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233A -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센서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233A
KR20080035233A KR1020060101631A KR20060101631A KR20080035233A KR 20080035233 A KR20080035233 A KR 20080035233A KR 1020060101631 A KR1020060101631 A KR 1020060101631A KR 20060101631 A KR20060101631 A KR 20060101631A KR 20080035233 A KR20080035233 A KR 20080035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tical waveguide
waveguide
thin film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763B1 (ko
Inventor
오민철
추우성
김경조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0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7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3Integrated opt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6/132Integrated opt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by deposition of thin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2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y interference
    • G02F1/2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y interference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83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B2006/12088Mono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 가능한 박막 광도파로 및 이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광신호의 투과 특성이 우수한 광소자용 플라스틱은 구성 분자 성분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굴절률을 띠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광도파로를 구성하는 코어와 클래딩 재료 간의 굴절률 차이를 매우 작게 만들어 주면 외부에서 작은 물체가 부딪치더라도 광신호가 크게 변화하게 되는 민감도가 높은 광센서를 만들 수 있다. 제안된 광센서는 광도파로 코어의 크기를 매우 크게 만들어도 단일 모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LED 광원이나 포토 디텍터(Photo detector) 등의 부품과 광결합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광도파로를 따라 진행하는 광파의 국한도가 매우 낮아서 큰 곡률을 가지는 물체에 의한 낌 현상을 별도의 광섬유변형 부품 없이도 검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여러 지점에서 발생 가능한 낌 현상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는 분산형 광센서를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본 센서는 플라스틱 재료 성형을 위하여 개발된 저가격 생산 공정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낌 방지 센서, 플라스틱, 광도파로, 분산형, 광센서, 대형 코어, 광도파로, Anti-pinch, sensor, Plastic, optical, waveguide, Distributed, Large core

Description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및 이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Plastic Thin Film Waveguide and Anti-Pinch Sensors with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및 이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도파로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출력광의 변화를 BP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한 그래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도파로
2. 광원부
3. 광검출기
4. 외부 낌 물체(pinched object)
5. 핀치로 인해 생긴 광도파로의 구부러짐(bending)
6. 전반사되면서 진행하는 도파광
7. 구부러진 광도파로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빛(radiated light)
11. 상부 클래딩
12. 코어
13. 하부 클래딩
21. 문에 낀 물체 (pinched object)
22.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 핀치 센서
23. 자동차 창문 프레임
24. 자동차 창문
25. 자동 개폐문
26. 문틀
본 발명은 최근 들어 지하철이나 엘리베이터에서 자주 발생하는 신체의 일부나 휴대용 물체가 문에 끼어서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낌 방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창문의 개폐를 단 한번의 자동화된 스위치 조작으로 가능하게 만듦으로 인해 탑승자의 신체가 창문에 끼는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낌 방지 센서는 자동차 창문, 지하철 차량 출입문, 엘리베이터 출입문 등에서 발생하는 인체의 일부분이나 소지품이 문에 끼어 발생하는 사고를 막기 위하여 필요한 부품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연구 개발되어져 왔다. 이와 같은 낌 사고를 막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기계적인 센서나 모터의 부하를 측정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문등에 채용된 그림자 검출형 광센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제품들 중에서도 광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낌 현상을 검출하는 센서는 외부에서의 전기적 충격을 견딜 수 있고 센서 표면에 접촉이 일어나더라도 점진적인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분포형 센서로서 동작시키기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광센서로서 가장 널리 연구되어진 형태는 광섬유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외부에서 물체가 끼었을때 발생하는 출력 광신호의 손실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다. [Leitner Horst, US 20005173886 참조] 이 경우 광섬유를 따라 진행하는 도파광이 외부에서 전해지는 변형에 의해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기 위하여 광섬유 코어의 외부에 굴절률이 높은 클래딩 재료를 불규칙적으로 배열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외부의 미세한 변형 신호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광섬유 센서를 제작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굴절률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광섬유를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R. Gerhard et al., US2005005706 참조] 광도파로의 코어 굴절률 보다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재료를 클래딩으로 선정하고 그 사이에 코어 굴절률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재료를 채워 넣는다. 이로 인해 평상시에는 도파광이 제대로 진행되다가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코어가 고굴절률의 클래딩과 접촉하게 되어 도파광이 외부로 새어나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낌 현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를 제안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광섬유는 제품의 단가를 올리는 원인이 된다.
광섬유의 형태를 특별하게 만들지 않고도 낌 방지 센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K. Makoto, Hitachi Cable, JP5126659 참조]
일반적인 광섬유는 1 cm 정도의 반경으로 광섬유를 구부리더라도 도파광의 손실이 크게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이는 단일 모드 광섬유의 경우 광섬유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 차이가 0.3 % 정도로 상당히 크게 제작되어 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광섬유는 반경이 매우 작게 되어야 비로소 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반경이 수 cm 에 달하는 인체의 일부가 직접 광섬유를 눌러서 곡률을 발생시키더라도 이는 광신호의 변화를 유도할 수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광섬유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에서는 외부에서 물체가 끼었을때 광섬유를 작은 곡률로 휘어줄 수 있는 광섬유변형 부품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이는 광섬유가 포설된 연속적인 지점에서 낌 현상을 검출하는 분포형 센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광섬유 변형 부품을 매우 조밀하게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된다.
광도파로의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는 외부 물체와 접촉되었을때 곡률을 발생시키며 휘어 질 수 있어야 하므로 실리콘이나 유기 기판상에 제작되는 일반적인 광도파로 제작 공정을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유연성 기판 상에 광도파로를 제작하는 방법도 연구되어 있으나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대량 생산에는 부적합하다. [W. H. Steier et al., US 2005/0249445 A1 참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와 이를 이 용하여 외부 물체의 낌 현상을 검출할 수 있는 광센서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를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 차이가 적은 대형 코어 광도파로 구조로 제작하여 별도의 광도파로 변형 부품 없이도 외부 물체의 낌 현상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포형 광센서를 구성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 코어 광도파로 구조로 제작된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를 이용하여 저가격의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 다이오드를 손쉽게 부착하고 센서를 하나의 모듈로 제작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반복적 접촉에 따른 마모가 거의 없는 낌 방지 광센서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투롤(roll-to-roll) 공정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플라스틱 광도파로를 제작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측면에 의한 플리스틱 박막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는, 일정한 굴절률을 가지고 그 내부로 광을 도파시키는 플라스틱 필름형 코어와, 상기 코어의 상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와 같은 재질로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각각의 상하부 클래딩으로 구성된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상기 광도파로로 광원을 입사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도파로에서 출력되는 광량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는 단일 모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와 상,하부 클래딩은 각각 폴리머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코어를 구성하는 폴리머 재료와 상기 클래딩을 구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굴절률 차이가 0.1 % 미만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는 일반적인 단일 모드 광섬유에 비해 2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의한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의 제조 방법은 코어를 형성하게 될 폴리머 필름이 롤에서 풀어져서 나오는 단계 ; 클래딩을 코어 필름의 상하부에 코팅하여 경화를 시키는 단계 ; 칼날을 이용하여 1 mm 정도의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나누어지도록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및 이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낌 방지 센서는 .일정한 굴절률을 가지고 그 내부로 광을 도파시키는 플라스틱 필름형 코어(12)와, 상기 코어의 상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와 같은 재질로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각 각의 상하부 클래딩(11)(13)으로 구성된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1); 상기 광도파로로 광원을 입사시키는 광원부(2); 상기 광도파로에서 출력되는 광량을 검출하는 광검출기(3)로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2)에서 나온 빛이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1)에 입력되도록 정렬 부착시키고 광도파로(1)를 진행하여 지나온 빛을 출력부에서 광검출기(3)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구조이다.
낌 방지 센서에서 광도파로(1)의 일부분에 물체(4)가 끼어서 발생하는 광도파로의 변형에 의해서 도파광(6)의 일부가 외부로 새어 나가고(7) 출력광의 세기가 변하게 되어 광센서의 모든 부분에서 물체의 낌 현상을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1)는 단일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도파로의 모드를 단일 모드로 함으로써 다중모드 광도파로에 비해 손실이 매우 적으며 신호의 변형(왜곡)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낌 상태를 센싱하여 안전이 보장된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1)는 폴리머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 가능하며 이때 광도파로의 코어부(12)와 상하부 클래딩부(11)(13)를 형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굴절률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대적인 굴절률 차이가 0.1%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와 클래딩부의 굴절률은 폴리머 재료의 블랜딩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작은 굴절률 차이를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광도파로(1)를 제작함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작은 변화에 대해서도 도파광이 쉽게 방 출되어 물체의 낌 현상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광도파로를 따라 진행하는 광파의 국한도가 매우 낮아서 곡률반경이 큰 물체가 끼는 경우에 광도파로를 작은 반경으로 변형되도록 만들어주는 별도의 부품이 없이도 광파워의 변화를 일으켜 물체의 낌을 센싱할 수 있다. 이 점은 광센서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하는 낌 현상을 한꺼번에 센싱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며 분포형 센서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광감쇄기를 제작한 예도 있다. [M.-C. Oh et al.,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 17, pp. 1890-1892, 2005;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10-2005-0036599 참조] 또한, 이와 같이 작은 굴절률 차이를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광도파로(1)를 제작함으로써 단일 모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광도파로 코어(12)의 크기가 매우 크게 될 수 있으며 약 25 um 이상의 두께에 대해서도 단일 모드만 전파하는 광도파로를 형성할 수 있다.[M.-C. Oh et al., Optics Communications, vol. 246, pp. 337-343, 2005 참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입력광을 광도파로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율을 높이고 손쉽게 입·출력부에 광전자 소자를 정렬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낌 방지 센서는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1), 광원부(2) 및 광검출기(3)를 하나의 모듈로 제작할 수 있다. 하나의 모듈로써 제작함으로써 설치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광원부(1)로는 최근에 급격하게 기술 개발이 이루어진 저가형 발광다 이오드 (LED)를 이용할 수 있으며, 광검출기(3)는 검출부의 면적이 광도파로 코어(12)의 크기와 비슷한 정도의 수십 마이크로미터 두께를 가지는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저가격 LED 와 PD를 이용함으로써 가격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광소자를 제작하는 경우에 플라스틱 필름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있는 롤투롤(roll-to-roll)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코어를 형성하게 될 폴리머 필름이 첫 번째 롤에서 풀어져서 나올 때 그 다음 공정에 열 경화 또는 UV 경화형 폴리머를 코어 필름의 상하부에 코팅하여 경화를 시키면 필름 광도파로가 완성되고 마지막 단계에서 칼날을 이용하여 1 mm 정도의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나누어지도록 절단을 하게 되면 필름 광도파로가 완성된다. 대표적인 플라스틱 필름 가공 기술인 롤투롤(roll-to-roll) 공정과 UV 경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품의 단가를 매우 저렴하게 떨어뜨릴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 센서를 제작하여 실험한 과정과 실제 측정에 의해 나타난 사양 및 본 발명의 적용예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낌 현상은 손가락이나 팔다리 부위가 걸려서 나타나게 된다. 이 같은 경우 핀치 센서가 감지해야 하는 곡률 반경의 크기는 개략적으로 5 mm ~ 50 mm 정도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설계 과정에서는 광도파로의 곡률이 5 mm 또는 50 mm 정도가 되었을 때 나타나는 광파의 감쇄현상을 계산해 보는 것이 의미를 가진다.
플라스틱 광도파로에 물체가 끼어서 발생한 굴곡에 의해 도파광의 손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Beam Propagation Method (BPM) 를 이용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하여 살펴보고 소자 구조를 설계하게 된다. BPM 방법은 광파의 전파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해석 방법으로서 Maxwell equation 으로부터 근축 근사 (paraxial approximation) 를 통하여 파동의 전파 과정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도파로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출력광의 변화를 BP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한 그래프로서, 도 2는 낌 방지 센서의 제작에 있어서 일반적인 광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와 제안된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손가락과 유사한 반경 5 mm 인 물체로 인해 발생하는 광도파로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출력광의 변화를 BP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또한, 도 3은 낌 방지 센서의 제작에 있어서 일반적인 광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와 제안된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팔이나 다리와 유사한 반경 50 mm 인 물체로 인해 발생하는 광도파로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출력광의 변화를 BP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곡률 반경이 5 mm 인 물체에 의해 핀치가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 는 광신호의 감쇄를 보이고 있다. 두 가지 광도파로의 경우를 비교하고 있으며 폭이 8 um 이고 굴절률 차이가 0.005 인 일반적인 광섬유의 경우와 폭이 25 um 이고 굴절률 차이가 0.001 인 대형 코어 광도파로의 경우에 대하여 BPM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결과로부터 곡률 반경이 5 mm 인 물체에 의해 발생한 핀치 현상은 두 경우 모두 출력광의 감쇄를 발생시키게 되어 물체를 감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곡률반경이 50 mm 인 경우에 대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굴절률 차이가 0.001 인 대형코어 광도파로는 10 um 이상의 변위(displacement) 가 발생하였을 때 출력광의 현저한 감쇄가 일어남을 볼 수 있으나 굴절률 차이가 0.005 인 일반 광섬유의 경우에는 변위(displacement) 가 100 um 이상이 되더라도 도파광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반 광섬유의 경우에는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 차이가 충분히 커서 반경 50 mm 정도의 굴곡이 발생하더라도 변위(displacement) 의 크기와 상관없이 광파의 라디에이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팔 또는 다리와 같이 곡률 반경이 큰 물체가 핀치 센서에 밀착될 경우 일반 광섬유를 이용한 센서는 감지를 못하게 되나 제안된 플라스틱 필름 광도파로 구조를 이용한 센서는 감지를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는 자동차 창문, 도 5는 지하철 자동문 등에 낌 방지 센서를 장착하여 플라스틱 광도파로로 덮 여진 연속적인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낌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분포형 센서의 적용 예를 보이고 있다.
필름 광도파로를 이용하여 핀치 현상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자동차 창틀(23)(24)이나 도 5의 자동문의 닫히는 부위(25)(26)에 필름 광도파로(22)를 부착시키기만 하면 된다. 외부 물체(21)가 접촉되었을 때 필름 광도파로(22)가 쉽게 곡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너무 딱딱하지 않은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 광섬유에서 필요로 하는 광섬유 변형 부품은 필요치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 광도파로(22)를 부착하게 되면 광도파로가 지나가는 모든 부위에서 발생 가능한 핀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분산형 센서 (distributed sensor) 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하여 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플라스틱 광도파로는 코어를 구성하는 폴리머 재료와 클래딩을 구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굴절률 차이가 0.1 % 미 만으로 제작되어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도파광의 손실이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해 미세한 낌 현상까지도 검출이 가능한 광센서를 제작하기에 매우 적합한 광도파로 구조를 가진다. 대형코어 단일모드 광도파로는 광원과 광검출기를 연결하는 과정을 매우 손쉽게 함으로써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이 수동적인 방법으로 제품을 조립가능하게 되어 이 또한 센서 모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게 된다. 제안된 광센서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롤투롤(roll-to-roll) 방식과 같은 저가격 대량 생산 기술을 적용시킬 수 있다. 특수한 형태의 광섬유를 이용하는 구조에 비하여 모듈의 구성이 간단하여 전자식 센서와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제품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높은 가격으로 인해 채택되지 못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광센서로서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제품이 될 것이다.

Claims (6)

  1. 일정한 굴절률을 가지고 그 내부로 광을 도파시키는 플라스틱 필름형 코어와,
    상기 코어의 상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와 같은 재질로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각각의 상하부 클래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단일 모드 광도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하부 클래딩은 각각 폴리머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폴리머 재료와 상기 클래딩을 구성하는 폴리머 재료의 굴절률 차이가 0.1 % 미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일반적인 단일 모드 광섬유에 비해 2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5. 일정한 굴절률을 가지고 그 내부로 광을 도파시키는 플라스틱 필름형 코어와, 상기 코어의 상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와 같은 재질로서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각각의 상하부 클래딩으로 구성된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상기 광도파로로 광원을 입사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도파로에서 출력되는 광량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낌 방지 센서.
  6. 상기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코어를 형성하게 될 폴리머 필름이 롤에서 풀어져서 나오는 단계 ;
    클래딩을 코어 필름의 상하부에 코팅하여 경화를 시키는 단계 ;및
    칼날을 이용하여 1 mm 정도의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나누어지도록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의 제조 방법.
KR1020060101631A 2006-10-19 2006-10-19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센서 KR10086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631A KR100860763B1 (ko) 2006-10-19 2006-10-19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631A KR100860763B1 (ko) 2006-10-19 2006-10-19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33A true KR20080035233A (ko) 2008-04-23
KR100860763B1 KR100860763B1 (ko) 2008-09-29

Family

ID=3957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631A KR100860763B1 (ko) 2006-10-19 2006-10-19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7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005A (en) 1988-01-29 1992-11-17 Fiberchem Inc. Planar and other waveguide refractive index sensors using metal cladding
KR100417466B1 (ko) * 2001-05-04 2004-02-05 송재원 마이크로 밴딩 장주기 광섬유 격자의 제조 방법
KR100623259B1 (ko) * 2003-10-30 2006-09-18 송재원 특수 광섬유 및 특수 광섬유를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US7307704B2 (en) 2004-04-19 2007-12-11 Carrier Corporation Light delivery contro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763B1 (ko) 200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Fabrication of side-polished single mode-multimode-single mode fiber and its characteristics of refractive index sensing
WO2008042959A3 (en) Fiber optic device for measuring a parameter of interest
US7333696B2 (en) Tape-shaped optical fiber cable
US20210003388A1 (en) Waveguide and sensor based on same
JPH02903A (ja) 平面状ポリマーによる光ガイド法および装置
US20160170565A1 (en) Light guide assembly for optical touch sensing, and method for detecting a touch
Zhang et al. A new photonic crystal fiber gas sensor based on evanescent wave in terahertz wave band: design and simulation
KR20140119605A (ko) 광학모듈 및 광송수신모듈
CN101258379A (zh) 与光纤通信线连接的光纤传感器
Abang et al. Influence of mounting on the hysteresis of polymer fiber Bragg grating strain sensors
Leal-Junior et al. Temperature-insensitive curvature sensor with plane-by-plane inscription of off-center tilted bragg gratings in CYTOP fibers
KR100860763B1 (ko) 플라스틱 박막 광도파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광도파로를 이용한 낌 방지센서
Stajanca et al. Strain sensing with femtosecond inscribed FBGs in perfluorinated polymer optical fibers
KR101504028B1 (ko)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 측정 장치
Lee et al. Simple pressure sensor for a vehicle seat using a woven polymer optical-fiber sheet
WO2017179507A1 (ja) 光センサ
Yan et al. Development of flexible pressure sensing polymer foils based on embedded fibre Bragg grating sensors
Rajan Introduction to optical fiber sensors
Oh et al. Variable optical attenuator based on large-core single-mode polymer waveguide
GB1582768A (en) Temperature sensitive optical fibre
Günther et al. Self-written polymer waveguide interconnects as low-loss and simple sensing devices
Jahan et al. Analysis and Sensitivity Improvement of FBG Sensor
KR101499398B1 (ko) 광 강도형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충격 위치 추정 시스템
Dai et al. A pressure sensor using tapered optical fiber and curved polymer films
KR101025950B1 (ko) 폴리머 광도파로 기반 광 온도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