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400A - 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 Google Patents

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400A
KR20080037400A KR1020060104490A KR20060104490A KR20080037400A KR 20080037400 A KR20080037400 A KR 20080037400A KR 1020060104490 A KR1020060104490 A KR 1020060104490A KR 20060104490 A KR20060104490 A KR 20060104490A KR 20080037400 A KR20080037400 A KR 2008003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lip
concave
mobile device
base plat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06010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7400A/en
Publication of KR2008003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4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A belt clip integrated with a stand is provided to help a user to carry the mobile device conveniently by attaching it to the waist belt, or to watch a video or TV at a comfortable angle by putting it on a table. A belt chip integrated with a stand for a mobile device comprises a base plate(110) and a belt chip(130). The base plate includes a pair of primary rugged through holes(115) with teeth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circumference direction. The base plate is connected to a case(105) having a mount socket(101) where a mobile device is mounted by interlocking a projection(103) and a slot(113). The belt chip includes a secondary rugged through hole(135) with teeth to be aligned with the primary rugged shape through holes. The base plate and the belt chip are connected by a rugged hinge shaft(120).

Description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 of FIG.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베이스플레이트와 벨트클립부재의 잠금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ing structure of the base plate and the belt clip member of the belt clip for the integra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거치기능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mounting function use state of the belt clip for the integra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lt clip for a cradle integra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integrated with a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1: 장착소켓 105, 205: 케이스101: mounting socket 105, 205: case

107: 휴대폰 110, 210: 베이스플레이트107: cell phone 110, 210: base plate

115: 제1요철형관통구 120: 요철형힌지축115: first concave-convex through hole 120: concave-convex hinge shaft

121, 131: 톱니 130, 230: 벨트클립부재121, 131: tooth 130, 230: belt clip member

135: 제2요철형관통구 161: 잠금턱135: second uneven hole 161: locking jaw

163: 잠금고리 165: 잠금해제버튼163: lock ring 165: unlock butt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를 책상 등에 안정적으로 올려둔 상태에서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to comfortably watch while a mobile device having a video display function is stably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라 함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Station Portable), 포켓 PC 등과 같이 사람이 이동중에 휴대하기 용이한 전자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동중에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기기에 따라 전화, 게임, 동영상 시청, 문서작업 등 다양한 업무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 들은 최근의 디지털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 경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기기 속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며,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와 관련하여 손목시계, 카메라, 휴대폰, DMB TV, 전자사전, MP3, PC 등이 다양한 조합으로 하나의 기기에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특히, 동영상 재생과 더불어 지상파 또는 위성 DMB TV 시청기능이 접목됨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모바일 기기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대화면의 LCD가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general, a mobile device is a generic term for electronic devices that are easily carried by a person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lay station portable (PSP), a pocket PC, and the like. It is a device that enables various tasks such as phone calls, games, video viewing, and paper work depending on the device regardless of place. Such mobile devices are being implemented in a variety of functions embedded in on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digital convergence. Specifically, in connection with mobile devices, wristwatches, cameras, mobile phones, DMB TVs, Electronic dictionaries, MP3, PC, etc. are being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integrated into a single device in various combinations. In particular, as a combination of terrestrial or satellite DMB TV viewing functions as well as video playback, a relatively small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s increasingly important, and thus a large LCD is being adopted.

이상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은 이동중에 가방에 넣어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휴대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휴대폰과 같은 빈번한 사용이 예상되는 모바일 기기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 주머니 속에 넣어 휴대하는 방법에서부터, 목걸이 형태로 휴대하는 방법이나, 허리벨트에 고정되는 벨트클립에 휴대폰을 장착하여 휴대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Such mobile devices are generally carried in a bag while on the go, but various portable methods ar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mong them, mobile devices that are expected to be used frequently such as mobile phones are the simplest pockets. From the method of carrying it in the inside, to carrying it in the form of a necklace, the method of carrying a cell phone attached to the belt clip fixed to a waist belt, etc. are used.

벨트클립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는 방법은 주로 휴대폰을 휴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 들어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가 등장하면서 휴대폰에 국한하여 사용되는 휴대방법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arrying a mobile device using a belt clip has been mainly used as a method for carrying a mobile phone. However,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mobile devices have emerged, and thus the mobile device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벨트클립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발전하여 온 것으로서, 초기의 벨트클립은 가죽과 같은 재료로 휴대폰을 내장할 수 있는 케이스를 만들고 케이스의 후면에 허리벨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클립이 허리벨트에 걸리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이용 띠를 부착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었다.The belt clip has evolved continuously, and the early belt clip made the case which can be embedded inside the mobile phone with the material like leather, and allows the waist belt to penetrate the back of the case so that the belt clip is caught on the waist belt. It was used in the form of a hanger belt attached to be fixed in the form.

이와 같은 벨트클립은 허리벨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허리벨트를 풀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이후 가죽이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케이스 후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집게 형태의 고정부재를 장착한 형태로 구성되어, 허리벨트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도 벨트클립을 허리벨트에 고정하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발전하여 왔다.In order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loosen the waist belt in order to separate it from the waist belt, such a belt clip is provided with a clamp-type fixing member consisting of a spring-like elastic member on the back of the case made of leather or plastic material. It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mounting, it has been developed to be able to secure and remove the belt clip to the waist belt even without loosening the waist belt.

한편,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상기한 바와 같이 DMB TV 시청기능을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보편화 됨에 따라, 이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때 편안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즉, 이동중에는 모바일 기기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TV나 저장된 동영상 자료를 시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겠으나, 사무실이나 강의실, 도서관 등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TV나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은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상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video playback function including a DMB TV view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problem to enable comfortable viewing when using such a function. In other words, while watching a TV or stored video material while the mobile device is held by hand while moving, it is common to watch TV or video while holding it in the office, classroom, or library for a long time. Viewing may be quite undesirable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따라서, 책상이나 탁자 위에서 모바일 기기를 적당한 시청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가 개시된 바 있다. Therefore,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has been disclosed to maintain the mobile device at an appropriate audiovisual angle on a desk or table.

그러나, PMP나 PDA 등 영화나 동영상 강의 시청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에는 별도의 거치대를 함께 휴대하는 것도 큰 불편요소가 아니라 할 수 있겠으나, 특히 휴대폰과 같이 통화용도로도 빈번한 사용이 예상되며 휴대의 간편성이 무엇보다 중요시되는 모바일 기기의 경우에 별도로 시청보조용도의 거치대를 함께 휴대하는 것은 상당한 불편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when it is generally used to watch a movie or video lecture such as a PMP or PDA, carrying a separate holder may not be a big inconvenience, but it is expected to be frequently used for a call like a mobile phone. In the case of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simplicity of carrying is important above all, carrying a cradle for viewing aid separately requires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허리벨트에 간편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사무실이나 강의실 등에서 장시간 동영상 재생기능이나 TV시청기능 등을 사용할 때 모바일 기기를 적합한 시청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ven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ixed and detached to the waist belt to conveniently carry the mobile device, as well as play video for a long time in the office or classroo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mobile device at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when using a function or a TV viewing function.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모바일 기기를 장착할 장착소켓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며, 후면 상부측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1요철형관통구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It is provided with a case having a mounting socket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integrally or detachably, and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rear side, and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enter and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base plate having at least one first concave-convex through-hole having teeth;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와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부측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2요철형관통구를 구비하는 벨트클립부재; 및At least one seco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enter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ide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uneven through hole A belt clip member having a concave-convex through hole; And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 및 제2요철형관통구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 및 제2요철형관통구를 일렬로 정렬한 상태에서 삽입되는 요철형힌지축;을 포함하여,It has a plurality of teeth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uneven through-hole and the second uneven through-hole Including a concave-convex through-hol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through-hole is inserted in a state aligned in a row; including,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벨트클립부재는 상기 요철형힌지축에 의해 일정각도단위의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벨트클립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회동을 통해 이격된 상태에서 자체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부와 함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는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거치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을 제공한다. The base plate and the belt clip member are coupl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unit by the concave-convex hinge shaft, and the belt clip member has its lower end portion separated from the base plate by rotation.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or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to be supported on, and provides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 mounting function for supporting the cas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그리고,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는 그 최대직경이 상기 요철형힌지축의 최대직경 보다 크고 그 최소직경이 상기 요철형힌지축의 최대직경 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상기 요철형힌지축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요철형관통구는 상기 요철형힌지축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concave-convex through hole is formed so as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within a range where the maximum diameter thereof is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and the minimum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through hole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또한, 상기 요철형힌지축은 압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even hinge axi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compressible material.

더불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하단부 후면측에 잠금턱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클립부재는 상기 잠금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잠금턱과 맞물리는 잠금고리를 구비하여, 상기벨트클립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has a locking jaw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and the belt clip member has a locking ring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the lower end of the belt clip member is the ba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아울러, 거치기능 수행시 바닥면과 접촉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부, 및 상기 벨트클립부재의 하단부 중 일측 또는 양측에 모두 미끄럼방지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is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ase or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belt clip member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performing the mounting fun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베이스플레이트와 벨트클립부재의 잠금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거치기능 사용상태를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state of the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and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cking structure of the base plate and the belt clip member of the belt clip for the integra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s an exemplary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mounting function use state of the belt clip for a cradle integra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 벨트클립부재(130)를 포함한다.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5, includes a base plate 110, belt clip member 130.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모바일 기기를 장착할 장착소켓(101)을 구비하는 케이스(105)와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면 상부측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12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제1요철형관통구(1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스(105)와 베이스플레이트(110) 간의 결합은 다양한 공지의 결합구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105) 후면에 결합돌기(103)가 구비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0) 전면에 결합돌기(103)에 대응하는 결합슬롯(113)을 구비하여, 결합돌기(103)와 결합슬롯(113)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base plate 11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se 105 having a mounting socket 101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and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rear side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enter. A pair of first concave-convex through holes 115 which protrude and have a plurality of teeth 12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as the coupling between the case 105 and the base plate 110, various known coupling structures may be used, as shown in FIG.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103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case 105. I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slot 113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03 on the front of the base plate 110,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03 and the coupling slot 113 can be coupled by engagement.

벨트클립부재(130)는 제1요철형관통구(115)와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부측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역시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121 참조)를 구비하는 제2요철형관통구(135)를 구비한다. Belt clip member 130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o be aligned in line with the first concave-convex through hole 115, also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econd uneven through-hole 135 having a plurality of teeth 121 (see also) is provided.

이와 같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벨트클립부재(130)는, 제1요철형관통구(115) 및 제2요철형관통구(135)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131)를 구비하는 요철형힌지축(120)에 의해 결합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벨트클립부재(130)는 요철형힌지축(120)에 의해 일정각도단위의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The base plate 110 and the belt clip member 130 as described above, have a radial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concave-convex through hole 115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through hole 135. It is coupled by the concave-convex hinge shaft 120 having a plurality of teeth 131 which protrude along and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base plate 110 and the belt clip member 130 are coupl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unit by the uneven hinge shaft 120.

따라서, 벨트클립부재(130)는 허리벨트에 휴대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기 위한 본래의 벨트클립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회동을 통해 이격된 상태에서 자체의 하단부가 케이스(105)의 하단부와 함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케이스(105)의 장착소켓(101)에 장착되는 휴대폰(107)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belt clip member 130 performs an original belt clip function for carry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n the waist belt, and as shown in FIG. 5,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10 by rotation. In the state,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together with the lower end of the case 105,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mount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107 mounted on the mounting socket 101 of the case 105. Make sure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1요철형관통구(115)는 그 최대직경이 요철형힌지축의 최대직경 보다 크고 그 최소직경이 요철형힌지축(120)의 최대직경 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요철형힌지축(120)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벨트클립부재(130)의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요철형힌지축(120)과 제1요철형관통구(115)가 각각에 구비된 톱니(131)(121)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이 제한되는 가운데 일정 정도 이상의 외력을 가할 경우에 구비된 톱니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일정각도단위로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벨트클립부재(130)의 제2요철형관통구(135)는 요철형힌지축(120)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요철형관통구(135)와 요철형힌지축(120)이 억지끼움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일정각도단위의 상대적인 회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철형힌지축(120)은 고무 등과 같은 압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cave-convex through hole 115 of the base plate 110 has a maximum diameter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cave-convex hinge shaft and its minimum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cave-convex hinge shaft 120. 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hinge shaft 120, so tha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belt clip member 130 is possible. That is, the free rotation is limited by the teeth 131, 121 provided in each of the concave-convex hinge shaft 120 and the first concave-convex through-hole 115 of the teeth provided when applying an external force of a certain degree or more.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in certain angle units determined by the number. In addition, the second uneven through hole 135 of the belt clip member 130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uneven hinge shaft 120 so that the second uneven through hole 135 and the uneven hinge shaft 120 are formed. Make sure to engage in a tight fit. Here,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relative rot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unit, the uneven hinge shaft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compressible material such as rubber.

더불어,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하단부 후면측에 잠금턱(161)를 구비하고, 벨트클립부재(130)는 잠금턱(16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턱(161)과 맞물리는 잠금고리(163)를 구비하여, 거치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벨트클립부재(130)의 하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턱(16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스프링(미도시) 등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으로 복원되는 잠금해제버튼(165)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거치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잠금해제버튼(165)을 누르는 조작을 통해 벨트클립부재(130)의 잠금고리(163)가 잠금해제버튼(165)의 잠금턱(161)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하여, 벨트클립부재(13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161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the belt clip member 130 is a locking ring 163 engaging with the locking jaw 16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161. ),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elt clip member 130 can be fix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110 while the mounting function is not used. Here, as shown in Figure 4, the locking jaw 161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release button 165 is restored to the elastic force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a coil spring (not shown) and the like. The lock ring 163 of the belt clip member 130 is locked by the locking button of the release button 165 through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lock release button 165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mounting function. It is to be released from the restraint by 161, so that the belt clip member 130 can be drawn out.

아울러, 거치기능 수행시 바닥면과 접촉하는 벨트클립부재(130)의 하단부에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바닥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 거치기능 수행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거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재는 고무재질의 패드나 패킹 등 접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거치기능 수행시 바닥면과 접촉하는 케이스(105)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도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거치기능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non-slip member (not shown) to the lower end of the belt clip member 13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performing the mounting function, even if the bottom surface is slippery to perform the mounting function stably. To be able. Here, the non-slip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form that can increase the friction with the ground plane, such as pads or packing of rubber material. Additionally, when the mounting function is performed, a non-slip member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5 or the base plate 110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to allow the mounting function to be more stably perform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은, 케이스(105) 및 벨트클립부재(130)를 통해 공지의 벨트클립과 마찬가지로 허리벨트에 고정되는 형태로 모바일 기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벨트클립부재(130)가 거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동영상 재생이나 TV시청 용도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편안한 시청이 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각도 역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자세나 취향, 그리고 주변환경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적당한 시청각도로 조절하여 더욱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in the form of being fixed to the waist belt like the known belt clip through the case 105 and the belt clip member 130 It is possible to carry the device, and the belt clip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perform the mounting function, when using a mobile device for video playback or TV viewing, the stable mobile device to enable comfortable viewing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mount, as shown in Figure 5, by adjusting the mounting angle can also adjust the mobile device to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posture or tast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at you can watch more comfortably. .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 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lt clip for a cradle-integra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assembly state of the belt clip for cradle-integra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은, 이상의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0), 벨트클립부재(230)를 포함한다.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and 7,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ase plate 210, the belt clip member 230 ).

다만, 제 1 실시 예의 경우와 달리,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모바일 기기를 장착할 장착소켓을 구비하는 케이스(205)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케이스 후면이 직접 베이스플레이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단차를 갖는 부분이 베이스플레이트(210)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However, unlike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ase plate 21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ase 205 having a mounting socket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the case back may directly play the role of the base plat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portion having the stepped shape protruding backward may serve as the base plate 210.

이상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상기한 제 1 실시 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Except for the above difference,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벨트클립부재를 통해 공지의 벨트클립과 마찬가지로 허리벨트에 고정되는 형태로 모바일 기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벨트클립부재가 거치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수단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동영상 재생이나 TV시청 용도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언제 어디서나 편안한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By providing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arry the mobile device in the form of being fixed to the waist belt like a known belt clip through the belt clip member In addition, the belt clip member has a structure that can also perform the mounting function, even if you do not carry a separate means to perform the mounting function, the effect of allowing comfortable viewing anytime, anywhere when using a mobile device for video playback or TV viewing To get.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nyone can easily know.

Claims (5)

모바일 기기를 장착할 장착소켓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며, 후면 상부측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1요철형관통구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It is provided with a case having a mounting socket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integrally or detachably, and is formed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rear side, and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enter and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base plate having at least one first concave-convex through-hole having teeth;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와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부측에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2요철형관통구를 구비하는 벨트클립부재; 및At least one seco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center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ide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uneven through hole A belt clip member having a concave-convex through hole; And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 및 제2요철형관통구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하며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 및 제2요철형관통구를 일렬로 정렬한 상태에서 삽입되는 요철형힌지축;을 포함하여,It has a plurality of teeth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uneven through hole and the second uneven through hole, the first Including a concave-convex through-hol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through-hole is inserted in a state aligned in a row; including,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벨트클립부재는 상기 요철형힌지축에 의해 일정각도단위의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벨트클립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회동을 통해 이격된 상태에서 자체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부와 함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는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거치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The base plate and the belt clip member are coupl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unit by the concave-convex hinge shaft, and the belt clip member has its lower end portion separated from the base plate by rotation.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r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cas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요철형관통구는 그 최대직경이 상기 요철형힌지축의 최대직경 보다 크고 그 최소직경이 상기 요철형힌지축의 최대직경 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상기 요철형힌지축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The first concave-convex through hole is formed so as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within a range in which the maximum diameter thereof is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and small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상기 제2요철형관통구는 상기 요철형힌지축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The second concave-convex through hole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cave-convex hinge axi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요철형힌지축은 압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The uneven hinge shaft is a belt clip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compressible material.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하단부 후면측에 잠금턱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클립부재는 상기 잠금턱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잠금턱과 맞물리는 잠금고리를 구비하여, 상기벨트클립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 트클립.The base plate has a locking jaw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and the belt clip member has a locking ring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and the lower end of the belt clip member has a lower end of the base plate. Belt clip for mobile devices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거치기능 수행시 바닥면과 접촉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부, 및 상기 벨트클립부재의 하단부 중 일측 또는 양측에 모두 미끄럼방지용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용 벨트클립.For the mobile device having a moun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pad is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ase or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belt clip member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performing the mounting function. Belt clip.
KR1020060104490A 2006-10-26 2006-10-26 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KR200800374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490A KR20080037400A (en) 2006-10-26 2006-10-26 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490A KR20080037400A (en) 2006-10-26 2006-10-26 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400A true KR20080037400A (en) 2008-04-30

Family

ID=3957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490A KR20080037400A (en) 2006-10-26 2006-10-26 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74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11A (en) * 2019-06-14 2020-12-23 (주)모던텍 Rotating typ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11A (en) * 2019-06-14 2020-12-23 (주)모던텍 Rotating typ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667B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CN107426930B (en) Protective housing
KR200483203Y1 (e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TWI630340B (en) Fixed device
US8056780B1 (en) Belt buckle with compartment for portable device
US9083111B2 (en) Magnetic docking base for handset
US9660682B2 (en) Apparatus for holding an electronic device
US20060166722A1 (en) Mobile phone back clip device
TW201607457A (en) Wrist belt
KR20080037399A (en) Belt clip united with surpporter for mobile-machinery
KR101629434B1 (en) Magic strap
US20100071168A1 (en) Earpiece retainer
KR101753520B1 (en) A smartphone cradle
KR101572610B1 (en) Strut for mobile device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US20160198836A1 (en) Portable hands-free bracket
KR20120080809A (en) Smart phone cover
US20210351808A1 (en) Protective cover having replaceable male parts and protective cover kit
KR101726179B1 (en) Support ring for portable terminal
KR20080037400A (en) Belt clip with surpporting funtion for mobilemachinery
KR100702709B1 (en) Step hing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reof
KR101346572B1 (en) Case for portable device
JP2008131154A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KR20180032805A (en) Support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454927Y1 (en) Stand for mobile terminal with antenna g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