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370A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370A
KR20080049370A KR1020060119843A KR20060119843A KR20080049370A KR 20080049370 A KR20080049370 A KR 20080049370A KR 1020060119843 A KR1020060119843 A KR 1020060119843A KR 20060119843 A KR20060119843 A KR 20060119843A KR 20080049370 A KR20080049370 A KR 20080049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transformer
cover bottom
liquid crysta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현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9370A/ko
Publication of KR2008004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와, 램프에 인가하는 교류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인버터 인쇄회로기판과, 인버터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트랜스포머와, 커버 보텀과 인버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된 자속 차폐막을 구비한다. 자속 차폐막은 투자율이 낮은 것으로서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도 1은 커버 보텀에 와전류가 유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의 일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에서 누설 자속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
110 : 액정패널 120 : 램프
122 : 반사판 124 : 광학시트
126 : 확산판 40, 140 : 커버 보텀
150 : 탑 케이스 60, 160 : 인쇄회로기판
70, 170 : 트랜스포머 80, 180 : 커버 쉴드
200 : 자속 차폐막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표시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또는 브라운관은 무게와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LCD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빔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즉, LCD는 패널 내부에 있는 액정의 편향 정도로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계조표현을 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자발광 표시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 필요하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 및 에지형으로 구분된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패널의 일측 하부에 광원이 위치하고,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도광판을 이용하여 패널에 고르게 조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패널의 하부에 광원을 배치하고,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확산판 및 광학시트를 경유하여 패널에 입사된다.
광원은 램프 및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원으로 램프를 이용할 경우에는 램프의 구동을 위해 램프 구동부인 인버터가 필요하고, 이러한 인버터는 인쇄회로기판 및 트랜스포머를 포함한다.
인버터는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커버보텀(40)고 커버쉴드(8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버터의 인쇄회로기판(60)에는 다수의 집적회로가 형성되어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70)는 1차측에서 받은 전류를 코일에서 자속으로 변환하여 그 자속을 코어를 통해서 2차측으로 전달하여 2차측 코일에서 자속을 전류로 생성한다. 이때, 이러한 자속의 일부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 외부로 누설된다. 'A' 영역에서는 이와 같은 누설 자속과 금속 재질의 커버 보텀(40)과의 쇄교 영향에 의해 커버 보텀(40)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된다.
이처럼 커버 보텀(40)에 유도되는 와전류는 전력 소실을 야기한다. 특히, 대화면으로 갈수록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져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보텀에 유도되는 와전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와, 램프에 인가하는 교류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인버터 인쇄회로기판과, 인버터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트랜스포머와, 커버 보텀과 인버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된 자속 차폐막을 구비한다. 자속 차폐막은 투자율이 낮은 것으로서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속 차폐막은 트랜스포머에 대응되는 면적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은 자속 차폐막 대신에 투자율이 낮은 커버 보텀을 사용한다.
이러한 커버 보텀은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액정패널(110)과, 액정패널(110)에 빛을 공급하기 위한 램프(120)와,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판(122)과, 액정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고 자속 차폐막(200)이 형성된 커버 보텀(140)과, 액정패널(110)의 가장자리와 커버보텀(140)의 측면 및 측면의 상부를 감싸기 위한 탑 케이스(150)를 구비한다.
액정패널(110)은 상부기판(110a) 및 하부기판(110b)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고 상부기판(110a)과 하부기판(110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10)의 상부기판(110a)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패널(110)의 하부기판(110b)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가 형성된다. TFT는 게이트라인으로부터의 스캔신호(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으로부터 액정셀 쪽으로 전송될 데이터신호를 절환한다.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기판(110b)의 일측부에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이 각각 접속되는 패드영역이 형성되고, 이 패드영역에는 TFT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또한,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들에 공급한다.
그리고 액정패널(110)의 상부기판(110a)에는 상부 편광 시이트가 부착되고, 하부기판(110b)의 배면에는 하부 편광 시이트가 부착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120)들과, 램프(120)들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램프 홀더(도시하지 않음)와, 다수의 램프(120)들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액정패널(110)에 조사시키기 위한 확산판(126)을 포함한다.
램프(120)는 형광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형광램프는 교류 전압을 인가받아서 유리관 내부에 밀봉된 불활성 기체 및 수은 증기의 방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외선이 유리관 내벽에 도포된 형광물질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빛은 확산판(126)에 입사된다. 확산판(126)은 다수의 램프(120)들로부터 입사된 광을 고르게 확산시켜서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빛이 액정패널(110)의 정면방향으로 입사하도록 한다. 이러한 확산판(126)은 투명한 수지로 구성된 필름의 양면에 광확산용 부재를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확산판(126)을 거쳐서 출사된 광은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124)을 경유하여 액정패널(110)에 입사된다.
반사판(122)은 램프(120)에서 출사되는 빛 중에서 액정패널(110)의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을 액정패널(110) 방향으로 반사시켜서 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커버 보텀(140)은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110)을 수납한다.
그리고, 커버 보텀(140)에서 액정패널(110)이 수납되는 반대면에는 램프(120)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가 결합된다. 인버터는 인쇄회로기판(160) 및 트랜스포머(17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다수의 집적회로가 위치하여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커버 보텀(140)과 인쇄회로기판(160) 사이에는 자속 차폐막(200)이 형성된다. 자속 차폐막(200)은 트랜스포머(170)에서 누설되는 자속을 차단하여 전력 손 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탑 케이스(150)는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되고, 커버 보텀(140) 및 액정패널(110)을 감싸는 형태로 모듈의 최외각을 마무리한다.
커버 쉴드(180)는 인쇄회로기판(160) 및 트랜스포머(170)를 감싸면서 보호한다.
이러한 액정표시모듈에서 백라이트 유닛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모듈 중 백라이트 유닛의 일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120)와, 램프(120)에서 방출하는 빛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판(122)과, 램프를 수납하는 커버 보텀(140)과, 인쇄회로기판(160) 및 트랜스포머(170)를 포함하는 인버터와, 커버 보텀(140)과 인쇄회로기판(160) 사이에 형성된 자속 차폐막(200)을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160)과 트랜스포머(170)를 포함하는 인버터는 커버 보텀(140) 상에서 패널이 위치한 곳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제1 커넥터(162)가 배치되어 와이어(125)의 끝단에 결합된 제2 커넥터(164)와 접속되고, 램프(120)에 램프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트랜스포머(170)는 자속을 안내하는 코아(도시하지 않음)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도시하지 않음)과 보빈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1차 코일과 2 차 코일 각각에 연결되는 단자인 제1 및 제2 핀(172a,172b)으로 구성된다. 트랜스포머(170)는 인쇄회로기판(160)으로부터 DC 전압을 입력받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인 AC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자속 차폐막(200)은 트랜스포머에서 누설되는 자속이 커버 보텀(140)과 쇄교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종래에는 트랜스포머(170)에서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커버 보텀(140)과의 쇄교 성분에 의해 커버 보텀(140)에 와전류가 유도되어 전력손실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에서 누설되는 자속은 자속 차폐막(20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누설 자속이 커버 보텀(140)과 쇄교하지 않고 이에 따라 와전류가 유도되지 않는다.
자속의 차폐효과를 높이기 위해 자속 차폐막(200)은 투자율이 낮은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속 차폐막은 알루미늄이나 구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재 비용과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서는 특히 구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를 이용할 경우에는 자속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구리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는 구리 배선을 형성하기 위해 구리층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트랜스포머가 위치한 영역의 배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선이 배치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에 대응되는 영역의 구리층은 제거되었다.
따라서, 이처럼 이용되지 않던 구리층를 이용하여 자속 차폐막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자속 차폐막은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인버터의 트랜스포머로부터 유출되는 누설 자속에 의해 커버 보텀에 와전류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램프;
    상기 램프에 인가하는 교류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인버터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버터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된 트랜스포머;
    상기 커버 보텀과 상기 인버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된 자속 차폐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 차폐막은 투자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 차폐막은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 차폐막은 상기 트랜스포머에 대응되는 면적이상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60119843A 2006-11-30 2006-11-30 백라이트 유닛 KR20080049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843A KR20080049370A (ko) 2006-11-30 2006-11-30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843A KR20080049370A (ko) 2006-11-30 2006-11-30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370A true KR20080049370A (ko) 2008-06-04

Family

ID=3980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843A KR20080049370A (ko) 2006-11-30 2006-11-30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93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5422A (zh) * 2018-12-24 2019-02-2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5422A (zh) * 2018-12-24 2019-02-2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9375422B (zh) * 2018-12-24 2021-11-1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96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03004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displaydevice}
KR101331903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6351527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6009897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184446B2 (en) Inver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US2008029135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880825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39160B1 (ko) 일체형 몰드 프레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액정 표시 장치
KR10124924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11266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구비된액정표시장치
KR10136213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110177A (ko) 액정표시모듈
KR20080049370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50049078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7270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7006383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56015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050030397A (ko) 액정표시장치
US11567359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06013223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2002673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07007488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2564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24457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