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804A -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804A
KR20080033804A KR1020060099993A KR20060099993A KR20080033804A KR 20080033804 A KR20080033804 A KR 20080033804A KR 1020060099993 A KR1020060099993 A KR 1020060099993A KR 20060099993 A KR20060099993 A KR 20060099993A KR 20080033804 A KR20080033804 A KR 20080033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mergency mode
emergency
checking
mod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2548B1 (en
Inventor
김광남
정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548B1/en
Publication of KR2008003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checking an emergency state are provided to allow other people to sense an emergency situation of a user even though the user dose not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directly. An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20) checks whether a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or a general message. If the received message is the emergency mode message and a response to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 controller(60) transmits an SOS call to a message caller automatically. The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includes a character string checking unit(22) and a phone number-checking unit(24).

Description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 방법{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n emerg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긴급모드 세팅화면의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of an emergency mode setting screen.

도 3은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시 표시화면의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screen when an emergency mode message is receiv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의 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emergency check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무선통신부 20 :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 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emergency mode message confirmation unit

30 : 타이머부 40 : 표시부30: timer unit 40: display unit

50 : 키 입력부 60 : 제어부50: key input unit 60: control unit

본 발명은 긴급상황 확인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메시지를 통해 수신자가 긴급상황에 처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an emergency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a receiv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text message and an emergency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ame It is about.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그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하루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이동통신단말기와 함께 보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긴급한 상황이 닥치면, 이동통신단말기로 주변인들에게 전화하거나 경찰서 등 구조요청 기관에 신고하는 일들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즉, 본인이 긴급한 상황에 닥쳐있다는 사실을 본인이 직접 타인에게 알려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러나, 긴급한 상황하에서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 힘들고 심리적으로 위축된 상태이므로, 구조를 요청할만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기관의 전화번호를 쉽게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게다가, 힘들게 전화를 걸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부재에 의해 통화가 연결되지 않아 본인의 위급한 상태를 알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ir functions are diversified, more and more people spend most of the day with thei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a result, when an urgent situation arises for the user, there are frequent occurrences of calling a neighbor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reporting to a rescue request agency such as a police station. In other words, you are telling someone you are in an emergency and asking for help. However, in an urgent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make a rational judgment and psychologically shrunk, so it may not be easy to recall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or the institution's phone number to request rescue. In addition, even though you make a difficult call, you may not be able to announce your emergency because you are not connected by the absence of the other part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0-595894호에서는 긴급 상황 시 이동통신단말기에 긴급버튼을 누르면 현재 긴급 상황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미리 저장된 긴급통화번호 중 통화 가능한 번호로 이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595894, pressing an emergency button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the current emergency situation is photographed by a camera and transmitted to a callable number among emergency call numbers stored in advance. Is starting.

하지만, 상기 발명에서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비록 긴급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이라고 할지라도) 직접 긴급 요청할 수 있는 경우는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불의의 사고를 당해 의식을 잃은 상태이거나 상대방의 위협에 의해 휴대폰을 다룰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에는 본인의 긴 급 상황을 알릴 방법이 없다. However, the case in which the user in an urgent situation can make an emergency request directly (even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an emergency butt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evitably limited. For example, if you are unconscious because of an accident or are in a situation where you cannot handle your cell phone because of the threat of the other party, there is no way to inform you of your emergency.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긴급한 상황을 알리지 않아도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여 긴급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된다면 신속하게 긴급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Therefore, even if a user does not directly inform his or her emergency situation, if another person judges the user's situation and is determined to be in an emergency situation, a method for promptly dealing with an emergency will be needed.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자가 긴급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판단해볼 수 있는 특정의 긴급모드 메시지를 발송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신자로부터 답변이 없는 경우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여 수신자가 구조요청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긴급 대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한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nd a specific emergency mode message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r is exposed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if the receiver does not answer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receiver needs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and request rescu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iden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emergency measures can be taken prompt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자가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지정해놓아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지정해놓은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이동통신단말기가 긴급모드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장난 메시지 등에 의한 오동작을 막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ate an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that can check whether the receiv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dvan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check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emergency mode when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receiv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chec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which can be used only when necessary and to prevent malfunctions caused by mischief messag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인지 일반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 및 상기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이고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메시지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mergency chec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or a general message; 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to the message sender when the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and there is no response to the emergency mode messa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은 대기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 1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인지 일반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이면,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에게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Emergency situation confirmation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receiving a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andby state;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or a general message; A thir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respons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f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to the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if there is no response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긴급모드 세팅화면의 예시도, 도 3은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시 표시화면의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nfirming an emerg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n emergency mode setting screen,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screen when an emergency mode message is receiv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부(10),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20), 타이머부(30), 표시부(40), 키입력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an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20, a timer unit 30, a display unit 40, a key input unit 50 and a control unit 60.

무선통신부(10)는 제어부(60)의 제어 하에서 음성데이터, 문자데이터, 영상데이터 및 제어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20)는 무선통신부(1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가 수신자의 안부를 확인하기 위한 긴급모드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긴급모드 메시지는 메시지 수신자가 긴급상황에 처한 경우가 아닌지 확인하고자 발 신하는 메시지로, 미리 지정된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가 메시지 문자열 내에 미리 정해놓은 특정 문자열을 포함시켜 발송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The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20 functions to check whether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for checking the safety of the receiver.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a message sent to check whether the receiv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means a message sent by a predetermined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including a predetermined string in the message string.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20)는 이와 같은 긴급모드 메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문자열을 확인하는 문자열 확인부(22) 및 발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번호 확인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판단 기준이 되는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과 발신자 전화번호는 각각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 데이터베이스(21) 및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값이다. 이 값들은 수신자에 의해 직접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다. The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20 includes a string checking unit 22 for checking a string of a received message and a number checking unit 24 for checking a caller's telephone number in order to determine such an emergency mode message. do. At this time, the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and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which are determination criteria, are values stored in the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database 21 and the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database 23,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prestored in the terminal directly by the receiver.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 데이터베이스(21)에는 예를 들면, "//119", "//911"과 같이 특수문자 "//"과 응급구조기관 번호를 의미하는 "119", "911"을 조합하는 등 일반적인 메시지 전송상황에서 잘 쓰이지 않고 긴급상황을 직감할 수 있는 형태의 문자 조합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미리 수신자 단말기와 정해진 규약에 따라 발신자는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 시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과 함께 수신자로부터 응답 요구 시간값을 문자열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자는 메시지 내용 중에 "//119"와 같은 긴급상황 체크 문자뿐만 아니라, "2:00:00"과 같이 응답 요구 시간값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때에는 긴급상황 체크 문자와 시간값이 구별될 수 있도록 간격을 띄어 입력하거나 중간에 특정 특수 문자를 추가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database 21,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the special characters "//" and "119" and "911" meaning the emergency rescue agency number, such as "// 119" and "// 911". It is preferable to store a combination of characters that are not used well in general message transmission situations and can easily sense an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with the receiver terminal, the sender may include a response request time value from the receiver together with the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when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sent. For example, the sender may input a response request time value such as "2:00:00" as well as an emergency check character such as "// 119" in the message conten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put a spaced interval so that the emergency check character and the time value can be distinguished, or input a specific special character in the middle.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 데이터베이스(23)에는 긴급모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도록 승인된 전화번호가 입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에 저장된 사람들 특정인을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로 지정하거나 또는 직접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신자를 제한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난 문자 발송으로 인한 불필요한 긴급상황 확인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발신자를 지정하는 것이다. The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database 23 is inputted with a telephone number authorized to send an emergency mode message. As illustrated in FIG. 2, a user may input a specific person stored in a pre-stored phone number list as an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or directly enter a phone number. If the caller is not restricted in this way, the caller must be designated in advance because unnecessary emergency checks can be made due to the mischief text.

문자열 확인부(22)와 번호 확인부(24)를 통해 미리 지정된 발신자로부터 긴급모드 메시지가 발신된 경우임이 확인되면,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20)는 제어부(60)로 이를 알린다. 만일, 메시지 내에 응답 요구 시간값이 함께 포함된 경우에는 이 시간값도 제어부(60)에 알린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caller through the string checker 22 and the number checker 24, the emergency mode message checker 20 notifies the controller 60 of this. If the response request time value is included in the message, this time value is also notified to the controller 60.

타이머부(3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자가 응답을 발신하기까지 주어진 소정의 체크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체크 시간은 수신자 단말에 미리 지정된 시간이거나 또는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 시 발신자가 메시지 문자열 내에 포함시킨 응답 요구 시간값일 수 있다. The timer unit 30 functions to count a given check time until the receiver sends a respon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In this case, the check time may be a predetermined time in the receiver terminal or a response request time value included in the message string by the sender when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sent.

표시부(40)는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이때, 표시부(40)에서는 도 3과 같이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것과 동시에 타이머부(30)에서 측정하고 있는 체크 시간을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면상으로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것 이외에도 메시지 알림음 또는 진동을 부가하여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사실 및 남은 시간 체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40 functions to notify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mode messag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unit 40 preferably notifies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mode message and displays the check time measured by the timer unit 30. In addition to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mode message on the screen, a message notification sound or vibration may be added to actively check the fact of the emergency mode message reception and the remaining time.

키입력부(50)는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후 수신자로부터의 응답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응답은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에게 전화를 연결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이 발신자에게 직접적인 응답을 하는 것 이외에도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후 소정 시간내에 수신자의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60)의 동작("긴급모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일 수도 있다. The key input unit 50 functions to receive a response from the receiver after receiving the emergency mode message. This response is made by connecting a call or sending a text message to the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However, in addition to the direct response to the caller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n input for requesting the release of an operation (“emergency mode”) of the control unit 60 to check whether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receiv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ceiving the emergency mode message.

제어부(60)는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20)로부터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면, 소정 체크 시간 내에 키입력부(50)를 통해 수신자로부터의 응답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타이머부(30)를 가동한다. 그리고, 표시부(40)에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사실을 표시하는데 이때에는 응답까지 남아 있는 시간도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체크 시간 내에 수신자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60) 상기 타이머부(30) 및 표시부(4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대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하지만, 상기 소정 체크 시간 내에 수신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부(30)에서 소정 체크 시간 경과를 확인하여 체크 시간 완료 시 자동으로 상기 발신자에게 구조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구조 요청의 방식은 직접 발신자에게 통화를 연결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조 요청 시에는 발신자에게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것 이외에도 미리 지정해놓은 긴급구조기관에 함께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60 confirms that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20, the timer unit 30 checks whether a response from the receiver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50 within a predetermined check time. Start up.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emergency mode message has been receiv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response is also displayed. If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receiver within the predetermined check time, the control unit 60 stops the operation of the timer unit 30 and the display unit 40, and controls to return to the standby state. However, if a response is not input from the receiver within the predetermined check time, the timer unit 30 checks the elapse of the predetermined check time and controls the rescue request to be automatically sent to the sender upon completion of the check time. In this case, the rescue request is a form of directly connecting a call to the caller or sending a text message. In the case of such a rescue request,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to the caller, the rescue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emergency rescue agenc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check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대기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다(S10, S20).First, a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andby state (S10, S20).

다음으로, 문자열 확인부(22)에서는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 데이터베이스(21)와 수신된 메시지의 문자열을 비교하여 긴급모드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 이때,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을 포함하지 않은 메시지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일반 메시지 수신시와 동일하게 표시된다(S40). Next, the character string checking unit 22 checks whether the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database 21 and the string of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S30). In this case, if the message does not include the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it is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receiving a normal message (S40).

만일,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번호확인부(24)가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 데이터베이스(23)와 발신자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지정된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긴급모드 메시지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 이때, 지정된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아니면 장난메시지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통상적인 일반 메시지 수신시와 동일하게 표시된다(S40).If the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is included, the number confirmation unit 24 compares the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database 23 with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checks whether the emergency mode message received from the designated caller is correct (S50). . At this time, if th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specified sender is likely to be a joke message is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receiving a normal message (S40).

다음으로, 기저장된 발신자로부터 발신된 긴급모드 메시지임이 확인되면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20)는 이를 제어부(60)에 통보하고, 제어부(60)는 타이머부(30)를 가동한다(S60). 타이머부(30)에 의해 체크되는 시간은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후 응답까지 요구되는 시간으로,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발신자가 메시지 문자열 내에 포함시킨 응답요구 시간이다. Nex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mergency mode message sent from the pre-stored sender, the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20 notifies this to the control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timer unit 30 (S60). The time checked by the timer unit 30 is a time required until the response after receiving the emergency mode message,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response request time included in the message string by the sender.

다음으로, 제어부(60)는 표시부(40)를 통해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을 사실을 표시한다(S60). 이때에는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표시뿐 아니라 상기 타이머부(30)에 의해 체크되고 있는 시간값을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control unit 60 displays the fact that the emergency mode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unit 40 (S6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not only the emergency mode message reception display but also the time value checked by the timer unit 30.

다음으로, 제어부(60)는 타이머부(30)에 의해 체크되는 시간 내에 수신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0). 수신자는 키 입력부(50)를 통해 상기 메시지 발신자에게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이외도 시간 내에 수신자로부터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60)의 긴급모드 동작을 해제하는 요청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응답할 수 있다. 만일,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60)가 타이머부(30) 및 표시부(40)의 동작을 정지시켜 대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Next, the controller 60 checks whether a response is input from the receiver within the time checked by the timer unit 30 (S80). The receiver inputs a request for releasing the emergency mod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60 to check whether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receiver within a time other than a method of calling or sending a message to the message send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50. You can respond in any way. If there is a response,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timer unit 30 and the display unit 40 to stop the operation and return to the standby state.

마지막으로, 체크 시간 내에 수신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60)가 구조 요청을 전송한다(S90). 이와 같은 구조 요청은 발신자에게 전화를 연결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Finally,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receiver within the check time, the controller 60 transmits a rescue request (S90). This rescue request is made by connecting the caller to the caller or sending a message.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on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or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자가 긴급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판단해볼 수 있는 특정의 긴급모드 메시지를 발송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신자로부터 답변이 없는 경우 긴급 상황임을 인지하여 수신자가 구조요청할 필요없이 신속하게 긴급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sending a specific emergency mode message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r is exposed to an emergency situation, if there is no answer from the receiver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receiver recognizes the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measures can be taken quickly without the need for rescue requests.

또한, 수신자가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를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에 지정해놓아 긴급모드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지정해놓은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이동통신단말기가 긴급모드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장난 메시지 등에 의한 오동작을 막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assigning an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that can check whether the receiver is in an emergency stat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vanc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designated caller when receiving an emergency mode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n emergency mode, Prevent misbehavior by mischievous messages and use only when necessary.

Claims (11)

수신된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인지 일반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 및An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or a general message; And 상기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이고 소정 시간 내에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메시지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to the message sender when the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and there is no response to the emergency mode messa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확인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mode message checking unit,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문자열을 확인하여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자열 확인부; 및 A string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a string of an emergency mode message is included by checking a string of the received message; And 상기 메시지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긴급모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도록 지정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번호 확인부;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And a number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essage sender is a designated telephone number for sending an emergency mode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is,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내에 포함된 응답 요구 시간이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미리 설정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And a response request time included in the emergency mode message or a preset tim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And a timer unit for measuring the elapsed time of the predetermined ti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의 전송 사실을 알리고 상기 타이머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긴급상황 확인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notifying transmission of the emergency mode message and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time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구조 요청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scue request of the controller, 상기 메시지 발신자에게 전화연결 또는 메시지 발송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elephone connection or message sending to the message sender. 대기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message 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ndby state;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인지 일반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or a general message;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긴급모드 메시지이면,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및A thir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respons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f the received message is an emergency mode message; And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 발신자에게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to the emergency mode message sender if there is no response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tep, 상기 수신된 메시지 문자열 내에 긴급모드 메시지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1 부단계; 및 A first substep of checking whether an emergency mode message string is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string; And 상기 메시지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긴급모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도록 지정된 발신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부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And a second substep of checking whethe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essage sender is a designated sender so as to send the emergency mode messag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수신자로부터 응답은,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sponse from the recipient in the third stage is: 상기 메시지 발신자 전화번호로 전화연결, 메시지 발송 및 긴급모드 해제요청 중 어느 하나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Emergency call checking method using any one of the telephone connection to the message caller phone number, sending a message and the emergency mode release reques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구조요청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scue request of the fourth stage, 상기 메시지 발신자 전화번호로 전화연결 또는 메시지 발송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Emergency connection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message sender to the message caller telephone number.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있으면,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확인방법.And a fifth step of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if there is a response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KR1020060099993A 2006-10-13 2006-10-13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KR101332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93A KR101332548B1 (en) 2006-10-13 2006-10-13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93A KR101332548B1 (en) 2006-10-13 2006-10-13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04A true KR20080033804A (en) 2008-04-17
KR101332548B1 KR101332548B1 (en) 2013-11-22

Family

ID=3957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993A KR101332548B1 (en) 2006-10-13 2006-10-13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5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205A (en) * 2015-06-29 2017-02-06 시아오미 아이엔씨. Method and device for warning
WO2018008831A1 (en) * 2016-07-06 2018-01-11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Village broadcast service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217B2 (en) * 1993-06-18 2002-02-2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Safety management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and safety management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KR100597486B1 (en) * 2003-12-13 2006-07-10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messag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205A (en) * 2015-06-29 2017-02-06 시아오미 아이엔씨. Method and device for warning
US10123196B2 (en) 2015-06-29 2018-11-0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larm triggering
WO2018008831A1 (en) * 2016-07-06 2018-01-11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Village broadcast service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548B1 (en)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194B2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178128A1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KR100663539B1 (en) Mobile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s message
JP200854165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WO2006135119A1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568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ce of emergency thereof, a emergency calling system and emergency calling method thereof
KR101332548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emergency state and checking method of emergency state using the same
US5890073A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ding communication mode signals and a method thereof
KR20000038353A (en) Confirming, locking and reporting method of information message
JP2013157719A (en) Speech line securing progra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peech line securing method
JP4353623B2 (en) Emergency call device
KR1007055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tt service according to a terminal user situation
JP2003163760A (en) Rescue request calling device and method
KR100650650B1 (en) Method of response to short message using mobile terminal
KR2004010015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is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252725A (en) Emergency notice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21762Y1 (en) Emergency Call System for Solitude Oldster
KR100313853B1 (en) Method for receiving short message at power-on state of mobile terminal and receipt contro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KR2005009330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emergency calling
JP2006074275A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JP2011029812A (en) Telephone system
KR10060038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Reporting Emergency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862157B2 (en) Character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KR20050020160A (en) Emergency Calling Method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094342A (en) Telephone set having stay-at-home confirm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