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590A -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590A
KR20080034590A KR1020060100735A KR20060100735A KR20080034590A KR 20080034590 A KR20080034590 A KR 20080034590A KR 1020060100735 A KR1020060100735 A KR 1020060100735A KR 20060100735 A KR20060100735 A KR 20060100735A KR 20080034590 A KR20080034590 A KR 2008003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ource
output
region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4590A/ko
Publication of KR2008003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PDP 등의 영상기기에서 잔상을 제거하는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video source)가 출력되는 영역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를 구별하여 메모리 하는 단계와,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 하는 단계와, 그리고 특정 명령 신호 인가시,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는 풀 화이트(full white)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에는 상기 카운팅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 등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영상의 화면 비율 변동에 따른 경계면 밝기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60100735
PDP, 풀 화이트(full white), 경계면

Description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The display device for removing an image sticking in a interfa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a 는 16:9 영상기기에서, 4:3 비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b 는 16:9 영상기기에서, 4:3 비디오 소스에서 16:9 비디오 소스로 전환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c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경계면 잔상을 예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가 영역별 다른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가 영역별 다른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영상기기 210:신호 입력부
211:ADC 212:TMDS 수신부
213:TV 디코더 214:MPEG2 변환부
220:스케일러 230:오버레이 제어부
240:디스플레이부 250:영역 판단부
260:시간 카운터 270:메인 제어부
280:메모리부 290:사용자 입력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등의 영상기기가 날로 발전함에 따라, 기존 CRT(Cathode Ray Tube) 영상기기에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 얇고 가벼운 형태의 영상기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PDP 등의 영상기기의 경우, 얇고 가벼운 점 등 여러가지 장점이 존재하지만, 동일한 영상을 계속 디스플레이시 잔상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PDP 등의 영상기기에서 발생하는 화면 잔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능 중 하나가 화이트 워시(White Wash) 기능이다.
상기 화이트 워시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영상기기의 메모리부를 디스에이 블(disable) 시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오버레이 제어부를 통해 R,G,B 영상신호에 대한 출력 이득(gain)을 최대값으로 설정하여 출력시킴으로써, 화면상에 화이트 패턴(white pattern)을 디스플레이 시킨다.
이와 같이, 종전 화이트 워시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화면 잔상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전 화이트 워시 기능은, 화면 비율에 따라 발생하는 근본적은 밝기 차이를 보정하지 않아서, 화면 잔상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a는 16:9 영상기기에서, 4:3 비디오 소스를 출력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16:9 영상기기에서, 4:3 비디오 소스에서 16:9 비디오 소스로 전환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경계면 잔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16:9 화면비를 가지는 PDP TV 등의 영상기기가, 4:3 화면비의 비디오 소스를 수신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실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며, 좌우측면으로는 회색 내지는 검은색으로 채워진다.
도 1a에 도시된 좌우측면의 회색 내지는 검은색은, PDP TV 등에서 점등되는 픽셀(pixel)을 줄인 것인데, 이로 인하여 실제 영상이 출력되는 중앙 부분과,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좌우 측면간 에이징(aging)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1a와 같이 4:3 영상을 출력하다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16:9 영상으로 전환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 기존의 회색(gray) 내지는 검은색 부분과 중앙의 영상 부분의 경계에서 밝기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플라즈마(plasma)의 특성상 불가피한 현상 중 하나이다.
그러나, 종래 화이트 워시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예를 들어, PDP TV 등)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다가, 도 1b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 경우, 종래 화이트 워시 기능을 실행시켜도, 화면 전체를 동일하게 풀 화이트 OSD로 채우는 바, 영상이 출력되지 않던 영역과 영상이 출력되던 영역간 경계가 뚜렷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면이 명확하게 남아서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 사용자들의 PDP 등 제품 구매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되는 비디오 소스의 화면 비율 전환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화면 잔상 문제를 능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video source)가 출력되는 영역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를 구별하여 메모리 하는 단계와,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 하는 단계와, 그리고 특정 명령 신호 인가시,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는 풀 화이트(full white)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에는 상기 카운팅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전체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video source)가 출력되는 영역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를 구별하여 메모리 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디오 소스가 4:3 화면 비율의 비디오 소스인 경우,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좌측 끝부분 12.5%와 화면의 우측 끝부분 12.5%이며, 그리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중앙 부분 75%일 수 있다.
상기 풀 화이트(full white) 영상은, R(255레벨), G(255레벨), B(255레벨)로 구현하며, 상기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은, R(255-5a레벨), G(255-5a레벨), B(255-5a레벨)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video source)가 출력되는 영역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를 구별하여 메모리 하는 저장부와,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 하는 계산부와, 그리고 특정 명령 신호 인가시,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는 풀 화이트(full white)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에는 상기 카운팅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영상기기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디오 소스가 4:3 화면 비율의 비디오 소스인 경우,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좌측 끝부분 12.5%와 화면의 우측 끝부분 12.5%이며, 그리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중앙 부분 75%일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예를 들어 PDP(Plasma Display Panel) 영상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 등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영상의 화면 비율 변동에 따른 경계면 밝기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효과로 PDP 제품 판매에 걸림돌 중 하나인 화면 잔상 문제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200)는, 신호 입력부(210), 스케일러(220), 오버레이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영역 판단부(250), 시간 카운터(260), 메인 제어부(270), 메모리부(280),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2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영상기기(200)는, 예를 들어 PDP TV, PDP DTV 등이 될 수 있으며, 또는 플라즈마(plasma)를 사용하는 다른 여러가지 모니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 입력부(210)는, 상기 영상기기(2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처리될 수 있는 신호의 형태로 변환시킨다.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입력부(210)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11)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DVI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입력부(210)의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수신부(212)를 통해 변환된다.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또는 PAL(Phase Alternation byLine system) 방식의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입력부(210)의 TV 디코더(213)를 통해 변환되며, 그리고 상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HDTV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 입력부(210)의 MPEG2 변환부(214)에 의해 변환된다.
상기 스케일러(220)는, 상기 신호 입력부(2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해상도와 일치하도록 변환시킨다. 상기 메모리부(280)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HDD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오버레이 제어부(230)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나, OSD(On Screen Display) 기능 등을 지원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LCD, PDP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7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90) 등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인가 받은 경우, 또는 자동으로 상기 영상기기(200)의 블록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270)는 에를 들어, 마이컴(micom),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부가된 영역 판단부(250), 시간 카운터(260), 오버레이 제어부(230), 그리고 메인 제어부(270) 등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가 영역별 다른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영역 판단부(250)는, 우선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을 판단한다. 한편, 상기 시간 카운터(260)는, 상기 영역들이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290) 등을 통해, 화이트 워시 등 특정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 패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오버레이 제어부(230) 등을 제어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던 4:3 화면 부분의 경우, 종전과 달리 R, G, B 레벨값이 낮추어진 화이트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던 양쪽 끝부분은 R, G, B 레벨값을 풀 화이트(255레벨)로 유지한다.
상기 R, G, B 레벨값이 낮추어진 화이트 영상 신호는, R의 경우 (255-5*(임의의 값)), G의 경우 (255-5*(임의의 값)), B의 경우 (255-5*(임의의 값))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값'은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는 시간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는 시간이 늘어날 수록, 4:3 화면의 영역과 그렇지 아니한 영역의 에이징(aging) 및 밝기 차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이트 워시 기능(잔상 방지 기능)은 4:3 영상과, 16:9 영상의 출력 면적 차이에서 발생되는 경계면 잔상 제거를 주요한 목적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영상기기(200)의 사용자가 4:3 영상인 일일 드라마와, 9시 뉴스를 시청 한 후, 16:9 영상인 드라마를 본다고 가정해 보자.
이에 대하여, 상기 시간 카운터(260)의 분석 결과, 4:3 영역의 플라즈마 셀(plasma cell) 점등 시간은 3시간인 반면, 4:3 영역이 아닌 기타 영역의 실제 점등 시간은 1시간이고 그레이(gray) 상태의 점등 시간이 2시간이다. 일반 점등의 에이징(aging) 효율이 그레이 상태 보다 50% 정도 높은 경우, 상기 3시간 동안 4:3 영역과 기타 영역의 에이징 격차는 1.5배 정도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DTV 방송에서 조차도, 4:3 화면 비율의 영상을 제공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하루 시청으로 발생되는 에이징 격차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실제로 PDP TV 등을 구입한 후로부터, 4-6개월 정도 소요된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도 확연히 확인할 수가 있다. 에이징(aging) 차이로 인하여, 4:3 영역이 기타 영역보다 어둡게 보이고, 심지어 경계선이 뚜렷하게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화이트 패턴의 밝기에 차등을 두는 경우, 이러한 경계면 잔상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4:3 화면이 아닌 나머지 화면 영역의 R,G,B 레벨값을 사용자 측에서 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R,G,B 레벨값을 조정하다가, 4:3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경계면이 사라지는 시점에, R,G,B 레벨값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3으로 복귀하여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좌우측 부분은 4:3 영상 출 력 영역에 비해, 에이징이 필요하므로 가장 높은 밝기를 유지하고, 4:3 영상 출력 영역의 밝기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측에서 조정하여 그 경계가 사라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영역 판단부(250) 측에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그렇지 아니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데, 다른 방법으로는 미리 약속된 값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그렇지 아니한 영역을 구분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4:3 화면비의 비디오 소스의 경우, 16:9 화면비의 영상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부분이 중앙 부분에서 75%를 차지하고,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부분은 좌우 끝부분에서 각각 12.5%의 그레이 영역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제조사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기준이다.
그리고, 4:3 영역만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은, XSize를 25% 만큼 감소시킨 후, XPos 값에다 화면 픽셀의 12.5% 만큼을 더하여 설정한 영역이 4:3 영역에 대응된다(참고적으로. XPos, YPos 는 시작 좌표를 나타내고, XSize, YSize 는 너비와 높이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영역별로 화이트 밝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기능은, H/W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S/W 설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우선 화면 전체적으로 풀 화이트 OSD(full white OSD)를 그린 후, 4:3 영역만의 OSD를 덧데어 그린다. 이 때, 4:3 영역에 표시되는 OSD는 회색에 가까운 것으로, R, G, B 레벨값을 동일하게 감소시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은, 16:9 화면의 PDP 영상기 기가 4:3 비디오 소스를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출력되지 않는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가 영역별 다른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 화면의 PDP 영상기기가 16:9 비디오 소스를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의 경계면에 잔상이 남게 된다.
이 때에도, 전술한 본 발명이 적용될 수가 있다. 물론, 당업자라면 도 2 내지 3에 대한 설명을 통해, 도 4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후술할 제어 방법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을 시간 흐름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명한 것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당해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4:3 화면 비율의 비디오 소스가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 물론, 4:3 화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면에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부분과 출력되지 않는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플로우 차트도 그 중 하나인 일예에 불과하다.
상기 판단 결과(S501), 인가되는 경우, 상기 인가되는 시간을 카운팅 한다(S502).
상기 카운팅 중(S502), 화이트 워시(white wash)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 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3).
상기 판단 결과(S503), 인가 되는 경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 다른 R, G, B 레벨값을 가지는 화이트 영상을 출력한다(S504).
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은 풀 화이트 영상(R:255, G:255, B:255)을 유지하고,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은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R:255-5*a, G:255-5*a, B:255-5*a)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a' 값은 임의의 양수로, 상기 카운팅 되는 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로 해결할 수 없었던 화면 비율 차이로 인한 경계면의 잔상 내지는 밝기 차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 째, 본 발명에 의하면, H/W 또는 S/W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어서, 코스트(cost) 상승을 최소화 하는 효과도 있다.
셋 째, 4:3 화면 비율의 컨텐츠와, 16:9 화면 비율의 컨텐츠가 수시로 방송되고 있는 현실에서, 본 발명은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체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video source)가 출력되는 영역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를 구별하여 메모리 하는 단계;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 하는 단계; 그리고
    특정 명령 신호 인가시,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는 풀 화이트(full white)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에는 상기 카운팅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video source)가 출력되는 영역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를 구별하여 메모리 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디오 소스가 4:3 화면 비율의 비디오 소스인 경우,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좌측 끝부분 12.5%와 화면의 우측 끝부분 12.5%이며, 그리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중앙 부분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 화이트(full white) 영상은, R(255레벨), G(255레벨), B(255레벨)로 구현하며,
    상기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은, R(255-5a레벨), G(255-5a레벨), B(255-5a레벨)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4. 전체 화면에서,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video source)가 출력되는 영역과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를 구별하여 메모리 하는 저장부;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 하는 계산부; 그리고
    특정 명령 신호 인가시,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는 풀 화이트(full white)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에는 상기 카운팅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풀 화이트 영상 보다 낮은 밝기의 화이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디오 소스가 4:3 화면 비율의 비디오 소스인 경우,
    상기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좌측 끝부분 12.5%와 화면의 우측 끝부분 12.5%이며, 그리고
    상기 정상적으로 비디오 소스가 출력되는 영역의 위치는, 화면의 중앙 부분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PDP(Plasma Display Panel) 영상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KR1020060100735A 2006-10-17 2006-10-17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34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35A KR20080034590A (ko) 2006-10-17 2006-10-17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35A KR20080034590A (ko) 2006-10-17 2006-10-17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590A true KR20080034590A (ko) 2008-04-22

Family

ID=3957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35A KR20080034590A (ko) 2006-10-17 2006-10-17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45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2281B2 (en) 2013-11-14 2018-05-1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compensating image to be displayed on display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2281B2 (en) 2013-11-14 2018-05-15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compensating image to be displayed on display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227B1 (ko) 에이치디티브이의 디스플레이용 영상 처리장치
KR10072190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KR20070025292A (ko) 디스플레이장치
US809419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971617A (zh) 具有视频来源装置与视频接收装置的系统中的调整视频处理
JP2012521133A (ja) ビデオコンテンツの提示
KR2010005022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8445A (ko) 자동 잔상제거 기능을 갖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잔상제거 방법
KR1007565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잔상제거방법
KR20080011026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7411605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mage sticking of video display appliance and method thereof
US200601036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cidental image thereof
KR20080034590A (ko) 경계면 잔상 제거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206123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44526B1 (ko) 스케일 팩터에 따른 샤프니스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JP2969408B2 (ja) 映像表示装置
KR20060116529A (ko)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잔상 방지 방법
KR20040029759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잔상 방지방법
KR100426089B1 (ko)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KR100429228B1 (ko) 티브이의 사이드 화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10439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및 방법
US10341600B2 (en) Circuit applied to television and associated image display method
KR20070012009A (ko) Pat 기능을 갖는 피디피 티비의 경계 잔상제거방법
KR100781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67024B1 (ko) 와이드 텔레비전의 주변색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