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836A - The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 Google Patents
The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1836A KR20080041836A KR1020060109940A KR20060109940A KR20080041836A KR 20080041836 A KR20080041836 A KR 20080041836A KR 1020060109940 A KR1020060109940 A KR 1020060109940A KR 20060109940 A KR20060109940 A KR 20060109940A KR 20080041836 A KR20080041836 A KR 200800418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height
- formwork panel
- panel
- bo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거푸집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ormwork pane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conveying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이송구를 나타내는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ying por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
1: 거푸집 2: 거푸집패널 11: 패널받침대1: formwork 2: formwork panel 11: panel support
12: 베이스 20: 동체 21: 유로12: base 20: fuselage 21: euro
26: 인장스프링 23: 스프링 24: 로드26: tension spring 23: spring 24: rod
25: 나선부 30: 승강프레임 31: 볼트25: spiral portion 30: elevating frame 31: bolt
40: 조절볼트 50: 높이조절기구40: adjusting bolt 50: height adjustment mechanism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높이조절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조작에 있어 누구나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면서 거푸집패널의 설치와 해제작업이 신속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에 관련하여 시공성, 작업성, 효율성이 증대되고, 사용에 있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푸집패널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상태 및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정확하게 유지됨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시공의 정확성과 시공품질의 균일화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거푸집패널의 높이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existing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yone in the operation can be easily operated while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formwork panel quickly and smoothly. In this regard, workability, workability and efficiency are increased, and th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is adjusted by simple operation in use, so that the accuracy of construction in connection with concrete placement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and the finishing state with the ceiling part accurately. It relates to a height control mechanism of the formwork panel that can be expected to uniform the construction quality.
일반적으로, 거푸집 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기둥, 바닥 및 벽 등의 틀을 짠 후 그 틀 안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 이 틀을 떼어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거푸집 패널은 바닥으로부터 수평하게 설치되어야만 제대로 된 구조물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거푸집패널은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때 반죽상태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패널 하단에 거푸집패널들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거푸집패널 높이조절기구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formwork panel is a structure temporarily installed in order to make the concrete structure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dimensions, and refers to squeezing a frame such as pillars, floors, and walls, and then pouring concrete into the frame, and then hardening the frame. . Such formwork panels must be installed horizontally from the floor to form a proper structure. Such, the formwork panel is installed in the formwork panel height adjustment mechanism to maintain the formwork panel to the same height at the bottom of the formwork panel when the concrete is placed in the concrete form when the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도 1은 종래의 거푸집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가 도시된다. 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ormwork panel.
통상 건축물 시공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1)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패널(2)을 구비하되, 패널(2)의 하단에는 바닥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못으로 고정시킨 수평조절목(3)을 설치하고, 패널(2)의 상단에는 천정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팀버(4)를 수용하는 팀버브라켓(5)을 설치한다. 이때, 패널(2)의 보강과 수평, 수직상태를 위하여 그 후면에는 훅(6)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보강대(7)와 수직보강대(8)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Formwork (1) for placing concrete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usually provided with two panels (2) facing each other to fill the concrete inside, fixed to the bottom of the panel (2) with a nail to level with the floor Install the horizontal adjustment neck (3), the timber bracket (5) for accommodating the timber (4) for leveling the ceiling and the top of the panel (2). At this time, for the reinforcement and horizontal, vertical state of the panel (2)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bar (7) and vertical reinforcing bar (8) is fixed to the rear by the hook (6).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거푸집 시공방법은 패널의 변형이나 규격미달, 바닥의 시공불량, 수평조절목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거푸집패널의 수평잡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거푸집패널의 자체 수평상태 뿐 만 아니라, 천정부 (실질적으로는 천정 시공을 위한 거푸집패널)와의 수평 균형을 맞추기가 곤란하여 콘크리트 누출, 벽체의 허용 수직공차 초과 등 시공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existing formwork construction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level the formwork panel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panel, less than the standard, poor construction of the floor, twisting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tree, etc. Therefore, the formwork panel only has its own horizontal st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alance the horizontal balance with the ceiling (in fact, formwork panel for ceiling construction), resulting in poor construction, such as concrete leakage, exceeding the allowable vertical tolerance of the wall.
또한, 거푸집 패널의 해체시 수평조절목이 무거운 중량의 패널에 의해 눌려있는 동시에 못으로 박혀있기 때문에 해체시의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의 낭비뿐만 아니라 패널과 수평조절목의 훼손으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ormwork panel is dismantled, it is difficult to dismantle it because the horizontal adjustment tree is pressed by the heavy weight panel and nailed into the nail, and this is not only a waste of manpower and time, but also due to the damage of the panel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tree. There was an impossible drawback.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설치 및 해체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거푸집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어조작기구를 이용한 방식이 도입되기도 한다. 이는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거푸집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높이조절을 위해 기어조작시 특수공구를 이용해야함으로 반드시 이를 비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조작하기가 너무 힘이 들이 사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To this end, conventionally, a method using a gear operation mechanism may be introduc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as a method for eliminating inconveniences during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within a relatively fast time, but it is cumbersome to use it because it requires the use of a special tool to operate the gear for height adjustment, and it is too hard to operate. There was an inconvenient disadvantage.
그리고 무엇보다도 기어조작기구가 차지하는 기본적인 높이 때문에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이상부터 조작이 가능하여 일반 아파트에 비해 층고가 낮은 주공 아파 트 규격에 맞게 시공을 해야 하는 현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Above all, because of the basic height occupied by the gear operating mechanism, it is possible to operate from a certain height above the floo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pply realistically in the field where construction should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ain building apartment, which has a lower height than general apartment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높이조절기구를 보다 개선하여 조작에 있어 누구나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면서 거푸집패널의 설치와 해제작업이 신속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에 관련하여 시공성, 작업성, 효율성이 증대되고, 사용에 있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푸집패널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상태 및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정확하게 유지됨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시공의 정확성과 시공품질의 균일화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거푸집패널의 높이조절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easily operated by anyone in the operation by improving the existing height adjustment mechanism, the installation and release of the formwork panel is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In this regard, workability, workability and efficiency are increased, and th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is adjusted by simple operation in use, so that the leveling and finishing with the ceiling can be accurately maintained, and the accuracy and construction quality of the construction related to concrete plac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rmwor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that can be expected to be unifor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2)을 받쳐주는 패널받침대(11)와 이와 연계되어 바닥에 안착된 베이스(12) 사이에 설치되어 거푸집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구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되는 J형 관체로 성형되어 유로(21)에 다수의 이송구를 적층되게 수용하고, 상류단에 스프링(23)이 탄지된 로드(24)와 하류단에 나선부(25)를 구비하는 동체(20); 상기 동체(20)의 로드(24)에 볼트(31)를 통하여 결합되고, 패널받침대(11)의 측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승강프레임(30); 및 상기 동체(20)의 나선부(25)에 개재하여 체결하고, 이송구(22)들을 가압하여 로드(24)를 승강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볼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송구는 원형(22a),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 중 택일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hole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selected from the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이송구는 로드(24)와 조절볼트(40)의 일단에 안내편(24a)(40a)을 더 구비하고, 양측의 안내편(24a,40a)에 사이에 인장스프링(26)을 설치하여 이를 이용하여 로드(24)를 승강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hole is further provided with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should us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alternatives may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2)을 받쳐주는 패널받침대(11)와 이와 연계되어 바닥에 안착된 베이스(12) 사이에 설치되어 거푸집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구에 관 련되며, 동체(20), 승강프레임(30), 조절볼트(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높이조절기구(50)는 패널받침대(11)와 베이스(12) 사이에 설치되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panel support (11) supporting the formwork panel (2) and the base (12) seated on the floor in connection with this relates to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the body (20),
본 발명에 따르면 동체(20)는 양단이 개방되는 J형 관체로 성형되어 유로(21)에 다수의 이송구(22)를 적층되게 수용하고, 상류단에 스프링(23)이 탄지된 로드(24)와 하류단에 나선부(25)를 구비한다. 동체(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J형 관체로 성형되고 양단이 개방된 유로(21)를 구비한다. 유로(21)는 내부에 다수의 이송구(22)를 적층되게 수용된다. 이때, 상기 이송구는 원형(22a),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 중 택일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원형(22a)을 기준하여 도시하고 그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송구가 원형이 아닌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유로(21)는 상류단에 로드(24)가 수용되게 장착되는 바, 이러한 로드(24)의 외주면에는 스프링(23)이 탄지된 상태에서 다수의 이송구(22)에 의해 유로(21)내에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스프링(23)은 동체(20)의 유로(21)에 형성된 단턱(도면번호 미부여)과 로드(24)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도면부호 미부여)사이에 탄지된다. 이때, 스프링(23)은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로(21)내에서 로드(24)를 하강시킬 때 압축된 스프링(23)이 원상태로 환원하여 로드(24)를 하강시킨다.The
그리고 유로(21)의 하류단에는 나선부(25)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조절볼 트(40)와 나사 결합되어 다수의 이송구(22)를 동체(20)의 상류단으로 이송시켜 로드(24)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유로(21)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단은 로드(24)가 수용된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고, 하류단은 조절볼트(40)가 체결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And a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프레임(30)은 동체(20)의 로드(24)에 볼트(31)를 통하여 결합되고, 패널받침대(11)의 측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승강프레임(3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이 패널받침대(11)의 측단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단에는 미설명된 도면부호 30a인 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프레임(30)의 통공(30a)을 통하여 동체(20)의 로드(24)에 볼트(3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이러한 로드(24)는 통공(30a)을 통하여 상하로 승강된다. 이에 따라 승강프레임(30)은 로드(24)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프레임(30)과 일체로 연결된 패널받침대(11)도 베이스(12)로부터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볼트(40)는 동체(20)의 나선부(25)에 개재하여 체결하고, 이송구(22)들을 가압하여 로드(24)를 승강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조절볼트(4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볼트를 사용하는데, 이는 동체(20)의 하류단에 형성된 나선부(25)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조절볼트(40)는 다수의 이송구(22)를 동체(20)의 상류단으로 이송시켜 로드(24)를 승강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조절볼트(40)는 동체(20)의 나선부(25)로부터 회전시켜 가압하면, 조절볼트(40)에 의해 다수의 이송구(22)가 유로(21)내에서 이송되어 로드(24)를 상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24)가 상승하면 이와 함께 볼트(31)에 연결된 승강프레임(30)이 상승되는 동시에 패널받침대(11)를 상승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adjust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통하여 작동에 있어서, 우선 패널받침대(11)상에 거푸집패널(2)을 안착하고, 패널받침대(11)와 베이스(12) 사이에 높이조절기구(50)를 설치하되, 승강프레임(30)은 패널받침대(11)의 측단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In operation through FIG. 4, first, the
이렇게 구성된 높이조절기구(50)를 이용하여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볼트(40)를 동체(20)의 나선부(25)로부터 회전시켜 가압하면 도시된 것처럼, 조절볼트(40)가 다수의 이송구(22)가 가압되어 유로(21)내에서 상류단으로 이송되어 로드(24)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로드(24)가 상승되면 이와 함께 볼트(31)에 연결된 승강프레임(30)이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프레임(30)과 일체로 연결된 패널받침대(11)가 상승되어 패널받침대(11)에 안착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그리고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재차 조절볼트(40)를 역회전시켜 동체(20)의 나선부(25)로부터 가압을 풀게 되면 도시된 것처럼, 유로(21)내의 상류단에 위치하던 다수의 이송구(22)는 하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에 따라, 다수의 이송구(22)에 의해 상승된 로드(24)는 스프링(23)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즉 이송구(22)들이 이동한 거리만큼 하부로 하강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이와 동시에 로드(24)가 하부로 하강하면 이와 함께 승강프레임(30)이 하강하는 동시에 승강프레임(30)과 일체로 연결된 패널받침대(11)가 하강되어 패널받침대(11)에 안착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은 조절볼트(40)에 의해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패널받침대(11)에 안착된 거푸집패널(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conveying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이송구는 원형(22a),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 중 택일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송구는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 중 택일하여 사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체(20)의 유로(21)내에 수용된 원형(22a) 대신에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 중 택일하여 수용되는 구조이고, 동체(20), 승강프레임(30), 조절볼트(40) 등 여타의 구성과 작용에 있어서도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의 적용에 차이가 없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por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alternatively selected from the circle (22a), pentagonal (22b), hexagonal (22c), heptagonal (22d). This conveyance port shows the example which used alternatively among
다만, 도 5a 내지 도 5c에서 도시된 것처럼 이송구의 형상을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 5a에서는 이송구를 오각형(22b), 도 5b에서는 육각형(22c), 도 5c에서는 칠각형(22d)으로 나타낸 것으로, 동체(20)의 유로(21)내에 장착되는 로드(24)와 조절볼트(40) 사이에 수용된다. 이러한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은 이송구는 원형(22a) 대신에 오각형(22b), 육각형(22c), 칠각형(22d) 등 다각화하여 원형에 근접할수록 사용자가 조절볼트(40)에 큰 회전력을 주기 곤란하여 동체(20)의 나선부(25)에의 체결을 위한 토크는 감소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S. 5A to 5C, the shape of the conveyance port is illustrated as a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이송구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ying por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이송구는 로드(24)와 조절볼트(40)의 일단에 안내편(24a)(40a)을 더 구비하고, 양측의 안내편(24a,40a)에 사이에 인장스프링(26)을 설치하여 이를 이용하여 로드(24)를 승강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송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20)의 유로(21)내에 장착되는 로드(24)와 조절볼트(40) 사이에 인장스프링(26)을 사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As a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hole further includes a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4에 적용되는 동체(20)의 유로(21)내에 장착되는 로드(24)와 조절볼트(40) 사이에 수용되는 것은 동일하고, 여타의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에 적용에 차이가 없고 전술한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다만, 도 6에서는 로드(24)와 조절볼트(40)의 일단에 안내편(24a)(40a)을 구비하고, 안내편(24a,40a)에 사이에 인장스프링(26)을 설치한 것으로,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26)에 의해 로드(24)를 상하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내편(24a,40a)은 유로(21)내에서 인장스프링(26)이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인장스프링(26)은 로드(24) 를 승강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s mentioned above, the same thing is accommodated between the
즉 도 6의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볼트(40)를 회전시켜 가압하면 조절볼트(40)가 인장스프링(26)을 가압하면서 유로(21)내에서 상류단으로 이송하여 로드(24)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로드(24)가 상승되어 승강프레임(30)과 패널받침대(11)가 상승하여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adjusting
이와 더불어, 조절볼트(40)를 역회전시켜 가압을 풀게 되면 유로(21)내의 상류단에 위치하던 인장스프링(26)은 스프링(23)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류단으로 하강하여 이동)하는 동시에 로드(24)가 하강하여 승강프레임(30)과 패널받침대(11)가 하강하여 거푸집패널(2)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구(50)는 조작에 있어 조절볼트(40)를 통해 이송구를 이송시킴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면서 거푸집패널(2)의 설치와 해제작업이 신속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에 관련하여 시공성, 작업성, 효율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사용에 있어도 조절볼트(40)를 조작하여 이송구를 이송시켜 거푸집패널(2)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거푸집패널의 수평상태 및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정확하게 유지됨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시공의 정확성과 시공품질의 균일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As such,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에 있어 누구나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면서 거푸집패널의 설치와 해제작업이 신속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에 관련하여 시공성, 작업성, 효율성이 증대되고, 사용에 있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푸집패널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상태 및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정확하게 유지됨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시공의 정확성과 시공품질의 균일화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operated by anyone in operation, while the installation and release work of the formwork panel is performed quickly and smoothly in this regard, workability, workability, efficiency is increased, and in use By the simple operation, th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is adjusted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and the finish with the ceiling accurately, and provide the effect of expecting the accuracy of the construction and the uniformity of the construction quality related to the concrete placemen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9940A KR20080041836A (en) | 2006-11-08 | 2006-11-08 | The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9940A KR20080041836A (en) | 2006-11-08 | 2006-11-08 | The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1836A true KR20080041836A (en) | 2008-05-14 |
Family
ID=3964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9940A KR20080041836A (en) | 2006-11-08 | 2006-11-08 | The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4183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14365A (en) * | 2020-12-31 | 2021-05-18 | 武汉市鑫发桥涵设备制造有限公司 | Steel building template with metal outer frame |
-
2006
- 2006-11-08 KR KR1020060109940A patent/KR20080041836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14365A (en) * | 2020-12-31 | 2021-05-18 | 武汉市鑫发桥涵设备制造有限公司 | Steel building template with metal outer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012115679A (en) | METHOD FOR PRODUCING AN ELEVATOR | |
KR100839352B1 (en) | The horizentally controlled molding panel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CN111021712B (en) | Damper cantilever wall template reinforcing mechanism and using method thereof | |
KR20120108077A (en) | Level spacer for concrete pouring | |
CN209163493U (en) | A kind of precast beam limiting platform | |
CN209293244U (en) | Wallboard mounting device | |
KR20080041836A (en) | The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 |
CN106771100A (en) | Precast concrete stair structure and property detection loads support | |
KR100895829B1 (en) | The mold installing structure of the slab opening. | |
KR100972606B1 (en) | Wall and dome form | |
CN110886332A (en) | Wall foundation underpinn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04138087U (en) | Guide rail bracket of elevator | |
KR100394743B1 (en) | Horizontality and height controlling device of mould | |
KR200426084Y1 (en) |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 |
KR20110043120A (en) | Apparatus for lifting up and down a slab form assembly | |
KR101059862B1 (en) | Exterior panel fixing device of building | |
KR100728071B1 (en) | The dropping unit for concrete forms of slab supporter | |
KR102427020B1 (en) | Gang form safety lifting apparatus | |
KR200469612Y1 (en) | Lintel manufacturing equipment | |
CN203320922U (en) | Supporting device for forming of elevator shaft template | |
KR101314170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tower silo | |
KR101875578B1 (en) | Lifting apparatus of hydraulic system-form for keeping balance of slab form using slave cylind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CN205591519U (en) | Elevator shaft operation frame | |
CN1948666A (en) | Wall hanging type distributing machine | |
KR20100117462A (en) | Hand-gun 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