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063A -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063A
KR20080046063A KR1020060115511A KR20060115511A KR20080046063A KR 20080046063 A KR20080046063 A KR 20080046063A KR 1020060115511 A KR1020060115511 A KR 1020060115511A KR 20060115511 A KR20060115511 A KR 20060115511A KR 20080046063 A KR20080046063 A KR 2008004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representative
user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6063A/ko
Priority to US11/771,208 priority patent/US20080120679A1/en
Publication of KR2008004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를 방송수신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튜닝부;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각 주채널에 대해 대표채널을 지정하여, 채널전환시 지정된 대표채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표채널설정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송튜닝부 20 : 신호처리부
21 : 디멀티플랙서 22 : 비디오디코더
23 : 비디오처리부 24 : 오디오디코더
25 : 부가데이터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31 : 스피커 40 : 사용자입력부
50 : 메모리 60 : UI(User Interface)생성부
70 : 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전환시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대표채널로 자동전환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방송이 상용화하면서 비디오, 오디오 서비스 이외에 데이터서비스 또한 TV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방송은 아날로그방송과는 달리 하나의 물리채널 안에 수많은 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 즉, 디지털방송은 하나의 물리채널 안에 많은 데이터를 압축 전송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많은 채널을 하나의 물리채널 안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아날로그방송에서는 채널번호가 7, 11, 13 등으로 하나의 채널에 하나의 채널번호가 매핑 되었으나, 디지털방송에서는 물리채널과는 다른 개념인 가상채널을 사용하여, 주채널(major channel)과 부채널(minor channel)의 개념으로 채널번호를 정한다. 즉, 디지털방송에서는 7-0, 7-2, 7-4 등으로 하나의 채널이 주채널번호와 부채널번호가 함께 병기되어 표시된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방송에서는 동일한 주채널번호로 시작되는 부채널이 많아짐에 따라 소정의 주채널번호를 입력하면 선국 가능한 채널의 수가 너무 많아졌다.
종래 디지털 TV제품의 채널선국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소정의 주채널번호를 선택하면, 제품에 설정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주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부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리모콘으로 숫자키가 입력되면, 선국 가능한 채널리스트를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 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한 제품들도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사용자의 의도를 전혀 반영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불편이 따를 수 있고, 후자의 방법은 사용자에게 리모콘 입력을 더 요구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주채널에 대해 대표채널을 지정하여, 채널전환시 지정된 대표채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튜닝부;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에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검색된 채널 중에서 소정의 채널로 채널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대표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메뉴를 생성하는 UI생성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상 기 UI생성부가 상기 사용자설정메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대표채널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튜닝부;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튜닝부;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소정의 채널리스트로부터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채널검색부;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표채널확인부; 및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있으면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고,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없으면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소정의 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채널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은 주채널에 포함된 부채널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각 주채널에 대한 대표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단계; 상기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소정의 채널리스트로부터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있으면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고,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없으면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소정의 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각 주채널에 대한 대표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단계; 상기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소정의 채널리스트로부터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각 주채널에 대한 대표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단계; 상기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메 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은 주채널에 포함된 부채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TV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튜닝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스피커(31), 사용자입력부(40), 메모리(50), UI생성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방송 튜닝부(10)는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채널 주파수를 튜닝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를 안테나로 수신하는 것으로, 채널 디텍션 모듈(미도시)과, RF 디모듈레이션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방송 튜닝부(10)에 의해 복조된 방송신호는 신호처리부(20)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30) 및 스피커(31)로 출력된다. 여기서, 신호처리부(20)는 디멀티플랙서(21), 비디오 디코더(22), 비디오처리부(23), 오디오 디코더(24) 및 부가데이터 처리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디멀티플랙서(21)는 복조된 방송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부가 데이터로 분리한다.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부가 데이터는 각각 비디오 디코더(22), 오디오 디코더(24), 부가데이터처리부(25)에 의해 복원된다. 이때, 비디오 디코 더(22), 오디오 디코더(24), 부가데이터처리부(25)는 방송신호 전송시의 인코딩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포맷으로 복원한다.
한편,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처리부(23)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 처리되는데, 스케일러 등의 영상처리모듈을 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31)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입력부(40)는 채널의 선국, UI메뉴의 선택 및 조작 뿐만 아니라, 디지털 TV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키 또는 버튼(미도시)과, 키 또는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신호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40)는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널로 마련되거나, 디지털 TV의 본체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메모리(5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UI생성부(60)는 각 주패널에 대응하는 대표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 메뉴를 생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UI메뉴 데이터를 처리하는 OSD IC에 의해 구현된다. 이렇게 UI생성부(60)에 의해 생성된 UI메뉴는 비디오처리부(23)의 스케일러에 의해 현재 방송신호와 합성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
제어부(70)는 디지털 TV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특히 채널선국시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대표채널정보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UI메뉴의 생성 및 조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이들의 제어를 위한 해당 알고리즘 코드가 저장되고, 저장된 알고리즘 코드가 실행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70)는 사용자입력부(40)를 통해 채널전환명령이 수신되면, 메모리(50)에서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을 확인하고,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방송튜닝부를 제어한다.
그리하여,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하는 다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대표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대표채널을 지정하는 방법 및 채널전환방법에 대해서는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70)는 사용자입력부(40)를 통해 UI메뉴의 표시기능이 선택되면(S100), UI생성부(60)가 사용자의 대표채널 설정을 위한 UI메뉴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101).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40)를 조작하여 UI메뉴상에 각 주채널에 대응하는 대표채널입력항목에 대표채널을 입력 및/또는 선택하게 된다(S102).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및/또는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70)에 의해 메모리(50)에 저장된다(S103).
그리고, 차후에 채널전환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S110), 제어부(70)는 메모리(50)로부터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하는 대표채널을 확인한다(S111).
그리고, 확인된 대표채널로 전환하도록 방송튜닝부(10)를 제어한다(S112).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채널 11번에 대해 11-4번을 대표채널로 선택하고, 주채널 7번에 대해 7-5번을 대표채널로 선택하면, 제어부(70)는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50)에 저장한다. 그리고, 차후에 사용자에 의해 11번이 선택되면, 메모리(50)에 저장된 대표채널정보를 참조하여 11-4번으로 채널 전환하도록 방송튜닝부(10)를 제어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선택한 주채널에 대해 미리 자신이 지정한 대표채널을 우선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TV의 개략도 및 제어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TV는 방송튜닝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입력부(40), 메모리(50), 채널리스트(51), 채널검색부(71), 대표채널확인부(73) 및 채널전환부(75)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채널리스트(51)는 선국 가능한 채널에 관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전원이 온 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채널검색명령이 있는 경우, 일정 채널 주파수를 검색하여 현재 방송신호가 포함된 채널에 관한 정보로서 채널리스트(51)를 구성하게 된다. 채널리스트(51) 구성은 일반적으로 기 저장된 각 채널에 관한 중심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튜닝부(10)가 해당 채널을 순차적으로 튜닝 하도록 하여 방송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리스트(51)를 구성한다. 이러한 채널검색은 MCU에 탑재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채널검색부(71)는 채널전환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S200),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하여 선국 가능한 채널을 채널리스트(51)로부터 검색한다(S201).
그리고, 대표채널확인부(73)는 이렇게 검색된 선국 가능한 채널들을 메모리(50)에 설정된 대표채널과 비교하여, 대표채널이 선국 가능한 채널 중에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S202).
만약, 대표채널이 선국 가능한 채널 중에 포함되었다면(S203), 채널전환부(75)는 해당 대표채널로 전환하도록 방송튜닝부(10)를 제어한다(S204). 만약, 대표채널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채널전환부(75)는 선국 가능한 채널 중 소정의 채널로 전환하도록 방송튜닝부(10)를 제어한다(S205).
이러한 채널검색부(71), 대표채널확인부(73) 및 채널전환부(75)는 알고리즘 및 해당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로 구현 가능하며, 각 구성요소는 모두 MCU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알고리즘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채널 11번을 선국하였다면, 채널검색부(71)는 주채널 11번에 대응하는 채널 중에서 선국 가능한 채널을 채널리스트(51)로부터 검색한다. 만약, 검색결과, 11-0, 11-2, 11-3 번이 선국 가능하다면, 대표채널확인부(73)는 메모리(50)에 저장된 대표채널을 확인하여 이 채널번호와 비교한다.
확인 결과, 주채널 11번의 대표채널이 11-3번이라면, 채널전환부(75)는 11-3번으로 채널 전환하도록 방송튜닝부(10)를 제어한다. 만약, 확인 결과, 11-4번이 대표채널이라면, 채널전환부(75)는 11-0, 11-2, 11-3 번 중 어느 하나로 채널전환 하도록 방송튜닝부(1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선국 가능 채널 중 최초 번호인 11-0번으로 채널 전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대표채널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지정된 대표채널정보에 따라 채널을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지털TV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디지털방송수신기능을 갖는 모든 방송수신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주채널에 대해 대표채널을 지정하여, 채널전환시 지정된 대표채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0)

  1.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튜닝부;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검색된 채널 중에서 소정의 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대표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메뉴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UI생성부가 상기 사용자설정메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대표채널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튜닝부;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5.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튜닝부;
    사용자로부터 채널전환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소정의 채널리스트로부터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채널검색부;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표채널확인부; 및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있으면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고,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없으면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소정의 채널로 채널 전환하도록 상기 방송튜닝부를 제어하는 채널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은 주채널에 포함된 부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방송수신장치.
  7.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각 주채널에 대한 대표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단계;
    상기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소정의 채널리스트로부터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있으면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고,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이 없으면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소정의 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8.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각 주채널에 대한 대표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단계;
    상기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소정의 채널리스트로부터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채널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표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9.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각 주채널에 대한 대표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단계;
    상기 선택된 대표채널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선택된 주채널에 대응되는 대표채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대표채널로 채널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선택 가능한 채널은 주채널에 포함된 부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115511A 2006-11-21 2006-11-21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46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11A KR20080046063A (ko) 2006-11-21 2006-11-21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771,208 US20080120679A1 (en) 2006-11-21 2007-06-29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11A KR20080046063A (ko) 2006-11-21 2006-11-21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63A true KR20080046063A (ko) 2008-05-26

Family

ID=3941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511A KR20080046063A (ko) 2006-11-21 2006-11-21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20679A1 (ko)
KR (1) KR200800460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679B1 (ko) * 2007-10-2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526B1 (en) * 1998-12-03 2004-07-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mart channel entry system
US7024676B1 (en) * 1999-05-25 2006-04-04 Thomson Licensing System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broadcast programs, program guide and channel identification data
US6978471B1 (en) * 1999-05-25 2005-12-20 Thomson Licensing S.A. System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broadcast programs and program guide data
KR100317389B1 (ko) * 2000-01-22 2001-12-22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온 타이머 채널 설정 방법
KR20020034246A (ko) * 2000-10-31 2002-05-09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튜닝 제어방법
JP4552333B2 (ja) * 2001-01-31 2010-09-29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のチャンネル選択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
JP3522234B2 (ja) * 2001-05-22 2004-04-26 船井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JP4661386B2 (ja) * 2005-06-20 2011-03-30 船井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0679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29141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for selecting broadcast channel with keypad operated by pointer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EP2026570B1 (en) Broadcast receiver and user input device having item match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H06303107A (ja) チャンネル選択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421877B1 (ko) 채널 osd 표시방법
US20080129887A1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46063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6004B1 (ko) 방송수신장치 및 채널탐색방법
KR101111907B1 (ko) 채널리스트 구성방법 및 tv
KR20070003099A (ko) 터치 스크린 리모콘
KR20030067953A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8274609B2 (en) Method of tuning according to varying length of key inpu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266804B2 (ja) 文字入力装置、それを用いた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EP2157785A1 (en) Broadcas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31347B1 (ko) 텍스트 컨텐츠를 표시 및 저장할 수 있는 보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100803885B1 (ko) 리모콘
JP3819772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855551B1 (ko) 방송수신장치
KR100243036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오에스디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73591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43622A (ko) 방송수신장치 및 epg 메뉴생성장치
KR10120041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54202A (ko) 방송수신장치
KR100700981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0783U (ko) 텔레비전의 단축키입력제어장치
JP2009290335A (ja) 映像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