc)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data is FIC information or MSC information, and whether the data following the header information is FIC information. Alternatively, one bit size can be allocated because it can be identified as MSC information. That is, if the logical value of this field is '0' (or '1'), it may indicate FIC information, and if '1' (or '0'), it may indicate MSC information.

MSC 정보에 추가되는 헤더 정보는 서브 채널 단위로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브 채널 마다 헤더 정보를 붙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헤더 정보는 도 4a에 도시한 예와 같이 필드 fic/msc 이외에도 서브 채널 식별자 필드(schid: Sub Channel ID), 서브 채널 크기 필드(schsize), CIF 시작시점을 나타내는 필드(cifstart), 서브 채널 시작시점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schstart)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서브 채널의 내용을 알려주는 다른 내용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ader information added to the MSC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dded in units of subchannels. That is, header information can be pasted and output for each subchannel. In this embodiment, the header information may include a sub channel identifier field (schid: Sub Channel ID), a sub channel size field (schsize), a field indicating a CIF start time (cifstart), in addition to the field fic / msc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eld (schstart) for indicating the sub-channel start time. In addition, other contents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sub channel may be included.

도 4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각 필드를 구성하는 비트 수를 나타낸다. 예로서, 서브 채널 식별자는 0으로부터 63까지의 번호를 가질 수 있으므로 서브 채널 식별자 필드(schid)에는 6 비트를 할당할 수 있고, 서브 채널 하나의 최대 크기가 43,776 비트(EEP, Set B)일 때는 서브 채널 크기 필드(schsize)에 16 비트를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 4, numbers in parentheses indicate the number of bits constituting each field. For example, since the subchannel identifier may have a number from 0 to 63, 6 bits may be allocated to the subchannel identifier field (schid). When the maximum size of one subchannel is 43,776 bits (EEP, Set B), 16 bits may be allocated to the subchannel size field (schsize).

이러한 헤더 정보는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출력단자 VALID의 출력신호가 지시하는 각 서브 채널의 시작 시점과 FIC 정보가 출력되는 시작 시점에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출력되기 시작하며, 헤더 정보(H)가 먼저 출력되고 뒤따라서 서브 채널 데이터 또는 FIC 데이터가 출력된다.Such header information is started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at the start time of each sub-channel indicat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terminal VALID and the start time at which the FIC information is output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 Is output first, followed by sub-channel data or FIC data.

한편, 클록 발생기는 클록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클록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Masked 4.096MHz와 Fixed 6.144MHz 중 클록제어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클록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ock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a clock signal hav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lock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clock control signal. As one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one of the clock signal according to the clock control signal of Masked 4.096MHz and Fixed 6.144MHz.

도 5를 참조하자면, 인터페이스부(13)를 구성하는 제어부(22)는 사용자가 출력 형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출력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각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자면 FIC 정보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서브 채널 중 원하는 서브 채널에 대해서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22 constituting the interface unit 13 receives an output selection signal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n output type, and outputs data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output selection signal.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For example, it can be controlled to output only FIC information, or can be controlled to output only desired subchannels among the subchannels.

이러한 기능은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10)와 연동하는 타 장치(91)에게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러므로, 출력선택신호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10)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오디오 디코더, 비디오 디코더, 기타 응용 디바이스 등 타 장치(91)로부터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is function opens the possibility to implement more convenient and various functions to other devices 91 that work with the DMB baseband receiver 10. Therefore, the output selection signal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from another device 91 such as an audio decoder, a video decoder, or another application device that wants to us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DMB baseband receiver 10.

이 때, 어떤 형태의 출력이 선택되더라도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미 있는 데이터의 출력은 버스트(burst)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출력되는 의미 있는 데이터에는 항상 헤더 정보가 포함된다.At this time, regardless of the type of output selected, the output of meaningful data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can be configured to burst, and the meaningful data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always includes header information. do.

출력선택신호의 구체적 예를 들자면,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모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Auto)와,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신호(Manual), FIC 정보를 출력할 것인지에 여부에 대한 선택신호(FIC ON/OFF), 오디오/데이터나 비디오 선택신호(DAB/DMB), 서브 채널 식별자 선택신호(SCHID_SEL)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2)는 이러한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각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할 신호들을 제어한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output selection signal, a signal (Auto) for outputting both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added with header information, a signal for selectively activating a signal (Manual), and whether to output FIC information (FIC ON / OFF), audio / data or video selection signal (DAB / DMB), subchannel identifier selection signal (SCHID_SEL), and the like. Then, the controller 22 controls the signals to be output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output selection signal.

도 6a를 참조하자면, Auto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2)는 FIC 정보와 MSC 정보가 모두 출력단자 DATA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데(S61-1,S61-2), 특히 DAB/DMB 선택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는 이 선택신호에 따라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오디오/데이터 정보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61-1,S61-3).Referring to FIG. 6A, when the auto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22 controls the output terminal DATA to output both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S61-1, S61-2). In particular, the DAB / DMB selection signal is input. In this case, audio / data information or video data is selectively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S61-1, S61-3).

도 6b를 참조하자면, Manual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2)는 FIC ON/OFF 신호와 SCHID_SEL 신호에 따라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FIC ON 신호가 입력되면 FIC 정보를 출력하고(S62-1,S62-2), FIC OFF 신호가 입력되면 FIC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S62-3). 또한, SCHID_SEL 신호를 통해 서브 채널 식별자가 입력된 경우(S62-4), 해당 서브 채널 식별자를 갖는 서브 채널이 MSC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서브 채널에 대한 정보만 출력한다(S62-5,S62-6).Referring to FIG. 6B, when a manual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22 may determine an output according to the FIC ON / OFF signal and the SCHID_SEL signal. That is, when the FIC ON signal is input, the FIC information is output (S62-1, S62-2). When the FIC OFF signal is input, the FIC information is not output (S62-3). In addition, when a subchannel identifier is input through the SCHID_SEL signal (S62-4), if the subchannel having the corresponding subchannel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MSC information, only information on the subchannel is output (S62-5, S62-). 6).

뿐만 아니라 FIC ON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해당 서브 채널 식별자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FIC 정보만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헤더 정보에 포함된 필드 fic/msc 이외의 필드는 의미 없는 필드가 될 것이며, 임의의 논리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FIC OFF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SCHID_SEL 신호에 의해 선택된 서브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출력할 수도 있으며, DAB/DMB 선택신호에 따라 DAB 또는 DMB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선택신호의 종류와 그에 따른 처리 과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subchannel identifier is not selected while the FIC ON signal is input, only the FIC information may be output. In this case, fields other than the field fic / msc included in the header information will be meaningless fields and can be set to any logical value. In addition, when the FIC OFF signal is input, only data corresponding to the subchannel identifier selected by the SCHID_SEL signal may be output, and DAB or DMB data may be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DAB / DMB selection signal. As such, the type of output selection signal and its processing may be variously configured.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10)의 베이스밴드 처리부(11), 클록 발생기(12), 인터페이스부(13)는 단일 집적회로 칩(IC Chip)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1, the clock generator 12, and the interface unit 13 of the DMB baseband recei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integrated circuit chip. Can be.

도 7을 참조하여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의 베이스밴드 처리부(11)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configuring the baseband processor 11 of the DMB baseband recei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베이스밴드 처리부(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DMB 신호를 처리하여 FIC 채널과 MSC 채널을 분리하는 채널분리부(11-1), 채널분리부(11-1)에서 분리된 FIC 채널에 실린 정보를 복호화하는 FIC 처리부(11-2), 그리고 MSC 채널에 실린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데이터 정보와 비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MSC 처리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aseband processor 11 processes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separate the FIC channel and the MSC channel, and the information on the FIC channel separated by the channel separator 11-1 and the channel separator 11-1. And an MSC processing unit 11-3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and outputting audio / data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y processing a signal carried on the MSC channel.

도 8을 참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1)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baseband processor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먼저, 채널분리부(11-1)에서 안테나(70)를 통해 수신된 DMB 신호는 튜너(71-1)를 거쳐 원하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의 통과 대역(Pass-band) 신호로 변환된다. 자동이득제어기(71-2,AGC)는 A/D 변환기(71-3)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기준신호 크기에 따라 계산한 이득 값을 곱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A/D 변환기(71-3)는 수신된 신호의 크기에 무관하게 표본화(Sampling)를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형시켜 준다. 모드 검출부(71-4)는 수신된 신호의 전송모드를 검출하며, I/Q 분배기(71-5)는 수신된 복소신호(Complex Signal)의 실수부(Real Part)를 복소신호로 복원시킨다.First,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70 in the channel separator 11-1 is converted into a pass-band signal of a desired intermediate frequency through the tuner 71-1. Automatic gain controller (71-2, AGC) serves to keep the size of the signal input to the A / D converter (71-3) constant, and serves to multiply the gain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signal size. do. Therefore, the A / D converter 71-3 performs sampling to transform the digital signal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signal. The mode detector 71-4 detects a transmission mod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I / Q divider 71-5 restores a real part of the received complex signal to a complex signal.

OFDM 복조기(71-7)는 불필요한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제거한 후, FFT(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켜 준다. 신호동기부(71-6)는 OFDM 복조기(71-7)의 입력과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 낸다. 주파수 역인터리빙부(71-8, Deinterleaving)는 송신단에서 인터리빙(Interleaving)한 부반송파(Sub-Carrier) 신호들의 위치를 원래대로 복원시키고, 채널분배기(71-9)는 제어 채널인 FIC 채널과 데이터 채널인 MSC 채널을 분리시킨다.The OFDM demodulator 71-7 removes unnecessary guard intervals and converts the signal in the time domain into the frequency domain through fast fourier transform (FFT). The signal synchronizer 71-6 extracts information necessary for synchronization in the time / frequency domain of the signal using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OFDM demodulator 71-7. The frequency deinterleaving unit 71-8 restores the positions of the sub-carrier signals interleaved by the transmitter, and the channel divider 71-9 controls the FIC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Isolate the MSC channel.

FIC 복호화기(72)는 FIC 채널을 입력받아 MSC 채널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한다.The FIC decoder 72 receives the FIC channel and extracts information necessary to decode the MSC channel.

한편, MSC 처리부(11-3)에서 시간 역인터리빙부(73-1)는 송신기에서 인터리빙한 16개의 논리적 프레임(Logical Frame)들을 다시 원래의 프레임 순서대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간 역인터리빙된 MSC 채널은 길쌈 복호화기(73-2, Convolutional Decoder)를 통해 전송채널에서 발생한 랜덤 에러(Random Error)를 정정한다. 에러가 정정된 데이터는 에너지 역스크램블부(73-3)를 통해 에너지 역스크램블되어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된다.Meanwhile, the time deinterleaving unit 73-1 in the MSC processing unit 11-3 restores the 16 logical frames interleaved by the transmitter in the original frame order. The time deinterleaved MSC channel corrects a random error occurring in the transport channel through a convolutional decoder (73-2). The data whose error is corrected is energy descrambled through the energy descrambler 73-3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data.

채널 분배기(73-4)는 전송된 MSC 채널이 DAB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오디오 신호인지, DMB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신호인지를 구별하여 분리시킨다. 이 때, MSC 채널은 CIF(Common Interleaved Frame)로 구성되며, CIF에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는 CU(Capacity Unit)로서 하나의 CU는 64비트이다. 이러한 다수의 CU가 연결되어 하나의 서브 채널이 구성되므로 MSC 채널은 이 서브 채널들의 다중 구조이다. 인터페이스부(13)는 이러한 구조에 따라 헤더 정보를 생성하여 FIC 정보와 MSC 정보에 추가시키게 된다.The channel divider 73-4 distinguishes and separates whether the transmitted MSC channel is a data / audio signal for a DAB service or a video signal for a DMB service. At this time, the MSC channel is composed of Common Interleaved Frame (CIF), and the smallest unit that can be assigned an address in the CIF is a Capacity Unit (CU), and one CU is 64-bit. The MSC channel is a multiple structure of these subchannels because such a plurality of CUs are connected to form one subchannel. The interface unit 13 generates head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nd adds the header information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한편, DMB 서비스를 위한 신호는 다시 길쌈 역인터리빙부(73-5, Convolutional Deinterleaving)에 입력된다. 길쌈 역인터리빙부(73-5)는 송신단에서 추가적으로 인터리빙한 데이터를 원래의 순서대로 재정렬하며, RS 복호화기(73-6)는 송신단에서 RS 인코딩(Encoding)한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 때, RS 복호화기(73-6)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이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for the DMB service is again input to the convolutional deinterleaving (73-5). The convolutional deinterleaving unit 73-5 rearranges the data additionally interleaved by the transmitter in the original order, and the RS decoder 73-6 restores the RS encoded data by the transmitter. At this time, a transport stream (TS) packet is output from the RS decoder 73-6.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는 비디오 디코더, 오디오 디코더, 또는 기타 응용 디바이스와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3개의 출력(SOP 추가시 4개의 출력)만으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여 인터페이스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기준 클록 신호를 여러 가지 클록 신호(예: Masked 4.096Mhz, Fixed 6.144Mhz)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출력을 이용할 때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MB baseband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interface structure with a video decoder, audio decoder, or other application device. In particular, the interface structure is very simple because only three outputs (four outputs when SOP is added) can be interfaced. In addition, the reference clock signal can be selected from a variety of clock signals (e.g., Masked 4.096Mhz, Fixed 6.144Mhz) to enhance convenience when using the final output.

이에 따라, 베이스밴드 처리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가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DMB와 관련한 다양한 장치의 응용과 개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lexibly interface with various devices using baseband-processed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and to apply and develop various devices related to DMB.

Claims (17)

DMB 신호를 수신하여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추출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A baseband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MB signal and extract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기준클록신호를 발생하여 출력단자(CLOCK)를 통해 출력하는 클록 발생기; 및A clock generator generating a reference clock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an output terminal CLOCK; And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서 추출된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 그리고 인터페이스용 부가 신호를 각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여 타 장치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header information is added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baseband processor, and the FIC information, the MSC information, and the interface additional signal to which the header information is added are output through each output terminal so as to interface with other devices. DMB baseband receiver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출력할 출력단자(DATA); 상기 출력단자(DATA)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알려주는 신호를 출력할 출력단자(VALID); 및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서 추출된 FIC 정보와 MS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각 출력단자를 통해 해당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n output terminal DATA to output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to which the header information is added; An output terminal VALID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data currently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is valid data;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add header information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and to control a corresponding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respective output terminal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출력단자 DATA 및 VALID는 하나의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output terminal DATA and VALID is a DMB baseband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on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시작시점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하나의 출력단자(SOP)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단자(SOP)를 통해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interface unit may further include one output terminal SOP for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a start point of the transport stream TS, and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corresponding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SOP. DMB baseband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FIC 정보와 MSC 정보에 추가되는 헤더 정보는 해당 데이터가 FIC 정보인지 또는 MSC 정보인지를 알려주는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header information added to the FIC information and the MSC information includes a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data is FIC information or MSC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헤더 정보는 32 비트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FIC 정보인지 또는 MSC 정보인지를 알려주는 필드는 1 비트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header information has a 32-bit size, and the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FIC information or MSC information comprises a 1-bit size DMB baseband receiv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MSC 정보에 추가되는 헤더 정보는 서브 채널 단위로 추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header information added to the MSC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added in units of subchannel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MSC 정보에 추가되는 헤더 정보는 서브 채널 식별자, 서브 채널 크기, CIF 시작시점, 및 서브 채널 시작시점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header information added to the MSC information includes a field for indicating a subchannel identifier, a subchannel size, a CIF start time, and a subchannel start ti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클록 발생기는 클록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클록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And the clock generato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a clock signal hav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lock frequencies according to a clock control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복수의 클록 주파수는 Masked 4.096MHz와 Fixed 6.144MHz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plurality of clock frequencies are masked 4.096MHz and fixed 6.144MHz DMB baseband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0, 상기 제어부는 출력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출력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출력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selection signal and to selectively control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according to the output selection signal.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상기 출력단자 DATA를 통해 헤더 정보가 추가된 FIC 정보와 MSC 정보를 모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Auto)와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Manual)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output selection signal includes a signal Auto for outputting both FIC information and MSC information to which header information is add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and a signal Manual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DMB. Baseband Receiver.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상기 Manual 신호와 함께 FIC 정보를 출력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신호(FIC ON/OFF)를 더 포함하고,The output selection signal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ignal (FIC ON / OFF) for outputting FIC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anual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 Manual과 FIC ON/OFF에 따라, 상기 FIC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출력단자 DATA를 통해 출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by adding header information to the 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Manual and FIC ON / OFF.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오디오/데이터와 비디오를 선택하는 선택신호(DAB/DM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 'DAB/DMB'에 따라 상기 MSC 정보 중 오디오/데이터 정보 또는 비디오 정보에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출력단자(DATA)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output selection signal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ignal (DAB / DMB) for selecting audio / data and video, and the controller controls audio / data information or video information among the MS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DAB / DMB'. DMB baseband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d the header information and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DATA).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출력선택신호는 서브 채널 식별자를 지정하는 선택신호(SCHID_SEL)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신호 'SCHID_SEL'에 따라 상기 MSC 정보 중 해당 서브 채널 정보만을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출력단자(DATA)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output selection signal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ignal (SCHID_SEL) for designating a sub channel identifier, and the controller adds header information of only the corresponding sub channel information of the MS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SCHID_SEL' to output the output terminal ( DMB baseband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utput through.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DMB 신호를 처리하여 FIC 채널과 MSC 채널을 분리하는 채널분리부, 상기 분리된 FIC 채널에 실린 신호를 복호화하는 FIC 처리부, 및 상기 MSC 채널에 실린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데이터 정보와 비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MSC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baseband processing unit, a channel separ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DMB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separate the FIC channel and the MSC channel, the FIC processing unit for decoding the signal carried on the separated FIC channel, and the signal carried on the MSC channel And an MSC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audio / data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 상기 클록 발생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단일 집적회로 칩(IC Chip)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The baseband processing unit, the clock generator, and the interface unit DMB baseband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built in a single 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
KR1020060120126A 2006-11-30 2006-11-30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1268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26A KR101268198B1 (en) 2006-11-30 2006-11-30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26A KR101268198B1 (en) 2006-11-30 2006-11-30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494A true KR20080049494A (en) 2008-06-04
KR101268198B1 KR101268198B1 (en) 2013-05-27

Family

ID=3980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126A KR101268198B1 (en) 2006-11-30 2006-11-30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198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5763A (en) * 2000-06-05 2001-12-14 Kenwood Corp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ab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198B1 (en)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39B1 (en) Broadcast receiver and decoding method
KR100595208B1 (en) DMW receiver and how to reduce power consumption
CN10101413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func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EP171797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priority data transmission in a transmitter of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system
US80277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ta rate in a mobile terminal using spatial multiplexing for DVB-H communication
US20040022326A1 (en) Digital audio receiver
KR100710308B1 (en) Data structure for pay mobile broadcast service, pay mobile broadcast service method, and mobile broadcast receiver
KR20050099277A (en) Memory control method for time de-interleaving in dmb receiver
KR101268198B1 (en)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1119250B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for urgen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or the same
KR101286335B1 (en) Receiver for Base Band Processin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R100856389B1 (en) Terrestrial DMV transceiver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frequency band
KR100565673B1 (en) How to reduce time deinterleaver memory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KR100730814B1 (en) Multi-channel receiver for satellite DMB service
JP3531802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215357B1 (en) Method for temporarily providing Conditionally Accessible digital broadcast
US20240275659A1 (en) Methods, systems, and circuits for determining convergent digital radio mode
KR1010871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decoding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KR100975712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820826B1 (en) Broadcast receiver and processing method
KR20070090666A (en) Broadcast receiver and processing method
KR100710327B1 (en) Data structure for pay mobile broadcast service, pay mobile broadcast service method and mobile broadcast receiver
KR20050062868A (en) Channel decoder in dmb receiver
KR100735704B1 (en) Data structure, and method for pay mobile broadcast service
KR101215492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