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828A -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828A
KR20080046828A KR1020060116330A KR20060116330A KR20080046828A KR 20080046828 A KR20080046828 A KR 20080046828A KR 1020060116330 A KR1020060116330 A KR 1020060116330A KR 20060116330 A KR20060116330 A KR 20060116330A KR 20080046828 A KR20080046828 A KR 2008004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tems
extracting
lis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훈
최청림
최근영
이경신
임영철
김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6828A/en
Publication of KR2008004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8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of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address the problem that when pre-set items are sequentially arranged to be displayed in displaying a list, a user should search and select a frequently used item through a direction key each time if it is position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entire items. A menu display request is inputted in a mobile terminal in a standby state(S51). A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entire items of the camera menu is five or more. If the entire items exceeds five items, the controller performs an item extracting process(S54). If a user selects one item(S58), the controller updates an item DB by using execu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tem(S59). The controller perform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tem selected by the user(S60).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목 DB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tem DB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출 방법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item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항목 추출 방법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FIG. 3B is a diagram showing an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screen of FIG. 3A;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nu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항목 추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tem extraction process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항목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tem display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만을 추출하여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display and preferentially display only an item desired by a user when displaying a list.

근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음성 또는 영상저장기능, 인터넷 기능, 오락기능 및 콘텐츠 재생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call, electronic organizer, voice or video storage function, internet function, entertainment function and content playback function from the initial simple voice call and shor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Was done.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비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메뉴들이나 콘텐츠들을 목록(list) 형태로 나열하며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항목(메뉴 또는 콘텐츠)을 선택하려는 경우, 먼저 상, 하 방향 키로 화면을 스크롤하며 커서(cursor)를 원하는 항목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list and display menus or contents in a list form while us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therein.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a specific item (menu or content), the user first scrolls the screen with the up and down arrow keys and moves the cursor to the desired item.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목록(예컨대, 메뉴 등)이 표시될 때,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순서대로 항목들이 나열되며 표시된다. 즉, 목록을 구성하는 항목이 10개이고,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항목이 4개인 경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뉴가 표시될 때마다 항상 상단에 위치한 4개 항목이 표시되고, 나머지 6개 항목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항목이 전체 항목들 중 하단부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는 매번 방향 키 등을 통해 해당 항목을 찾아 선택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list (eg, a menu, etc.) is displayed at the request of a user, the items are listed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order. That is, if there are 10 items constituting the list and 4 items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ways displays the 4 items located at the top whenever the menu is displayed, and the remaining 6 items are Not displayed. Accordingly, when an item frequently used by the us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ntire items, the user has a inconvenience in finding and selecting the corresponding item by using a direction key each time.

더하여, 이러한 종래의 목록 표시 방법은 항상 표시되는 항목들 중 사용자가 거의 이용하지 않는 항목이 항상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신속하게 선택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되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is conventional list display method is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rather hindered from quickly selecting the desired item when an item that is rarely used by the user is always displayed among the items display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first extract and display items desired by a user when displaying a list. Is 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록 표시 요청으로부터 상기 목록의 전체 항목들을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항목 개수 확인 과정과, 상기 전체 항목 개수가 상기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전체 항목들에서 상기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개수 이하로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항목 추출 과정과, 상기 항목 추출 과정에서 추출한 상기 항목들을 표시하는 항목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cess for checking the number of items for checking whether all items of the lis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from the list display request, and the total number of items An item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the items from the total items to a numb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one screen or less, and an item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the items extracted by the item extraction process; It is characteristic.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메뉴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목록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전에 통화한 내역이 표시되는 통화 내역 목록이나, 다수개의 콘텐츠들이 표시되는 플레이 리스트(play list) 등과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수개의 항목들이 차례로 나열되며 표시되는 모든 목록이 포함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camera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items are sequentially lis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uch as a call history list in which a call history is displayed or a play list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are displayed. A list is inclu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 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various element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 audio processing unit 140, a key input unit 160, a display unit 150, a storage unit 170, and a controller ( 190).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rresponding data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data through a wireless channel, output the data to the controller 190, and transmit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90 through a wireless channel.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The audio processor 140 may be configured as a coder (Coder / Decoder), and the codec may include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refore, the audio processor 140 converts the digital audio data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9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to an analog audio signal through an audio codec and reproduces the audio signal through a speaker, and vice versa. The audio signal is converted into digital audio data through an audio codec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90.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들과,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160)는 메뉴 확장 키(162)를 포함한다. The key input unit 160 receives a user's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90. To this end, the key input unit 160 includes control keys (not shown)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plurality of numeric keys (not shown) for inputting numbers and letters.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nu extension key 162.

메뉴 확장 키(162)는 우선적으로 추출하여 표시된 항목들을 종래와 같이 전체 항목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메뉴 확장 키(166)를 구현하여 이용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드웨어적으로 제어 키 중 하나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The menu extension key 162 is used to preferentially extract and display the displayed items as full items as conven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menu extension key 166 is implemented by softwa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using one of control keys in hardware.

표시부(150)는 카메라 모듈(180)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module 180 on the screen. Here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5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the touch screen method,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may be operated as an input unit.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에는 사용자의 항목 실행에 따른 실행 정보들이 저장되는 항목 데이터베이스(이하, 항목 DB; 172)가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70 includes a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controlling general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programs is stored in the data memory.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ores an item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tem DB) 172 stor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execution of an item of a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목 DB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tem DB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항목 DB는 메뉴 종류 필드, 항목명 필드, 실행 빈도수 필드, 최근 실행시간 필드, 및 고정 표시 항목 필드를 포함한다. 항목 DB의 전체 레코드 수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모든 항목들의 수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2, the item DB includes a menu type field, an item name field, an execution frequency field, a recent execution time field, and a fixed display item field. The total number of records of the item DB is basically equal to the number of all item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메뉴 종류 필드는 전체 메뉴의 종류가 저장되는 필드이다. 따라서, 메뉴 종류 필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메뉴 트리 구조에 따른 각 메뉴의 이름이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50) 내의 다양한 메뉴들 중 카메라 메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menu type field is a field in which the types of all menus are stored. Therefore, the data stored in the menu type field stores the name of each menu according to the menu tree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mera menu among various menu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5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항목명 필드에는 각 항목들의 이름이 저장된다. 즉, 메뉴 종류 필드와 항목명 필드를 통해 해당 항목이 어떠한 항목인지 알 수 있다.The item name field stores the name of each item. That is, the menu type field and the item name field can be used to determine what the corresponding item is.

실행 빈도수 필드는 사용자에 의해 항목이 선택되어 실행된 횟수가 저장된다. 따라서 실행 빈도수 필드의 데이터들은 해당 항목이 실행될 때마다 1씩 가산되어 저장된다.The execution frequency field stores the number of times an item is selected and executed by the user. Therefore, data of the execution frequency field is added and stored by 1 each time the corresponding item is executed.

최근 실행시간 필드는 해당 항목이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던 시간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메뉴의 촬영 항목은 최근 실행시간 필드에 06.10.05 / 15:00:06이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항목은 2006년 10월 5일 15시 6초에 마지막으로 실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Recent Execution Time field stores the time when the item was most recently executed. For example, the shooting item in the camera menu contains the data 06.10.05 / 15:00:06 in the Last Run Time field. This shows that the item was last executed at 15: 6 seconds on October 5, 2006.

고정 표시 항목 필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며, 해당 항목을 고정적으로 표시하는 항목으로 지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즉, 사용자가 해당 항목을 Yes로 설정 하고, 후술되는 항목 추출 방법을 고정 항목 추출 방법으로 설정한 경우, 해당 항목은 카메라 메뉴가 화면에 표시될 때마다 항상 표시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목록 표시 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ixed display item field is set by the user and used to designate the item as a fixedly displayed item. That is, when the user sets the corresponding item to Yes and sets the item extraction method described later to the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the item is always displayed whenever the camera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list display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90)는 메뉴 표시 요청 입력 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법을 통해 특정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추출하여 표시한다. The controller 190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entially extracts and displays specific items through a method preset by a user when a menu display request is input.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목록 표시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Next, a list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also be clearer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list display method.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출 방법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항목 추출 방법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item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screen of FIG. 3A.

도 1 내지 도 3b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목 추출 방법 설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 과정에서 대기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S12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항목 추출 방법 설정 요청이 입력된다. 이에 S13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표시부(15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모든 메뉴들의 목록(예컨대, 주 메뉴, 카메라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을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B it will be described the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11, a request for setting an item extraction method is input from the user in step S12. In operation S13,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 list (eg, a main menu, a camera menu, an environment setting menu) of all menu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이에 S14 과정에서 사용자가 설정하기 원하는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S15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선택된 메뉴에 대한 항목 추출 방법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출 방법 설정 화면은 도 3b와 같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목 추출 방법은 고정 항목 추출 방법, 최대 빈도수 항목 추 출 방법, 및 최근 실행 항목 추출 방법을 포함한다. In step S14, when the user selects one menu that the user wants to set, in step S15,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n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screen for the selected menu. The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B. The item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a maximum frequency item extraction method, and a recently executed item extraction method.

고정 항목 추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고정 표시 항목으로 미리 설정된 항목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즉 항목 DB(172)의 고정 표시 항목 필드에 Yes로 저장된 항목들이 추출된다.The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is a method of extracting an item preset as a fixed display item by a user. That is, items stored as Yes in the fixed display item field of the item DB 172 are extracted.

최대 빈도수 항목 추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가장 많이 실행된 항목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즉 항목 DB(172)의 실행 빈도수 필드에서 가장 큰 값이 저장된 항목들이 순차적으로 추출된다.The maximum frequency item extraction method is a method of extracting the item most executed by the user. That is, items with the largest value stored in the execution frequency field of the item DB 172 are sequentially extracted.

최근 실행 항목 추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가장 최근에 실행된 항목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즉 항목 DB(172)의 최근 실행시간 필드에 저장된 시간이 가장 최근인 항목들이 순차적으로 추출된다.The recently executed item extraction method is a method of extracting the item most recently executed by the user. That is, the items having the most recent time stored in the latest execution time field of the item DB 172 are sequentially extracted.

S16 과정에서 사용자가 이러한 항목 추출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게 되면, S17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법으로 항목 추출 방법을 설정한다. If the user selects one of these item extraction methods in step S16, the controller 190 sets the item extraction method in the method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17.

이어서, S18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S16 과정에서 선택된 항목이 고정 항목 추출 방법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고정 항목 추출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90)는 항목 추출 방법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고정 항목 추출 방법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90)는 S19 과정에서 고정적으로 표시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고정 항목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Subsequently, in step S18,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item selected in step S16 is a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When a method other than the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is selected, the controller 190 ends the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process. However, when the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is selected,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 fixed item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n item to be fixedly displayed in step S19.

고정 항목 선택 화면에는 해당 메뉴 즉 카메라 메뉴의 모든 항목들이 표시되고, 이와 함께 고정 항목으로 선택할 것인지 체크할 수 있는 확인란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S20 과정에서 원하는 항목의 확인란을 체크하여 해당 항목을 고정적으로 표시할 것이지 여부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n개의 항목들만을 고정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표시부(150)를 통해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 가능한 항목의 개수를 지칭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5개의 항목만을 고정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The fixed item selection screen displays all the items of the menu, that is, the camera menu, along with a check box to select whether to select a fixed item. Therefore, the user checks a check box of a desired item in step S20 and sets whether or not to display the item fixedly. Here, the user may set only n items as fixed items. Here, n refers to the number of items that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In the present embodiment, five cas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set only five items as fixed items.

사용자에 의해 고정 항목이 모두 설정되면, 제어부(190)는 S21 과정에서 설정된 고정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항목 DB(172)에 저장한다. 즉 도 2와 같이, 항목 DB(172)의 고정 표시 항목 필드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항목들은 Yes로 설정하고 나머지 항목들은 No로 설정한다. When all fixed items are set by the user, the controller 19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fixed items set in step S21 in the item DB 172.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items set by the user for the fixed display item field of the item DB 172 are set to Yes and the remaining items are set to No.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록 표시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항목 추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된 항목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nu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tem extraction process of FIG. 4.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tem display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록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51 과정에서 대기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S52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메뉴 표시 요청이 입력된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메뉴가 카메라 메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s follows. In operation S52, a menu display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standby state.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menu requested by the user is a camera menu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로부터 카메라 메뉴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S53 과정에서 카메라 메뉴의 전체 항목이 n개(이하, 5개)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When a camera menu display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90 checks whether all items of the camera menu are n or more (hereinafter, 5 or less) in step S53.

확인 결과 전체 항목이 5개 이하인 경우, 제어부(190)는 S57 과정으로 진입하며 표시부(150)를 통해 전체 항목을 모두 표시한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메뉴 표시 방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total items are five or less, the controller 190 enters the process S57 and displays all the items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In this case, the same process as the conventional menu display method is performed.

반면에, S53 과정에서 확인 결과 전체 항목이 5개를 초과하는 경우, S54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항목 추출 과정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메뉴는 총 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5개 항목을 초과하므로, 제어부(190)는 S54 과정에서 8개의 전체 항목 중 5개의 항목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도 5의 S541 과정 내지 S543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53 more than five total items, the controller 190 performs an item extraction process in step S54. As shown in FIG. 2, the camera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tal of eight items. Therefore, since there are more than five items, the controller 190 performs steps S541 to S543 of FIG. 5, which extract and display five items from all eight items in step S54.

도 5를 참조하면, S541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전술한 항목 추출 방법 설정 과정에서 설정된 항목 추출 방법이 고정 항목 추출 방법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S541,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item extraction method set in the aforementioned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process is a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항목 추출 방법이 고정 항목 추출 방법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90)는 S542 과정으로 진입하여 항목 DB(172)에서 5개의 고정 표시 항목을 추출한다. 도 2의 항목 DB(172)에는 촬영, 앨범보기, 포토스튜디오, 포토 프린트, 및 사진 업로드의 5개 항목의 고정 표시 항목 필드가 Yes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상기한 5개 항목을 추출하게 된다.If the item extraction method is set to the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542 and extracts five fixed display items from the item DB 172. In the item DB 172 of FIG. 2, the fixed display item fields of five items of shooting, album viewing, photo studio, photo printing, and photo upload are set to Yes. Therefore, the controller 190 extracts the above five items.

한편, S541 과정에서 항목 추출 방법으로 고정 항목 추출 방법으로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90)는 S5411 과정으로 진입하여 항목 추출 방법으로 최대 빈도수 항목 추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is not set as the item extraction method in step S541, the controller 190 enters the process S5411 and checks whether the maximum frequency item extraction method is set as the item extraction method.

이에, 최대 빈도수 항목 추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90)는 S5412 과정으로 진입하여 항목 DB(172)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5개의 항목을 추출 한다. 도 2의 항목 DB(172)를 참조하면, 실행 빈도수가 가장 높은 5개의 항목은 촬영 항목(107), 앨범보기 항목(143), 사진 업로드 항목(60), 포토스튜디오 항목(55), 인터넷 앨범보기 항목(20)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상기한 5개 항목을 추출하게 된다.Thus, if the maximum frequency item extraction method is set,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5412 and extracts the five highest frequency items from the item DB 172. Referring to the item DB 172 of FIG. 2, the five items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execution are the recording item 107, the album viewing item 143, the photo upload item 60, the photo studio item 55, and the Internet album. It can be seen that the view item 20. Therefore, the controller 190 extracts the above five items.

마찬가지로, S5411 과정에서 항목 추출 방법으로 최대 빈도수 항목 추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90)는 항목 추출 방법으로 최근 실행 항목 추출 방법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한다. Similarly, when the maximum frequency item extraction method is not set as the item extraction method in step S5411, the controller 190 recognizes that the latest execution item extraction method is set as the item extraction method.

따라서 제어부(190)는 S5413 과정으로 진입하여 항목 DB(172)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5개의 항목을 추출한다. 항목 DB(172)를 참조하면, 가장 최근에 실행된 5개의 항목은 사진 업로드 항목(06.10.05 / 15:05:53)과, 앨범보기 항목(06.10.05/ 15:00:20)과, 촬영 항목(06.10.05 / 15:00:06)과, 동영상 업로드 항목(06.10.01 / 17:54:25), 및 인터넷 앨범보기 항목(06.10.01 / 10:25:35)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상기한 5개 항목을 추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5413 and extracts the five items most recently executed in the item DB 172. Referring to the item DB (172), the five most recently executed items are the photo upload item (06.10.05 / 15:05:53), the album view item (06.10.05 / 15:00:20), You can see that it is a shooting item (06.10.05 / 15:00:06), a video upload item (06.10.01 / 17:54:25), and an Internet album viewing item (06.10.01 / 10:25:35). . Therefore, the controller 190 extracts the above five items.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해 5개의 항목이 추출되면, S543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표시부(150)를 통해 추출된 5개의 항목을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When five items are extracted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controller 190 preferentially displays the five items extrac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in step S543.

도 6에는 최대 빈도수 항목 추출 방법에 따라 추출된 항목들이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목록 표시 방법은 전체 항목을 모두 표시하지 않으므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표시되던 스크롤바(scroll bar)가 표시되지 않는다. 대신 표시된 항목들의 최 하단에 항목의 확장을 위한 메뉴 확장 키(162)가 표시된다.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items extracted according to the maximum frequency item extraction method are displayed. Since the list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splay all the items, a scroll bar which is generally displayed in the related art is not displayed. Instead, a menu extension key 162 for expanding an item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ed items.

다음으로, S55 과정에서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우선적으로 표시된 5개의 항목들 중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하기 원하는 항목이 상기 우선적으로 추출된 5개의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S56 과정에서 메뉴 확장 키(162)를 입력하여 메뉴 확장 요청을 입력하게 된다.Next, in step S55, the user selects a desired item from among five item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first. In this case, when the item that the user wants to select is not included in the five items which are preferentially extracted, the user inputs the menu extension key by inputting the menu extension key 162 in step S56.

메뉴 확장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S57 과정에서 해당 메뉴의 전체 항목들 즉, 카메라 메뉴의 8개 항목들을 모두 표시한다. 전체 항목이 표시된 상태는 종래에 따른 메뉴 표시 상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a menu extension request is input,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ll the items of the corresponding menu, that is, all eight items of the camera menu, in step S57. Since the state in which all the items are displayed is the same as the menu display stat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우선적으로 추출된 5개, 또는 전체 항목들이 표시되고, S55과정 또는 S58 과정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S59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선택된 항목에 대한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항목 DB(172)를 업데이트(update)한다. 즉, 인터넷 앨범보기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90)는 인터넷 앨범보기 항목의 실행 빈도수 필드에 1을 가산한다. 따라서 실행 빈도수 필드에는 21이 저장된다. 또한, 최근 실행시간 필드에는 사용자가 인터넷 앨범보기 항목을 선택한 시점의 시각이 저장된다. Five or all items which are extracted first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displayed, and when the user selects one specific item in step S55 or S58, the controller 190 executes the selected item in step S59. The item DB 172 is updated using the information.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Internet album view item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90 adds 1 to the execution frequency field of the internet album view item. Therefore, 21 is stored in the execution frequency field. In addition, the latest execution time field stores the time at which the user selected the Internet album view item.

항목 DB(172)의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S60 과정으로 진입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S60 과정은 S59 과정의 이전에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update of the item DB 172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60 to perform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tem selected by the user. Here, the S60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59 process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hen displaying the list, the item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can be preferentially extracted and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item more quickly and easi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메뉴를 예로 들어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텐츠 목록(예컨대 플레이 리스트)이나 폰 북(phone book)등과 같이 다수개의 항목이 나열되며 표시되는 목록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st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 has described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by using a camera menu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plurality of items are listed and displayed, such as a content list (for example, a play list) or a phone book. The lis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메뉴 표시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표시부와 키 입력부를 구비하고, 표시부를 통해 다수개의 항목들을 나열하며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menu display method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e display unit and the key input unit may be variously applied to any electronic device that can list and display a plurality of items through the display un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은 목록을 표시할 때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항목 추출 방법에 따라 특정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st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entially extract and display specific items according to an item extraction method preset by a user when displaying a list,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You can select an item.

Claims (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에 있어서, In the list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록 표시 요청으로부터 상기 목록의 전체 항목들을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항목 개수 확인 과정과,An item number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all items of the lis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from the list display request; 상기 전체 항목 개수가 상기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전체 항목들에서 상기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개수 이하로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항목 추출 과정과, An item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the items from the total items to a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one screen; 상기 항목 추출 과정에서 추출한 상기 항목들을 표시하는 항목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an item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items extracted in the item extraction pro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추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the item comprises: 고정 표시 항목으로 기 설정된 항목들을 추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The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extracting a predetermined item as a fixed display i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추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the item comprises: 상기 전체 항목 중 실행된 빈도수가 높은 순서로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extracting the items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of execution of the all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추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the item comprises: 상기 전체 항목 중 가장 최근에 실행된 순서로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extracting the items in the most recently executed order from all of the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개수 확인 과정이 수행되기에 앞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efore the item number checking process is performed, 상기 전체 항목 중 상기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개수 이하로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정하는 항목 추출 방법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an item extracting method setting step of setting a method of extracting the items below the numb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one screen among all the item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추출 방법 설정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tting of the item extraction method comprises: 상기 항목 추출 방법 설정 요청으로부터 전체 목록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전체 목록들 중 하나의 상기 목록을 선택하는 목록 선택 과정 및A list selection process of displaying all lists from the item extraction method setting request and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all lists; and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응하는 항목 추출 방법을 설정하는 추출 방법 설정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an extraction method setting step of setting an item extrac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is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추출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tem extraction method is 고정 표시 항목으로 기 설정된 항목들을 추출하는 고정 항목 추출 방법과,A fixed item extraction method for extracting preset items as a fixed display item; 상기 전체 항목 중 실행된 빈도수가 높은 순서로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최대 빈도수 항목 추출 방법과,A maximum frequency item extracting method for extracting the items in order of high frequency of execution of the whole items; 상기 전체 항목 중 가장 최근에 실행된 순서로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최근 실행 항목 추출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a method for extracting a recently executed item that extracts the items in the most recently executed order among all the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추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ng the item comprises: 상기 전체 항목들의 실행 정보가 저장되는 항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항목들을 추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extracting the items using an item database in which execution information of all the items is stor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데이터베이스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tem database, 상기 목록의 종류를 나타내는 목록 종류 필드와,A list type field indicating a type of the list; 상기 항목의 이름을 나타내는 항목명 필드와,An item name field indicating a name of the item, 상기 항목이 실행된 횟수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실행 빈도수 필드와,An execution frequency field in which the number of times the item is executed is accumulated and stored; 상기 항목의 최근 실행 시간이 저장되는 최근 실행시간 필드, 및A recent execution time field in which the latest execution time of the item is stored, and 상기 항목이 고정 표시 항목인지의 여부가 저장되는 고정 표시 항목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a fixed display item field storing whether or not the item is a fixed display i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표시 과정이 수행된 후,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fter the item display process is performed, 상기 표시된 항목 중 하나의 항목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항목의 실행 정보를 상기 항목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updating an execu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tem in the item database when selecting one item among the displayed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표시 과정이 수행된 후,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item display process is performed, 상기 전체 항목 표시 요청이 있을 시 상기 전체 항목을 표시하는 전체 항목 표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표시 방법.And displaying the entire item when the entire item display request is made.
KR1020060116330A 2006-11-23 2006-11-23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KR200800468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30A KR20080046828A (en) 2006-11-23 2006-11-23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30A KR20080046828A (en) 2006-11-23 2006-11-23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828A true KR20080046828A (en) 2008-05-28

Family

ID=3966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330A KR20080046828A (en) 2006-11-23 2006-11-23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682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669A (en)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669A (en)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US10162482B2 (en) 2010-11-18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9818B2 (en) Content search method and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 search function
KR100783551B1 (en) Method of using history menu for mobile device
KR100640505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concerning searched phone number
US200702555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200700880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EP1610533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a 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53042B1 (en)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of music file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ot key
JP2010268207A (en) Portable terminal
KR20080046828A (en) Method for displaying a list in mobile phone
US8600447B2 (en) Menu icons with descriptive audio
KR1008444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internet in Mobile Phone
JP2010079720A (e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83114B1 (en) Method for scanning a list in mobile phone
US9052929B2 (e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lication determination program
KR20060001448A (en) Method for editing initial menu
JP2007115049A (en) Data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147745B1 (en) Data search and display method in mobile phone
KR1008444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management of particular pers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952468B2 (en) Method for originating call
KR100734426B1 (en) Method for delay hanging up in mobile device
KR100754655B1 (en) Method for inputting destina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0713364B1 (en) Data management method of mobile with external memory
KR100931691B1 (en) Program execution method using key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aratus for same
JP2005005812A (en) Portable telephone with searching means for operating function and searching method of operating func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KR10070194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number input enable for user to set and its set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