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933A -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933A
KR20080038933A KR1020060106479A KR20060106479A KR20080038933A KR 20080038933 A KR20080038933 A KR 20080038933A KR 1020060106479 A KR1020060106479 A KR 1020060106479A KR 20060106479 A KR20060106479 A KR 20060106479A KR 20080038933 A KR20080038933 A KR 20080038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message
controller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8933A/ko
Publication of KR2008003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으로 메시지 수신 시 등록이 가능한 키워드를 표시하는 표시과정; 상기 선택된 키워드를 상기 수신 메시지의 키워드로 등록하는 등록과정; 및 검색 모드 시 입력되는 키워드로 등록된 메시지들을 검색하는 검색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별로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수신한 메시지를 분류하거나 메시지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메시지, 키워드, 분류, 검색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MESSAGE USING KEYWORD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관리 과정의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워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가 보편화되면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다양한 기능을 원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 무선통신기능 외에도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중 특히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간단한 문장으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메시지를 기록 저장하여 반복 확인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메시지의 용량이 커지고 있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지는 메시지의 용량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메시지를 분류하거나 검색하고자 할 때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사용자가 메시지를 관리하고자 할 때, 시간, 발신자, 중요도, 용량크기 순서 등으로 분류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메시지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시지 관리 기능은 수동적인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지정된 관리 방법으로만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메시지를 분류하거나 검색하고자 할 때, 상기 메시지 관리방법으로 분류하거나 검색할 수 없는 경우, 특정 메시지가 확인될 때까지 저장된 메시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키워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특정 메시지를 관리하고자 할 때, 키워드를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으로 메시지 수신 시 등록이 가능한 키워드를 표시하는 표시과정; 상기 선택된 키워드를 상기 수신 메시지의 키워드로 등록하는 등록과정; 및 검색 모드 시 입력되는 키워드로 등록된 메시지들을 검색하는 검색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 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하 "메시지"라는 용어는 휴대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문자, 소리, 그림의 형태로 되어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단문 메시지로서 메시지라고 가정한다.
또한 "키워드"라는 용어는 데이터를 검색할 때, 특정한 내용이 들어있는 정보를 찾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어나 기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별로 등록되며, 메시지를 검색할 시,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키워드는 한글, 영문 및 특수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편집한 문자열이라고 가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10)는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메시지를 분류하거나 검색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주파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20)는 송수신 기능을 분리하는 듀플레서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 및 수신부는 주파수 혼합기(Mixer)를 구비하며, 상기 주파수 혼합기는 튜너(Tuner)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들과 숫자 및 문자 데이터를 발생하는 입력키들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키입력부(130)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여 메시지를 분류하거나, 검색하도록 키 데이터를 발생한다.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과정과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일반적으로 LCD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분류하거나 검색했을 시 결과를 표시한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장부(150)는 수신한 메시지와 등록되는 키워드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관리 과정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2와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211단계에서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한 메시지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메시지 관리 방법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213단계에서 메시지 관리 방법에 대한 선택을 표시부(140)에 표시한 후, 선택 신호를 대기한다. 상기 메시지 관리 방법은 메뉴에 포함되어 있으며, 메시지 관리 방법에 대한 선택으로는 메시지별 키워드 등록과 키워드별 검색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만약 제어부(110)는 213단계에서 키입력부(130)를 통해 메시지별 키워드 등록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215단계에서 저장부(150)에 저장된 메시지 목록을 호출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키워드를 등록할 메시지 선택 신호를 대기한다.
217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키워드를 등록할 메시지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219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확인한다. 상기 211단계 내지 219단계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메뉴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메 뉴는 키워드 등록과 키워드 검색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 등록 신호를 수신하면, 키워드를 등록할 메시지를 선택하기 위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 후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키워드를 등록할 메시지 선택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221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확인한 제어부(110)는 키워드 등록 방법을 표시부(140)에 표시한 후, 키워드 등록 방법에 대한 선택 신호를 대기한다. 상기 키워드 등록 방법으로는 키워드 입력과 키워드 선택이 있다.
만약 제어부(110)는 221단계에서 키워드 입력 신호를 키입력부(130)를 통해 수신하면, 223단계에서 표시부(140)에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한다. 상기 223단계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키워드 입력 신호를 수신한 후, 표시부(140)에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입력창을 표시할 때 미리 입력되어 있는 키워드 목록을 표시하여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22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키워드 입력 신호를 키입력부(130)를 통해 수신하면, 227단계에서 입력된 키워드와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227단계는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등록한 키워드와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등록한 키워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또는 선택한 키워드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반면에 제어부(110)는 221단계에서 키워드 선택 신호를 키입력부(130)를 통해 수신하면, 231단계에서 등록되어있던 키워드 목록을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233단계에서 메시지와 대응하는 키워드 선택 신호를 대기한다. 상기 233단계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키워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140)에 등록된 키워드 목록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키워드 목록을 표시할 시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하여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23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메시지와 대응하는 키워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227단계에서 메시지와 선택된 키워드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227단계는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c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등록한 키워드와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등록한 키워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또는 선택한 키워드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반면에 21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키워드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241단계에서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 목록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213단계는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선택된 메뉴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메뉴는 키워드 등록과 키워드 검색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10)는 선택된 메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 검색 신호를 키입력부(130)을 통해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243단계에서 키입력부(130)를 통해 검색할 키워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243단계는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수신한 키워드 검색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된 키워드 목록을 표시부(140)에 표시한 후, 키입력부(130)를 통해 수신한 선택한 키워드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선택된 키워드를 확인한 제어부(110)는 245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상기 245단계는 도 3f를 참조한다.
도 3f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키워드와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시지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휴대 단말기에서 MP3, 카메라, 블루투스 등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여러 기능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여러 데이터도 키워드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 내에서 지정된 관리 방법이 아닌 키워드별로 메시지를 관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메시지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메시지를 관리할 시, 사용자는 키워드를 통해 특정 메시지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Claims (8)

  1.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 시 등록이 가능한 키워드를 표시하는 표시과정;
    상기 선택된 키워드를 상기 수신 메시지의 키워드로 등록하는 등록과정; 및
    검색 모드 시 입력되는 키워드로 등록된 메시지들을 검색하는 검색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메시지마다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한글, 영문 및 특수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편집한 문자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과정은
    키워드 입력 및 키워드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입력은
    키워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선택은
    키워드를 목록으로 표시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은
    키워드에 따른 메시지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KR1020060106479A 2006-10-31 2006-10-31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80038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479A KR20080038933A (ko) 2006-10-31 2006-10-31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479A KR20080038933A (ko) 2006-10-31 2006-10-31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933A true KR20080038933A (ko) 2008-05-07

Family

ID=3964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479A KR20080038933A (ko) 2006-10-31 2006-10-31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89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818B2 (ja) 電子機器用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8750830B2 (en) Group-based communications between associated electronic devices for polling and acquiring features
US20070004461A1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US8799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earching of database content
CN101627401A (zh) 便携式通信设备和媒体增强消息传送方法
KR20070088029A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73153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therein
CN103109521B (zh) 增强消息的系统和方法
US87380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KR2011010651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0011627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5969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장치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US82382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portable terminal
KR20080038933A (ko) 휴대 단말기의 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90026690A (ko) 통합검색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및 태그를 통한통합 검색 방법
KR100754655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US20080182600A1 (en) Method of messages transmiss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KR2007000931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문자 메시지 리스트 표시 방법
KR100881219B1 (ko) 기능 번호를 이용한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KR20090023853A (ko)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70025095A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 송수신 방법
JP2006268159A (ja) 情報処理端末、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US20080195653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050021849A (ko) 다국어로 서비스를 하는 이동 전화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