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155A -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155A
KR20080041155A KR1020080026411A KR20080026411A KR20080041155A KR 20080041155 A KR20080041155 A KR 20080041155A KR 1020080026411 A KR1020080026411 A KR 1020080026411A KR 20080026411 A KR20080026411 A KR 20080026411A KR 20080041155 A KR20080041155 A KR 20080041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nformation
server
disk drive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916B1 (ko
Inventor
석헌섭
박성호
정병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콤
Priority to KR102008002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9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2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using Network-attached Storage [NA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1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comprising remotely distributed storage units, e.g. when movies are replicated over a plurality of video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using load balancing strategies, e.g. by placing or distributing content on different disks, different memories or different ser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6Using a specific storage system architecture
    • G06F2212/263Network storage, e.g. SAN or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단말기와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직접 연결하여 전송지연을 방지하고,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이용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간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서버와 유저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가상으로 형성되어 유저의 단말기에 설정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유저인터페이스와, 헤더정보인 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정보와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SMB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하는 SMB매니저와, 유저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요구하는 파일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구 파일을 상기 서버에서 직접 전달받아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파일매니저로 구성되는 SMB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서버, 클라이언트, 헤더

Description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VIRTUAL DISK DRIVE FILE TRANSFER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단말기와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직접 연결하여 전송지연을 방지하고,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이용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간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사용자 컴퓨터의 물리적 저장용량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유저(또는 사용자)들은 좀 더 고화질, 고음질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원하고, 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크기도 커지고 있다. 또한, 자신의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 접근하고 싶은 사용자의 욕구도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개인 사용자 컴퓨터의 물리적 저장장치 또는 이동형 저장장치(USB 외장형 저장장치 등)만으로는 사용자의 욕구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저장공간의 물리적 한계와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지 못한 접근성의 한계 때문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 중 대표적인 것으로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비스(‘www.totodisk.co.kr’, ‘www.webhard.co.kr’ 등)가 있다. 일반적으로 ‘웹하드’ 또는 ‘웹스토리지’ 서비스라고도 한다.
초기 웹스토리지 서비스들은 많은 스토리지와 넓은 대역폭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가 아니더라도,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확보되면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게 하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좀 더 빠른 네트워크 속도와 많은 저장공간을 원했고, 이에 따라 물리적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대역폭에 대한 투자가 계속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그에 따라, 이런 급속한 비용 증가의 문제를 극복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좀 더 빠른 속도와 많은 저장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었다.
그 노력은 크게 두 가지로 형태로 진행되었는데, 하나는 저장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줄이는 것이었다. 그 노력들의 대표적인 예는 ‘파일의 정보를 이용하여 중복된 파일을 저장하고 다운로드하는 방법 및 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6-0073724호, 공개일:2006년 6월 29일, 이하 ‘인용발명 1’이라함.)’에 관한 발명과 ‘피투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최적 노드 검색 장치 및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5-0002356호, 공개일:2005년 1월 7일, 이하 ‘인용발명 2’라 함.)’에 관한 발명이다.
인용발명1은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저장 요청 데이터 중 동일한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인덱스와 카운터로 처리하는 방 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인용발명 1과 대비하여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의 단점을 살펴보면, 기존 운영 체제들은 파일 사이즈가 조금만 다르거나 전체 파일의 바이너리 구성 중 1바이트(Byte)만 달라도 다른 파일로 처리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했다. 하지만, 인용발명1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파일을 작은 블록 단위(예를 들면, 64Kbyte)로 분리하고, 각각의 블록 단위로 동일성 검사를 하여, 파일 크기나 구성 중 일부만 다른 경우 그 부분만 별도로 저장하여, 중복 파일에 대한 저장성을 높였다. 또한, 블록에 대한 인덱스를 구성하여, 웹스토리지 서버에 업로드 할 때, 블록 자체를 업로드 하기 전에 인덱스를 먼저 업로드하여 동일성 검사를 하는 과정을 통해 동일한 파일의 업로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효과적으로 낮춘 발명이다. 즉, 인용발명1의 구성을 통해 스토리지 절감 및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 절감의 효과를 이룬 것이다.
인용발명2는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 서버측 네트워크가 과밀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클라이언트 노드들을 활용하는 Peer-to-Peer(또는 ‘P2P’라고 간략히 표시하기도 한다.) 통신을 하는 방법 중 최적의 효율을 가지는 노드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 인용발명1 또는 인용발명2의 구성 및 효과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응용되어 웹스토리지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고, 실제로 그 효과도 발휘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클라이언트-서버구조와 중복파일 처리 및 P2P 기술 등을 활용하여, 웹인터페이스 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한 웹하드 또는 웹스토리지 서비스가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서비스 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로컬 저장장치를 사용할 때처럼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윈도우 탐색기처럼 운영체제의 파일시스템을 접근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WebDav’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가상의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마치 자신의 로컬에 있는 스토리지를 접근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들이 제공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유저인터페이스의 약간의 개선만 있었을 뿐, 실제 로컬 저장장치가 제공하는 반응성 및 접근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대용량멀티미디어 파일의 경우 압축방식의 개선으로 인해, 지연시간이 거의 없이 자신이 시청 또는 청취하고 싶은 부분을 선택할 경우 바로 시청 또는 청취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서버(20)방식을 이용하는 가상 스토리지 및 웹스토리지 서비스들은 파일 전체를 다운로드 받은 후 시청 또는 청취 할 수 있거나, 서버(20)에서 일부만 다운로드 받고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더라도 다운로드 받은 부분까지만 시청 또는 청취가 가능할 뿐, 사용자가 유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아직 다운로드 받지 못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부분의 스크롤 및 시청 등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등의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반응성을 실시간으로 유지하면서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절감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단말기와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직접 연결하여 전송지연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이용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간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디스크 방식의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시청 및 청취를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빠른 반응 및 자유로운 접근성을 보장하면서 저장공간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서버와 유저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가상으로 형성되어 유저의 단말기에 설정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유저인터페이스와, 헤더정보인 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정보와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SMB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하는 SMB매니저와, 유저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요구하는 파일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구 파일을 상기 서버에서 직접 전달받아 상기 유 저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파일매니저로 구성되는 SMB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파일매니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를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버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단말기에 해당되는 파일을 나타내는 로컬디스크드라이브와, 상기 서버에 포함되는 파일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가상디스크드라이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구간이동에 해당하는 블록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서버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파일매니저는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가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노드정보는 상기 서버에 할당되는 IP주소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블록정보는 상기 세그먼트의 크기와 유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블록정보를 체크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 세그먼트의 동일여부를 체크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와 유저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가상으로 형성되어 유저의 단말기에 설정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유저인터페이스와, 헤더정보인 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정보와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SMB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하는 SMB매니저와, 유저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요구하는 파일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구 파일을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전달받아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파일매니저로 구성되는 SMB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파일매니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를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전달받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버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단말기에 해당되는 파일을 나타내는 로컬디스크드라이브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포함되는 파일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가상디스크드라이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직접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파일매니저는,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가 전송지연인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여 상기 유저의 단말기로 상기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파일매니저는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단말기가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노드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할당되는 IP주소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장치의 블록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의 세그먼트의 크기와 유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블록정보를 체크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 세그먼트의 동일여부를 체크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에 대한 헤더정보를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요청하여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파일관리단계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을 오픈할 경우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매니저가 해당되는 각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송받는 파일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의 파일데이터전송단계에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를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전달받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의 파일데이터전송단계이후에,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구간이동에 해당하는 블록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매니저가 해당되는 각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 파일의 세그먼트 데이터전송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의 파일데이터전송단계에서,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가 전송지연인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여 상기 유저의 단말기로 상기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의 파일데이터전송단계에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단말기가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저단말기와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직접 연결하여 전송지연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이용한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간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상 디스크 방식의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시청 및 청취를 가능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빠른 반응 및 자유로운 접근성을 보장하면서 저장공간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절감하는 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DRD (Dynamic Relay Distribution) 파일시스템을 구현하여 대용량 파일을 손쉽게 다운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파일 저장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기존의 인터넷 브라우저 또는 독립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해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업로드 하던 번거롭던 방식을, 내 컴퓨터에 가상의 드라이브를 만들어, 사용자가 친숙한 파일탐색환경(일예로 MS사의 Windows 운영체제 상의 파일 탐색기)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업로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은 서버(200)와 유저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200)는 유저가 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의 파일 입력과 출력에 해당하는 사항을 관장(또는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유저단말기(100)는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상기 서버(200)에서 파일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110)는 가상으로 형성되어 유저단말기(100)에 설정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는 기존의 단말기의 하드 드라이브에 설치된 드라이브와는 다르게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가상 드라이브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110)는 유저단말기(100)의 다른 일반 드라이브와 마찬가지로 가상의 드라이브가 유저에게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해당 가상 드라이브를 통해 일반적인 드라이브와 마찬가지로 파일 접근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의 유저단말기와 서버와 클라이언트들의 관 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더정보와 파일의 각 세그먼트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세그먼트와 미저장세그먼트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2와는 다른 클라이언트들(300, 40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300, 400)는 상기 서버(200)와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200)에 저장하고 있는 파일의 헤더정보 등을 전달하고, 상기 서버의 제어를 받게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300, 400)는 각 가정의 개인단말기이거나, 다른 외부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300, 400)는 이론상 무한대의 단말기가 추가될 수 있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기(100)는 유저인터페이스(110) 뿐만 아니라 SMB게이트웨이(120)를 포함한다.
유저인터페이스(110)는 로컬디스크드라이브와 가상디스크드라이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컬디스크드라이브는 상기 유저단말기(100)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나타낸다.
상기 가상디스크드라이브는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에 포 함되는 파일의 헤더정보(130)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SMB게이트웨이(120)는 데이터베이스(250)와 SMB매니저(SMB Manager)(122)와 파일매니저(File Manager)(124)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논리적인 정보 흐름 상 분류일 뿐, 상기 매니저들은 통합되어 SMB게이트웨이(12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50)는 헤더정보(130)인 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Node)정보와 블록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파일정보는 일반적인 문서정보, 동영상정보, 인증서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노드정보는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에 할당되는 IP주소정보이다.
상기 블록정보(140)는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의 세그먼트의 크기와 유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파일매니저(124)가 상기 블록정보를 체크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 세그먼트(150)의 동일여부를 체크하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정보(140)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방법에 따르거나, 파일의 크기, 파일명, 파일의 유형 등을 포함하여 동일정보를 체크할 수 있는 체크파일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SMB매니저(122)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110)를 SMB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한다.
상기 파일매니저(124)는 유저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요구하 는 파일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250)의 헤더정보(130)를 이용하여 상기 요구 파일을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에서 직접 전달받아 상기 유저인터페이스(11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SMB게이트웨이(120)는 가상 디스크 드라이브의 논리적 파일 시스템을 주지하며, 가상 드라이브 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정보와 블록정보 등의 논리적인 정보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 매니저(122, 124)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일매니저(124)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110)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150)를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로 부터 전달받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150)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버퍼(12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더정보(130)는 블록정보(140)를 포함하며, 각 블록정보(140)는 임의의 파일 또는 동영상의 각 세그먼트(150)에 대응된다.
따라서, 파일매니저(124)는 파일 전체에 대응하는 모든 블록을 최대한 빨리 수신하여 임의의 파일에 대한 타 파일과의 동일성 등을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저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124)가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간이동명령은 동영상의 시청 중에 구간을 이동하여 시청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일정한 명령 또는 마우스 조작을 통해 임의의 구간을 재생하여 시청하고자하는 명령을 말한다.
따라서, 파일매니저(124)는 파일 전체에 대응하는 모든 블록을 최대한 빨리 수신하여 임의의 파일에 대한 타 파일과의 동일성 등을 용이하게 체크한 후, 상기 구간이동명령이 전달된 경우, 상기 이동된 구간을 블록을 참조하여 해당하는 파일을 가진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에서 직접 전달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동영상 시청 중의 구간이동명령은 대용량문서파일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대용량문서파일(예를 들어 수천장의 문서파일)의 일정 페이지를 바로 구간이동하여 편집 후 저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일매니저(124)는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가 전송지연인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124)가 상기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여 상기 유저단말기(100)로 상기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의 파일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일매니저(124)가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저장세그먼트(151)와 제2저장세그먼트(153)를 포함하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상기 노드정보를 참조 검색하여, 이에 해당하는 서버(200) 또는 클라이언트(300, 400)로부터 상기 파일을 신속하게 전송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간의 정보 전달 순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저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부하가 걸리는 경우를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지연인 경우를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가 구간이동명령을 한 경우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2는 도11의 구간이동명령이 실행된 사항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유저가 유저단말기를 통하여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파일을 전달받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은 크게 로그인단계와 파일관리단계와 파일데이터전송단계로 나뉘어 진다.
먼저, 유저는 유저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로그인한다(S100; 로그인단계).
그리고, 유저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에 대한 헤더정보를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요청하여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S110; 파일관리단계).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을 오픈할 경우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매니저가 해당되는 각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다(S120; 파일데이터전송단계).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는 헤더정보(파일정보, 사이즈정보, 노드 정보 및 블록정보)를 서버로부터 전달 받아 유저에게 파일정보를 리스팅 하고, 각 파일에 대한 상세정보를 갱신 및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유저인터페이스의 동영상1을 클릭할 경우(S500), 상기 동영상 1에 해당되는 파일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파일의 블록들을 보유한 노드들로부터 동시에 병렬적으로 전송받는다.
여기서, 상기 노드는 유저인터페이스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서버 등에 저장된다.
즉, 아래 표1과 같이 유저인터페이스에는 파일명, 크기, 수정한 날짜가 나타 날 수 있지만, 보유한 노드 정보와 총블록수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20690021-PAT00001
따라서, 상기 유저는 어떤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 받는 것에 상관없이 자신의 컴퓨터 내부에 있는 파일을 접근하는 것과 같은 환경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된다.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기가 헤더정보(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정보와 블록정보)를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S200).
그리고, 유저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해 파일을 오픈한다(S210).
계속하여, 상기 파일을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받아 유저단말기가 재생한다(S220).
그리고, 파일매니저가 각 파일 구간 중 구간 부하가 걸리는 곳이 있는지를 탐색한다(S230).
계속하여, 상기 파일매니저가 동일 파일이 저장된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를 검색한다(S250).
상술한 단계들 이외에 상기 파일매니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를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전달받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S200단계 내지 S220단계와 동일하다.
상술한 단계들 이외에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가 전송지연인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여 상기 유저의 단말기로 상기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의 파일을 전송한다(S350, S360).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단계들 이후에,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는 상기 구간이동에 해당하는 블록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매니저가 해당되는 각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 파일의 세그먼트 데이터전송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S450, S460).
구체적으로, 도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A부분에서 B부분으로 이동한다는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구간이동에 해당하는 블록정보(도면에서 블록4)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매니저가 해당되는 각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상기 파일데이터전송단계에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단말기가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상호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DRD (Dynamic Relay Distribution) 파일시스템을 구현하여 대용량 파일을 손쉽게 다운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1은 배경 기술에 따른 각 구성의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구성의 유저단말기와 서버와 클라이언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더정보와 파일의 각 세그먼트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세그먼트와 미저장세그먼트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간의 정보 전달 순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저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부하가 걸리는 경우를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지연인 경우를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가 구간이동명령을 한 경우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12는 도11의 구간이동명령이 실행된 사항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유저단말기 110 : 유저인터페이스 120 : SMB게이트웨이 124 : 파일매니저 200 : 서버 250 : 데이터베이스
300 : 클라이언트1 400 : 클라이언트2

Claims (20)

  1. 서버와 유저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가상으로 형성되어 유저의 단말기에 설정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유저인터페이스와;
    헤더정보인 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정보와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SMB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하는 SMB매니저와, 유저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요구하는 파일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구 파일을 상기 서버에서 직접 전송받아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파일매니저로 구성되는 SMB게이트웨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를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버퍼;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 송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단말기에 해당되는 파일을 나타내는 로컬디스크드라이브와;
    상기 서버에 포함되는 파일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가상디스크드라이브;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구간이동에 해당하는 블록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서버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가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정보는 상기 서버에 할당되는 IP주소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정보는 상기 세그먼트의 크기와 유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블록정보를 체크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 세그먼트의 동일여부를 체크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8. 서버와 클라이언트와 유저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가상으로 형성되어 유저의 단말기에 설정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유저인터페이스와;
    헤더정보인 파일정보와 사이즈정보와 노드정보와 블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SMB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하는 SMB매니저와, 유저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요구하는 파일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요구 파일을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전달받아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파일매니저로 구성되는 SMB게이트웨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를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전달받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버퍼;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단말기에 해당되는 파일을 나타내는 로컬디스크드라이브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포함되는 파일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가상디스크드라이브;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 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가 전송지연인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여 상기 유저의 단말기로 상기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단말기가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할당되는 IP주소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의 세그먼트의 크기와 유형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블록정보를 체크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 세그먼트의 동일여부를 체크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16. 유저가 유저단말기를 통하여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파일을 전달받는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기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에 대한 헤더정보를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요청하여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파일관리단계와;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파일을 오픈할 경우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매니저가 해당되는 각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송받는 파일데이터전송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데이터전송단계에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가 요구하는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를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전달받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기 유저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데이터전송단계이후에,
    상기 파일의 구간이동명령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될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구간이동에 해당하는 블록정보를 통해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파일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파일매니저가 해당되는 각 클라이언트에 직접 연결시켜 상기 파일을 전달받는 파일의 세그먼트 데이터전송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데이터전송단계에서,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가 전송지연인 경우, 상기 파일매니저가 상기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중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를 판단하여 상기 유저의 단말기로 상기 전송지연시간이 적은 장치의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데이터전송단계에서,
    상기 파일매니저는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저 단말기가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방법.
KR1020080026411A 2008-03-21 2008-03-21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11A KR100974916B1 (ko) 2008-03-21 2008-03-21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11A KR100974916B1 (ko) 2008-03-21 2008-03-21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55A true KR20080041155A (ko) 2008-05-09
KR100974916B1 KR100974916B1 (ko) 2010-08-09

Family

ID=3964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411A KR100974916B1 (ko) 2008-03-21 2008-03-21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10B1 (ko) * 2012-02-02 2014-01-27 (주)레이풀시스템 가상 디스크 드라이브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13452683A (zh) * 2021-06-15 2021-09-28 郑州云智信安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库行列级权限控制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0554B2 (en) 2002-04-04 2006-03-07 Emc Corporation Delegation of metadata management in a storage system by leasing of free file system blocks and i-nodes from a file system owner
KR100760050B1 (ko) * 2004-08-23 2007-09-18 주식회사 네시아 가상 드라이브를 이용한 저작권 보호방법
EP1727056B1 (en) * 2005-05-25 2008-11-05 Microsoft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protocol
KR20080014424A (ko) *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속도 조정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10B1 (ko) * 2012-02-02 2014-01-27 (주)레이풀시스템 가상 디스크 드라이브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13452683A (zh) * 2021-06-15 2021-09-28 郑州云智信安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库行列级权限控制的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916B1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8315B (zh) 可变速率媒体传送系统
US8392615B2 (en) Dynamic variable rate media delivery system
EP2359536B1 (en) Adaptive network content delivery system
US8769139B2 (en) Efficient streaming server
US809081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transfer
US20110055386A1 (en) Network analytics management
EP208871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tributing file data
US20140165119A1 (en) Offline download method, multimedia file download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100241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Streaming Media File
US10575167B2 (en) Anycast manifest retrieval, unicast content retrieval
US20110055881A1 (en) Media file on-demand method, system and appartus
KR19990087916A (ko) 인터넷콘볼루션오디오/비디오서버
JP2004513411A (ja) コンテンツ交換装置
WO2015155768A1 (en) Improved method and system for caching of video files
US200801151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file
JP2007193602A (ja) ストリーム・データ配信管理方法及び装置
US20130054691A1 (en) Flexible rule based multi-protocol peer-to-peer caching
KR100974916B1 (ko) 가상 디스크드라이브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516499A (ja) 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によって要求されたコンテンツ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プロバイダが選択され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16257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AU2020226900B2 (en) Adaptive retrieval of objects from remote storage
KR100825456B1 (ko) 내부 버퍼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Hiranpongsin et al. Integration of recommender system for Web cache management
Bak et al. SMART: high performance internet server for high definition streaming service
Serbinski Prefetchingin HTTP to improve performance in the delivery ofweb p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