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824A - Home network managing system - Google Patents

Home network manag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824A
KR20080041824A KR1020060109914A KR20060109914A KR20080041824A KR 20080041824 A KR20080041824 A KR 20080041824A KR 1020060109914 A KR1020060109914 A KR 1020060109914A KR 20060109914 A KR20060109914 A KR 20060109914A KR 20080041824 A KR20080041824 A KR 20080041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home
new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37716B1 (en
Inventor
이승헌
Original Assignee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716B1/en
Publication of KR2008004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Abstract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o perform new setting by wireless without the input of physical human resources when devices with various protocols have to be linked with each other in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a home network, thereby improving the scal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home network. A DCU(Device Connection Unit)(30) is connected to heterogeneous home network devices and processes mutual linking between the home network devices for forming a network between the home network devices. A home server(20) processes and stores events transferred from the DCU in a lower layer, transmits the event to an upper layer, analyzes and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the upper layer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DCU in the lower layer. A central management center(10) transceives data to the hom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monitors and stores a home network state.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home network managing system}Home network manag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동작 이해도이다.2 is an operation understanding diagram of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중앙관리센터 11 : 데이터베이스10: Central Management Center 11: Database

20 : 홈서버 30 : 기기접속장치20: home server 30: devic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홈네트워크 영역으로 참여하기 위해서 기기접속장치와 연결된 경우, 중앙관리센터에서 해당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통신 프로토콜을 원격으로 로딩하여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와 물리적인 통신 채널 설정이 원격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when a new home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a device access device to participate in a home network area,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remotely loads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new home network device to a new home. It relates to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network equipment and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s to be made remotely.

최근 많은 홈 오토메이션 및 홈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어 실생활에 적용되 기 시작하고 있다. 홈오토메이션 분야와 홈 네트워크의 개념이 서로 혼용되어 발전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미래의 가정 환경은 다양한 정보기기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환경을 형성하여 digital 데이터를 가공, 전달, 공유, 관리함으로써 복합적이고, 융합된 홈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Recently, many home automation and home network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real life. The concept of home automation and home network are mix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the home environment of the future will provide a complex and converged home service by processing, transmitting, sharing and managing digital data by forming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devices are connected by one network.

홈네트워크는 댁내의 다양한 정보가전기기,A/V 기기, 데이터 통신기기들이 상호 네트워크 연결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미래지향적 가정 환경이다. 홈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정 내의 장비들을 연결하는 것과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정까지 전달해주는 외부 네트워크, 홈 디지털 서비스를 구현하는 콘텐츠 및 솔루션 등 세가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The home network is a future-oriented home environment where various information appliances in the home, A / V devices,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eceive various services. Building a home network requires three components: connecting devices in the home, an external network that delivers home network services to the home, and content and solutions that implement home digital services.

집안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은 다양한 프로토콜, 통신 매체로 연결되는 장치들이 혼재되어 있다. 홈서버/홈 게이트웨이는 이기종의 장치를 관리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외부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twork configuration in the house is a mixture of devices connected to various protocols, communication media. The home server / home gateway manages heterogeneous devices, forms a network, and works with external networks.

단지 네트워크 디바이스 연동 이외에도 홈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홈 서비스에 대한 유지 보수를 지원하는 외부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단지 서버로 각 세대별 홈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해 홈서버와 통신한다. 홈 디지털 서비스는 현재 꾸준히 홈네트워크 기반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으며 궁극적으로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o network device interworking, an external home network system that supports the maintenance of home services based on the home network infrastructure communicates with the home server to manage the home network for each generation as a server. Home digital services are currently under continuous efforts to develop home network-based killer applications, and ultimately aim to realize a ubiquitous society.

홈네트워크 유형은 구성 장비와 통신매체에 따라 IP 기반의 PC, 프린터, PDA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 위주의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와 가정내 각종 제어 장치류(가스, 보일러 온도 조절기, 전등 , 도어락, 전동커튼)의 제어 및 검침 을 위한 제어 네트워크(Control Network), 멀티미디어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 3가지로 분류된다. The home network type is based on the data network based on large data processing such as IP-based PCs, printers, PDAs, and various control devices (gas, boiler thermostats, lights, door locks, It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ntrol network for control and meter reading of electric curtains, and entertainment network for providing multimedia and content services.

위와 같이 다양한 특징의 네트워크를 쉽게 연동하는 기술이 홈네트워크가 성장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기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of easily interworking various types of network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echnology for the growth of home networks.

상기에 제시된 네트워크들을 통합하기 위해 미들웨어 기반의 UPNP, HAVi, OSGi 처럼 각각 디바이스 제어 및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접근 방식은 별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디바이스내 프로토콜 스택을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CPU, 메모리등의 컴퓨팅 능력이 없거나 부족한 기존의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integrate the above-mentioned networks, protocols for device control and interworking, such as UPNP, HAVi, and OSGi based on middleware, are standardized. However, the above approach has a limitation in connecting existing devices that lack or lack computing capability such as CPU and memory since a separate standard interface must be equipped with a protocol stack in a device.

또한 표준 선점을 위해 많은 기관들이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아직까지 주도적인 홈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In addition, many organizations are fiercely competing to preempt the standard, so there is no leading protocol for home network standards.

홈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장비의 종류는 단순 제어장비에서부터 컴퓨팅 능력을 갖춘 고성능 장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각 장비들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링크 매체부터, 통신 프로토콜, 기기별 제어 데이터 값이 각양각색이다.The types of equipment participating in the home network range from simple control equipment to high-performance equipment with computing power. The data link media used by each equipment, communication protocols, and control data values for each device vary.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현재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은 각 장비의 특정 인터페이스를 미리 설정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현재의 홈네트워크는 사전에 정의된 장비에만 제한되고 네트워크 운영관리를 위한 별도의 인력을 구성 유지해야 하는 폐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current home network system construction implements a home network system by presetting a specific interface of each device. Today's home networks have a closed feature that is limited to predefined equipment and requires the creation of a separate manpower for network operations management.

새로운 홈네트워크 장비의 추가할 경우 또는 자리 이동으로 인한 네트워크 주소의 변경,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기존 홈 네트워크 구조를 물리적으로 시스템 포트 변경, 관련 프로그램 갱신 작업을 각 세대별로 추진해야 한다. When adding a new home network device or changing a network address due to a change of seat, or a software change to improve system performance, physically change the system port of the existing home network structure and update related programs for each generation. do.

또한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전 및 기기의 집합으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기존의 빌트인 방식의 폐쇄적인 홈네트워크의 구성은 한계점이 있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home network composed of various information appliances and a set of devices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the existing built-in closed network configuration has a limitation.

다양한 표준화기술의 출현으로 인한 호환성의 부재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홈 네트워크 구성 및 관리,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의 제어/감시/이벤트 처리 기능을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다양화, 진화, 변경, 갱신의 문제로 수렴한다. The lack of compatibility due to the emergence of various standardization technologies is not only applicable to home network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devices and control / monitoring / event processing functions between devices, but also to diversify, evolve, and change home network services. Converge on the issue of renewal.

또한 향후에는 보편화된 지속적인 홈네트워크 서비스 유지 관리 모델과 관련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generalized continuous home network service maintenance model and related services in the fu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홈네트워크 영역으로 참여하기 위해서 기기접속장치와 연결된 경우, 중앙관리센터에서 해당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통신 프로토콜을 원격으로 로딩하여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와 물리적인 통신 채널 설정이 원격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to participate in the home network area,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in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remotely loading a new home network device and establishing a physical communication channel.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이기종의 홈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결되고, 이 홈 네트워크 장비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동을 처리하는 기기접속장치와, 상기 하위 계층인 기기접속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를 처리 저장하고, 이를 상위계층으로 전송하며,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한 후, 상기 하위 계층인 기기접속장치에 전송하는 홈서버와, 상기 홈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홈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 및 저장하는 중앙관리센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an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connected to heterogeneous home network equipment, and physically interoperating to form a network between the home network equipment Process and store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and the event transmitted from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which is the lower layer, transmit it to the higher layer, analyze and store data transmitted from the higher layer, and then transmit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to the lower layer. And a central management cent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home server and the internet network, and monitoring and storing a home network state.

또한, 상기 중앙관리센터에는 상기 기기접속장치에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장비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홈서버 및 기기접속장치의 구동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f home network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and storage means for storing driving software of the home server and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또한, 상기 기기접속장치는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하고, PLC, 이더넷 및 RS232/485/422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r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PLC, Ethernet and RS232 / 485/422 communication channels.

또한, 상기 기기접속장치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지를 감시하고, 자동으로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상태를 추출하여 홈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connection apparatus monitors whether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orts, and automatically extract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and transmits the home server.

또한, 상기 홈서버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된 포트 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로 신규 홈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me server checks the port address to which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and requests new home network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또한,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저장수단에 기록되어 사전에 정의된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정보를 상기 홈 서버로 전 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is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the storage mean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predefined in advance to the home server.

또한, 상기 홈 서버는 상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정보를 저장 갱신하고, 상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되는 포트의 통신채널 설정 값을 상기 기기접속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기기접속장치는 상기 포트에 통신채널 설정 값을 할당하여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me server stores and updates the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of the port to which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by assigning a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to the po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동작 절차를 보여주는 이해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understanding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은 이기종의 홈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결되는 기기접속장치(30)와, 상기 기기접속장치(30)를 하위계층으로 하고, 이것에 대한 상위계층인 홈서버(20)와, 상기 홈서버(20)를 하위계층으로 하고, 이것에 대한 상위계층인 중앙관리센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vice connection device 30 connected to heterogeneous home network equipment, and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as a lower layer, It comprises a home server 20, which is an upper layer, and the home server 20, which is an upper layer, and a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which is an upper layer.

상기 기기접속장치(30)는 다양한 프로토콜로 통신을 하는 이기종의 홈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기종의 홈 네트워크 장비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is connected to heterogeneous home network equipment that communicates through various protocols. And it is processed to be physically interoperable to form a network between the heterogeneous home network equipment.

상기 기기접속장치(30)는 상기 이기종의 홈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과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 하여 PLC, 이더넷 및 RS232/485/422 통신 채널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rts to be connected to the heterogeneous home network equipment, and to support the PLC, Ethernet and RS232 / 485/422 communication channels to form a network connected to them It is configured to be.

상기 기기접속장치(30)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복수개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지를 계속적으로 감시한다. 감시 결과,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상태를 추출하여 상기 홈 서버(20)에 전송하게 된다. 즉,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되면,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포트 정보를 상기 홈 서버(20)에 전송한다.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ports.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home server 20. That is, when the new home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he connection port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home server 20.

상기 하위 계층인 기기접속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포트 정보 등의 이벤트는 상기 홈 서버(20)에서 처리되고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홈 서버(20)는 처리 저장된 이벤트를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중앙관리센터(10)에 전송한다. Events such as connection port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transmitted from the device access device 30 which is the lower layer are processed and stored in the home server 20. The home server 20 transmits the processed and stored events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yer.

이와 같이, 상기 홈 서버(20)는 상기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기기접속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포트 정보 등의 데이터를 상기 상위 계층인 중앙관리센터(10)에 전달하는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홈 서버(20)는 하위계층인 기기접속장치(30)에서 상위계층인 중앙관리센터(10)로의 데이터 전송의 매개 역할뿐만 아니라, 상기 상위계층인 중앙관리센터(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한 후, 상기 하위계층인 기기접속장치(30)에 전송하는 매개 역할도 담당한다.As such, the home server 20 transmits data such as connection port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transmitted from the device access device 30 corresponding to the lower layer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which is the upper layer. It plays an intermediate role. On the other hand, the home server 20 i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of the upper layer, as well as the mediation role of the data transmission from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of the lower layer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of the upper layer. After analyzing and storing the data, it also plays a mediating role of transmitting to the device access device 30, which is the lower layer.

상기 홈 서버(20)는 상기 하위계층인 기기접속장치(30)로부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포트 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된 포트 주소를 확인하고, 이를 저장한 다음 상기 중앙관리센터(10)로 상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포트 정보를 전송하면서 신규 홈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When the home server 20 receives the connection port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from the device access device 30, which is the lower layer, the home server 20 checks the port address to which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stores it, and then stores the central management. The center 10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new home network while transmitting connection port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그러면, 상기 중앙관리센터(10)는 사전에 정의된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정보 등의 장비설정 정보를 찾아서 상기 홈 서버(20)로 다시 전송한다. 상기 중앙관리센터(10)는 상기 홈 서버(20)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체적으로 홈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The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finds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f new home network equipment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defined in advance, and transmits them back to the home server 20.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home server 2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monitors the home network status as a whole, and stores the result.

상기 중앙관리센터(10)에는 상기 기기접속장치(30)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홈 네트워크 장비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와 상기 홈서버(20) 및 기기접속장치(30)의 구동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미도시)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원격으로 상기 중앙관리센터(10)에서 상기 홈 서버(20) 및 기기접속장치(30)로 전송된다.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has a database 11 for stor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home network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and the driving software of the home server 20 and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It includes 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not show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storage means is remotely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to the home server 20 and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상기 중앙관리센터(10)가 상기 홈 서버(20)로 사전에 정의된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정보 등의 장비설정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홈 서버(20)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정보를 저장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되는 포트의 통신채널 설정 값을 상기 하위계층인 기기접속장치(30)로 전달한다.Whe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transmits the device setting information such as the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and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previously defined to the home server 20, the home server 20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Save and update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of the port to which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is transferred to the device access device 30 that is the lower layer.

상기 홈 서버(20)로부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되는 포트의 통신채널 설정 값을 전송받은 기기접속장치(30)는 상기 포트에 통신채널 설정 값을 할당하여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최종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device access device 30 receiv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of the port to which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from the home server 20 allocates the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to the port so that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can be finally connected. do.

이상에서 설명한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정리하고, 그 시 스템 운영에 대하여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described above is summarized as follows.

본 발명인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리서버(10), 홈서버(20), 기기접속장치(10)로 구성되고, 계층적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As shown in FIG. 1,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entral management server 10, a home server 20, and a device connection device 10, and constitutes a hierarchical network.

최상위에 위치한 중앙관리센터(10)는 인터넷망을 통해 홈서버와 통신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 제어를 통한 지리적인 한계를 극복하였다. 세대별 홈서버와 TCP/IP 통신으로 데이터를 상시 교환하며 홈네트워크 상태를 기록하며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관리센터(10)의 중앙 집중식 홈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세대내의 기기 상태 조회 및 프로토콜 변경을 원격화, 자동화할 수 있다.Since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located at the top can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hom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t overcomes geographical limitations through remote control. It exchanges data at all times by TCP / IP communication with home server by generation and records and monitors home network status. Through the centralized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it is possible to remotely and automate device status inquiry and protocol change in a household.

각 세대별로 위치한 홈서버(20)는 댁내의 홈기기의 제어 및 홈 서비스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을 제공한다. 중앙관리센터(10)와 하위 장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접속장치(10)와의 중간 매개체로 집안의 홈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고 모니터링 정보 및 중앙관리센터 관련 서비스 정보를 저장,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관리센터(10)에서 신규 홈 서비스 관리 정책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동적으로 홈서버내 소프트웨어를 변경할 수 있다. The home server 20 located for each household provides a control, home service program, and user interface channel of a home device in the home. Intermediate betwee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and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10) constituting the lower equipment network to process events occurring in the home network of the house, and to store and deliver monitoring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Perform. A new home service management policy program can be download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0 to dynamically change the software in the home server.

이기종의 다양한 홈 네트워크 장비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동을 처리하기 위한 기기접속장치(Device Connection Unit:DCU)(30)는 여러 개의 포트로 구성되어 PLC, Ethernet, RS232/485/422 통신 채널을 지원한다.  Device Connection Unit (DCU) 30 for physically interworking to form a network between heterogeneous home network equipments is composed of several ports and includes PLC, Ethernet, RS232 / 485/422 communication channels. Support.

상기 기기접속장치(30)는 홈 네트워크 장비가 포트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새로운 장비의 연결 상태를 추출하여 홈서버로 전송한다. 홈서버는 새로운 장비가 추 가된 포트 주소를 확인하고 중앙관리 센터로 장비 프로토콜을 요청한다.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30 automatically extract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new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home server when the home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rt. The home server checks the port address where the new device is added and requests the device protocol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중앙관리센터는 미리 정의된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집합을 홈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홈서버에서는 홈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기기 제어 정보를 갱신하고 기기접속장치로 전송한다. 기기접속장치는 해당 포트에 통신채널 설정 값을 할당하여 최종적으로 홈네트워크 장비와 연결한다.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sends a set of predefined equipment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to the home server. By analyzing the transmitted data, the home server updates the device control information for the home network equipment and transmits it to the device access device. Device access device allocates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to corresponding port and finally connects with home network equipment.

이와 같은 프로토콜 갱신 처리 방식은 실 사용자의 개입 없이 원격화, 자동화되는 특징을 가진다.This protocol update processing method is characterized by being remotely and automated without the involvement of a real user.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홈네트워크 설치 및 구축시 다양한 프로토콜의 장치들이 혼재되어 상호 연동을 이루어야 하는 환경에서 물리적 인적 자원 투입 없이 원격에서 새로운 설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n the environment where devices of various protocols are mixed and interworking when home network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are possible, new setting can be performed remotely without physical human resource input.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향후 발생하는 새로운 프로토콜 수용을 자유롭게 지원하기 때문에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네트워크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supports the acceptance of new protocols that occur in the future, it is advantageous to improve the scal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home network by ensuring network participation of new home network equipment.

또한, 기기접속장치가 홈 네트워크 장비에 자동으로 연결되고, 연결 포트별 통신 채널 설정 값 변경이 중앙관리시스템 통제 하에서 원격으로 수행되기 때문에,신규 장비의 추가 및 기존 장비들의 이동을 통해 집안의 네트워크 구조가 변화되더라도 상이한 기기 간의 통신 프로토콜 특성을 용이하게 수렴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change per connection port is performed remotely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house through the addition of new equipment and the movement of existing equipment Even if is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converge the communication protocol characteristics between different devices.

또한, 홈서버에서 발생하는 기기 제어 값들도 동시에 갱신되어 관리자가 직접 가정에 방문하여 네트워크 구조 변경에 대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 values generated in the home server are also upd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dministrator does not have to visit the home and take action on the network structure change.

또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장비 간의 상호 운용성 지원은 다른 표준화 미들웨어 및 프로토콜의 별도 스택을 탑재해야 하는 종래와 달리 기기접속장치와 원격 접속을 통해 기존 프로토콜 변경 없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upport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home network equipment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protocol through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and the remote access, unlike the conventional need to mount a separate stack of other standardized middleware and protocols.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들간 상호 호환성 부재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홈네트워크 시장에 큰 활력소가 되고, 디바이스 개발자가 모든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를 알아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자사의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보유하고 있는 소규모 중소기업에게도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eat vitality for the home network market, which shows limitations due to the absence of inter-compatibility between devices, can reduce the burden of device developers need to know all the home network middleware, and have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having its own protocol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opportunity to connect to home network services.

또한, 본 발명은 향후 새로운 장치의 홈네트워크 진입 통로를 제공하고, 기존의 폐쇄적인 홈네트워크 환경의 한계를 벗어나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스트럭쳐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infrastructure that can provide a home network entry path of the new device in the future, and provide ubiquitous services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losed home network environment.

Claims (7)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이기종의 홈 네트워크 장비들과 연결되고, 이 홈 네트워크 장비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동을 처리하는 기기접속장치와;A devic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heterogeneous home network devices and physically interworking to form a network between the home network devices; 상기 하위 계층인 기기접속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를 처리 저장하고, 이를 상위계층으로 전송하며,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한 후, 상기 하위 계층인 기기접속장치에 전송하는 홈서버와;A home server for processing and storing an event transmitted from the lower layer device access device,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upper layer, analyzing and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upper layer,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lower layer device access device; 상기 홈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홈 네트워크 상태를 감시 및 저장하는 중앙관리센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And a central management cent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home server and the internet network, and monitoring and storing a home network sta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중앙관리센터에는 상기 기기접속장치에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장비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홈서버 및 기기접속장치의 구동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f home network devices connected to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and a storage means for storing driving software of the home server and the device connection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기기접속장치는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하고, PLC, 이더넷 및 RS232/485/422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The device connecting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ports, and supports a PLC, Ethernet, and RS232 / 485/422 communication channel.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기기접속장치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지를 감시하고, 자동으로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상태를 추출하여 홈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The device connection apparatus monitors whether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orts, and automatically extract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and transmits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to the home server.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홈서버는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된 포트 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로 신규 홈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The home server checks the port address to which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is connected, and requests the home network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저장수단에 기록되어 사전에 정의된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정보를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is a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previously defined in the database and storage means to the home server.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홈 서버는 상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와 제어 명령어 정보를 저장 갱신하고, 상기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되는 포트의 통신채널 설정 값을 상기 기기접속장치에 전달하며, 상기 기기접속장치는 상기 포트에 통신채널 설정 값을 할당하여 신규 홈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The home server stores and updates the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of the new home network device,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of a port to which the new home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the device access device, and the device access device sends the port.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new home network equipment by assigning a communication channel setting value to.
KR1020060109914A 2006-11-08 2006-11-08 home network managing system KR100837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14A KR100837716B1 (en) 2006-11-08 2006-11-08 home network mana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14A KR100837716B1 (en) 2006-11-08 2006-11-08 home network manag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24A true KR20080041824A (en) 2008-05-14
KR100837716B1 KR100837716B1 (en) 2008-06-13

Family

ID=3964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14A KR100837716B1 (en) 2006-11-08 2006-11-08 home network manag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7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929A (en) * 2018-05-09 2019-11-19 주식회사 케이티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Access
KR20200099907A (en) * 2019-02-15 2020-08-25 안규민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interworking with wall-pa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406B1 (en) * 2003-11-27 2006-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utomatic service loading method in homegatewa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929A (en) * 2018-05-09 2019-11-19 주식회사 케이티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Access
KR20200099907A (en) * 2019-02-15 2020-08-25 안규민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interworking with wall-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716B1 (en) 200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bano et al. Message-oriented middleware for smart grids
KR100717166B1 (en) 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CN101461194B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devices in a network
KR20040103980A (en) Method For Implementing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Internetworking, Respective Networks And Interface Component
CN102857566A (en) Intelligent gateway of internet of things capable of being customized by software
CN101218797A (en) House gateway system for household network service
KR100637080B1 (en) 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US10505750B2 (en) Box for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devices
US11929873B1 (en) OPC UA-based centralized user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ime-sensitive network
US20180191858A1 (en) System for managing data of user devices
CN102404413A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automatic matching of function applications among household digital devices
KR102094041B1 (en) System having the Semantic Engine based on RDF Graph for Autonomous Interaction between IoT Devices in Real-Time
KR100837716B1 (en) home network managing system
US20220021667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US11438191B2 (en) Interconnection box for user devices
KR100571520B1 (en) The method of resource sharing in a home network system with unification middleware
KR1008333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management using OMA master device management client
Li Design of smart home cloud server
US11329841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remote action manager and a communication box
KR1003519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HO through internet
Yan et al. A Middleware of IoT-Based Smart Home Based on Service
CN1376985A (en) Field bus network controller
Giladi SNMP for home automation
Nguyen et al. ECHONET Lite-based IoT Platform for Smart Homes
Gundall et al. Assessing open interfaces and protocols of PLCs for computation offloading at field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