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595A -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 Google Patents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5595A KR20080045595A KR1020070050342A KR20070050342A KR20080045595A KR 20080045595 A KR20080045595 A KR 20080045595A KR 1020070050342 A KR1020070050342 A KR 1020070050342A KR 20070050342 A KR20070050342 A KR 20070050342A KR 20080045595 A KR20080045595 A KR 200800455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all
- fixing member
- building
- foam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방지망을 지지하는 벽면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에 형성된 폼 구멍에 결합되어 낙하방지 망을 지지하는 벽면고정부재 및 상기 벽면 고정부재를 이용한 낙하방지망 설치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fixing member for supporting a drop preventing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hole fixing member coupled to a foam hole formed i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to support a drop preventing network,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drop preventing network using the wall fixing member and the same. As for th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벽면 고정부재는 일측에 건물 외벽에 형성된 폼 구멍에 결합하는 폼구멍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낙하방지망의 프레임(50)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Wall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hole coupl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oam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n one side, the fram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rame 50 of the drop prevention net on the other side,
상기 낙하망지망의 프레임이 건물 외벽에 형성된 폼구멍에 설치된 벽면 고정부재에 고정됨으로서, 외벽에 낙하방지망이 설치된 상태에서 새시와 같은 마무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rame of the falling net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fixing member installed in the foam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stall a finishing structure such as a chassis in the drop prevention ne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비계 파이프에 설치되는 낙하방지 망의 구성을 예시한 설치 상태도,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nti-drop net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caffolding pipe,
도 2는 종래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낙하방지 망의 구성을 예시한 설치상태도,Figure 2 is an installation state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p preventing net is installed on a railing of a conventional buildin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방지 망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rop prevent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4는 발명에 의한 낙하방지 망이 설치된 구조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설치상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show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net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5 (a),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재가 벽면에 형성된 폼 구멍에 고정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Figure 6 (a), (b)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oam hole formed on the wall surface,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이 벽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7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캡 형성된 고정부재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formed on the support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와이어, 20 : 방호틀, 10: wire, 20: protective frame,
22 : 그물망, 23 : 보강테이프, 22: mesh, 23: reinforcing tape,
24 : 지지파이프, 26 : 인장파이프, 24: support pipe, 26: tension pipe,
28 : 브라켓, 28: bracket,
40 : 안전망, 50 : 프레임,40: safety net, 50: frame,
60 : 프레임결합부, 70(70a, 70b) : 지지선,60: frame coupling portion, 70 (70a, 70b): support line,
80 : 볼트, 90 : 고리.80: bolt, 90: ring.
본 발명은 낙하방지망을 지지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에 형성된 폼 구멍에 결합되어 낙하방지 망을 지지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낙하방지망 설치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for supporting a drop preventing 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amp for supporting a drop preventing net coupled to a foam hole formed i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drop preventing net using the clamp and a structure thereof.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작업도구를 포함한 여러 물체가 사용됨이 필수이고, 높은 곳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낙하물의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사람이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적으로 볼 때 건설업종에서 발생하는 사망재해의 8.0%가 낙하물에 의한 것이었으며, 이보다 약 7배가 많은 57.4%가 작업자의 부주의로 발생 된 추락에 의한 것이었다(한국산업안전공단, 2004년 건설업 중대재해자 612명의 정밀분석 결과).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objects including work tools, and the work is often performed at a high place, and falling objects may occur. In addition, the accident that the worker falls frequently occurs because people often perform their own work. Statistically, 8.0% of the deaths occurr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ere caused by falling objects, and 57.4%, which was about seven times higher, were caused by workers' inadvertent fallout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4) 612 precision analysis results).
이러한 이유로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456조에는 여러 위험 중 물체가 떨어지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낙하물 방지 망 등의 설치와 그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20~30도의 각도를 유지하여 경사지게 하며, 설치높이는 10m로 하도록 하는 규정으로서 모든 건설현장에서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 For this reason, Rule 456 of the Industrial Safety Standards prescribes the installation and method of the fall prevention net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objects among various hazards. It should be inclined by maintaining the angle of 20 ~ 30 degrees, and the installation height should be 10m. It should be observed in all construction sites.
상기와 같은 공사 현장의 문제 및 그에 따른 규정에 부합하고자 낙하물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추락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낙하방지 망과 설치구조들이 제안되어 있다. Various fall prevention networks and installation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falling objects and to mitigate the impact of a worker's fall in order to meet the problems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regul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간략히 종래 낙하방지 망의 구성을 살펴본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riefly looks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drop prevention net.
도 1을 참고하면 선행기술 1의 구성, 즉 건물의 외부에 격자로 짜인 비계 파이프에 낙하방지 망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1,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net is installed in the scaffolding pipe woven in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파이프를 이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하고, 상기 틀 내부에 안전망(22)을 설치한 다음, 보강테이프(23)로 안전망(22)의 강도를 보강하여 구성하고, 상기 틀의 하단은 횡 방향 비계 파이프에 직접 고정하는 한편, 끝단이 상기 틀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비계 파이프로부터 일정 간격 상단에 위치한 비계 파이프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또는 파이프)(10)를 이용하여 상기 틀의 상단을 잡아 줌으로써 상기 틀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A rectangular frame is formed by using a pipe,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비계 파이프를 설치한 다음 낙하방지 망을 설치하여야 하는 구성임에 따라 비계 파이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곳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비계 파이프가 설치된 곳에서 적용한다 하더라도 건축물과 비계 파이프 사이에는 아무런 낙하방지 수단이 설치되지 못하는 구성이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건축물과 비계 파이프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하는 낙 하물에 대해서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낙하를 방지하거나 또는 그대로 낙하 되도록 방치할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 구성인 것이었다.However,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applicable where the scaffolding pipe is not required since the scaffolding pipe is installed and then the drop prevention net is install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re was no configuration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scaffolding pipe to prevent any fall prevention means. In other words, the falling objects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scaffolding pipe had a fatal problem that can be left to fall or prevent the fall by installing a separate structure.
*더욱이, 상기와 같은 낙하방지 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비계 파이프를 타고다니면서 모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었기에 상당히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에 따른 위험은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었다.* Moreover, in order to install the fall prevention network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had to carry out all the work while riding on the scaffolding pipe, and thus the risk of having to work in a fairly dangerous environment caused many problem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88083호에서는 건축물 내부에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낙하물 방지망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낙하물 방지 구조는 건축물의 외측 하부층에 하부 브라켓(3)을 설치하고, 상기 건축물의 외측 상부층에 상부 브라켓(4)을 설치하여 지지바(1)의 일측 하단을 상기 하부 브라켓(3)에 연결시키며 상기 지지바(1)의 타측 상부를 상기 상부 브라켓(4)에 지지부재(6)로 지지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상부 브라켓(4)에 끼워진 내측와이어(51)와 상기 지지바(1)의 상단에 끼워진 외측와이어(52)에 안전망(5)이 펼쳐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88083 discloses a falling object prevention network structure configured to be installed and dismantled inside a building. As shown in FIG. 2, the fall prevention structure has a lower bracket 3 installed on an outer lower layer of the building, and an upper bracket 4 installed on an outer upper layer of the building to lower one side of the support bar 1. An inner wire 51 connected to the lower bracket 3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ar 1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6 on the upper bracket 4, and fitted to the upper bracket 4.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net (5) is configured to expand o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난간에 새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부 브라켓(4) 및 하부브라켓(3)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건축물, 특히 아파트 시공현장에서 베란다 새시(sash)를 최종 단계에서 설치하였기 때문에, 새시시공시 브라켓과 낙하방지 망을 제시하더라도 시공상 큰 문제가 없었으나, 최근 베란다 확장이 합법화됨에 따라, 새시를 시공한 후 내부공사를 진행하는 공법으로 변환됨에 따라, 외벽 난간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 다. However,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upper bracket 4 and the lower bracket 3 need to be removed in order to install the chassis on the railing. Conventionally, since the veranda sash was installed at the final stage in buildings, especially apartment construction sites, there was no big problem in construction even if the bracket and the drop prevention net were presented during the sash construction. After the construction was converted into a construction method to proceed with the internal constru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to install the bracket on the outer wall railings.
또한, 낙하방지 망을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브라켓이 부속품의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과정 또한 복잡하여 신속한 설치 및 해체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In addition, the bracket used to support the drop prevention net has a large number of accessories, as well as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install and dismantle.
이에 따라, 새시의 시공 등과 내부 공사와 무관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낙하방지망 설치구조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continuing demand for a drop preventing network installation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hassi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난간에 설치되는 낙하방지 망의 구성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건물외벽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낙하방지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rop preventing net is installed on the railing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drop preventing net is suppor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낙하방지망을 지지하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amp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support the drop prevention n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외벽에 설치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낙하방지망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installing a drop preventing net using a clamp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 건물 외벽에 형성된 폼 구멍에 결합하는 폼 구멍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낙하방지망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가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고정부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hol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o the foam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fram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rame of the drop prevention net on the other side is axially coupled Provide a fixing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폼구멍은 콘크리트 벽면에 형성된 바닥 중앙에 고정 볼트가 형성된 일정 깊이의 구멍으로서, 콘트리트를 양생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거품집이 해체된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hole is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which a fixing bol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loor formed on the concrete wall, and is a hole formed in the dismantled portion of the foam house installed for curing the concr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폼구멍 결합부에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고정되거나 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coupling portion may be fixedly or rotatably coupled to the foam hol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폼구멍 결합부는 폼구멍에 형성된 볼트에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너트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너트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너트부의 체결시 벽면에 지지되는 지지캡을 더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am hole engaging portion is a form that can be fastened to the bolt formed in the foam hole, preferably a nut por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portion may further form a support cap supported on the wall when the nut portion is fastened so as to distribute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nut portion.
본 발명에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낙하방지망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클램프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회동편이 힌지 결합되어 나사로 체결되는 구조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coupling portion is a clamp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drop prevention net, preferably a rotating piece is hinged and screwed so that the frame can be fitted and fix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낙하방지망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걸어져 고정될 수 있는 고리형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이 걸여져 고정될 수 있도록 U 자형 고리가 형성된 구조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coupling portion is an annular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constituting the drop preventing net is fixed by being hooked, and preferably, a U-shaped ring is formed so that the frame is fixed by being hooked.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건축물 외벽에 형성된 폼 구멍에 낙하방지망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방지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p prevention net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aspect, providing a frame for supporting the drop prevention net in the foam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폼구멍에 직접 끼워져 설치되거나, 상기 프레임과 폼구멍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연결부재는 상기 폼구멍에 형성되는 볼트에 결합될 수 있는 폼구멍 결합부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너트부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may be installed directly inserted into the foam hole, or may be install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foam hole.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or connecting member has a foam hole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a bolt formed in the foam hole, and is preferably a nut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건물 외벽에 형성된 폼 구멍에 결합하는 폼구멍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낙하방지망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가 결합된 클램프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is a clamp having a frame hol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o the foam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n one side, the fram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rame of the drop prevention net on the other side.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건축물 외벽의 폼구멍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일단이 고정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와 상기 프레임의 자유 단에 한쪽 끝단이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상기 프레임 위쪽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을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여 주는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망;으로 구성되는 낙하방지 망 설치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a plurality of clamps are fixed to the foam hole of the building outer wall; and a plurality of frames one end is fixed to the clamp;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frame, the other end is It is fixed to the upper wall surface of the frame,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ame inclined upwardly; and a safety net installed between the frame; consists of a drop preventing net installation structure consisting 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일측에 건물 외벽에 형성된 폼 구멍에 결합하는 폼구멍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낙하방지망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가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hol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o the foam hol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n one side, the fram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rame coupled to the drop prevention net on the other side is axially coupled.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자유단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부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지지선은 위쪽 벽면의 폼구멍에 결합되는 클램프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or inclining the free end of the frame may be a support or a support line, preferably a support lin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line can be fixed to the clamp coupled to the foam hole of the upper wal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레임의 하부 벽면에 한쪽 끝단이 고정되는 한편, 다른 쪽 끝단은 상기 프레임의 자유 단에 연결되어, 프레임의 상 방향 회동을 방지하여 주는 지지선을 더 설치하여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ixed to one end of the lower wall of the frame, whil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frame, it can be further provided a support line for preventing the upward rotation of the fram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도 1은 종래 비계 파이프에 설치되는 낙하방지 망의 구성을 예시한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낙하방지 망의 구성을 예시한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방지 망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 도 4는 발명에 의한 낙하방지 망이 설치된 구조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설치상태 측면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가 벽면에 형성된 폼 구멍에 고정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이 벽면에 고정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지지편이 형성된 클램프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rop prevention net installed in a conventional scaffolding pipe, FIG. 2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rop prevention net installed in a railing of a conventional building, and FIG. Figure 4 is an installation state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net is installed,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show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n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a), (b) is a clam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b)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lam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oam hole formed in the wall surface, Figure 7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8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lamp having another support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wall surface.
도 6a, 도 6b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망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는 일측에는 콘크리트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폼구멍(200)에 결합되는 너트부(6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낙하방지망을 지지하는 프레임(50)을 결합하여 고정되는 프레임 결합부(60)가 형성된다. 상기 폼구멍(200)은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거품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서, 거푸집의 제거시 양생된 콘크리트 벽면에 남아있는 구멍들이며, 바닥 중앙에는 볼트(80)가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재(300)의 너트부(62)가 결합된다. As shown in Figure 6a, 6b and 7, the fixing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0)에는 너트부(62)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너트부(62)에 끼워져 벽면을 지지하는 지지캡(67)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fixing
상기 프레임 결합부(60)는 고정편(64)과 회동편(66)편 축 결합 되어 볼트로 열고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되어 클램프를 형성하며, 상기 너트부(62)와 프레임결합부(60)는 고정편(64)의 몸체 바깥 면에 폼구멍(200)에 결합되는 너트부(62)가 고정되어 결합된다. The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0)은 다수개의 프레임(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수평하게 벽면(100)에 설치되며,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프레임(50)의 맨 아랫단에 형성된 짧은 파이프(54)를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Here, the fixing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프레임(50)은 건축물의 벽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긴 파이프(52)와 다수 개의 짧은 파이프(54)를 이용하여 마치 사다리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프레임(5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끝단으로 갈수록 짧은 파이프의 길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지지선(70)은 상기 프레임(50)을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여 주는 지지선(70a)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프레임(50)의 상 방향 회동을 방지하여 주는 지지선(70b)으로 구분되는바,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 철선으로서 상기 프레임(50)의 자유 단에 한쪽 끝단이 연결되는 한편, 다른 쪽 끝단은 상기 프레임(50) 위쪽 벽면과 아래쪽 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다.The support line 70 is divided into a
고리(90)는 상기 지지선(70)의 한쪽 끝단을 벽면에 고정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몸체에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8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리(90)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낚시 바늘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지지선(70)의 끝단에 링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걸어줄 수 있도록 구 성할 수 있으나, 반대로 링 형태로 구성하고 지지선(70)의 끝단에 낚시 바늘 형태의 고리를 형성하여 걸어주거나 또는 지지선(70)의 끝단을 묶어서 고정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지지선(70)을 고정하여 줄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The
안전망(40)은 인접된 프레임(5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망과 다름없는 그물 형태, 천막형태 등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며,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The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낙하방지 망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Hereinafter, look a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drop preventing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먼저, 건물 외벽에 형성된 폼구멍(200)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300)와 고리(90)를 설치한다. 상기 폼구멍(200)은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설치되었다 철거된 거품집이 고정되었던 구멍으로서,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벽면 외부에 내측으로 파인 구멍에 볼트(80)가 형성된 것으로서, 공사 후 낙하방지 망을 해체하고나서 구멍을 시멘트로 막아주어 마감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irst, the fixing
프레임(50)이 설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폼구멍(200)의 볼트(80)에 고정부재(300)의 너트부(62)를 체결하여 두 개를 한 조로 하여 형성하여 주고, 고리(90)도 고정될 부분에도 미리 계산된 위치에 형성하여 주게 된다. 이때 사람이 실내에서 손을 뻗어 닿을 위치에 형성하여서 실내에서 고정부재(300)와 고리(90)의 체결작업이 가능하도록 미리 고려하는 것이 권장된다. 건축물의 내부에서 각기 너트부(62)를 볼트(80)에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고정부재(300)와 고리(90)의 고정이 완료되면 프레임(50)의 하단 짧은 파이프(54)를 상기 고정부재(300)의 프레임 결하부(60)에 고정하여 준다. 프레임 결합부(60)의 회동편(66)을 열어준 다음 고정부(64)에 상기 짧은 파이프(54)를 대어주고 회동편(66)을 닫아 볼트를 조여주어서 프레임(50)을 고정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fixing of the fixing
이때, 두 사람 이상이 한 조로 작업하면서 한 사람은 상기 프레임(5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 잡아주고 나머지 한 사람은 프레임(50)을 고정하여 주는 작업을 하면 실내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two or more people work in a pair, one person holds the
이후 인접지역에 프레임(50)을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 다음 프레임(50) 사이에 안전망(40)을 설치하여주게 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50)을 경사지게 지지하여 주는 지지선(70a)을 프레임(50)의 자유 단과 건축물 벽면에 마련된 고리(90)에 걸어준 후 밀어주면 낙하방지 망의 설치가 완료된다.After installing the
상기 지지선(70a)의 설치는 안전망(40)의 설치 이전에 미리 설치하여 주는 것도 가능하며, 위 설치 과정은 바람직한 실시 예 일뿐 작업자가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다른 과정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낙하방지 망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 하나의 지지선(70b)을 마련하여 상기 프레임(50)의 하부 벽면 상기 프레임(50)의 자유 단에 앞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연결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다. Lastly, in order to prevent the drop preventing net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from being lifted upward, another
상기와 같이 대부분의 조립 작업을 실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위치가 지면 또는 실내로 한정되어 설치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사람이 손을 뻗어 모든 설치작업의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새시와 같은 실내구조물의 설치된 환경에서도 아무런 방해 없이 낙하방지 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it is configured to perform most of the assembly work in the room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s working position is limited to the ground or indoor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installation 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install the fall prevention net without any obstruction even in the installed environment of the indoor structure, such as a chassis, so that people can reach out and perform all the installation work.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342A KR20080045595A (en) | 2007-05-23 | 2007-05-23 |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342A KR20080045595A (en) | 2007-05-23 | 2007-05-23 |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4388A Division KR100726467B1 (en) | 2006-11-20 | 2006-11-20 |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5595A true KR20080045595A (en) | 2008-05-23 |
Family
ID=3966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0342A KR20080045595A (en) | 2007-05-23 | 2007-05-23 |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45595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0129B1 (en) * | 2015-07-22 | 2016-06-13 | 이세동 | installation method for safty net |
KR20210017638A (en) | 2019-08-09 | 2021-02-17 | 이태진 | Safety net fixing apparatus |
KR20230127480A (en) * | 2022-02-25 | 2023-09-01 | 신재범 | New concept fly net safety net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2007
- 2007-05-23 KR KR1020070050342A patent/KR2008004559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0129B1 (en) * | 2015-07-22 | 2016-06-13 | 이세동 | installation method for safty net |
KR20210017638A (en) | 2019-08-09 | 2021-02-17 | 이태진 | Safety net fixing apparatus |
KR20230127480A (en) * | 2022-02-25 | 2023-09-01 | 신재범 | New concept fly net safety net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22068B1 (en) | An improved fall safety barrier | |
KR20110110494A (en) | Support bracket and fall prevention safety net support device using same | |
US20080264725A1 (en) | Hook-On Scaffold | |
RU2400609C2 (en) | Complex system of accident prevention support in construction | |
KR20120008002U (en) | Scaffold that safety door estabilshed in outer wall railing of construction is equiped | |
KR100726467B1 (en) |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 |
WO2009044405A2 (en) | Anchor plate for use with fall protection and maintenance equipment. | |
KR20080045595A (en) | Fall prevention net fixing member | |
KR102127867B1 (en) | Foldable dropping object prevention system installed integrally with gang form | |
KR20110094720A (en) | Construction Cage Complex Cage | |
KR20170000701U (en) | Building vertical safety net | |
KR100559118B1 (en) | Aerial work platform | |
KR101022463B1 (en) | Fastening structure of vertical protection net | |
KR20080033208A (en) | Drop Protection Net Support | |
KR100530011B1 (en) | Structure of safe net using pier | |
KR100752031B1 (en) | Single floor installation type fall arrester | |
KR100607681B1 (en) | Fall prevention network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134360B1 (en) | safety net for evading collision | |
KR101253030B1 (en) | inner open method safety net with pully and ball bearing | |
KR200386867Y1 (en) | Horizontal safety nets equipment | |
KR102558801B1 (en) | Safety net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200413775Y1 (en) | Safety structure support of new basement | |
KR100645108B1 (en) | Fall prevention network installation structure | |
KR20030040294A (en) | Under Fixing Falling Safety Net of Bracket, Frame, Prop | |
KR200493884Y1 (en) | Rail type safety hoo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5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