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064A -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064A
KR20080042064A KR1020080039566A KR20080039566A KR20080042064A KR 20080042064 A KR20080042064 A KR 20080042064A KR 1020080039566 A KR1020080039566 A KR 1020080039566A KR 20080039566 A KR20080039566 A KR 20080039566A KR 20080042064 A KR20080042064 A KR 20080042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ard
credit card
server
card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조용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조용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조용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8003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2064A/ko
Publication of KR2008004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에서 카드사별 가맹점 고유번호를 획득하지 못한 쇼핑몰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쇼핑몰이 제휴 쇼핑몰인 경우, 서버에서 결제고객 카드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서버에서 카드사별로 획득한 가맹점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구성하고,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통신망을 통해 카드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39566
인터넷, 신용카드, 구매자(고객), 판매자(가맹점), 카드사, 대금결제, 결제서버, 대표가맹점번호, 정기분할납부, 밴(VAN; Value Added Network), 전자상거래

Description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Relay of Payment Admiss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각종 결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신용카드 결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인터넷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도 5a와 도 5b의 구성 중 일부 화면들의 실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210, 212, 214: 구매자
24, 220: 인터넷
30, 40, 50, 52, 60, 62, 102, 250, 252, 254, 256, 258: 판매자
70, 104: 밴(VAN)
72, 74, 104, 230: 결제서버
80, 82, 84, 86, 106, 108, 240, 242, 244, 246: 카드사
본 발명은 서버에서 카드사별 가맹점 고유번호를 획득하지 못한 쇼핑몰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쇼핑몰이 제휴 쇼핑몰인 경우, 서버에서 결제고객 카드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서버에서 카드사별로 획득한 가맹점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구성하고,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통신망을 통해 카드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댓가로 구매대금 또는 이용요금을 지불하는 상거래 행위는 실생활에서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물품을 구매(이하, 서비스 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하고 구매대금(이하, 이용요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을 지불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해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10)가 일반 판매점(30)에서 직접 물품을 구입하고 현금을 지불하거나 지로를 통하여 대금을 납부하는 방식(1), 구매자(10)가 전화나 우편 등의 통신수단(22)을 통하여 통신판매업체(40)에 물품을 주문하고 신용카드나 지로를 통하여 대금을 납부하는 방식(2), 구매자(10)가 일반 카드가맹점(50, 52)에서 물품을 구입한 후 신용카드를 통하여 대금을 결제하는 방식(3), 구매자(10)가 인터넷(24)을 통하여 인터넷 쇼핑몰(60, 62)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신용카드 등의 지불수단을 통하여 대금을 결제하는 방식(4) 등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24)을 통한 전자상거래(4)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전자상거래에서 이용되는 대금지불수단은 신용카드가 대표적이다.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을 간략하면 다음과 같다. 구매자(10)가 인터넷(24)을 통하여 인터넷 쇼핑몰(60, 62)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입한 후, 자신의 신상에 관한 정보와 신용카드에 관한 정보 및 물품구매 정보를 입력한다. 이 정보들은 결제서버(72, 74)로 보내지고, 결제서버(72, 74)는 구매자(10)의 입력 정보에 맞는 카드사(80, 82, 84, 86)에 매출승인 신청을 하여 승인을 얻는다. 이렇게 하여 구매자(10)와 판매자(60, 62) 간의 거래는 완료된다. 그 후 카드사(80, 82, 84, 86)는 판매자(60, 62)로부터 매출표를 매입하고 그 대금을 판매자(60, 62)에게 지급하며 구매자(10)에게 대금을 청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제 방식은 일반 신용카드 가맹점(50, 52)에서 카드조회기(23)를 사용하여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방식과 흡사하다. 다만, 일반 신용카드 거래(3)에서는 밴(70; VAN; Value Added Network)사가 판매자(50, 52)와 카드사(80, 82, 84, 86)를 중개하게 된다.
한편, 전화나 우편 등의 통신수단(22)을 통한 통신판매(2)의 경우에는 구매 자(10)가 신용카드로 대금을 결제하거나 직접 은행(90)을 찾아가서 판매자(40)의 계좌로 대금을 입금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은 물품구매 방식에 따라 대금결제 방식이 조금씩 다를 뿐만 아니라, 판매자에 대한 제약없이 한 곳에서 각종 대금을 일괄적으로 결제할 방법이 없다. 인터넷 쇼핑몰의 결제 시스템의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신용카드로 간편하게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긴 하지만, 각각의 인터넷 쇼핑몰로 사용이 국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물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인터넷 쇼핑몰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이거나 인터넷을 통하지 않은 상거래이거나 물품구매 방식과 판매자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을 통하여 간편하게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대부분의 인터넷 쇼핑몰들은 자체적으로 대금결제 시스템을 확보하지 못하고, 한국통신, 데이콤, 이니시스 등의 전문업체에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면서 외부 대금결제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신용카드 가맹점의 경우에도 밴사에 대한 수수료와 카드조회기 이용료에 대한 이중 부담을 안고 있다. 따라서, 판매자들의 이와 같은 수수료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신용카드 결제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공과금, 할부금, 보험료, 회비, 전화요금, 신문구독료 등 실생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각종 대금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난다. 물론 자동이체를 통한 결제 방식을 이용할 수 있긴 하지만, 자동이체 계약을 체결하지 못하였거나 자동이체를 꺼려 카드 사용을 못하는 경우에는 구매자가 일일이 은행을 통하여 대금을 결제하거나 각 요금별로 판매자의 홈페이지를 찾아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매월 일정액의 대금을 정기적으로 결제하는 각종 회비, 서비스 이용료, 신문구독료 등의 경우, 매월 같은 금액을 반복적으로 납입해야 하기 때문에 구매자나 판매자나 은행 모두에게 불편함이 따르고 부대비용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구매자가 신용카드 할부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할부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각종 대금을 인터넷 상의 한 곳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방안, 월정액을 보다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방안, 할부수수료 부담없이 신용카드 할부제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 등이 요구된다.
신용카드를 이용한 종래의 결제 방법이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들이 또 있다. 그 중 하나는 구매자가 가맹계약이 체결되지 않은 카드사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문제인데, 실제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판매자(102)가 B카드사(108)와 가맹계약을 체결하였으나 A카드사(106)와는 가맹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경우에, 구매자(100)가 판매자(102)로부터 물품을 구입하면서 A카드사(106)의 신용카드를 사용한 경우이다.
구매자(100)와 판매자(102) 사이에서 매출이 발생하면(110), 구매자(100)는 인터넷(또는 카드 조회기)을 통하여 카드정보 및 결제내역 등을 입력한다(112). 판매자(102)는 입력된 정보를 결제서버(104; 또는 VAN)으로 전송하고(114), 결제서버(104)는 A카드사(106)에 거래승인신청을 한다(116). A카드사(106)는 결제서버(104)를 거쳐 판매자(102)에게 승인번호를 통지하며(118), 판매자(102)는 구매 자(100)에게 승인 결과를 알리거나 매출표에 구매자의 서명을 얻음으로써 거래가 일단 성립된다(120). 이후에 B카드사(108)는 판매자(102)로부터 매출표를 매입하고(122), 판매자(102)에게 가맹수수료를 공제한 대금을 지급한다(124). B카드사(108)의 매출표 매입은 A카드에 대한 것이므로 타사매입이 된다. 따라서, B카드사(108)는 A카드사(106)에 대금을 청구하며(126), A카드사(106)는 구매자(100)에게 대금을 청구하고(128) 발급은행보존수수료를 공제한 대금을 B카드사(108)에 지급한다(130). 거래 종료후 판매자(102), A카드사(106), B카드사(108)는 결제서버(104)에 이용수수료를 지급한다(132).
이상의 사례에서 보면, B카드사는 판매자로부터 가맹수수료를 받고 그 중의 일부를 A카드사에 발급은행보존수수료(A카드사에서 자금부담하는데 따른)로 지급한다. 그러므로, A카드사는 구매자가 A카드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가맹수수료 전액 모두 받지 못하며, B카드사는 가맹수수료의 대부분을 A카드사에 발급은행보존수수료로 지급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판매자가 모든 카드사와 가맹계약을 체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발생한다. 실제로 판매자는 카드사마다 일일이 가맹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모든 판매자들이 모든 카드사와 가맹계약을 체결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판매자와 모든 카드사를 중개할 수 있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이 요구된다.
종래의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문제는 신용카드의 매출표 구성과 관련된 것이다. 기존의 신용카드 매출전표는 회원번호(또는 카드번호), 가맹점번호, 거래일시(또는 매출일자), 금액, 승인번호, 판매구분(할부여부) 등의 항 목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목들은 주로 카드사(또는 은행)에서 필요한 항목들이라 할 수 있다.
가맹점(판매자)에서 매출표 대금을 입금받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맹점에서 매출표를 작성하고 카드사로부터 승인을 얻은 후 고객(구매자)의 서명을 받는다. 그리고 매출표를 카드사(또는 은행)에 제출하면 카드사(또는 은행)는 매출표를 매입하여 대금을 입금한다. 그런데 입금처리는 매입 총액에 대하여 접수일자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맹점 입장에서는 어느 고객(구매자)의 매출표가 입금처리되고 어느 고객이 카드결제를 했으며 미납자가 누구인지 등을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매출표 매입 내역 또는 대금 입금 내역을 가맹점에서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에서 카드사별 가맹점 고유번호를 획득하지 못한 쇼핑몰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쇼핑몰이 제휴 쇼핑몰인 경우, 서버에서 결제고객 카드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서버에서 카드사별로 획득한 가맹점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구성하고,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통신망을 통해 카드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은, 서버에서 카드사별 가맹점 고유번호를 획득하지 못한 쇼핑몰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쇼핑몰이 제휴 쇼핑몰인 경우, 서버에서 결제고객 카드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서버에서 카드사별로 획득한 가맹점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구성하고,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통신망을 통해 카드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은, VAN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구매자 컴퓨터들(210, 212, 214; 이하 '구매자'로 약칭함)이 인터넷(220)을 통하여 결제서버(230)에 연결되며, 결제서버(230)는 다수의 카드사 전산시스템들(240, 242, 244, 246; 이하 '카드사'로 약칭함) 및 다수의 판매자 컴퓨터들(250, 252, 254, 256, 258; 이하 '판매자'로 약칭함)과 연결되어 있다. 각 카드사(240, 242, 244, 246)는 전용선(221, 222, 223, 224; 예를 들어 LAN)에 의하여 결제서버(230)에 연결되며, 각 판매자는 전용선(225, 226)에 의하여 결제서버(230)에 연결되거나(250, 252), 인터넷(220)을 통하여 결제서버(230)에 접속 된다(254, 256). 판매자 중의 일부(258)는 기타 유무선 통신수단(228)을 통해서도 결제서버(23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결제 시스템(200)의 판매자(250∼258)는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 뿐만 아니라 일반 신용카드 가맹점과 통신판매업체 및 지로로 대금을 회수하는 모든 업체를 포괄한다. 결제서버(230)는 각 판매자(250∼258)가 본 시스템(200)에 등록할 때 각 판매자(250∼258)별로 대표가맹점번호를 부여하고 각 카드사(240∼246)별로 카드사가맹점번호를 취득해 준다. 아래 표 1은 대표가맹점번호와 카드사가맹점번호의 예이다.
판매자 대표가맹점번호 카드사 카드사가맹점번호 거래승인사 매출매입사
a 99-782-52658 A 04-237-423265 A A
B 05-526-569543 B B
C 11-758-125412 C C
b 99-653-98514 A 04-606-584521 A A
B 05-476-535243 B B
C 11-883-278522 C C
c 99-443-65387 A 04-299-874522 A A
B 05-383-854562 B B
C 11-952-112543 C C
결제서버(230)에서 부여한 대표가맹점번호는 각 구매자(210∼214)가 결제서버(230)에 접속하여 결제내역을 입력할 때 사용된다. 각 판매자(250∼258)는 종래와 같이 개별적으로 각 카드사(240∼246)와 가맹계약을 맺을 필요가 없으며, 결제서버(230)에 등록된 모든 판매자(250∼258)와 모든 카드사(240∼246)가 자동으로 연결된다. 결제서버(230)는 구매자(210)가 입력한 대표가맹점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판매자(250∼258)를 선택하고 카드사가맹번호로 카드사(240∼246)를 검색하여 결제처리를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에서는 구매자(210∼214)가 입력한 카드정보에 맞는 카드사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타사매입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대표가맹점번호는 판매자(250∼258)가 결제서버(230)에 접속하여 매출내역을 입력할 때도 사용된다.
판매자(250∼258) 중에서 한국통신, SK텔레콤, 백화점 등과 같이 자체적으로 요금징수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대형 가맹점들(250, 252)은 전용선(225, 226)으로 결제서버(230)와 직접 연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제서버(230)는 구매자(210∼214)가 입력한 결제내역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서버(230)의 용량부담을 줄일 수 있다. 자체 시스템이 미비된 소형 업체들(254, 256)은 인터넷(220)을 통하여 매출내역을 결제서버(230)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렇게 위탁된 자료들은 서버(230)에 보관하면서 관리한다. 그 밖의 가맹점(258)의 경우 구매자(210∼214)의 결제후 전화, 휴대폰, 팩스 등의 유무선 통신망(228)을 이용하여 결제내역을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특정 구매자(210)와 특정 판매자(250) 사이에서 매출이 발생하면(260), 구매자(210)는 인터넷(도 3의 220)을 통하여 결제서버(230)에 접속하고 카드정보, 결제내역, 대표가맹점번호 등을 입력한다(262). 이 때 매출 발생 형태는 본 발명의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판매자가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도 3의 200)에 연결되어 있는 한, 구매자는 구매 방식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결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결제서버(230)는 구매자(210)가 입력한 대표가맹점번호를 인식하여 시스템에 연결된 다수의 판매자(도 3의 250∼258) 중에서 해당하는 판매자(250)를 선택하고 결제내역 등의 자료를 확인한다(264). 결제서버(230)가 판매자의 자료에 접근하는 방식은 판매자와 결제서버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250, 252)의 시스템에 직접 접속하여 자료를 확인하거나, 판매자(254, 256)가 위탁하여 보관중인 자료를 검색하여 확인하거나, 판매자의 시스템에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위탁보관중인 자료가 없을 때에는 추후 판매자(258)가 직접 자료를 확인하도록 한다.
자료 확인후 결제서버(230)는 구매자(210)가 입력한 카드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카드사(240)를 선택하고 해당 카드사(240)에 거래승인과 매출표매입을 신청한다(266). 카드정보에는 카드사가맹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카드사가맹번호는 앞서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250∼258)의 대표가맹점번호 부여시 결제서버(230)가 각 카드사(240∼246)별로 취득해 준 것이다.
해당 카드사(240)가 결제서버(230)에 승인번호를 통지하면(268), 서버(230)는 해당 구매자(210)에게 결제결과를 알림으로써 인터넷을 통한 결제가 완료된다(270). 이후 해당 카드사(240)는 해당 판매자(250)에게 수수료를 공제한 대금을 지급하고(272), 해당 구매자(210)에게 대금을 청구하며(274), 판매자(250)와 카드사(240)는 결제서버(230)에 이용수수료를 지급한다(276).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신용카드 결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인터넷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5a는 구매자가 직접 인터넷 상에서 카드결제를 하는 경우의 인터넷 화면(즉, 웹 페이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5b는 가맹점(판매자)이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화면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i는 도 5a와 도 5b의 구성 중 일부 화면들의 실제 예시도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의 흐름도와 도 6a 내지 도 6i의 화면예를 참조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화면(도 5a의 300)은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초기화면(300)은 회원전용, 비회원, 회원가입, 가맹점, 안내말씀, HOME, 광고의 일곱개 버튼을 포함한다. 구매자인 경우 회원여부에 따라 회원전용 버튼이나 비회원 버튼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으로 접속할 수 있고, 비회원인 경우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여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가맹점의 경우는 가맹점 버튼을 클릭하여 가맹점(판매자)에서 매출신청, 입금내역조회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안내말씀은 시스템 운영에 대한 안내를 볼 수 있는 버튼이고, HOME은 운영자의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이며, 광고는 통상적인 배너광고이다.
사용자(구매자)가 회원인 경우, 초기화면(300)에서 회원전용 버튼을 클릭하면 로그인 화면(도 5a의 304)이 나타난다. 도 6b에 로그인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회원은 이미 회원가입 절차를 통하여 기본적인 신상정보와 카드정보를 등록하고 고객ID와 비밀번호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로그인 화면(304)에서는 고객ID와 비밀번호만을 입력하면 된다. 로그인 화면(304)에서 사용자의 보안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메뉴 화면(도 5a의 306)이 나타난다. 메뉴 화면(306)은 각각 다른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회원정보변경(도 5a의 308), 회원카드결제(도 5a의 310), 회원현금서비스(도 5a의 312) 메뉴를 포함한다.
회원카드결제 화면(310)의 예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회원카드결제 화면은 결제내역을 입력하는 곳으로서, 가맹점번호, 고객번호, 납부금액, 카드종류, 결제방법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통신판매인 경우 이용할 수 있도록 상품번호, 전화번호, 주소 항목들을 포함한다. 가맹점번호는 대표가맹점번호를 의미하며, 대표가맹점번호는 전술했듯이 각 판매자가 결제서버에 가맹점으로 등록할 때 부여된 고유번호이다. 사용자가 대표가맹점번호를 찾고자 할 경우에는 찾기 버튼을 클릭하여 가맹점조회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가맹점조회(또는 가맹점번호찾기) 화면(도 5a의 318)의 예가 도 6d에 도시되어 있다. 가맹점조회 화면은 가맹점번호, 상호, 사업자번호, 전화번호, 대표자, 주소의 6개 컬럼과, 검색어란으로 이루어져 있다. 검색어란에 검색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원하는 컬럼명을 클릭하면 조회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에 "개나리"를 입력한 후 "상호"를 클릭하면 "상호"에 "개나리"를 포함하는 모든 가맹점을 찾을 수 있다. 조회결과에서 원하는 가맹점 라인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가맹점 번호가 회원카드결제 화면(도 6c; 도 5a의 310)의 가맹점번호 항목에 자동 입력된다.
다시 도 6c의 회원카드결제 화면에 대한 설명을 계속하면, 고객번호 항목은 각 판매사(가맹점)가 구매자에게 부여한 자체 관리번호이며, 판매사에서 발행한 청구서 또는 고지서 등에 명시된 고객번호 또는 납부자번호 등을 의미한다. 종래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했듯이, 기존의 신용카드 매출표에는 고객(구매자)을 파악할 수 있는 입력항목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에서는 카드결제 화면에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고객번호 항목을 포함시킴으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납부금액(또는 결제금액) 항목은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을 입력하는 항목으로서, 찾기 버튼을 클릭하여 결제금액을 조회하고 입력할 수 있다.
결제금액조회 화면(도 5a의 316)의 예가 도 6e에 도시되어 있다. 결제금액조회 화면은 일련번호, 요금종류, 납부대상, 납부금액의 4개 컬럼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맹점번호와 고객번호는 앞서 결제화면(도 6c)에서 입력한 경우 자동으로 나타나며, "조회합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금액에 대한 조회가 실행된다. 조회결과에서 결제하고자 하는 라인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결제금액이 카드결제 화면(도 6c)의 납부금액 항목에 자동 입력된다. 여러개의 거래금액을 동시에 결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키보드의 Shift 버튼과 동시에 여러 라인을 선택하여 더블클릭하면 선택항목의 결제금액 합계가 납부금액 항목에 자동 입력되고, "합계" 라인을 더블클릭하면 조회결과에 나타난 모든 라인의 결제금액 총액이 납부금액 항목에 자동 입력된다.
다시 도 6c의 회원카드결제 화면으로 돌아와서, 카드종류 항목은 결제에 사용할 신용카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항목으로서, 회원가입시 회원이 등록한 카드의 종류가 나타난다. 결제방법 항목은 신용카드의 통상적인 결제방법인 일시불과 할부구매 외에도 정기분할납부 방법을 포함한다. 정기분할납부 방법은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로서 추후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통신판매의 경우 입력하게 될 상품번호 항목은 통신판매업자가 판매상품에 부여한 고유번호이며, 주소 항목은 결제후 상품을 받을 주소로서 이미 등록된 주소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찾기 버튼을 클릭하면 주소찾기 화면(도 5a의 322)에서 우편번호 또는 동이름을 입력하여 주소내용을 조회하고 주소 항목에 자동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사용내역을 조회해 볼 수도 있다(도 5a의 320).
회원카드결제 화면(도 6c)에 나타난 항목들의 입력을 마친 후, 화면 오른쪽의 배너광고 중에서 하나를 클릭하면 구매자의 결제내역이 본 시스템의 결제서버로 전송된다(도 4의 262). 여러개의 배너광고 중에서 어떤 광고를 클릭할 것인지는 사용자(구매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배너광고 클릭에 따른 경품 제공 내지 복권당첨기회 부여 등의 혜택을 주어, 구매자와 광고주 모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결제내역을 전송받은 결제서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차를 거쳐 사용자(구매자)에게 결제결과를 알려준다(도 4의 270; 도 5a의 324). 결제결과를 안내하는 화면의 예가 도 6f에 도시되어 있다. 도 6f는 정상적으로 결제가 완료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결제결과를 알려주는 화면이며, 결제처리가 되지 않았을 때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미결사유와 함께 결제결과를 통보한다. 정상적으로 결제가 완료되어 거래가 승인되면 사용자는 처리명세표(도 5a의 326)를 인쇄하거나 접속을 종료(도 5a의 328)하며, 결제처리가 되지 않아 거래가 승인되지 않으면 다시 초기화면(도 5a의 300)으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회원의 경우 메뉴 화면(도 5a의 306)에서 회원카드결제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한편, 현금서비스(도 5a의 312)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현금서비스의 경우 결제금액과 카드종류와 결제구분 항목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도록 화면을 구성한다.
한편, 비회원의 경우에는 초기화면(도 5a의 300)에서 비회원 버튼을 클릭하여 비회원용 카드결제 화면(도 5a의 314)으로 들어가거나,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여 회원가입(도 5a의 302) 절차를 밟을 수 있다. 비회원카드결제 화면의 예가 도 6g에 도시되어 있다. 비회원카드결제 화면은 전술한 회원카드결제 화면(도 6c; 도 5a의 310)과 유사하지만, 구매자의 신용카드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을 입력하는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나머지 입력 항목들과 결제 방법은 전술한 회원용 화면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비회원의 경우 현금서비스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설명을 종합하여 회원구분별, 결제유형별로 입력항목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 표 2와 같다.
구분 자료공유업체 통신판매업체 자료미비업체 현금서비스
회원 로그인 ID(입력) 비밀번호(입력) ID(입력) 비밀번호(입력) ID(입력) 비밀번호(입력) ID(입력) 비밀번호(입력)
대표가맹점번호 (조회/입력) 고객번호 (조회/입력) 결제금액 (조회/입력) 카드종류(선택) 결제구분(선택) 대표가맹점번호 (조회/입력) 결제금액 (조회/입력) 카드종류(선택) 결제구분(선택) 상품번호(입력) 주소(선택/입력) 대표가맹점번호 (조회/입력) 결제금액 (조회/입력) 카드종류(선택) 결제구분(선택) 결제금액 (입력) 카드종류(선택) 결제구분(선택)
비회원 대표가맹점번호 (조회/입력) 고객번호 (조회/입력) 결제금액 (조회/입력) 카드번호(입력) 유효기간(입력) 결제구분(선택) 대표가맹점번호 (조회/입력) 결제금액(입력) 카드번호(입력) 유효기간(입력) 결제구분(선택) 상품번호(입력) 주소(선택/입력) 대표가맹점번호 (조회/입력) 결제금액(입력) 카드번호(입력) 유효기간(입력) 결제구분(선택) 사용불가
본 발명의 신용카드 결제 방법은 구매자의 컴퓨터를 통하지 않고 판매자(가맹점)의 컴퓨터에서도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가맹점의 경우 초기화면(300; 도 6a)에서 가맹점 버튼을 클릭하면 로그인 화면(330)이 나타나며, ID 대신에 대표가맹점번호를 입력한다. 도 6a의 초기화면의 예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비가맹점이 가맹점으로 가입할 수 있는 가맹점가입 버튼을 초기화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가맹점가입 화면(332)에 가입절차안내를 볼 수 있는 화면(334)을 연계시킨다. 로그인 후 나타나는 메뉴 화면(336)은 입금내역조회(338), 매출신청(340), 가맹점정보변경(342) 등으로 구성된다. 매출신청 화면(340)의 예가 도 6h에, 입금내역조회 화면(338)의 예가 도 6i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6h에 도시된 매출신청(또는 매출승인) 화면을 통하여 가맹점에서 직접 매출내역을 입력하고 거래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결제서버로부터 승인결과를 통보받고(344), 승인여부에 따라 접속을 종료하거나 다시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거나 처리명세표를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와 기능은 전술한 구매자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매출신청 화면의 우측 배너광고는 해당 가맹점과 직접 관련있는 업종의 광고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가맹점 업종은 대표가맹점번호로부터 알 수 있으므로 광고등록시 업종을 미리 지정해 주면 가맹점 업종에 따라 관련되는 업종의 광고를 찾아 보여줄 수 있다.
도 6i의 입금내역조회 화면에서는 조회기간을 입력하여 특정 기간동안 해당 가맹점의 매출내역을 조회해 볼 수 있다. "조회합니다" 버튼을 누르면 화면상에 조회결과가 나타나며, "명세표출력" 버튼을 누르면 조회결과가 인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신용카드 매출표에는 고객(구매자)을 파악할 수 있는 입력항목이 없기 때문에, 가맹점에서 고객별로 입금 내역을 파악하기가 곤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카드결제 화면(도 6c)에서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고객번호 항목을 입력하기 때문에, 도 6i와 같이 입금내역을 조회해 보면 회원번호(즉, 고객번호) 항목이 나타나고 각 거래와 고객간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결제 방법 중의 일부인 정기분할납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정기분할납부 방법은 앞서 도 6c의 카드결제 화면에 나타난 결제방법 항목 중의 하나로서 언급한 바 있다). 통상적으로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으로는 일시불과 할부구매가 있다. 그러나, 구매자 입장에서 일시불은 액수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그리고 할부구매는 할부수수료에 대한 부담때문에 각각 이용을 꺼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매월 일정액을 정기적으로 납부하고 결제하는 신문대금 내지 각종 회비 등의 경우에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발생(400) 후 가맹점(판매자)은 매월 동일한 매출자료를 작성하고(402) 제출하는(404) 업무를 반복해야 하고, 은행(또는 카드사)은 매월 동일한 매출을 승인하고(406) 매출표를 매입하고(408) 가맹점에 대금을 입금하고(410) 구매자에게 대금을 청구하는(412) 업무를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가맹점과 은행(또는 카드사) 모두에게 업무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로 납부의 경우 구매자에게도 불편함이 따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신용카드 결제 방법에 정기분할납부 방법을 추가하여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한다. 즉, 도 7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가 발생하고(400), 고객(구매자)이 정기분할납부를 신청한(420) 경우에는, 매월 동일한 매출자료를 접수하고 승인하고 매입하는 종래의 절차를 생략하고, 결제서버에서 매출승인과 매출표매입을 자동으로 처리한다(422). 고객은 정기분할납부 신청시 희망개월수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결제서버는 고객이 신청한 납부일자에 매월 월정액의 카드매출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또는, 도 7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사용에 따른 특정금액에 대하여 고객이 정기분할납부를 신청하면(430), 은행(또는 카드사)은 총액한도로 승인을 하고(432), 총액한도 승인액을 희망개월수로 나눈 금액을 매월 가맹점에 분할지급하고(434) 고객에게 분할청구한다(436).
그러므로, 정기분할납부 방법에 따르면 종전처럼 가맹점에서 매월 매출자료를 작성하고(402) 제출하는(404) 단계들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가맹점의 자금회수 위험부담이 없어지고 고객의 할부수수료 부담이 해소된다. 자동 정기분할납부 방법의 도입 배경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가맹수수료가 3%인 가맹점(판매자)에서 구매자가 120만원의 물품을 12개월 할부(할부수수료율 16.5%)로 구매한다고 가정하자. 거래 발생 후 가맹점은 가맹카드사에 매출표매입을 신청하고 카드사는 매출표를 매입한다. 이후, 카드사는 매월 10만원씩의 할부금과 소정의 할부수수료를 구매자에게 청구한다. 카드사는 먼저 120만원을 가맹점에 지급한 후 매월 10만원씩 구매자로부터 할부금을 회수하므로 년평균 자금부담액은 65만원이다. 그리고, 매출액 120만원에 대한 가맹점수수료 수입은 36,000원(=1,200,000×0.03), 할부수수료 수입은 107,250원(=650,000×0.165)이므로 수수료 수입 합계는 143,250원이다. 따라서, 카드사의 자금부담액 기준 수익율은 년간 22.04% 수익이다(143,250÷650,000).
반면, 동일한 물품을 120만원에 구입한 후 정기분할납부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카드사는 매월 10만원씩의 월정액을 가맹점에 지급하고 구매자에게 청구하게 되므로 년평균 자금부담액은 10만원이다. 카드사의 가맹점수수료 수입은 여전히 36,000원이지만(=100,000×0.03×12회) 할부수수료 수입은 없다. 따라서, 카드사의 자금부담액 기준 수익율은 년간 36.00% 수익이다(36,000÷100,000). 카드사의 수수료 수입을 자금부담액 65만원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234,000원이다(=650,000×0.03×12회). 결국, 동일한 자금부담액을 기준으로 카드사의 수익액을 비교해 보면, 할부매출 대비 정기분할납부의 경우 13.96%의 수익율 증가, 90,750원의 수익액 증대 효과를 거두게 된다.
120만원을 일시에 납부하는 경우, 12개월 할부로 납부하는 경우, 매월 매출표를 작성하여 결제하는 경우, 정기분할납부를 이용하는 경우를 아래 표 3에서 비교하였다.
구분 일시 납부시 1년 할부시 매월 매출표 작성시 정기분할납부시(본발명)
구매자 자금부담(년간평잔) 1,200,000 650,000 650,000 650,000
지급수수료 없음 107,250 없음 없음
카드사 (은행) 자금부담(년간평잔) 100,000 650,000 100,000 100,000
가맹수수료 36,000 36,000 36,000 36,000
할부수수료 없음 107,250 없음 없음
수수료합계 36,000 143,250 36,000 36,000
자금부담65만원으로환산했을때 234,000 143,250 234,000 234,000
가맹점 (판매자) 자금수입(년간평잔) 1,200,000 1,200,000 650,000 650,000
수수료부담 36,000 36,000 36,000 36,000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과 방법은 다음과 같이 여러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과 방법에 따르면, 결제서버가 모든 판매자와 카드사를 연결하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거래에 대해서도 인터넷을 통하여 간편하게 신용카드로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물품구매, 일반 신용카드 가맹점에서의 물품구매, 통신판매업체를 통한 물품구매 등 물품구매 방식과 판매자에 대한 제약없이 인터넷 카드결제를 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결제 방식이기 때문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한, 구매자의 경우에도 제한이 따르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방법과 같이 일시불과 할부구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매월 일정액을 정기적으로 납부하는 월정액의 경우 또는 고액 구매자의 경우에는 정기분할납부를 이용하여 구매자와 판매자(가맹점)와 카드사(또는 은행) 모두가 간편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할부구매의 경우 종래의 할부수수료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소액구매, 할부구매 등에 대한 신용카드 이용을 촉진하고 신용카드의 신규 수요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면, 종전과 같이 각 판매자마다 개별적으로 카드사와 가맹계약을 맺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용카드 매출표를 전량 자사매입할 수 있고 타사매입에 따라 발생하는 발급은행보존수수료와 같은 추가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카드결제내역을 입력할 때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고객번호 항목을 입력하기 때문에, 가맹점에서도 각 고객별로 대금입금내역을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과 효과들 외에도, 각 거래 당사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업무를 간소화하며,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다.

Claims (2)

  1. 서버에서 카드사별 가맹점 고유번호를 획득하지 못한 쇼핑몰로부터 결제승인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쇼핑몰이 제휴 쇼핑몰인 경우, 서버에서 결제고객 카드에 대응하는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서버에서 카드사별로 획득한 가맹점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카드사의 가맹점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구성하고,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통신망을 통해 카드사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VAN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KR1020080039566A 2008-04-28 2008-04-28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KR20080042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566A KR20080042064A (ko) 2008-04-28 2008-04-28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566A KR20080042064A (ko) 2008-04-28 2008-04-28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129A Division KR20070041477A (ko) 2007-03-26 2007-03-26 결제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064A true KR20080042064A (ko) 2008-05-14

Family

ID=3964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566A KR20080042064A (ko) 2008-04-28 2008-04-28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20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474B1 (ko) * 2012-08-14 2014-10-08 주식회사 케이지이니시스 원스탑 결제 중계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474B1 (ko) * 2012-08-14 2014-10-08 주식회사 케이지이니시스 원스탑 결제 중계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0353B2 (en) Receipt insurance systems and methods
US200700612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apid rebate payments
US20010032134A1 (en) E-commerce mall system
US8655720B2 (en) Systems for providing returns on rebated items at a point-of-sale
CN1971638A (zh) 临时代金卡的方法及系统
JP2007507800A (ja) 販売者支援自動支払処理と例外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44123A (ko) 온라인 쿠폰유통방법
KR20160123611A (ko) 마일리지 적립 활용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US77835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payment to a seller
KR100806587B1 (ko) 신용카드 결제 방법
JP2016071724A (ja) 賃貸決済カード管理システム、賃貸決済カード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賃貸決済カード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06570B1 (ko) 인터넷을 통한 신용카드 결제 서버
KR100988867B1 (ko) 가맹점의 카드 매출 입금내역 정보 제공서버
KR100865674B1 (ko) 대표가맹점 번호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100902788B1 (ko) 정기 분할 자동 결제처리 방법
KR100920458B1 (ko) 정기분할납부 처리 시스템
KR100806588B1 (ko) 카드사 가맹점번호 등록방법
KR20080042064A (ko) 결제승인 중계처리 방법
KR20070041476A (ko) 인터넷을 통한 지로 납부방법
KR20010104602A (ko) 사이버-머니로 결재하는 보험 웹사이트
US20100012720A1 (en) System and methods to select authorized vendors for prepaid debit card/credit card
KR20070041477A (ko) 결제서버
KR20070041479A (ko) 정기 분할 자동 결제처리 방법
KR20070041478A (ko) 정보 제공 서버
KR20080043281A (ko)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98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28

Effective date: 2011031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28

Effective date: 201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