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048A -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048A
KR20080041048A KR1020060109138A KR20060109138A KR20080041048A KR 20080041048 A KR20080041048 A KR 20080041048A KR 1020060109138 A KR1020060109138 A KR 1020060109138A KR 20060109138 A KR20060109138 A KR 20060109138A KR 20080041048 A KR20080041048 A KR 20080041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ear
driv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092B1 (ko
Inventor
소병석
김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0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은 구동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팽창에 따라 같이 팽창하고 상기 팽창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귓바퀴에 삽입되며, 스피커 유니트의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에 적합하게 상기 삽입부를 팽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어셋, 오픈형 이어셋, 커널형 이어셋, 구동부, 센서부

Description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Ear-set and methods for user adap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을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센서부와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구동부의 구동에 따르는 센서부 내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오픈형 이어셋 20: 커널형 이어셋
21: 캡 100: 삽입부
110: 센서부 120: 구동부
200: 제어부
본 발명은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어셋을 착용하여 이어폰 등의 삽입부가 귓바퀴 또는 귓구멍 내벽과 접촉하게 된 경우에, 이러한 삽입부가 사용자의 귓바퀴 또는 귓구멍에 맞게 적절한 압력까지 팽창하고 이러한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개별 사용자에게 적합한 밀폐성을 제공하며, 이어셋의 삽입부가 사용자의 귀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어셋이 과도하게 사용자의 귀에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은 활발한 연구활동의 결과로 그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외형에 있어서,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기기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으며, 내적인 기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 무선 데이터 통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P3 재생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현재 핸드백이나 가방 속에 이러한 모바일기기를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통화를 하거나, DMB 및 MP3 재생 등을 공공장소에서 개인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무선 이어셋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어셋의 구조는 크게 오픈형과 커널형으로 나눠진다. 오픈형 이어셋은 스피커를 귓바퀴에 걸쳐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귓바퀴에만 걸치므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귀에서 이탈되기 쉬우며, 음악을 듣는 동안 외부잡음의 영향을 받는 등의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커널형 이어셋은 스피커에, 사운드의 통로가 되는 관을 연결한 이어셋이다. 이러한 관의 외부는 유연한 고무 등의 부재로 형성된 캡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널형 이어셋은 잘 빠지지 않고 외부소리로부터 밀폐되는 장점이 있으나, 관의 외부 부재인 캡이 외이도에 압박을 주기 때문에 염증 등이 생길 수 있고, 이를 통해서도 개별 사용자의 귓구멍에 완전하게 맞는 이어셋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종래 기술로는 공기조절기구를 갖는 이어폰(공개번호 KR2001-0045790) 및 형상기억소자를 갖는 이어폰 등이 제시되었다.
공기조절기구를 갖는 이어폰은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외곽부분에 존재하는 고무 부재에 공기를 넣어 이를 부풀림으로써, 사용자의 귓구멍에 밀착시키는 방식이다. 이는 자기가 직접 수동으로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탈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형상기억소자를 갖는 이어폰은 스피커의 외곽부분에 존재하는 고무 등의 팽창부재 내에 형상기억소자를 형성하여, 이어폰을 포함하는 삽입부가 귓구멍에 삽입된 경우 형상기억소자가 팽창함에 따라, 스피커의 외곽부분에 존재하는 팽창부재가 팽창하여 사용자의 귓구멍에 밀착시키는 방식이다. 이는 규격화된 크기로 변형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사람에 따라 귓구멍이 큰 사람이 있고, 작은 사람이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차이를 구별하지 않고, 귀의 온도 또는 외부 온도에 따라서 일정하게 변화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며, 또한 탈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이어셋을 착용하여 이어폰 등의 삽입부가 귓바퀴 또는 귓구멍 내벽과 접촉하게 된 경우에, 삽입부가 이어셋을 착용한 사용자의 귓바퀴 또는 귓구멍에 맞게 적절한 압력까지 팽창하고 이러한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밀폐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은 구동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팽창에 따라 같이 팽창하고 상기 팽창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귓바퀴에 삽입되며, 스피커 유니트의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에 적합하게 상기 삽입부를 팽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방법은 삽입된 구동부의 팽창에 따라, 팽창하는 센서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압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을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어셋은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스피커를 포함하며, 셀룰러 폰(celluar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player) 등의 휴대용 모바일(mobile) 기기에 장착하여 사운드(sound) 형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전달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어셋의 구조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오픈형(10)과 커널형(20)으로 나눠진다.
오픈형 이어셋(10)은 스피커를 귓바퀴에 걸쳐 고정하는 형태의 이어셋이다. 이러한 오픈형 이어셋(10)이 사용자의 귓바퀴에 삽입되면, 스피커 둘레에 형성된 구동부가 팽창하여,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 구조에 맞게 밀착된다.
커널형 이어셋(20)은 스피커에, 사운드의 통로가 되는 관을 연결한 이어셋으로, 이러한 관의 외부는 유연한 고무 등의 부재로 형성된 캡(21)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널형 이어셋(20)은 사용자의 귓구멍 속으로 캡(21)을 넣어 사용하며, 여기서 사용자의 귓구멍이란, 해부학적으로 인체의 외이도 말단부를 말한다. 사용자의 귓구멍 속에 커널형 이어셋(20)이 삽입되면 캡(21)은 사용자의 귓구멍 근처의 외이도 벽에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커널형 이어셋(20)이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면, 캡(21) 둘레에 형성된 구동부가 팽창하여, 개별 사용자의 귓구멍의 구조에 맞게 밀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오픈형 이어셋(10)의 경우 사용자의 귓바퀴 내에, 커널형 이어셋(20)의 경우 사용자의 귓구멍 내에 삽입되는 삽입 부(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삽입부(100)는 센서부(110), 구동부(120), 스피커 유니트(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은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귓바퀴 또는 귓구멍에 삽입된 이후에, 구동부(120)와 같이 팽창하게되고 이에 따라 센서부(110)의 일정한 값(예컨대, 전압 또는 전류)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제어부(200)가 감지하여, 이를 통해 구동부(120)의 팽창의 정도를 조절한다.
센서부(110)는 구동부(120)의 상면에 존재하며, 구동부(120)에 떨어지지 않 도록 접착제 등으로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부(120)의 팽창에 따라 같이 팽창하고 수축한다.
이러한 센서부(110)는 오픈형 이어셋(10)에서는 스피커 유니트(130)의 둘레에 형성되며, 커널형 이어셋(20)에서는 스피커 유니트(130)에 연결된 관의 외부인 캡(21)의 둘레에 형성된다.
센서부(110)는 EAP(Electro-Active Polymer)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으로 형성 가능하며, 압력, 팽창, 구부러짐 등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특히 전기신호로 그 값을 출력하고 가볍고 빠른 응답을 갖는 물질을 사용한다.
여기서 EAP는 전압이 가해진 경우에 그 형상이 변화하는 폴리머(polymer)로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구동체(actuator)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EAP의 형상이 변화된 경우에 이에 따라 EAP 내의 전압이 변화하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센서(sensor)로서 사용될 수 있다. EAP 물질은 SMA(shape memory alloy)에 비하여 높은 응답속도, 더 낮은 밀도 및 더 좋은 탄성을 갖는다. 생체 조직과 스트레스(stress) 및 힘의 측면에서 많은 유사성을 갖으므로, 주로 인공 근육으로 많이 활용되며,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소형 로봇팔 등에 많이 사용된다.
PVDF는 매우 비반응성(non-reactive)인, 순수한 열가소성(thermoplastic) 플루오르폴리머(fluoropolymer)를 의미한다.
이의 분자식은 -(CH2CF2)n- 이며, 분극처리된(poling) 때에, 효율적인 압전성(piezoelectric) 및 초전성(pyroelectric)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 하여 유용한 센서 및 구동체로 사용되며, 순수한 PVDF 뿐만 아니라 PVDF 혼성중합체(copolymer)또한 압전체 및 정전기적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활용된다.
구동부(120)는 팽창, 수축이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며, 이어셋의 삽입부(100)가 사용자의 귓바퀴 또는 귓구멍에 삽입되면, 구동부(120)는 적절한 정도까지 팽창하여, 이어셋 삽입부(100)가 사용자의 귓바퀴 또는 귓구멍에 맞게 밀착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센서부(110)의 하면에 위치하며, 센서부와 접착제 또는 고정핀 등으로 단단히 결합해있으므로, 구동부(120)가 팽창함에 따라 센서부(110)도 같이 팽창하고 수축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오픈형 이어셋(10)에서는 스피커 유니트(130)의 둘레에 형성되며, 커널형 이어셋(20)에서는 스피커 유니트(130)에 연결된 관의 외부인 캡(21)의 둘레에 형성된다.
구동부(120)는 EAP, PVDF 또는 SMA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EAP의 일반적인 특징은 상기 센서부(110)에 관한 서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으며, 구동체로서 EAP는 크게 유전체(dielectric) EAP와 이온(Ionic) EAP로 나뉘며, 유전체 EAP는 폴리머를 고정하고 있는 두 개의 전극간의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구동이 발생하여 팽창한다. 이러한 유전체 EAP는 큰 구동 전압이 특징이나, 전력 소모는 매우 적다. 유전체 EAP의 경우 주어진 위치에 구동체를 유지시키는 데에 전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온 EAP는 폴리머 내의 이온간의 변위(displacement)에 의하여 구동이 발생하여 팽창한다. 구동을 위해서 매우 적은 전압이 필요하나, 이온이 유동한다는 것 은 구동을 위해 더 높은 전력이 필요하다. 또한 주어진 위치에 구동체를 유지시키는데 에너지가 필요하다.
PVDF에 대해서는 상기 센서부(110)에 관한 설명에서 서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SMA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SMA(shape memory alloy) 즉 형상기억합금은 다른 모양으로 변형시키더라도 가열하면 다시 변형 전의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가진 합금을 의미한다. 이러한 SMA는 복원력이 강하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는데,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갈 때, 변형에 소요된 힘의 약 5배 가량의 힘을 내는 경우도 존재한다. SMA에는 원래의 모양으로 한 번 돌아가면 그만인 것과, 온도차에 의해서 몇 번이라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의 두 종류가 있는데, 현재 전자의 경우만 실용화되어 있다. 대표적인 SMA로는 티탄니켈 합금이 있으며, 티탄니켈 합금은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가공성, 성형성, 용접성 및 경제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SMA는 형상 기억 효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 효과는 합금이, 주어진 형상을 원자 배열로서 기억하고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효과는 고온에서의 원래 원자배열이 저온에서의 변형 때도 기억되고 있다가, 다시 고온이 되면 원래의 원자 배열로 재배열하는 결과로 일어난다.
그러나, SMA는 빠른 응답을 갖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부(120)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나 센서부(110)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3은 센서부(110)와 구동부(120)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a)는 센서부(110)와 구동부(120)의 조립 형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센서부(110)가 구동부(120)의 상면에 존재하게 형성되며, 이들은 접착제 또는 고정핀 등으로 서로 떨어지지 않게 고정된다.
도 3 (b)는 구동부(120)가 구동된 때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의 형태를 나타낸다. 구동부(120)가 Ω 문자 형상으로 중앙부분이 윗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구동되면, 이에 결합되어 있는 센서부(110)도 마찬가지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 때, 센서부(110)내의 전압 값이 이러한 물리적인 변형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도 3 (c)는 구동부(120)가 구동하는 중에 장애물(30)을 만나는 경우를 나타낸다. 구동부(120)가 구동하는 중에 장애물(30)을 만나면,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의 부풀어 오르는 중앙 부분이 도 3 (c)와 같이 일그러지게 된다.
오픈형 이어셋(10)에 있어서 이어셋 사용자의 귓바퀴가 장애물(30)에 해당하고, 커널형 이어셋(10)에 있어서는 이어셋 사용자의 귓구멍 내 외이도벽이 장애물(30)에 해당할 것이다.
이 경우에 센서부(110)내의 전압이 도 3 (b)에서 전술한 전압의 변화에 비하여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압의 변화는 후술하는 도 4의 설명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3 (d)는 센서부(110)의 피드백(feedback)에 의하여 구동부(120)의 구동이 중지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 (c)와 같이 구동부가 계속 구동하게 되면, 장애물(30)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센서부(110)에 부가되는 압력도 증가하는데, 이러한 압력의 변화는 센서부(110)의 전압의 변화로 측정 가능하다. 측정 된 센서부(110)의 전압의 변화가 설정된 한계 전압 변화 이상에 해당하면, 구동부(120)의 구동을 멈추게하여 이어셋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태를 형성하며, 이 때에는 도 3 (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다.
스피커 유니트(130)는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리시버(receiver)를 말한다. 여기서의 스피커 유니트(130)는 셀룰러 폰(celluar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player) 등의 휴대용 모바일(mobile) 기기가 전송하는 사운드(sound) 형태의 정보를 이어셋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제어부(200)에서는 이어셋의 삽입부(100)가 이어셋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경우에 구동부(120)를 구동시키고, 센서부(110)의 전압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러한 센서부(110)의 전압의 변화가 설정된 한계 전압 변화 이상인 경우에 구동부(120)의 구동을 중지시키는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4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삽입된 이어셋의 삽입부(100)를 귀에서 빼는 경우에, 제어부(200)는 구동부(120)를 축소시킨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이어셋의 삽입부(10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어셋에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러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변화가 크지 않아서 제어부(200)에서 이를 측정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일정하게 증폭시키는 증폭회로가 제어부(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구동부(120)의 구동에 따르는 센서부(110) 내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센서부(110)내의 전압을 나타내며, 그래프의 하단에는 그래프의 시간 존(zone)에 대응하는, 이어셋 삽입부(100)의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에서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개념도가 존재한다.
시간 존(zone) 1에서는 아직 이어셋의 삽입부(100)에 어떠한 변화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시간 존 2에서 삽입부(100)의 구동부(120)가 구동하여 팽창된다. 이 시간 동안에 삽입부(100)의 센서부(110)가 구동부(120)와 같이 팽창하며, 이에 따라 센서부(110)내의 전압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시간 존 3에서 구동부(120)가 팽창하여 장애물(30)에 부딪히게 된다. 이 때는 장애물에 부딪힘으로써 센서부(110)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간 존 3에서는 시간 존 2에서의 전압변화에 비하여 더 급격한 기울기를 가지며 센서부(110) 내의 전압이 변화하게 된다.
시간 존 2와 같이 장애물(30)이 없다고 가정한 경우에 센서부(110)의 전압 값과 실제로 시간 존 3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의 차이(제1전압차)가, 미리 설정된 센서부의 한계 전압 값 차이(제2전압차)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제어부(200)는 구동부(12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현재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센서부의 한계 전압 값 차이(제2전압차)는, 장애물(30)이 없다고 가정한 경우의 센서부(100)의 전압값과 삽입부(100)가 팽창하여 장애물(30)에 적절하 게 밀착되는 때에 측정되는 센서부(100)의 전압 값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
센서부(110)의 전압변화가 한계 전압 값 차이(제2전압차)인 경우에는, 이어셋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구동부(120)가 팽창하여, 이어셋이 밀착된 경우이므로 이를 통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적합한 이어셋을 제공할 수 있다.
시간 존 4-1은 구동부(120)가 더 이상 팽창하지 않고 안정되는 시간에 해당한다. 이 때 센서부(110)의 전압은 급격하게 감소하며, 시간 존 4-2에서는 삽입부(100)가 안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00)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b)는 스피커 유니트(130)의 외부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오픈형 이어셋(10)에 관한 것으로, 도 5(a)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오픈형 이어셋(10)의 삽입부(100)가 삽입되면, 도 5(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부(120)가 바깥쪽 방향으로, 원형 형상으로 팽창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5(c)(d)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관의 외부부재인 캡(21)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커널형 이어셋(20)에 관한 것으로, 도 5(c)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5(d)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c)(d)에서와 같이 캡(21)의 일단은 스피커 유니트(130)와 결합되어 지지되어 있다.
커널형 이어셋(20)의 삽입부(100)가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면, 도 5(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캡(21)의 타단에 형성된 구동부가 바깥쪽 방향으로, 원형 형상으로 팽창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b)는 스피커 유니트(130)의 외부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오픈형 이어셋(10)에 관한 것으로, 도 6(a)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오픈형 이어셋(10)의 삽입부(100)가 삽입되면, 도 6(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부(120)가 바깥쪽 방향으로, 재브라 주름 형상으로 팽창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6(c)(d)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관의 외부부재인 캡(21)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커널형 이어셋(20)에 관한 것으로, 도 6(a)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 의 사시도이다.
도 6(c)(d)에서와 같이 캡(21)의 일단은 스피커 유니트(130)와 결합되어 지지되어 있다.
커널형 이어셋(20)의 삽입부(100)가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면, 도 6(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캡(21)의 타단에 형성된 구동부가 바깥쪽 방향으로, 재브라 주름 형상으로 팽창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구멍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b)는 스피커 유니트(130)의 외부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오픈형 이어셋(10)에 관한 것으로, 도 7(a)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SMA로 형성된 구동부(120)는 스피커 유니트(130) 주위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픈형 이어셋(10)의 삽입부(100)가 삽입되면, 도 7(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부(120)를 형성하는 SMA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SMA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바깥쪽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7(c)(d)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관의 외부부재인 캡(21)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커널형 이어셋(20)에 관한 것으로, 도 7(c)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7(d)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c)(d)에서와 같이 캡(21)의 일단은 스피커 유니트(130)와 결합되어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도 7(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0)의 센서부(110)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SMA로 형성된 구동부(120)는 캡(21) 주위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널형 이어셋(20)의 삽입부(100)가 삽입되면, 도 7(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부(120)를 형성하는 SMA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SMA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캡(21)의 타단에 형성된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바깥쪽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구멍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b)는 스피커 유니트(130)의 외부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오픈형 이어셋(10)에 관한 것으로, 도 8(a)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8(b)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a)(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20)가 스피커 유니트(130)의 외 부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센서부(110)는 구동부(120) 상면의 일부분에만 부착되어 있다.
오픈형 이어셋(20)의 삽입부(100)가 삽입되면, 도 8(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부(120)가 바깥쪽 방향으로, 원형으로 팽창하고,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8(c)(d)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관의 외부부재인 캡(21)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커널형 이어셋(20)에 관한 것으로, 도 8(c)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8(d)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c)(d)에서와 같이 캡(21)의 일단은 스피커 유니트(130)와 결합되어 지지되어 있으며, 캡(21)의 타단에는 구동부(120)가 캡(130)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센서부(110)는 이러한 구동부(120) 상면의 일부분에만 부착되어 있다.
커널형 이어셋(20)의 삽입부(100)가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면, 도 8(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캡(21)의 타단에 형성된 구동부가 바깥쪽 방향으로, 원형으로 팽창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구멍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관한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b)는 스피커 유니트(130)의 외부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오픈형 이어셋(10)에 관한 것으로, 도 9(a)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9(b)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a)(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0)의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의 일정 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90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스피커 유니트(130)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900)는 스피커 유니트(130)에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를 포함하는 삽입부(100)를 보다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 또한 고정부(900)에 의하여 상호 간에 보다 강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고정부(900)는 금속 재질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픈형 이어셋(20)의 삽입부(100)가 삽입되면, 도 9(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부(120)가 바깥쪽 방향으로 팽창하고,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고정부(900)에 의해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가 스피커 유니트(1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부(900)사이에서 센서부(100) 및 구동부(120)가 Ω 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9(c)(d)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관의 외부부재인 캡(21)에 센서부(110)와 구동부(120)가 형성된 커널형 이어셋(20)에 관한 것으로, 도 9(c)는 사 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며 도 9(d)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c)(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21)의 일단은 스피커 유니트(130)와 결합되어 지지되어 있으며, 캡(21)의 타단에는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의 일정 부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90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900)는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를 포함하는 삽입부(100)를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관에 보다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 또한 고정부(900)에 의하여 상호 간에 보다 강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고정부(900)는 금속 재질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널형 이어셋(20)의 삽입부(100)가 삽입되면, 도 9(d)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동부(120)가 바깥쪽 방향으로 팽창하고, 이에 따라 센서부(110)도 팽창하게 된다. 고정부(900)에 의해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가 스피커 유니트에 연결된 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부(900)사이에서 센서부(100) 및 구동부(120)가 Ω 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팽창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전압 변화를 제어부(200)에서 감지하여, 구동부(120)를 개별 사용자의 귓바퀴에 맞추어 적절하게 팽창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오픈형 이어셋(10)의 경우 사용자의 귓바퀴 내에, 커널형 이어셋(20)의 경우 사용자의 귓구멍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00), 제어부(200) 및 이와 별도로 형성되는 움직임 측정부(100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삽입부(100)는 센서부(110), 구동부(120), 스피커 유니트(130)를 포함한다.
삽입부(100) 및 제어부(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움직임 측정부(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움직임 측정부(1000)는 이어셋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 또는 예측한다. 이렇게 움직임 측정부(1000)에서 측정된 이어셋 사용자의 움직임 및 움직임의 정도를 고려하여,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센서부(110)의 한계 전압 값 차이(제2전압차)를 더 높이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120)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비해 더 팽창하게 되고, 그 결과 이어셋 사용자의 귀에 이어셋을 더욱 단단히 고정시켜주어 이어셋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 측정부(1000)는 관성센서, 충격센서 또는 틸트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00) 또는 제어부(200)에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는 이어셋의 컨트롤러 등에 형성될 수 있다.
관성 센서는 운동의 관성력을 검출하여 측정 대상인 움직이는 물체의 가속도, 속도, 방향, 거리 등 다양한 이동 정보를 제공한다. 인가되는 가속도에 의해 관성체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검출하는 것이 기본 원리로서 가속도계와 각속도계(Gyroscope)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동작원리가 전혀 다른, 레이저를 이용한 비기계식 방식도 개발되고 있다. 응용분야는 자동차의 에어백, 캠코더, 핸드폰, 일반 가전 등의 움직임 센서 등을 비롯하여, 비행기 및 차량의 항법 및 제어 등 매우 광범위하다.
또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 또는 측정대상이 얼마나 기울어 있는지에 관한 틸트 센서가 움직임 측정부(100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오픈형 이어셋(10)의 경우 사용자의 귓바퀴 내에, 커널형 이어셋(20)의 경우 사용자의 귓구멍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00), 제어부(200) 및 이와 별도로 형성되는 구동 개시부(1100)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삽입부(100)는 센서부(110), 구동부(120), 스피커 유니트(130)를 포함한다.
삽입부(100) 및 제어부(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구동 개시부(1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 개시부(1100)는 이어셋 삽입부(100)의 센서부(110) 및 구동부(120)의 구동을 시작시키며, 이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삽입부(100) 또는 이어셋에 별개로 형성된 컨트롤러 등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이를 작동시켜 구동부(120)의 구동을 시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삽입부 또는 별도로 형성된 컨트롤러 등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눌러서 구동을 개시하는 것을 입력하는 버튼부 또는 터치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터치 센서를 이어셋의 삽입부(100)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삽입한 경우 별도의 동작없이 구동을 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가 이어셋의 삽입부(100) 등에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가 이어셋의 삽입부(100)를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이어셋에 존재하는 터치 센서에 사용자의 귀가 접촉하게 되어 별도로 구동 개시를 입력할 필요없이 이에 따라 바로 구동부(120)가 구동되기 시작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오픈형 이어셋(10)의 경우 사용자의 귓바퀴에, 커널형 이어셋(20)의 경우 사용자의 귓구멍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을 삽입한다(S1200). 그 후 삽입부(100)의 구동부(120)가 팽창하며(S1210), 이에 따라 같이 팽창하는 센서부(110)의 전압을 측정한다(S1220).
삽입부(100)가 팽창하면서 장애물(30)에 부딪힌 때에, 장애물(30)에 부딪히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여 예측되는 센서부(110)의 전압 값과 실제로 삽입부(100)가 장애물(30)에 부딪힌 경우에 측정되는 전압 값의 차이(제1전압차)가, 센서부의 한계 전압 값 차이(제2전압차)보다 크거나 같은 지를 판단하여(S1230), 작은 경우에는 계속 구동부(120)를 팽창시키고,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삽입부(100)의 팽창을 중단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S1240).
그 후, 사용자의 귀에서 이어셋이 탈착된 경우에(S1250), 구동부(120)가 축소된다(S126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셋을 착용하여 이어폰 등의 삽입부가 귓바퀴 또는 귓구멍 내벽과 접촉하게 된 경우에, 삽입부가 이어셋을 착용한 사용자의 귓바퀴 또는 귓구멍에 맞게 적절한 압력까지 팽창하고 이러한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이어셋의 삽입부가 사용자의 귀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어셋이 과도하게 사용자의 귀에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착용 상태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밀폐성을 제공한다.

Claims (34)

  1. 구동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팽창에 따라 같이 팽창하고 상기 팽창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귓바퀴에 삽입되며, 스피커 유니트의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에 적합하게 상기 삽입부를 팽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EAP(Electro-active Polymer), PVDF(Polyvinylindene fluoride) 또는 SMA(shape memory alloy) 중 하나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EAP(Electro-active Polymer) 또는 PVDF(Polyvinylindene fluoride)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제1전압차가 제2전압차보다 작은 때에 상기 구동부를 팽창시키는데,
    제1전압차는 상기 팽창 시 상기 센서부의 실제 전압과 상기 귓바퀴와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이고,
    상기 제2전압차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귓바퀴에 적절하게 밀착되는 때의 전압과 상기 귓바퀴와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움직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제2전압차가 증가하는데,
    상기 제2전압차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귓바퀴에 적절하게 밀착되는 때의 전압과 상기 귓바퀴와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측정부는
    관성센서, 충격센서 또는 틸트센서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개시시키는 구동 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개시부는 상기 이어셋에 형성된 입력장치이거나,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터치 센서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원형 형상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재브라 주름 형상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원형이고, 상기 구동부는 길이가 증가하는 SMA로 형성된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원형이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부분의 상면에 형성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를 일정 간격마다 상기 스피커 유니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5. 구동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팽창에 따라 같이 팽창하고 상기 팽창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귓구멍에 삽입되며, 캡의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귓구멍에 적합하게 상기 삽입부를 팽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EAP(Electro-active Polymer), PVDF(Polyvinylindene fluoride) 또는 SMA(shape memory alloy) 중 하나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EAP(Electro-active Polymer) 또는 PVDF(Polyvinylindene fluoride)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제1전압차가 제2전압차보다 작은 때에 상기 구동부를 팽창시키는데,
    상기 제1전압차는 상기 팽창 시 상기 센서부의 실제 전압과 상기 귓구멍과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이고,
    상기 제2전압차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귓구멍에 적절하게 밀착되는 때의 전압과 상기 귓구멍과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19.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움직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제2전압차가 증가하는데,
    상기 제2전압차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귓구멍에 적절하게 밀착되는 때의 전 압과 상기 귓구멍과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측정부는
    관성센서, 충격센서 또는 틸트센서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개시시키는 구동 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개시부는 상기 이어셋에 형성된 입력장치이거나,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터치 센서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원형 형상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재브라 주름 형상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원형이고, 상기 구동부는 길이가 증가하는 SMA로 형성된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원형이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부분의 상면에 형성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를 일정 간격마다 상기 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29. 삽입된 구동부의 팽창에 따라, 팽창하는 센서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압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전압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팽창시키는 단계는
    상기 센서부의 팽창에 따른 제1전압차가 제2전압차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압차는 상기 팽창 시 상기 센서부의 실제 전압과 귓바퀴 또는 귓구멍과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이고,
    상기 제2전압차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귓바퀴 또는 귓구멍에 적절하게 밀착되는 때의 전압과 상기 귓바퀴 또는 귓구멍과의 접촉없이 팽창할 때의 전압차인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제2전압차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삽입된 구동부의 팽창이 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에 관한 방법.
  33. 사용자의 귓바퀴의 구조에 적합하게 팽창이 가능하고, 스피커 유니트 둘레에 형성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같은 형태로 팽창하고, 상기 팽창시에 전압이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34. 사용자의 귓구멍의 구조에 적합하게 팽창이 가능하고, 캡 둘레에 형성된 구 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같은 형태로 팽창하고, 상기 팽창시에 전압이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KR1020060109138A 2006-11-06 2006-11-06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 KR10084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38A KR100843092B1 (ko) 2006-11-06 2006-11-06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38A KR100843092B1 (ko) 2006-11-06 2006-11-06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48A true KR20080041048A (ko) 2008-05-09
KR100843092B1 KR100843092B1 (ko) 2008-07-02

Family

ID=3964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138A KR100843092B1 (ko) 2006-11-06 2006-11-06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41A1 (ko) * 2014-06-10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0165349B2 (en) 2016-01-20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erewi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342B1 (ko) * 2017-05-25 2022-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509Y1 (ko) 2000-06-29 2000-11-15 변기만 커버에 에어실을 갖는 이어폰
KR20050112326A (ko) * 2004-05-25 2005-11-30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헤드폰
KR200369234Y1 (ko) 2004-09-15 2004-12-04 김영환 공기장치를 구비한 이어폰
KR200417044Y1 (ko) 2006-03-06 2006-05-23 강예리 이어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41A1 (ko) * 2014-06-10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1793A (ko) * 2014-06-10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US10225819B2 (en) 2014-06-10 2019-03-05 Lg Electronics Inc. Wireless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65349B2 (en) 2016-01-20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092B1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395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20230338192A1 (en) Occlusion device capable of occluding an ear canal
US11190868B2 (en) Electrostatic acoustic transducer utilized in a headphone device or an earbud
US201900046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Via a Case
US20200196065A1 (en) Microphone assemblies including integrated vibration transducer and wearable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20170026732A1 (en) Eartip that conforms to a user&#39;s ear canal
US8913773B2 (en) Earphone device
KR100843092B1 (ko) 사용자 적응형 이어셋 및 이에 관한 방법
US20150131816A1 (en) Electronic device
US20180124495A1 (en) Wireless Earpiece with force feedback
US20080311324A1 (en) Earguard sealing system ii: single-chamber systems
US20170149938A1 (en) Gyroscopic alerting mechanism for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EP3754461A1 (en) Gesture control and pulse measurement through embedded films
US20230040354A1 (en) Flexible Display with Preformed Curvilinear Folda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WO2012007508A3 (en) Inflatable ear mold connection system
US10725544B1 (en) Pencil haptics
CN102932722A (zh) Mems传声器
US20130081464A1 (en) Inertial sensor
US20180352338A1 (en) Electrostatic acoustic transducer
CN108810764B (zh) 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KR100952215B1 (ko) 이어 러버
TW200524453A (en) Loudspeaker
US20170116977A1 (en) Vibration Speaker for Audio Headsets
US9950239B1 (en) Hitting training device
JPH03165694A (ja) 高コンプライアンス・ヘッドホン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