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645A -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645A
KR20080037645A KR1020080036529A KR20080036529A KR20080037645A KR 20080037645 A KR20080037645 A KR 20080037645A KR 1020080036529 A KR1020080036529 A KR 1020080036529A KR 20080036529 A KR20080036529 A KR 20080036529A KR 20080037645 A KR20080037645 A KR 2008003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csct
dcct
version
information
mg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041B1 (ko
Inventor
김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0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6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의 버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GT의 내용에 DCCT 및 DCCSCT를 포함하여 MGT를 통한 DCCT 및 DCCSCT의 버전 변경에 대한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시청자들에게 방송국의 DCC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한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STT(System Time Table),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EIT(Event Information Table),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VCT(Virtual Channel Table), 변경될 채널을 알리는 테이블인 DCCT(Directed Channel Change Table) 또는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DCCSCT(Directed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 및 EIT, VCT, DCCT, DCCSCT에 대한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MGT(Master Guide Tabl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MGT 내 각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통해 EIT, VCT, DCCT, DCCSCT 각각의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GT(Master Guide Table 이하, MGT로 표기)를 통한 DCCT(Directed Channel Change Table 이하, DCCT로 표기) 및 DCCSCT(Directed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 이하, DCCSCT로 표기)의 버전을 제어 관리함으로써, 즉 MGT의 내용에 DCCT 및 DCCSCT를 포함하여 MGT를 통한 DCCT 및 DCCSCT의 버전 변경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시청자들에게 방송국의 DCC(Directed Channel Change 이하, DCC로 표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한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DCC란 디지털 티브이를 시청함에 있어서,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몇몇 항목들을 미리 설정하여 놓으면 보고자 하는 방송 채널을 일일이 찾지 않아도 미리 정해 놓은 항목의 조건을 만족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즉, 자동으로 채널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지상파 및 케이블 디지털 티브이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이하, ATSC로 표기) 규격인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이하, PSIP로 표기)의 확장된 규격으로 제안된 내용이다.
이러한 DCC 도큐먼트(Document) 508에서는, PSIP의 기본 테이블들 이외에 DCCT와 DCCSCT의 새로운 두개의 테이블이 더 정의되는데, 여기서 DCCT는 언제 어떠한 조건을 가지고 어떤 채널에서 어떤 채널로 자동 변화될 것인지를 알리는 테이블이고, DCCSCT는 채널 변경의 조건이 될 수 있는 카테고리 선택 코드(Categorical Selection Code)들과 그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고 있어서 디지털 티브이 시청자들에게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코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테이블이다,
그러면, DCC 기능이 내장된 DCC 디지털 티브이에 있어서, 우선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는 DCCSCT를 입력받아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시청자에게 보여주고, 시청자는 선택 코드에 의하여 나타난 방송 선택 항목 즉 교육, 영화 및 뉴스 등과 같은 항목을 보고 원하는 내용을 미리 세트한다.
이와 같이 시청자가 미리 세트한 항목 조건을 만족시키는 채널로 자동 변경하여 시청자에게 DCC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참고로, DCCT와 DCCSCT는 PSIP의 몇몇 테이블들과 마찬가지로 버전 넘버 필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DCC를 위한 선택 코드와 변경되는 채널 및 시간 그리고 조건 등의 내용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는 채널 변경에 관한 중요한 두 테이블 즉, DCCT와 DCCSCT를 항상 새로운 버전(변경된 내용)으로 바뀔 것을 대비하여야 하고, 버전이 바뀔 수 있는 PSIP의 모든 테이블은 MGT의 서브 테이블로 관리되어 변경된 내용을 디지털 티브이 기능에 반영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DCCT 및 DCCSCT가 MGT의 서브 테이블로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DCCT 및 DCCSCT의 새로운 버전에 대한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MGT를 통하여 DCCT 및 DCCSCT의 버전 관리를 할 수 없으므로 항상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는 DCCT 및 DCCSCT의 버전이 변경되는지를 항상 전송(TP : TransPort) 칩을 통하여 감시함으로써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는 MGT의 내용에 DCCT 및 DCCSCT를 포함하여 채널 변경에 관한 두 테이블 즉, DCCT 및 DCCSCT의 버전 변경에 대한 관리를 MGT를 통하여 버전 관리함으로써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시스템 효율을 높이고 시청자들에게 방송국의 DCC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한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 변경에 관한 중요한 두 테이블 즉, DCCT 및 DCCSCT을 MGT를 통하여 버전 관리함으로써 감시해야 할 테이블수를 줄이고,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 시스템의 씨피유 성능을 향상시키며 시청자들에게 방송국의 DCC 서비스를 정확하게 받도록 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디오, 오디오 및 DCCSCT(Directed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MGT(Master Guide Table)가 포함된 데이터를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 표준화 기구)/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 표준 회의)의 엠펙 규격에 의하여 인코딩하여 기본 스트림 형태로 만드는 엠펙 부호화부와, 상기 엠펙 부호화부로부터 입력받은 기본 스트림(기본 스트림 : Elementary Stream 이하, 기본 스트림으로 표기함) 형태의 데이터를 단위별로 관리하기 위하여 패킷 기본 스트림으로 압축하는 패킷 압축부와, 상기 패킷 압축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패킷 기본 스트림(PES : Packetized Elementary Stream 이하, 패킷 기본 스트림으로 표기함)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188바이트 크기의 전송 패킷(Transport Packet)으로 만들어서 먹스하는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에 전송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전송 패킷을 다시 압축하고 변조하여 전송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부로 전송하는 알에프 증폭부와, 상기 알에프 증폭부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송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복조하여 전송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송 스트림을 패킷 식별자를 이용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송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을 복원하여 화면과 스 피커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킷 복원부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STT(System Time Table),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EIT(Event Information Table),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VCT(Virtual Channel Table), 변경될 채널을 알리는 테이블인 DCCT(Directed Channel Change Table) 또는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DCCSCT(Directed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 및 EIT, VCT, DCCT, DCCSCT에 대한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MGT(Master Guide Tabl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MGT 내 각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통해 EIT, VCT, DCCT, DCCSCT 각각의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CCSCT 또는 DCCT의 버전 변경은 상기 MGT 내의 상기 DCCSCT 또는 DCCT의 버전 정보를 통해 판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송 스트림을 패킷 식별자를 이용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DCCSCT(Directed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MGT(Master Guide Table)가 포함된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의 압축을 복원하여 화면과 스피커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하고, DCCSCT의 버전 변경은 상기 MGT 내의 상기 DCCSCT의 버전 정보를 통해 판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전송 스트림을 패킷 식별자를 이용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DCCSCT(Directed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MGT(Master Guide Table)가 포함된 데이터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의 압축을 복원하여 화면과 스피커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CCSCT의 버전 변경은 상기 MGT 내의 상기 DCCSCT의 버전 정보를 통해 판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MGT를 통한 디지털 티브이의 버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엠펙 규격에 의하여 인코딩하여 기본 스트림 형태로 만드는 엠펙 부호화부(10)와, 상기 엠펙 부호화(10)부로부터 입력받은 기본 스트림 형태의 데이터를 단위별로 관리하기 위하여 패킷 기본 스트림으로 압축하는 패킷 압축부(20)와, 상기 패킷 압축부(2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패킷기본 스트림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188바이트 크기의 전송 패킷으로 만들어 전송하는 멀티플렉서(30)와, 상기 멀티플렉서(30)로부터 입력받은 전송 패킷을 다시 압축하고 변조하여 전송하는 변조부(40)와, 상기 변조부(4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부로 전송하는 알에프 증폭부(50)와, 상기 알에프 증폭부(50)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60)와, 상기 송신부(60)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송하는 수신부(70)와, 상기 수신부(7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복조하여 전송하는 복조부(80)와, 상기 복조부(80)로부터 입력받은 전송 스트림을 패킷 식별자를 이용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송하는 디멀티플렉서(90)와, 상기 디멀티플렉서(90)로부터 입력받은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스트림의 압축을 복원하여 화면과 스피커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킷 복원부(100)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국에서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ISO/IEC 13818-2,3,6의 규격에 따라 엠펙 부호화부(10)를 통하여 인코딩 한 후 기본 스트림 형태로 변환된다.
그러면, 기본 스트림은 데이터의 단위별로 효율적 압축 및 관리를 위하여 패킷 압축부(20)를 통하여 패킷의 형태, 즉 패킷 기본 스트림으로 다시 압축되고,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패킷기본 스트림은 효율적인 전송을 위하여 188바이트의 크기의 전송 패킷으로 만들어져 각각 멀티플렉서(30)를 통하여 섞이게 된다.
상기 멀티플렉서(30)를 통하여 먹스된 전송 패킷들의 시간에 연속된 모임을 비트 스트림이라 하며, 방송을 위한 이 비트 스트림은 VSB(Vestigial Sideband 잔류 측파대) 채널 변조부(40) 및 알에프 증폭부(50)를 통하여 다시 압축 및 송출된다.
이와 같이, 송출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Bit Stream)은 각 가정의 디지털 티브이 수신부를 통하여 위에서 설명한 순서의 반대로 즉, 각각 디멀티플렉서(90)를 통하여 디먹스되고 복호화부(100)를 통하여 디코딩되어 시청자로 하여금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방송 채널에 대한 오디오, 비디오 패킷ID 및 기타 방송 정보(EPG :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PSIP의 테이블들은 디멀티플렉서의 세트(수신을 위한 설정)을 통하여 해당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멀티플렉서(90)에 동시에 세트할 수 있는 테이블의 최대 수는 일반적으로 29개 정도되며, 나머지는 오디오 전송 패킷 및 비디오 전송 패킷을 위하여 1개씩 할당되어 있다.
일단, PSIP의 비디오 카세트 테잎(VCT)을 통하여 채널과 프로그램의 오디오/비디오 정보(PID값)를 번역하여 디멀티플렉서(90)에 세트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하여도 변경되는 채널 및 프로그램 정보를 감시하기 위하여 각 테이블에는 버전 넘버를 두는데, 여기서 버전 넘버는 0에서 31의 값을 가지며 순환되며 1씩 증가한다.
*예를 들면, 채널 15-1에서 프로야구 방송을 하는 것으로 VCT에 정보가 송출되다가 비로 인하여 프로야구가 중단되고 영화를 방영하게 될 경우, 처음으로 VCT가 버전 넘버 값이 3이었다면, 영화로 변경된 채널 정보를 가지고 있는 VCT는 4의 버전 넘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디멀티플렉서(90)에는 한번에 VCT를 수신하였다고 VCT의 수신을 안 한다면, VCT가 변경된 내용을 알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채널 정보 이외에 기타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 즉, STT, EITs, ETTs등 모두가 한번 테이블을 디멀티플렉서(90)를 통하여 번역되었다고 하여 버전의 변경에 대하여 감시를 안 할 수 없다.
그렇다고 모든 테이블들에 대하여 모두 그 정보의 변경을 감시하기 위하여 디멀티플렉서에 세트하여 놓는다면 디멀티플렉서는 최대 테이블 설정 개수를 초과하게 되며, 시스템의 오버헤드가 무척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SIP에서는 MGT를 두어 모든 테이블들의 버전_넘버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한번 수신한 테이블에 대해서는 더이상 디멀티플렉서(90)를 통하여 변경되는지 감시를 할 필요가 없고, 단지 MGT만을 대표로 디멀티플렉서(90)에서 그 변경을 감시하면 된다.
또한,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방송 수신기에 MGT를 디멀티플렉서에 세트하여 놓고, 만일 MGT의 버전 넘버가 바뀌었으면 MGT를 새로 받는다.
여기서, MGT의 내용에는 각 테이블들의 PID 및 버전 넘버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어떤 테이블이 변경되었는지 비교할 수 있고, 이렇게 변경된 테이블을 발견하면, 해당 테이블만을 새로운 버전으로 디멀티플렉서(90)에 세트하여 다시 수신한다.
이와 같이, DCCT 및 DCCSCT 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하여 MGT의 내용에 DCCT 및 DCCSCT를 포함하여 정의함으로써 DCCT 및 DCCSCT의 테이블에 대해서도 그 내용 의 버전 변경에 대한 감시를 MGT를 통하여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디멀티플렉서(90) 모듈의 오버 로드를 줄이고, 시스템의 성능을 올린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패킷 멀티플렉서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멀티플렉서는 송신부에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정보를 전송 스트림에 담아 송신 시스템을 통하여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멀티플렉서는 전송 속도가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여러개의 방송 뿐만 아니라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등도 함께 전송하고, 즉 여러 정보를 같은 채널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 패킷 디멀티플렉서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디멀티플렉서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부에서 전송되는 전송 스트림을 패킷 식별자(PID : Packet Identifier)를 통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정보로 다시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디멀티플렉서는 필요한 정보를 같은 종류별로 분류해 주는 것으로서, 이 때 같은 종류별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패킷의 헤더 부분에 수록되어 있는 패킷 식별자를 사용한다.
참고로,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하나의 방송이 전송되지만, 디지털 방송 방식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여러 방송을 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MGT를 통한 디지털 티브이의 버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패킷 멀티플렉서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패킷 디멀티플렉서의 동작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엠펙 부호화부 20 : 패킷 압축부
30 : 멀티플렉서 40 : 변조부
50 : 알에프 증폭부 60 : 송신부
70 : 수신부 80 : 복조부
90 : 디멀티플렉서 100 : 패킷 복원부

Claims (5)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STT(System Time Table),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EIT(Event Information Table),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VCT(Virtual Channel Table), 변경될 채널을 알리는 테이블인 DCCT(Directed Channel Change Table) 또는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인 DCCSCT(Directed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 및 EIT, VCT, DCCT, DCCSCT에 대한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MGT(Master Guide Table)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MGT 내 각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통해 EIT, VCT, DCCT, DCCSCT 각각의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CT의 버전 정보 또는 상기 DCCSCT의 버전 정보는,
    테이블의 버전 넘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VSB(Vestigial Side Band) 전송기술에 따라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CSCT의 버전이 변경된 경우, 새로운 DCCSCT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DCC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CT의 버전이 변경된 경우, 새로운 DCCT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DCC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KR1020080036529A 2008-04-21 2008-04-21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KR10086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529A KR100868041B1 (ko) 2008-04-21 2008-04-21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529A KR100868041B1 (ko) 2008-04-21 2008-04-21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751A Division KR100848653B1 (ko) 2007-08-08 2007-08-08 디지털 티브이의 버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645A true KR20080037645A (ko) 2008-04-30
KR100868041B1 KR100868041B1 (ko) 2008-11-11

Family

ID=3957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529A KR100868041B1 (ko) 2008-04-21 2008-04-21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0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149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채널 검색방법
KR20000044758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이아이티 정보 수신 방법
KR100348249B1 (ko) * 1999-10-08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채널 테이블 데이터 구조 및 부가 정보 송수신 방법
KR100348787B1 (ko) * 1999-10-19 2002-08-17 엘지전자주식회사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 데이터 구조 및 부가 정보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041B1 (ko) 200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154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865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버전 제어 방법
KR100868041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KR100868351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KR100868039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KR100868040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제어 방법
KR100900421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896485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6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8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3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8262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2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62942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37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40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00425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62943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39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38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62941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0978505B1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KR20090045170A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