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325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325A
KR20080049325A KR1020060119754A KR20060119754A KR20080049325A KR 20080049325 A KR20080049325 A KR 20080049325A KR 1020060119754 A KR1020060119754 A KR 1020060119754A KR 20060119754 A KR20060119754 A KR 20060119754A KR 20080049325 A KR20080049325 A KR 20080049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anel
light
crystal panel
colo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064B1 (ko
Inventor
김두진
정인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0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부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각 방향에서의 휘도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액정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패널가이드와; 상기 패널가이드의 측면 및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패널가이드와 체결되는 탑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편광필름 및 제2 편광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편광필름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컬러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빛샘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편광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탑 케이스 20, 120, 22, 122 : 편광필름
2, 102 : 액정패널 15, 115 : 패널 가이드
X : 빛샘 발생부 147 : 컬러 패턴
41 : 편광층 43a, 43b : 지지층
45 : 점착층 63 : 격자무늬 인쇄기
65 : 격자무늬 61 : 점착물질
67 : 드라이 오븐
본 발명은 테두리부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각 방향에서의 휘도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표시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또는 브라운관은 무게와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개발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 LED) 등이 있고 이들 대부분이 실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 추세를 만족할 수 있고 양산성이 향상되고 있어 많은 응용분야에서 음극선관을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과 이 액정표시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은 액정패널(2)과, 액정패널(2)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 라이트 유닛과,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2)을 수납하는 패널 가이드(15)와, 액정패널(2)의 가장자리를 감쌈과 아울러 패널 가이드(15)의 측면을 감싸는 탑 케이스(Top Case)(10)를 구비한다.
액정패널(2)은 상부기판(4) 및 하부기판(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정패널(2)의 상부기판(4) 및 하부기판(6)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액정이 주입되고, 상부기판(4)과 하부기판(6)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2)의 상부기판(4)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패널(2)의 하부기판(6)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액정셀 쪽으로 전송될 데이터신호를 절환하게 된다.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패널(2)의 일측부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접속되는 패드영역이 형성되고, 이 패드영역에는 TFT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페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고,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러한, 액정패널(2)의 상부기판(4)에는 상부 편광필름(20)이 부착되고, 하부기판(6)의 배면에는 하부 편광필름(22)이 부착된다. 이 때, 상부 및 하부 편광필름(20, 22)은 액정셀 매트릭스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탑 케이스(10)는 사각띠 형태를 가지며 액정패널(2)의 가장자리 및 패널 가이드(15)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다.
패널 가이드(15)는 액정패널(2)을 지지하기 위한 패널 안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패널 가이드(15)는 도시하지 않은 스크류에 의해 탑 케이스(10)와 체결된다.
백 라이트 유닛에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18)와, 램프(18)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램프 하우징(16)과, 램프(18)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14)과, 도광판(14)의 배면에 설치되는 반사판(12)과, 도광판(12)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 시트들(8)를 구비한다.
램프(18)로는 주로 냉음극 형광램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램프(18)에서 발생되는 광은 도광판(14)의 측면에 존재하는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14)에 입사된다.
도광판(14)은 경사진 배면과 수평인 전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도광판(14)은 일측 측면에 마련된 입사면을 통해 램프(18)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패널(2) 쪽으로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변환하게 된다.
램프 하우징(16)은 내면에 반사면이 있어 램프(18)로부터의 광을 도광판(14)의 입사면 쪽으로 반사시킨다. 이러한, 램프 하우징(16)은 도광판(14)의 입사면을 감싸게 된다.
반사판(12)은 도광판(14)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4) 쪽으로 재 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램프(18)로부터의 광이 도광판(14)에 입사되면 경사면인 배면에서 소정 경사각으로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균일하게 진행하게 된다. 이 때, 도광판(14)의 하면 및 측면으로 진행한 광은 반사판(12)에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광판(14)을 경유한 광은 광학 시트들(8)에 입사되어 효율이 증대된다. 광학 시트들(8)은 도광판(14)에서 출사된 광을 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와, 확산 시트에 의해 확산된 광의 진행 각도를 수직이 되도록하는 프리즘 시트을 포함한다.
광학 시트들(8)을 경유한 광은 광효율이 증대되어 액정패널(2)에 입사된다. 이 때, 하부 편광필름(22)은 다수의 광학 시트들(8)을 경유하는 광의 진행 방향을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적당한 매질을 이용하여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한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액정패널(2)에 조사하게 된다. 즉, 하부 편광필름(22)은 다수의 광학 시트들(8)을 경유하는 특정 선편광을 투과시키고 그 이외의 편광성분을 차단한다.
이러한, 액정표시모듈은 반사판(12)과, 도광판(14) 및 램프(18)를 포함한 램프 하우징(16)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램프 하우징(16) 위에 광학 시트들(8)을 적층시켜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광학 시트들(8)이 조립되면 램프 하우징(16) 상에는 패널 가이드(15)가 배치되고, 상기 패널 가이드(15)의 내부에는 액정패널(2)이 조립된다. 그런 다음, 액정패널(2)의 가장자리와 패널 가이드(15)를 감싸도록 탑 케이스(10)를 조립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정표시모듈은 그 조립공정에서 탑 케이스(10)와 액정패널(2)이 체결될 때, 액정패널(2)의 테두리 부분이 탑 케이스(10)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액정패널(2)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된 액정분자들이 왜곡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의 테두리부(X)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빛샘 현상은 탑 케이스(10)과 액정 패널(2)의 체결시 탑 케이스(10)와 액정 패널(2)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생길 수도 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빛샘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빛샘 현상은 액정표시장치의 고질 불량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테두리부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각 방향에서의 휘도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액정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패널가이드와; 상기 패널가이드의 측면 및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패널가이드와 체결되는 탑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편광필름 및 제2 편광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편광필름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컬러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편광필름은 상기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컬러 패턴은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탑 케이스의 중첩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컬러 패턴은 녹색의 컬러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정표시모듈은 액정패널(102)과,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108) 및 도광판(114)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102)을 지지하는 패널 가이드(115)와,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패널(102)의 가장자리를 감쌈과 아울러 패널 가이드(115)를 감싸는 탑 케이스(Top Case)(110)를 구비한다.
액정패널(102)은 상부기판(104) 및 하부기판(10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액정패널(102)의 상부기판(104) 및 하부기판(106)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액정이 주입되고, 상부기판(104)과 하부기판(106)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2)의 상부기판(104)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패널(102)의 하부기판(106)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액정셀 쪽으로 전송될 데이터신호를 절환하게 된다.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패널(102)의 일측부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접속되는 패드영역이 형성되고, 이 패드영역에는 TFT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페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고,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2)의 상부기판(104)에는 상부 편광필름(120)이 부착되고, 하부기판(106)의 배면에는 하부 편광필름(122)이 부착된다. 이 때, 상부 및 하부 편광필름(120, 122)은 액정셀 매트릭스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시야각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상부 편광필름(120) 및 하부 편광필름(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 컬러 패턴(147)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패턴(147)은 액정패널(102)의 테두리부 에서 누설되는 광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이 때 컬러 패턴(147)은 광을 완벽히 차단하는 블랙 물질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투과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블랙이외의 색깔의 안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컬러 패턴(147)이 빛샘 휘도는 저하시키면서 시야각 방향, 즉 액정패널(102)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휘도는 확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컬러 패턴에 적용되는 안료로는 액정패널(102)의 빛샘 영역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어느 정도 빛의 휘도를 저감시키면서 투과 특성이 좋은 녹색이 바람직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램프(118)와, 램프(118)를 감싸는 램프 하우징(116)과, 램프(118)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114)과, 도광판(114)의 배면에 설치되는 반사판(112)과, 도광판(114)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108)을 구비한다. 다수의 광학시트들(108)은 도광판(114)으로부터 입사된 빛사된 광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램프(118)에서 발생되는 광은 도광판(114)의 측면에 존재하는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114)에 입사된다. 도광판(124)은 경사진 배면과 수평인 전면을 가진다. 램프 하우징(116)은 내면에 반사면이 있어 램프(118)로부터의 광을 도광판(114)의 입사면 쪽으로 반사시킨다. 반사판(112)은 도광판(114)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14) 쪽으로 재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램프(118)로부터의 광이 도광판(114)에 입사되면 경사면인 배면에서 소정 경사각으로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균일하게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광판(114)의 하면 및 측면으로 진행한 광은 반사 판(112)에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광판(114)을 경유한 광은 광학 시트들(114)에 입사되어 효율이 증대된다. 광학 시트들(108)은 도광판(114)에서 출사된 광을 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와, 확산 시트에 의해 확산된 광을 액정패널(102)로 안내하는 프리즘 시트을 포함한다.
패널 가이드(115)는 그 내부의 측벽면이 절곡되어 안착부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 패널 가이드(115)의 내부에는 액정패널(102)이 안착된다.
탑 케이스(110)는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탑 케이스(110)는 액정패널(102)의 가장자리 및 패널 가이드(115)의 측면을 감싸게 된다. 탑 케이스(110)와 액정패널(102)이 체결될 때, 액정 패널(102)의 테두리 부분이 탑 케이스(110)에 의해 압력을 받게됨에 따라 액정패널(102)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된 액정분자들이 왜곡된다. 본 발명은 액정분자들이 왜곡되는 영역, 즉 탑 케이스(110)와 액정패널(102)이 중첩되는 부분과 인접한 영역에 해당하는 편광필름(120 또는 122)의 테두리 부분에 칼라 패턴(147)을 형성함으로서 액정패널(102)의 테두리 부분에서 누설되는 광의 휘도를 저하시키면서 시야각 방향에서의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입사광을 편광시키며, 시야각을 확장시키는 편광층(41)과, 상기 편광층(41)을 중심으로 편광층(41)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층(43a, 43b)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층(43a, 4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칼라 패턴(147)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층(43a, 43b) 중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점착층(45)을 구비한다. 편광층(41)은 연신된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 이하, "PVA"라 함.) 필름 또는 액정물질을 포함하는 필름 등에 편광성 분자가 염착된 것이다. 제1 및 제2 지지층(43a, 43b)은 편광층(41)의 양측에 형성되어 편광층(41)을 지지 및 보호하는 층이며, 주로 트리 아세틸 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 이하, "TAC"라 함.)로 이루어진다. 컬러 패턴(147)은 제1 및 제2 지지층(43a, 43b)의 외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테두리에 컬러 안료를 인쇄함으로써 형성된다. 컬러 안료는 점착층(45)은 제1 또는 제2 지지층(43a, 43b)의 외부면 중 한면에 형성되어 액정패널의 상부 기판 또는 하부 기판의 외부면에 부착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외부면에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제조된다. 상기 이형 필름은 액정패널의 상부 기판 또는 하부 기판의 외부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할 때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은 편광층 형성단계(S1), 지지층 형성단계(S3), 컬러 패턴 및 점착층 형성 단계(S5), 이형 필름 부착단계(S7), 컷팅 단계(S9)를 포함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 방법을 상세히 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편광자가 PVA필름으로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편광층 형성 단계(S1)는 PVA필름을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용액으로 염착한 후 연신하여 요오드나 염료 분자가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하도록 함으로써 고분자 필름이 편광기능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편광층 형성 단계(S1)를 상세히 하면, 먼저 PVA필름은 공급롤러를 통해 공급된다. 이 후, PVA필름은 염착이 잘되도록 붕산 또는 붕사가 녹아있는 수용액에서 팽윤된다. 팽윤된 PVA필름은 요오드나 염료분자가 녹아있는 수용액에 침지됨으로써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분자가 PVA필름에 염착된다. 이어서 염착된 PVA필름은 일정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PVA필름에 염착된 요오드나 염료분자가 연신 방향에 의해 재배열한다.
지지층 형성단계(S3)는 편광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지지층을 접착하는 단계이다. 제1 및 제2 지지층은 주로 TAC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편광층 및 TAC 필름을 접착하는 접착제에는 PVA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AC필름은 편광자 지지층 형성단계(S3)이전에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등이 포함된 수용액에 침지되어 표면이 친수화 처리된 것이다. 제1 및 제2 지지층은 편광층 양면에 접착되어 편광층의 내습성, 내열성등을 확보한다.
컬러 패턴 및 점착층 형성 단계(S5)는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제1 이형 필름의 내면에 컬러 패턴 및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먼저 제1 이형필름의 내면에 점착물질(61)이 코팅된다. 점착물질(61)은 압력 민감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ditive : PSA), 아크릴계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후, 코팅된 점착물질(61) 상에는 컬러 안료를 포함하는 인쇄기(63)를 통해 격자무늬(65)의 컬러 패턴(147)이 인쇄된다. 그리고 점착 물질(61) 및 컬러 패턴(147)이 형성된 이형 필름은 드라이 오븐(67)에 투입되어 점착 물질(61) 및 컬러 패턴(147)이 경화되도록한다.
이형 필름 부착 단계(S7)는 상기 점착층 및 컬러 패턴이 형성된 제1 이형 필 름을 제1 지지층 및 제2 지지층 중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부착하는 공정이다. 이중 제1 이형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지지층의 외부면에는 제2 이형필름이 부착된다.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은 편광필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컷팅 단계(S9)는 편광필름을 단위 격자무늬를 갖도록 컷팅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은 테두리 부분에 컬러 패턴을 구비하여 액정패널에 부착됨으로써 액정패널의 테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컬러 패턴은 블랙이 아닌 어느 정도 투과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컬러로 형성됨으로써 시야각 방향에서의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테두리 부분에 컬러 패턴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구비함으로써 액정패널의 테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을 개선함과 아울러 시야각 방향에서의 휘도를 확보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액정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제1 및 제2 편광필름과;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패널가이드와;
    상기 패널가이드의 측면 및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패널가이드와 체결되는 탑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편광필름 및 제2 편광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편광필름은 가장자리에 컬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편광필름은
    상기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패턴은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탑 케이스의 중첩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패턴은
    녹색의 컬러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119754A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KR10131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54A KR101318064B1 (ko)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54A KR101318064B1 (ko)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325A true KR20080049325A (ko) 2008-06-04
KR101318064B1 KR101318064B1 (ko) 2013-10-15

Family

ID=3980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754A KR101318064B1 (ko) 2006-11-30 2006-11-30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0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421B2 (en) 2013-05-10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70042425A (ko) * 2015-10-08 2017-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964795B2 (en) 2015-01-29 2018-05-08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US10188003B2 (en) 2016-04-11 2019-01-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lastic fram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9307949A (zh) * 2017-07-26 2019-02-0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EP3637178A1 (en) * 2011-12-30 2020-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165A (ko) * 1999-12-29 2001-07-1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
KR200242865Y1 (ko) 2001-05-17 2001-10-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차광 수단용 블랙 실크층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KR20050008278A (ko) * 2003-07-15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87328B1 (ko) * 2004-09-30 2011-1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편광판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7178A1 (en) * 2011-12-30 2020-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0732446B2 (en) 2011-12-30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9513421B2 (en) 2013-05-10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9964795B2 (en) 2015-01-29 2018-05-08 Samsung Display Co., Ltd. Curved display device
KR20170042425A (ko) * 2015-10-08 2017-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188003B2 (en) 2016-04-11 2019-01-2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lastic fram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9307949A (zh) * 2017-07-26 2019-02-0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KR20190012284A (ko) * 2017-07-26 2019-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064B1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1890B2 (ja) 液晶表示装置
US79243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EP274684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9738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light-blocking tape
KR2010011998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18064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5127704A1 (zh) 背光模组
US9097936B2 (en)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6849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1746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1644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128693A (ko) 액정표시장치
US2013007017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080001504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946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19111A (ko) 대형화, 박형화에 따른 빛샘-Free 액정표시장치
KR10205269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7265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749748B1 (ko) 고 휘도 투명 액정표시장치
KR2010006317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73910A (ko) 액정 표시 장치
WO2020237843A1 (zh) 显示装置
KR10088764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4544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68958B1 (ko) 액정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