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396A -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 Google Patents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396A
KR20080041396A KR1020060109434A KR20060109434A KR20080041396A KR 20080041396 A KR20080041396 A KR 20080041396A KR 1020060109434 A KR1020060109434 A KR 1020060109434A KR 20060109434 A KR20060109434 A KR 20060109434A KR 20080041396 A KR20080041396 A KR 20080041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unit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30771B1 (en
Inventor
정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771B1/en
Publication of KR2008004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7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Abstract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s provid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agents for offering various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hrough a digital broadcasting network. A broadcasting signal processing member(21) receives a broadcasting signal and outputs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broadcasting data separately. A memory member(23) stores the digital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member(22) performs a data input function by a user and sets the kinds of desired broadcasting data. A control member(26) performs the general contro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ted from the user interface member and stores the information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member in the memory member. An extraction member(24) extracts the broadcas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member among the broadcasting data and outputs the broadcasting data to a display module. A data storing member stores the broadcasting data extracted from the extracting member.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 및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의 일 실시예,1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다른 실시예,3 is another embodiment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일 실시예,4 is an embodiment of a client terminal,

도 5는 방송신호처리부의 일 실시예,5 is an embodiment of a broadcast signal processor;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예이다.6 is an example of a process of making a customiz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11-n: 정보 에이전트 12: 통신 네트워크11-1 to 11-n: Information Agent 12: Communication Network

13: 데이터 방송 송신장치 13-1: 정보수집서버13: Data Broadcasting Transmitter 13-1: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

13-2: 정보 데이터베이스 13-3: 데이터 변환부13-2: Information Database 13-3: Data Conversion Section

13-4: 다중화부 13-5: 방송부13-4: Multiplexer 13-5: Broadcaster

20: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21: 방송신호처리부20: digital broadcast receiver 21: broadcast signal processing unit

2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 메모리부22: user interface unit 23: memory unit

24: 추출부 25: 디스플레이 모듈24: extraction unit 25: display module

26: 제어부 27: 데이터 저장부26: control unit 27: data storage unit

30: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31: 방송신호처리부30: digital broadcast receiver 31: broadcast signal processing unit

32: 통신부 33: 메모리부32: communication unit 33: memory unit

34: 추출부 35: 제어부34: extraction unit 35: control unit

36: 데이터 저장부 37: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 data storage 37: user interface

40: 클라이언트 단말 4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 client terminal 41: user interface unit

42: 제어부 43: 디스플레이 모듈42: control unit 43: display module

44: 통신부 51: 튜너부44: communication unit 51: tuner unit

52: 역다중화부 53: 비디오 디코더52: demultiplexer 53: video decoder

54: 오디오 디코더 55: 디스플레이 처리부54: audio decoder 55: display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 및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in particular, to allow a user to set a type of broadcast data desired by the user so as to provide a customized data service to the user.

최근 디지털 방송의 보급에 따라 유럽, 아시아, 북미 등 여러 나라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디지털 방송은 위성방송,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지상파 DMB, IP TV 등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spread of digital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have been started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At the present time, digital broadcasting has been commercia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atellite broadcasting,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errestrial DMB, and IP TV.

한편, 이러한 각종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도 수익모델의 발굴이 가장 중요한 관심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에서는 유럽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올해부터 본 방송을 시작한 지상파 DMB 사업자와 2005년 5월에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위성 DMB 사업자 모두 수익모델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이제 막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는 IP TV 사업에서도 역시 수익모델을 찾는 것이 중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overy of profit model is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field of interest in various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In this regard, both terrestrial DMB operators, which were adopted as European standards in Korea and started broadcasting this year, and satellite DMB operators, which started commercial services in May 2005, are trying to develop profit models. In addition, in the IP TV business, which is just beginning its service, finding a profit model is also an important task.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예상되는 수익모델 중의 하나는 데이터 방송이며, 데이터 방송은 이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현재 데이터 방송은 독립형 서비스로만 제공되고 있으며, 별도 채널에서 날씨나 교통 등의 정보를 전달하거나 게임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서비스되고 있다.One of the revenue models expected in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is data broadcasting, which is now entering the commercialization stage. Currently, data broadcasting is provided only as a stand-alone service, and it is being serviced to deliver information such as weather or traffic or provide a game in a separate channel.

그러나 앞으로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하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위성 DMB 환경에서는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주문 배달이 가능한 거래형 서비스와 금융 거래 서비스도 등장할 예정이다. 미래의 디지털 방송은 오디오/비디오(A/V)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목적보다 각종 생활에 유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것이다.However, in the future, various kinds of service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In the satellite DMB environment, interactive data services will be provided, and transactional services and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s capable of order delivery will also appear. Future digital broadcasts will be used for the purpose of using services useful for a variety of lives, rather than for viewing audio / video (A / V) content.

결론적으로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방송과 통신을 융합시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기술적인 부분이 데이터 방송 도입 초기의 관심분야이었다면 지금은 데이터 방송을 어떻게 활용하고 응용할 것인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방송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 되었다 할 것이다.In conclusion, data broadcasting service can be regarded as a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if the technical part was an area of interest in the early stage of data broadcasting, attention is now focused on how to use and apply data broadcasting. Accordingly, it will be time to develop various methods to properly utilize and apply data broadcast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데이터 방송 환경에서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 및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meet the above needs, to effectively collect and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in a data broadcasting environment, the user can select and use only the information he wants, the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providing a centralized customized data ser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에이전트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서버;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방송망을 통해 전송할 형태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방송용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와 함께 다중화하는 다중화부; 및 상기 다중화부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방송망을 통해 송신하는 방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 for collect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information agents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 data converter conver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database into a form to be transmitted through a broadcasting network; A multiplexer which multiplexes the data converted by the data converter with a broadcast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a broadcast unit transmitting a signal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through a broadcast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할 비디오 신호, 스피커로 출력할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로 구분 출력하는 방송신호처리부;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총괄적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송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종류의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는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ing: a broadcast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a broadcast signal, output a video signal to a display module, an audio signal to be output to a speaker, and output the broadcast data separately; A memory unit for storing digital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put a control signal and to set a desired type of broadcast data;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overall contro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o store information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in the memory unit; And an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broadcast data of a type stored in the memory unit among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and output the extracted broadcast data to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할 비디오 신호, 스피커로 출력할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신호처리부; 사용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총괄적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설정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송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종류의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other embodiment of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signal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outputting a video signal to a display module, an audio signal to be output to a speaker, and outputting broadcast data; A user interface unit allowing a user to input a control signal;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lient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digital information; A controller which controls overall contro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clien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store the type of broadcast data set in the client terminal in the memory unit; And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broadcas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from the broadcasting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ing signal processing unit and outputting the broadcast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는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broadcast data extracted by the extractor.

상기 통신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lient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scheme of wired or wireless.

상기 방송신호처리부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방송 데이터를 분리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부; 상기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부;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할 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processing unit tuner unit for receiving an RF signal; A demultiplexer which demultiplex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tuner and separates video data, audio data, and broadcast data; A video decoder to decode the demultiplexed video data; An audio decoder to decode the demultiplexed audio data; And a display processor configured to convert the video data decoded by the video decoder into a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자면,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13)는 인터넷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12)를 통해 다양한 정보 에이전트들(11-1~11-n)과 연결된다. 여기서 정보 에이전트들(11-1~11-n)은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13)를 통해 자신의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이다.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13 is connected to various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2 such as an internet network.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are information providers for providing their information to users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13.

정보수집서버(13-1)는 통신 네트워크(12)를 통해 접속한 정보 에이전트(11-1~11-n)들과 통신하여 정보 에이전트들(11-1~11-n)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에이전트들(11-1~11-n)과 정보수집서버(13-1)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ng server 13-1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by communicating with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 do. The interface method of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and the information collecting server 13-1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cessary.

통신 네트워크(12)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일 경우에 정보 에이전트들(11-1~11-n)과 정보수집서버(13-1)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관한 예를 들자면, 정보수집서버(13-1)는 정보 에이전트들(11-1~11-n)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홈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홈페이지에는 정보를 구성하는 각 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는 정보 입력용 웹페이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데이터 필드는 서비스 정책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method between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and the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 13-1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 is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 13-1 ) May provide a homepage for allowing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The home page may include an information input web page including data fields for inputting each item constituting information, and each data fiel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service policy or needs.

하나의 예로서, 지역 상점의 광고를 위한 것인 경우에는 주소 필드, 상호 필드, 취급품목 필드, 가격 필드, 안내정보 필드, 쿠폰 적용 여부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As one example, when the advertisement is for a local store, it may include an address field, a mutual field, a handling item field, a price field, a guide information field, a coupon application field, and the like.

정보수집서버(13-1)는 정보 에이전트들(11-1~11-n)이 입력한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 때, 정보수집서버(13-1)는 각 정보 에이전트들(11-1~11-n)이 입력한 정보의 무결성을 조사하거나, 정보 에이전트들(11-1~11-n)이 입력한 정보의 통계처리, 정보 에이전트들의 관리, 데이터 방송에 실릴 정보의 선별, 수집된 정보의 가공 등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처리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 13-1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in the information database 13-2.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collecting server 13-1 checks the integrity of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or inputs the information agents 11-1 to 11-n.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processing required for the service providing the information, such as statistical processing of information, management of information agents, screening of information to be carried on data broadcasting, processing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데이터 변환부(13-3)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정보를 방송망을 통해 전송할 형태로 변환하고, 다중화부(13-4)는 데이터 변환부(13-3)에서 변환된 데이터와 방송할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 등을 함께 다중화한다. 그리고, 방송부(13-5)는 다중화부(13-4)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방송망을 통해 송신한다. 이러한 데이터 변환부(13-3)와 다중화부(13-4) 및 방송부(13-5)의 구성은 디지털 방송을 송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ata converting unit 13-3 conver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database 13-2 into a form to be transmitted through a broadcasting network, and the multiplexing unit 13-4 convert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converting unit 13-3 into data. Video data, audio data, and service information (SI) to be broadcasted are multiplexed together. The broadcast unit 13-5 transmits the signal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13-4 through the broadcast network.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converter 13-3, the multiplexer 13-4, and the broadcaster 13-5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methods capable of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13)에서 수집되어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들은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를 통해 수신되어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The broadcast data collected by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13 and transmitted through the broadcast network are received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of the user and provided to each user, and provide a customized data broadcast service to the user as described below. It is the basis for doing so.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방송신호처리부(21)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5)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 스피커(71)를 통해 출력할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도면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스피커(71)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2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21 may receive a video signal, process the video signal, and output the same through the display module 25. 71)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and broadcast data. In the figure, a speaker 71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is separately shown. However, the speaker 71 may be integrated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as necessary.

도 5를 참조하여 방송신호처리부(21)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튜너부(51)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RF 신호)를 수신하고, 역다중화부(52)는 튜너부(51)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 및 디지털화하여 디지털화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로 분리 출력한다. 그러면, 비디오 디코더(53)는 역다중화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을 해제하여 디코딩하며, 오디오 디코더(54)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디스플레이 처리부(55)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될 수 있는 신호(예: RGB 신호)로 만든다.Referring to FIG. 5, the tuner unit 5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RF signal) of a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and the demultiplexer 52 is a tuner unit. The signal received through 51 is demultiplexed and digitized and separated and output as a digitized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broadcast data. The video decoder 53 then decompresses and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audio decoder 54 decodes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The display processor 55 makes the decoded video data into a signal (eg, an RGB signal)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가 휴대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키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22 basically allows a user to in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The user interface 2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s a mobile phon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may include a keypad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어부(26)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형적으로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 plays a ro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and may be typically configured by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특히, 제어부(26)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메모리부(23)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 때, 제어부(26)는 디스플레이 모듈(25)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6 allows a user to input a desired type of broadcast data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2, and stores and manages the type of the input broadcast data in the memory unit 23.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6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screen through which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type of broadcast data desired by the display module 25.

디스플레이 모듈(25)은 방송신호처리부(21)에서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25 serves to display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21,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추출부(24)는 방송신호처리부(21)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메모리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종류의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5)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방송 데이터 모두가 아니라 자신이 보기를 원하는 종류의 방송 데이터만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볼 수 있게 되며, 이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사용자 맞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extractor 24 extracts th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memory 23 from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21 and delivers the broadcast data to the display module 25. That is, the user can selectively select and view only the type of broadcast data that he / she wants to view, not all of the broadcast data, which means that the data broadcast service can be made in a user-customized form.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는 데이터 저장부(2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부(26)는 추출부(24)에서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7)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로부터의 검색요청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may include a data storage unit 27.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26 stores the broadcast data extracted from the extractor 24 in the data storage unit 27. Control to retriev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7 in response to a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22. FIG.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통합 장치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로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패드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using components of an integrated device that is integrated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0 as necessary. For examp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av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ption function, a keypad and a display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used.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설정하고 또한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단말(40)과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other embodiment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30 is a wired line with a client terminal 40 that sets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and also displays broadcast data. Or 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scheme.

방송신호처리부(31)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72)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 스피커(71)를 통해 출력할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며, 도 5의 실시예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3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31 may receive a video signal, process the video signal, and output the same through the display module 72. The audio signal is separated into the audio signal and the broadcast data to be output through 71, and the embodiment of FIG. 5 may be applied as it is.

도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72)과 스피커(71)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예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가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티브이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스피커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가 셋탑 박스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스피커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display module 72 and the speaker 71 are separately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module 72 and the speaker 71 may be integrated wit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as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igital TV, the display module and the speaker constituting the digital TV screen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may be When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t-top box, the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the image and the speaker may not be integrated.

통신부(32)는 클라이언트 단말(40)과 적외선, 블루투스(Bluetooth), 직렬 통신방식 등 각종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32 communicates with the client terminal 40 through various wired 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infrared, Bluetooth, and serial communication, and the user interface 32 basically receives a user digital broadcast. It is possible to in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vice 30.

제어부(3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전형적으로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통신부(3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40)과 통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40)에서 설정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부(33)에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controller 35 collectively controls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according to a user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37, and typicall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microprocessor (Micro). Processo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 communicates with the client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 to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n the type of broadcast data set in the client terminal 40 in the memory unit 33.

추출부(34)는 제어부(35)의 제어하에 방송신호처리부(31)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메모리부(33)에 저장된 종류의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신부(3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전송한다.The extractor 34 extracts the broadcast data of the type stored in the memory 33 from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3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 and the client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or 32. To send.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는 데이터 저장부(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부(35)는 추출부(34)에서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36)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통신부(3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40)로부터의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데이터 저장부(36)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통신부(3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쿠폰 정보 등과 같이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는 정보는 일단 저장해 놓았다가 이후에 검색해 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may include a data storage unit 36.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35 stores the broadcast data extracted by the extractor 34 in the data storage unit 36. To control. When a search request from the client terminal 40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6 may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 . Accordingly, the user may stor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checked again, such as coupon information, and search for it later.

도 4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클라이언트 단말(40)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등의 각종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별도로 구성되는 독립적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lient terminal 4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or an independent device configured separately. Can be configure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는 사용자가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4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방송 데이터의 종류 설정 정보를 통신부(44)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 설정 정보를 메모리부(33)에 저장하고, 방송 데이터들 중 메모리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종류의 방송 데이터를 추출부(34)를 통해 추출하여 통신부(32)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40)로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40)의 제어부(42)는 통신부(44)를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30)가 전송해 주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43)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The user interface 41 allows a user to input and set the type of broadcast data, and the controller 42 sends the communication unit 44 to the type setting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ata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41. Through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is transmitted. T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stores the type setting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ata in the memory unit 33 and extracts the broadcast data of the type stored in the memory unit 33 among the broadcast data. Extra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to the client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 The controller 42 of the client terminal 40 receives broadcast data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4 and displays the broadcast data through the display module 43.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40)도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4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방송 데이터 저장을 지시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수단에 저장해 놓는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1)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 명령에 따라 저장수단에 저장해 놓은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해 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든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검색해 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ient terminal 40 may also include storage means (not shown) for storing broadcast data, and the control unit 42 instructs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41 to store the broadcast data. In the case of the signal, the received broadcast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n, th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search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41. Accordingly, the user can search for th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t any time.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서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an example of a specific process of providing a customized data service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의 종류를 설정한다(S61). 이 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의 지역과 '음식점'의 업종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하기로 한다.First, the type of advertisement desired by the user is set (S61).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area of 'Suksu 1-dong', Manan-gu, Anyang-si, Gyeonggi-do, and the type of 'restaurant' are set.

그러면, 이 설정 정보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저장되며(S62),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방송 송신장치가 방송하는 방송 데이터 중에서 설정된 지역과 업종에 해당하는 광고 데이터를 추출하고(S63).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하여(S64), 사용자는 원하는 종류의 데이터를 얻게 된다.T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S62), 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extracts advertise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gion and the industry set from the broadcast data broadcast by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S63). By displaying on the display module (S64), the user obtains the desired type of data.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출된 광고 데이터를 저장시켜 놓도록 하여(S65,S66), 이후에 사용자가 해당 광고 데이터를 다시 검색해 보거나, 쿠폰 등의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data extrac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s stored (S65, S66), so that the user can later search for the advertisement data again or use a message such as a coup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 관한 사업 모델을 확장하고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user-specific information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network, and can extend a business model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new revenue model.

Claims (7)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에이전트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서버;An information collecting server for collect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information agents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An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방송망을 통해 전송할 형태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A data converter conver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database into a form to be transmitted through a broadcasting network;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방송용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와 함께 다중화하는 다중화부; 및A multiplexer which multiplexes the data converted by the data converter with a broadcast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상기 다중화부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방송망을 통해 송신하는 방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And a broadcast unit transmitting a signal multiplexed by the multiplexer through a broadcast network.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할 비디오 신호, 스피커로 출력할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로 구분 출력하는 방송신호처리부;A broadcast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broadcast signals, separately output a video signal to be output to a display module, an audio signal to be output to a speaker, and broadcast data;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digital information; 사용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put a control signal and to set a desired type of broadcast data;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총괄적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overall contro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o store information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in the memory unit; And 상기 방송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종류의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는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And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broadcas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from the broadcast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 signal processor and outputting the broadcast data to the display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An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roadcast data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할 비디오 신호, 스피커로 출력할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를 구분 출력하는 방송신호처리부;A broadcast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a broadcast signal and to separately output a video signal for output to a display module, an audio signal for output to a speaker, and broadcast data; 사용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unit allowing a user to input a control signal;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lient terminal;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digital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총괄적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설정하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which controls overall contro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clien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store the type of broadcast data set in the client terminal in the memory unit; And 상기 방송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방송 데이터 중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종류의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And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broadcas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from the broadcasting data output from the broadcasting signal processing unit and outputting the broadcast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An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roadcast data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통신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And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lient terminal via a wired or wireless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처리부는The broadcast sign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broadcast signal processing unit RF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A tuner unit for receiving an RF signal;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방송 데이터를 분리하는 역다중화부;A demultiplexer which demultiplex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tuner and separates video data, audio data, and broadcast data; 상기 역다중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부;A video decoder to decode the demultiplexed video data; 상기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부; 및An audio decoder to decode the demultiplexed audio data; And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할 신호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And a display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video data decoded by the video decoder into a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KR1020060109434A 2006-11-07 2006-11-07 Receiv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KR1008307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434A KR100830771B1 (en) 2006-11-07 2006-11-07 Receiv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434A KR100830771B1 (en) 2006-11-07 2006-11-07 Receiv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396A true KR20080041396A (en) 2008-05-13
KR100830771B1 KR100830771B1 (en) 2008-05-20

Family

ID=3964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434A KR100830771B1 (en) 2006-11-07 2006-11-07 Receiv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7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38A1 (en) * 2015-09-07 2017-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582B1 (en) * 2003-10-28 2006-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gital Radio Broadcasting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its Method for Download Service of Data Files relateted to Broadcasting Cont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38A1 (en) * 2015-09-07 2017-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US10148995B2 (en) 2015-09-07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771B1 (en)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7650B2 (en) Contents receiving system and client
US79913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which relates in broadcasting
JP2008522456A (en) A method for realizing interactive advertising by extending linked data broadcasting to the Internet domain in a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JP3969096B2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JP2002125161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0988282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dvertisement during Channel Zapping Time and method thereof
KR100617790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JP2007013364A (en) Content viewing and listen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100342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CN101242500A (en) Remote controler using a structured data forma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45365A1 (en) Display/response system, display/response apparatus and display/response program storage medium
US20070245366A1 (en) Display/response system, show display apparatus and show display program storage medium
EP12763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JP2012244340A (en) Receiver cooperation system
KR100830771B1 (en) Receiving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ing
KR1004256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ontents in digital broadcasting
KR1008595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local information using internet
KR20140099983A (en) System,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using a redirect
CN1024745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1553765B1 (e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KR20060106211A (en) (an) image system for interactive and method of contorlling the same
JP2016189542A (en) Program relate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JP2005333402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5836406B2 (en) API providing server and API providing system
JP2005151347A (en) Aggregation service method and aggregation ser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