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852A -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852A
KR20080046852A KR1020060116409A KR20060116409A KR20080046852A KR 20080046852 A KR20080046852 A KR 20080046852A KR 1020060116409 A KR1020060116409 A KR 1020060116409A KR 20060116409 A KR20060116409 A KR 20060116409A KR 20080046852 A KR20080046852 A KR 2008004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omposition
activity
composition analyzer
subject
da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박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박원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Priority to KR102006011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6852A/ko
Publication of KR2008004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성분분석기에서 측정한 피측정자의 기초대사량과 활동량측정기에서 구한 활동량을 이용하여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여 피측정자에 대한 처방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는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Body composition analyzer capable to measure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the method of measuremen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체성분분석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활동량측정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 산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피측정자 30 : 체성분분석기
50 : 활동량측정기
본 발명은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성분분석기에서 측정한 피측정자의 기초대사량과 활동량측정기에서 구한 활동량을 이용하여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여 피측정자에 대한 처방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는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하루 동안 필요한 에너지인 1일필요열량(Total Energy Expenditure, TEE)은 활동하지 않아도 삶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열량인 기초대사량(Basic Metabolic Rate, BMR)과 실제로 활동하여 소비하게 되는 활동대사량(Activity Energy Expenditure, AEE)을 더하여 산출된다.
한편, 하루 동안 소비한 열량을 1일소비열량(Daily Energy Expenditure, DEE)이라 하고, 같은 값을 그 개인이 하루 동안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라는 관점에서 1일필요열량(TEE)이라 하며, 이 두가지의 의미를 하루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1일필요열량(TEE)과 1일소비열량(DEE)은 24시가 되는 순간 동일하게 되므로 같은 개념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체성분분석기는 임피던스방식으로 체지방, 제지방, 근육, 단백질, 무기질 등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체지방측정기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이 장치는 피측정자의 몸을 이루는 각종의 체성분을 분석하여 수치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기초대사량과 같은 건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체성분분석기는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여 가정에도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자(1)가 체성분분석기(10)의 발판 위에 올라서서 손잡이(11)를 잡으면 피측정자(1) 에 약한 전류를 흘려보내 체성분을 분석하게 된다. 체성분분석기는 1일필요열량을 계산할 때 기초대사량을 실제로 측정하고 활동량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하여 산출하게 되는 바 실측이 불가능하다.
한편, 피측정자의 특정 기간 동안의 소비한 열량을 측정하는 활동량측정기가 개발되었는데 이 측정기는 단순히 걸음걸이의 수를 축적하여 단순히 표시하는 만보계와는 달리 피측정자의 특정기간동안의 소비한 활동대사량을 측정하여 그 활동량을 열량으로 수치화하여 알려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자(1)의 허리에 활동량측정기(20)를 부착하고 일상생활을 하게 되면 하루 동안이나 특정시간동안의 활동한 활동대사량을 측정하게 된다. 활동량측정기는 활동대사량을 실측하고 기초대사량을 이론적 계산에 의하여 1일필요열량을 계산하기 때문에 1일필요열량의 실측이 불가능하다.
결국 종래의 체성분분석기는 체성분과 기초대사량만을 분석하고, 활동량측정기는 활동대사량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피측정자의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측정자의 기초대사량을 체성분분석기 혹은 체지방측정기를 통하여 측정하고, 활동량 측정기를 통하여 피 측정자의 활동대사량을 측정한 후, 피 측정자의 1일필요열량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처방 등에 사용하게 되는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는 피측정자에 탈부착되어 일정기간동안의 활동대사량을 산출하는 활동량측정기와, 피측정자의 입력된 데이터와 분석된 체성분을 바탕으로 기초대사량을 산출하여 상기 활동량측정기로부터 활동대사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으로 전달받아,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는 체성분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 산출방법은 피측정자의 체성분을 체성분분석기에서 분석하여 기초대사량을 구하고 활동량측정기에 의해 일정기간동안의 활동대사량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체성분분석기와 활동량측정기를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 다음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 산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자(1)가 손잡이(41)를 잡고 올라서서 체성분을 측정하게 되는 체성분분석기(40)와, 피측정자(1)의 일정시간동안의 활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체성분분석기(40)와 정보를 통신하는 활동량측정기(50)로 구성된다. 여기서 활동량측정기(50)는 피측정자(1)가 허리 등에 착용하고 일정시간동안 측정한 다음 다시 체성분분석기(40)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여기서 활동량측정 기(50)는 별도의 입력없이 동작하도록 하고 체성분분석기(40)와 통신시에 체성분분석기(40)에 입력된 자료를 통신으로 전달받아 활동량을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한번만 입력하도록 하여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그 반대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활동량측정기(50)에서 측정된 활동대사량은 수치화되어 체성분분석기(40)에 전달되고 체성분분석기(40)에서는 전달받은 활동대사량과 체성분분석에 의해 측정된 기초대사량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1일필요열량을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게 된다.
TEE = C1 × BMR + C2 × AEE + C3
여기서, TEE는 1일필요열량을, BMR은 기초대사량을, AEE는 활동대사량을, C1, C2, C3은 상수를 각각 나타낸다.
TEE는 1일필요열량으로 1일소비열량(DEE)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여기서, 활동량측정기(50)에서 측정된 활동대사량에 대한 정보를 체성분분석기(40)에서 받아서 1일필요열량을 계산하였으나, 반대로 체성분분석기(40)로부터 기초대사량에 대한 자료를 전달받아서 활동량측정기(50)에서 1일필요열량을 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 산출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성분분석기와 활동량측정기에 각각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S1), 피측정자(1)는 체성분분석기(40)에서 체성분을 분석하여 기초대사량을 구하게 된다(S2). 또한 피측정 자(1)는 활동량측정기(50)를 사용하여 일정기간동안의 활동대사량을 측정하게 된다(S3). 그 다음으로 활동량측정기(50)와 체성분분석기(40)를 통신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한 수학식 1에 근거하여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그 산출된 정보를 응용하여 처방하게 된다.
이렇게 산출된 정보에 따라 의사는 더욱 정확한 식이요법 등의 처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은 활동량측정기에 의해 활동대사량을 체성분분석기에 의해 기초대사량을 구한 다음 서로 통신하여 1일필요열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특히, 피 측정자의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활동량 측정기 이외에, 만보계를 이용하여 피 측정자의 걸음수를 측정한 후, 체성분 분석기로 걸음수만 전송하고, 피측정자의 걸음수에서 활동대사량을 산출하는 공식을 체성분 분석기에 탑재하여 체성분분석기에서 활동량을 산출하도록 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는 기기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1일필요열량을 1일소비열량으로 이름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5)

  1. 피측정자에 탈부착되어 일정기간동안의 활동대사량을 산출하는 활동량측정기와, 체성분분석기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입력된 데이터와 분석된 체성분을 바탕으로 기초대사량을 산출하여, 상기 활동량측정기로부터 활동대사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으로 전달받아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일필요열량은 아래의 수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TEE = C1 × BMR + C2 × AEE + C3
    여기서, TEE는 1일필요열량을, BMR은 기초대사량을, AEE는 활동대사량을 각각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체성분분석기 또는 활동량측정기 중에 한쪽에만 피측정자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그 정보는 다른 쪽으로 통신에 의해 전달되어 계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4. 피 측정자의 기초대사량을 체성분분석기를 통하여 측정하는 단계와, 활동량측정기에 의해 일정기간동안의 활동대사량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1일필요열량은 아래의 수식에 의해 계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일필요열량 산출방법.
    TEE = C1 × BMR + C2 × AEE + C3
    여기서, TEE는 1일필요열량을, BMR은 기초대사량을, AEE는 활동대사량을 각각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일필요열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체성분분석기 또는 활동량측정기 중에 한쪽에만 피측정자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그 정보는 다른 쪽으로 통신에 의해 전달되어 계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일필요열량 산출방법.
KR1020060116409A 2006-11-23 2006-11-23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KR20080046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409A KR20080046852A (ko) 2006-11-23 2006-11-23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409A KR20080046852A (ko) 2006-11-23 2006-11-23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852A true KR20080046852A (ko) 2008-05-28

Family

ID=3966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409A KR20080046852A (ko) 2006-11-23 2006-11-23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6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ice et al. Validation of the Fitbit One, Garmin Vivofit and Jawbone UP activity tracker in estimation of energy expenditure during treadmill walking and running
Berntsen et al. Validity of physical activity monitors in adults participating in free-living activities
US8182424B2 (en) Diary-free calorimeter
Goldsmith et al. Validity of the open barbell and tendo weightlifting analyzer systems versus the optotrak certus 3D motion-capture system for barbell velocity
Allen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electronic dynamometer for measuring grip strength
Schumacher et al. Diurnal and exercise-related variability of haemoglobin and reticulocytes in athletes
KR20150097671A (ko) 개인 상관 인자를 이용하여 칼로리 섭취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Hajj-Boutros et al. Wrist-worn devices for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A validation study for the Apple Watch 6, Polar Vantage V and Fitbit Sense
CN107004239A (zh) 生活习惯改善装置、生活习惯改善方法及生活习惯改善系统
Kovarik et al. Hand grip endurance test relates to clinical state and prognosis in COPD patients better than 6-minute walk test distance
Rantalainen et al.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orso-worn inertial measurement unit for jump power and height estimation
Gil-Rey et al. Individualized accelerometer activity cut-points for the measurement of relative physical activity intensity levels
McMaster et al. Validity of vertical jump measurement systems
Munguía-Izquierdo et al. Evaluation of a wearable body monitoring device during treadmill walking and jogging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Brandon et al. Reliability of a combined biomechanical and surface electromyographical analysis system during dynamic barbell squat exercise
Al-Rahamneh et al. Prediction of peak oxygen uptake from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during arm exercise in able-bodied and persons with poliomyelitis
KR20160080347A (ko) 체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Quintas et al. LipoWise: A new generation of skinfold calipers
TWI590805B (zh) Limb motor function evaluation method, Limb motor function evaluation system, compute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alyzing limb motor function
KR20080046852A (ko) 1일필요열량을 산출할 수 있는 체성분분석기 및 그 방법
Kooner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gait aids, such as canes, crutches, and walkers, on the accuracy of step counters in healthy individuals
KR101865814B1 (ko)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Gatti et al. Accuracy of estimates of cumulative load during a confined activity: bicycling
RU2677061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спортсменов
Agar-Newman et al. Predicting hexagonal-bar jump takeoff speed using peak speed from a linear position transdu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