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051A - 광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051A
KR20080042051A KR1020080034423A KR20080034423A KR20080042051A KR 20080042051 A KR20080042051 A KR 20080042051A KR 1020080034423 A KR1020080034423 A KR 1020080034423A KR 20080034423 A KR20080034423 A KR 20080034423A KR 20080042051 A KR20080042051 A KR 2008004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advertisement
browser
bann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사칠리얼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사칠리얼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사칠리얼미디어
Priority to KR102008003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2051A/ko
Publication of KR2008004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문서내 포함된 광고 태그에 전송될 배너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배너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해상도를 체크하여 기준 해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너 광고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광고 조정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 조정 서버는, 미리 정의된 컨텐츠 사이즈, 브라우저 사이즈 및 컨텐츠 정렬방식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여백 사이즈 및 여백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파악하고, 파악된 여백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배너 광고 사이즈를 조정한다.

Description

광고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ng Advertisement}
도 1a 내지 도 3b는 고해상도 유저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화면으로 해상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여백의 모습에 대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6b는 고해상도 유저에게 제공되는 광고 화면에 대한 그림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브라우저의 사이즈가 변화할 때 광고 영역의 사이즈가 함께 변화되는 모습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유저에 대한 광고 제공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문서내 포함된 광고 태그에 전송될 배너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배너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해상도를 체크하여 기준 해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너 광고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광고 조정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 조정 서버는, 미리 정의된 컨텐츠 사이즈, 브라우저 사이즈 및 컨텐츠 정렬방식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여백 사이즈 및 여백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파악하고, 파악된 여백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배너 광고 사이즈를 조정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즉, 인터넷 보급 초기의 메일 송수신 서비스를 포함하여,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 서비스, 각종 커뮤니티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결과 인터넷 사용 인구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인터넷 사용 인구가 증가하면서 종래 텔레비전 방송, 라디도 방송, 신문 혹은 잡지 매체 위주의 광고 시장 뿐만 아니라,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광고 시장의 중요성 또한 점차 커지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웹사이트는 해상도 1024*768을 기준으로 컨텐츠를 구성한다. 그러나, 최근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에 따라 1024*768 이상의 고해상도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고해상도 사용자의 브라우저 화면에서 1024*768 기준의 컨텐츠를 제외한 여백이 발생하고 그 영역이 점점 더 넓어지고 있다.
이 때, 종래에는 사용자 별로 달리 설정된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브라우저의 고정 위치에서 고정적인 사이즈로 일방적인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광고 제공을 할 수 없었다.
또한 고해상도 유저만을 위한 별도의 광고 서버는 운영할 수 없어, 고해상도 유저에게 발생할 수 있는 브라우저 상의 여백을 그대로 방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문서내 포함된 광고 태그에 전송될 배너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배너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해상도를 체크하여 기준 해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너 광고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광고 조정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 조정 서버는, 미리 정의된 컨텐츠 사이즈, 브라우저 사이즈 및 컨텐츠 정렬방식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여백 사이즈 및 여백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파악하고, 파악된 여백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배너 광고 사이즈를 조정하는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문서내 포함된 광고 태그에 전송될 배너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배너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해상도를 체크하여 기준 해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너 광고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광고 조정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 조정 서버는, 미리 정의된 컨텐츠 사이즈, 브라우저 사이즈 및 컨텐츠 정렬방식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여백 사이즈 및 여백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파악하고, 파악된 여백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배너 광고 사이즈를 조정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광고 제공 방법, 광고 조정 서버 및 저장매체를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3b는 사용자 단말의 모니터 해상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여백을 포함한 브라우저 화면이다.
일반적으로 각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사이즈를 사전에 체크하여 사용자 단말 요청시 업로드되는 HTML 내에서 해당 컨텐츠 사이즈를 변수로 설정한다.이 때,각 컨텐츠는 각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정책에 따라 브라우저 화면내에서 좌측 혹은 우측의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정렬되거나,브라우저 화면의 중앙에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일반적인 1024*768인 경우의 브라우저 화면이다. 도 1a는 컨텐츠가 브라우저 화면내에서 좌측에 정렬되어 우측에 약간의 여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b는 컨텐츠가 브라우저 화면 내에서 중앙 정렬된 것으로, 화면의 좌우로 약간의 여백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1280*1024인 경우의 브라우저 화면으로, 상술한 도 1a 및 도 1b의 사용자 환경에 비해 고해상도이며, 이 때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사이즈는 도 1a 및 도 1b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브라우저 화면내에서 좌측정렬되는 경우의 우측 여백은 도 1a에 나타난 우측 여백보다 확대된다. 마찬가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브라우저 화면의 중앙에 정렬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 좌우의 여백은 도 1b에 나타난 좌우 여백보다 확대된다.
도 3a 및 도 3b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1600*1200인 경우의 브라우저 화면으로, 상술한 도 1a 내지 도 2b의 사용자 환경에 비해 고해상도이며, 이 때에도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사이즈는 도 1a 내지 도 2b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브라우저 화면내에서 좌측정렬되는 경우의 우측 여백은 앞서 설명한 도 1a 또는 도 2a 에 나타난 우측 여백보다 확대된다. 마찬가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브라우저 화면의 중앙에 정렬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 좌우의 여백은 도 2b에 나타난 좌우 여백보다 확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환경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컨텐츠 자체의 사이즈에 대해서는 변화없이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4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광고 서버(300) 및 광고 조정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서버(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제공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이며,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등 다양한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광고 제공 시스템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각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신규격에 맞게 변환 처리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 혹은 왑 서버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근 다양한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 사업자의 서비스 서버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페이지의 HTML 문서내에서 포함된 광고 태그에 전송될 광고 내용이 미리 업로드 되어 있다.
광고 서버(300)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찾아내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해당 광고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가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페이스 서버(200)에 접속하면, 인터페이스 서버(200)에서 HTML 문서를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이 때, HTML내 포함된 광고 태그가 광고 서버(300)를 호출하게 되고, 광고 서버(300)는 요 청된 광고 태그에 전송될 내용을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하게 된다.
광고 조정 서버(500)는 초기 배너 설정부(510) 및 배너 조정부(520)를 포함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광고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의 여백을 확인하여 광고 배너 사이즈를 여백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조정하여 해당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 사이즈를 확인하여 브라우저 사이즈가 기준 사이즈 이상인 경우 광고 배너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배너 조정부(52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로부터 리사이즈(RESIZE)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브라우저의 여백 또는 브라우저의 사이즈를 확인하고, 배너 사이즈를 조정하여 해당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배너 조정부(520)는 브라우저 창의 사이즈가 커지거나 혹은 작아질 때, 변화된 여백의 사이즈에 기초해서 배너 사이즈를 조정하여, 브라우저내 컨텐츠 영역과 대비한 광고 영역의 비율은 일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특히, 광고 배너가 플래시로 제작되는 경우, 플래시 배너의 사이즈는 특성상 가로 혹은 세로만의 별도 조정은 불가능한 반면, 가로 대비 세로의 비율로 배너 사이즈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여백 사이즈에 맞게 플래시 광고 배너 사이즈를 조정할 때 가로 혹은 세로 사이즈 중 하나를 기준으로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배너 조정부(520)는 브라우저의 리사이즈(RESIZE)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변화되는 여백의 가로 사이즈를 기준으로 광고의 가로 사이즈를 조정하며, 변화된 가로 사이즈를 기준으로 광고의 세로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게는 광고의 가로 사이즈는 변화 없이 세로 사이즈만 동적으로 변화되는 인상을 줄 수 있고, 그 결과 광고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배너 조정부(520)는 여백의 세로 사이즈를 기준으로 광고의 세로 사이즈를 조정하며, 변화된 세로 사이즈를 기준으로 광고의 가로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광고의 가로 사이즈가 동적으로 변화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배너 조정부(520)는 소정 기준치를 설정하여, 브라우저의 여백 사이즈 변화에 따라 광고 사이즈를 조정할 때 사용자 주목도를 고려하여 일정 사이즈 이하로는 작아지지 않고 최소 사이즈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너 조정부(520)는 브라우저 리사이즈 이벤트가 발생하면, 여백 사이즈에 대한 구체적 확인과정을 거치지 않고 브라우저 사이즈 또는 브라우저 여백의 위치를 확인하여 배너 위치 및 배너 사이즈를 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해상도 유저에게 발생할 수 있는 브라우저의 여백에 광고 화면이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1280*1024인 경우로 브라우저 화면이다. 컨텐츠가 1024*768를 기초로 제공될 때, 컨텐츠는 브라우저 화면내에서 좌측에 정렬되고 그 결과 우측에 여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 우측 여백 부분에 여백의 가로 사이즈를 기초로 소정 광 고가 전송될 수 있다.
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1280*1024인 경우로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가 1024*768 해상도를 기초로 제공되는 경우, 컨텐츠는 브라우저 화면내에서 중앙에 정렬될 수 있다. 그 결과 화면 좌우에 여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좌우에 여백의 가로 사이즈를 기초로 한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a는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1600*1200이고,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1024*768 해상도를 기초로 화면의 좌측에 정렬 제공되는 경우, 우측의 여백 부분에 여백의 사이즈를 기초로 한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에 나타나는 광고에 비해 광고 영역이 더 확대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1600*1200이고,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1024*768 해상도를 기초로 화면의 중앙에 정렬되는 겨우, 좌/우 양측에 발생하는 여백 부분에 여백의 사이즈를 고려한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b에 나타나는 광고 영역은 도 5b에 나타나는 광고 영역보다 확대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브라우저 사이즈의 변화 혹은 브라우저 화면 스크롤에 따라 나타나는 광고 화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해상도 유저의 브라우저가 최대 화면인 경우 우측영역에 컨텐츠 사이즈가 고려된 광고가 제공된다. 이 때, 플래시 배너의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와 세로 사이즈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없고 , 대신 가로 대 세로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우저 화면의 사이즈가 작아지면서 우측 영역의 여백이 작아지는 경우, 플래시 배너의 가로 사이즈가, 변화된 여백의 가로 사이즈 혹은 변화된 브라우저 사이즈를 기초로 다시 조정되어 작아진다. 그리고 작아진 가로 사이즈에 비례하여 플래시 배너의 세로 사이즈도 줄어들 수 있다.
이 때, 플래시 배너의 가로 사이즈의 변화에 비례하여 세로 사이즈도 비율적으로 조정되면서, 브라우저의 화면에서 플래시 배너의 세로 길이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은 낮아질 수 있다. 즉, 브라우저 사이즈의 변화 또는 여백의 가로 사이즈 변화에 맞추어 광고 사이즈가 조정되면서, 브라우저의 가로 길이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 변화는 없는 반면, 브라우저의 세로 길이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광고가 세로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동적 효과에 따른 광고에 대한 사용자 주목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브라우저 사이즈 변화에 따라 광고의 세로 사이즈가 짧아지고, 이 때 브라우저 화면의 여백이 다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의 로고등을 여백에 나타나게 해서 광고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도 있다.
도 7c는 브라우저의 스크롤을 내린 경우 나타나는 화면 모습이다. 즉, 고해상도 유저의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날 수 있는 여백에 광고를 제공하고, 광고 이외 의 여백 부분에는 사용자 로고 등의 배경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브라우저의 스크롤을 내리면,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영역 대신 사용자 로고 등의 배경 화면만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고등을 삽입한 광고 이외의 배경 화면을 활용하여, 브라우저 화면에서 컨텐츠 이외의 영역 전체에 광고를 제공하는 것에 비해,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기(100)가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페이스 서버(200)에 접속하면, 인터페이스 서버(200)는 HTML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브라우저는 인터페이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HTML 문서를 오픈하여 브라우저의 좌측, 우측, 혹은 중앙을 기준으로 전송받은 컨텐츠를 브라우저 화면내에 정렬하며, 이 때 HTML에 포함된 광고 태그는 광고 서버(300)를 호출한다.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데, 광고 서버(300)는 광고 태그에 의해 요청된 광고를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광고 태그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조정 서버(500)는 사용자 환경에 적합하게 전송 대상 광고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해상도를 체크하여, 고해상도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 여백을 확인할 수 있다(S100, S101).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1024*768 해상도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1280*1024 해상도 이상을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로 분류하는 경우,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사용자 해상도가 1280*1024인 경우 브라우저의 여백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임의의 기준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고, 임의 설정된 기준 해상도에 따라 브라우저 여백 확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업체는 컨텐츠 사이즈를 미리 체크하여 업로드되는 HTML 문서내에 변수로 선언 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에 의해 해당 광고 태그가 삽입된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페이지가 열리면,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브라우저의 사이즈를 체크하고, 미리 선언된 컨텐츠 사이즈를 체크하여 브라우저 사이즈와 컨텐츠 사이즈간의 차이를 통해 여백 사이즈를 알 수 있다.
이 때,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가 좌측정렬인 경우 여백은 우측에 나타나므로,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이를 기초로 광고의 위치 및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가 중앙 정렬인 경우,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사전 선언된 컨텐츠 사이즈를 고려하여 좌우 여백 사이즈를 계산하고 각각의 위치 및 사이즈에 맞게 광고를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따라서, 각 사용자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을 고려하여, 고해상도 사용자 에게는 브라우저 상의 여백을 활용한 다양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각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해상도에 따라 광고 사이즈가 조정되므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부터 브라우저 크기 조정을 위한 리사이즈(RESIZE)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배너 조정부(520)는 브라우저의 여백을 다시 확인하여 광고 사이즈를 여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S105).
이 때, 광고 조정부는 여백의 가로 사이즈를 기초로 광고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으며, 광고의 세로 사이즈는 여백의 가로 사이즈 변화에 따라 비율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를 위한 최소 사이즈를 지정하여, 여백 사이즈가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에도 광고 사이즈는 일정 크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해상도를 체크하여, 기준 해상도 이상의 고해상도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 사이즈가 기준 사이즈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1, S203).
그리고, 브라우저 사이즈가 기준 사이즈 이상인 경우, 컨텐츠의 정렬방식을 확인하여 컨텐츠 정렬방식에 따른 브라우저 여백을 확인할 수 있다(S205, S207, S209). 예를 들어 컨텐츠 정렬방식이 중앙인 경우 여백은 브라우저의 양쪽에서 확인할 수 있고, 컨텐츠 정렬방식이 좌측인 경우 여백은 브라우저의 우측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정렬방식에는 중앙 정렬 혹은 좌측 정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렬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초기 배너 설정부(510)는 확인된 브라우저 여백의 위치 혹은 사이즈에 기초하여 배너 위치를 조정하고 배너 사이즈를 조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211, S213).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브라우저부터 브라우저 크기 조정을 위한 리사이즈(RESIZE)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배너 조정부(520)는 브라우저의 사이즈를 다시 확인하고 브라우저 여백을 확인할 수 있다(S215, S217). 그리고, 확인된 브라우저 여백의 위치 혹은 사이즈에 기초하여 배너 위치를 조정하고 배너 사이즈를 조정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211, S213).
이상 설명한 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 및 그 균등 사항으로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할 때, 실제 사용자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형태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고정위치에 고정적인 사이즈로 전송되는 기존 인터넷 광고와 차별하여, 고해상도 사용자의 브라우저 화면에 발생할 수 있는 여백을 광고 영역으로 확보하고, 브라우저 사이즈 혹은 여백 사이즈에 기초하여 배너 사이즈를 조정하면서 컨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우저 사이즈에 따라 달라지는 여백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광고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고, 광고 이외의 여백에는 광고주 로고등의 배경화면을 노출하여 광고 주목도를 높이는 동시에 브라우저 여백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문서내 포함된 광고 태그에 전송될 배너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광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배너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해상도를 체크하여 기준 해상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배너 광고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광고 조정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고 조정 서버는,
    미리 정의된 컨텐츠 사이즈, 브라우저 사이즈 및 컨텐츠 정렬방식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브라우저의 여백 사이즈 및 여백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파악하고, 파악된 여백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 배너 광고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080034423A 2008-04-14 2008-04-14 광고 제공 시스템 KR20080042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423A KR20080042051A (ko) 2008-04-14 2008-04-14 광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423A KR20080042051A (ko) 2008-04-14 2008-04-14 광고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086A Division KR100830369B1 (ko) 2006-01-02 2006-01-02 광고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051A true KR20080042051A (ko) 2008-05-14

Family

ID=3964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423A KR20080042051A (ko) 2008-04-14 2008-04-14 광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20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009B1 (ko) * 2010-05-07 2011-04-07 김안종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982109A (zh) * 2011-11-08 2013-03-20 微软公司 所供给的广告的数量的动态确定
KR101355478B1 (ko) * 2011-12-29 2014-01-29 주식회사 씨에이취피커뮤니케이션 윈도우 상의 공백 영역 검출 방법, 이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방법
WO2015030838A1 (en) * 2013-08-28 2015-03-05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hird-party content on a web page
US12002072B1 (en) 2015-09-16 2024-06-04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managing placement of content slots in an information resour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009B1 (ko) * 2010-05-07 2011-04-07 김안종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982109A (zh) * 2011-11-08 2013-03-20 微软公司 所供给的广告的数量的动态确定
WO2013070638A1 (en) * 2011-11-08 2013-05-1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determination of number of served advertisements
KR101355478B1 (ko) * 2011-12-29 2014-01-29 주식회사 씨에이취피커뮤니케이션 윈도우 상의 공백 영역 검출 방법, 이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방법
WO2015030838A1 (en) * 2013-08-28 2015-03-05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hird-party content on a web page
US10354294B2 (en) 2013-08-28 2019-07-16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hird-party content on a web page
US12002072B1 (en) 2015-09-16 2024-06-04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managing placement of content slots in an information re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30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advertisement
US8631142B2 (en) Inserting targeted content into a portlet content stream
US6892217B1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rich text document comprising conditional code for identifying advertising information stored locally or on the internet
KR100830369B1 (ko) 광고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US20030131095A1 (en) System to prevent inappropriate display of advertisements on the internet and method therefor
JP5766169B2 (ja) 広告配信装置及び広告配信方法
US2007021300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news blog
US9432483B2 (en) Server device, contribu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ntribu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80114818A (ko) 클라이언트 컴퓨터 상에 전자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구현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AU2009305737A1 (en) Mobile device advertising
CN109863524B (zh) 用于传送实时内容的方法和系统
US11113455B2 (en) Web page rendering on wireless devices
KR20080042051A (ko) 광고 제공 시스템
US89543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ing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30128229A1 (en) Allowing a user to determine whether to view web content based on cost
US20100049787A1 (en) Method of an internet service, system and data server therefor
KR101111898B1 (ko)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사용을 절감하는 서버 시스템
US20170193554A1 (en) Advertising method and advertising system using web content
KR101418821B1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1326B1 (ko) 기준 영역에 의해 기사별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제공되는 기사 제공 서비스 시스템
US20030191819A1 (en) Client aware notification in a wireless portal server
KR101082750B1 (ko) 티커 기능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4443A (ko) 맞춤형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784B1 (ko) 스크롤 바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09051B1 (ko) 무선인터넷 광고 자동 이동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