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76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762A
KR20080033762A KR1020060099898A KR20060099898A KR20080033762A KR 20080033762 A KR20080033762 A KR 20080033762A KR 1020060099898 A KR1020060099898 A KR 1020060099898A KR 20060099898 A KR20060099898 A KR 20060099898A KR 20080033762 A KR20080033762 A KR 2008003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dress
message
terminal address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돈
김영석
최진혁
장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3762A/ko
Publication of KR2008003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와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해당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말기와, 상기 터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단말기, 단말기 주소,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E STATION ADDR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시스템은 고속의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하기로 한다)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이하 'M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현재 통신 시스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의 성장으로 인해 IPv4 방식뿐만 아니라 IPv6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네트워크 호스트(network)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단말기 고유의 주소, 일예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이하 'IPv4'라 칭하기로 한다)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nternet Protocol version 6, 이하 'IPv6'라 칭하기로 한다) 주소 등을 사용한다.
상기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각 단말기의 주소를 사용한다. 이에 상기 단말기는 각 단말기에게 주어진 고유의 주소를 사용하며, 이를 위해 단말기는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등을 통해 단말기 주소를 할당받거나 네트워크 정보 또는 단말기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주소 등을 사용하여 단말기가 직접 단말기 주소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기 주소를 생성 즉, 자동 생성(autoconfiguration)하는 경우, 상기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단말기 주소를 게이트웨이(gateway)에 통보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된 단말기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하지만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한 단말기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존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를 게이트웨이에 통보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 2 계층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단말기 주소를 게이트웨이에 통보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와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해당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말기와, 상기 터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와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해당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 송신에 상응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의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에 상응하는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는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를 상기 단말기의 해당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단말기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수신고 상기 수신한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서 생성한 단말기 주소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자신의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와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당 게이트웨이에 송신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제 2 계층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주소는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 간에 설정된 터널, 일예로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생성된 초기 서비스 플로우(ISF: Initial Service Flow, 이하 'ISF'라 칭하기로 한다) 터널(tunnel)을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 중에서 일예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nternet Protocol version 6, 이하 'IPv6'라 칭하기로 한다)을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하기에 상기 단말기 주소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MS: Mobile Station)(110), 기지국(BS: Base Station)(120),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게이트웨이(ASN-GW: Access Service Network-GateWay, 이하 'ASN-GW'라 칭하기로 한다)(130)를 포함한다.
상기 BS(120)은 일정 크기의 서비스 영역, 일예로 셀(cell)을 가지며, 상기 서비스 영역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11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10)와의 에어(air) 상의 연결을 담당한다.
상기 ASN-GW(133)는 상기 RAS(131)과 연결되어 핸드오프와 전력 제어 등을 수행하며,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ler) 계층의 연결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게이트웨이(gateway) 즉, ASN-GW(130)는 기존의 유선 통신 시스템의 게이트웨이와는 달리 각 단말기(110)의 주소를 내부의 주소 저장 메모리(memory) 일예로, 주소 캐쉬(address cache) 등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기존의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말기(110)의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상기 단말기(110)의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라 칭하기로 한다) 주소 등을 직접 또는 다른 단말기 등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말기(110)의 MAC 주소를 사용하지도 않고, 단말기 정보를 항상 획득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ASN- GW(130)에 상기 단말기 주소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110)는 주소를 자체 생성하며, 상기 자체 생성된 단말기 주소를 상기 ASN-GW(130)가 획득한다. 이에 상기 ASN-GW(130)는 상기 단말기 주소를 내부의 주소 캐쉬 등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단말기 주소를 상기 단말기가 속한 네트워크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110)의 MAC 주소 등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10)가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ASN-GW(130)로 상기 단말기 정보, 즉 단말기 주소를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20)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ASN-GW(130)는 상기 기지국(110)을 통해 단말기(11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말기(110)가 자동 생성(autoconfiguration)한 단말기 주소를 ASN-GW(130)에 송신하고, 상기 ASN-GW(130)가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110), 기지국(120), ASN-GW(13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10), 상기 기지국(120), 상기 ASN-GW(130)는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한다(211단계).
상기 단말기(110), 상기 기지국(120), 상기 ASN-GW(130)는 ISF 절차와 전송 접속 셋업(transport connection setup) 절차를 수행한다(213단계). 이때 상기 ISF 절차는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지들, 일예로 인터넷 프로토콜 구성 시그널링(IP configuration signaling)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수행하는 절차이다. 그리고 상기 ISF 절차를 통해서 ISF 터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ISF에 대해서 상향링크(uplink)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SFID: Service Flow IDentifier, 이하 'SFID'라 칭하기로 한다), 하향링크(downlink) SFID, 상향링크 접속 식별자(CID: Connection IDentifier, 이하 'CID'라 칭하기로 한다), 하향링크 CID 등이 할당된다. 그리고 상기 ISF 절차는 상기 단말기(110)가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는 경우 상기 ASN-GW(13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ASN-GW(130)와 초기 정보 교환을 위해서 수행하는 절차이다.
상기 단말기(110)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에서 사용되는 링크 로컬 주소(link local address)를 생성한다(215단계).
상기 단말기(110)는 링크 로컬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링크 로컬 주소에 대해서 중복 주소 검출(DAD: Duplicated Address Detection, 이하 'DAD'라 칭하기로 한다)을 수행한다. 상기 DAD는 상기 단말기에서 생성한 주소가 유일한 메시지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확인하는 절차이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DAD를 수행하는 경우를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DAD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ASN-GW(130)로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이하 'ICMP'라 칭하기로 한다) 트래픽 패킷(ICMP traffic packet)(이웃 요청(NS: Neighbor Solicitation, 이하 'NS'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217단계). 상기 DAD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ICMP는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 메시지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기(110)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일예로 '1초(1sec)' 동안 대기한다.
상기 ASN-GW(130)가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수신하면, 로컬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ICMP traffic packet(인접 광고(NA: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송신한다(219단계). 여기서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일예로 '1초' 안에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 ASN-GW(130)은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10)로 아무런 메시지도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ASN-GW(130)로부터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하므로, 링크 로컬 주소를 재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재생성된 링크 로컬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DAD 절차 즉, 상기 217단계와 219단계를 통해 상기 링크 로컬 주소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217단계의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10)에서 생성한 상기 링크 로컬 주소를 사용한다(221단계).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ASN-GW(130)에 상기 네트워크 정보 요청을 위한 ICMP traffic packet(라우터 요청(RS: Router Solicitation, 이하 'RS'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223단계).
상기 ICMP traffic packet(RS) 메시지를 상기 ASN-GW(130)가 수신하면, 상기 단말기(110)에게 상기 네트워크 정보 일예로, 프리픽스(Prefix) 주소를 포함한 ICMP traffic packet(라우터 광고(RA: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송신한다(225단계).
여기서, 상기 ICMP traffic packet(RS)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에 따라 상기 단말기(110)가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메시지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RS)를 통해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상기 ASN-GW(130)가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RA)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 일예로 프리픽스 주소를 획득하면, 상기 프리픽스 주소와 상기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주소인 MAC 주소를 사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 즉, 전체 네트워크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110)만이 사용하는 글로벌 주소(global address)를 생성한다(227단계). 여기서도 상기 단말기는 글로벌 주소에 대하여 DAD를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DAD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ASN-GW(130)로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송신한다(229단계). 그리고 단말기(110)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일예로 '1초(1sec)' 동안 대기한다.
상기 ASN-GW(130)가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수신하면, 글로벌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송신한다(231단계). 여기서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일예로 '1초' 안에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 ASN-GW(130)은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10)로 아무런 메시지도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ASN-GW(130)로부터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하므로, 글로벌 주소를 재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215)는 상기 재생성된 글로벌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DAD 절차 즉, 상기 229단계와 231단계를 통해 상기 글로벌 주소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상기 ASN-GW(130)는 두 번째 DAD 단계 즉, 229단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 일예로 IPv6 주소를 스누핑(snooping) 즉, 가로 채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에는 글로벌 주소의 중복 확인을 위해 상기 단말기(110)이 생성한 글로벌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글로벌 주소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ASN-GW(130)가 상기 단말기의 글로벌 주소를 상기 ASN-GW(130) 내부의 메모리 일예로, 주소 캐쉬 등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227단계의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10)에서 생성한 글로벌 주소를 사용한다(235단계). 상기 글로벌 주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예로 IPv6 주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 기술한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은 단말기가 생성한 주소를 확인하는 DAD 절차 수행 시에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유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29단계의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가 유실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ASN-GW(130)는 상기 단말기(110)가 글로벌 주소의 중복 여부 확인을 위해 송신한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SN-GW(130)는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를 확인할 수 없으며,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에 상응하여 단말기 주소 중복여부를 확인하지 못한다. 상기 ASN-GW(130)은 상기 단말기 주소가 중복되더라도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송신하지 못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가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것이다. 하지만, 상 기 ASN-GW(130)는 내부에 상기 단말기에 해당하는 글로벌 주소를 저장하고 있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10)는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 존재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 일예로 IPv6 주소를 상기 ASN-GW(130)에 정확히 통보하는 방법을 추가로 적용한 또 다른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110), 기지국(120), ASN-GW(13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10), 상기 기지국(120), 상기 ASN-GW(130)는 네트워크 엔트리 절차를 수행한다(311단계).
상기 단말기(110), 상기 기지국(120), 상기 ASN-GW(130)는 ISF 절차와 전송 접속 셋업 절차를 수행한다(313단계). 이때 상기 ISF 절차는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지들, 일예로 인터넷 프로토콜 구성 시그널링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수행하는 절차이다. 그리고 상기 ISF 절차를 통해서 ISF 터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ISF에 대해서 상향링크 SFID, 하향링크 SFID, 상향링크 CID, 하향링크 CID 등이 할당된다. 그리고 상기 ISF 절차는 상기 단말기(110)가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는 경우 상기 ASN-GW(13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ASN-GW(130)와 초기 정보 교환을 위해서 수행하는 절차이다.
상기 단말기(110)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링크 로컬 주소(link local address)를 생성한다(315단계).
상기 단말기(110)는 링크 로컬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링크 로컬 주소에 대해서 DAD를 수행한다. 상기 DAD는 상기 단말기에서 생성한 주소가 유일한 메시지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확인하는 절차이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DAD를 수행하는 경우를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DAD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ASN-GW(130)로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송신한다(317단계). 상기 DAD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ICMP는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 메시지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말기(110)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일예로 '1초(1sec)' 동안 대기한다.
상기 ASN-GW(130)가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수신하면, 로컬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송신한다(319단계). 여기서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일예로 '1초' 안에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 ASN-GW(130)은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10)로 아무런 메시지도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ASN-GW(130)로부터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링크 로컬 주소가 존재하므로, 링크 로컬 주소를 재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재생성된 링크 로컬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DAD 절차 즉, 상기 317단계와 319단계를 통해 상기 링크 로컬 주소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217단계의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10)에서 생성한 상기 링크 로컬 주소를 사용한다(321단계).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ASN-GW(130)에 상기 네트워크 정보 요청을 위한 ICMP traffic packet(RS) 메시지를 송신한다(223단계).
상기 ICMP traffic packet(RS) 메시지를 상기 ASN-GW(130)가 수신하면, 상기 단말기(110)에게 상기 네트워크 정보 일예로, 프리픽스(Prefix) 주소를 포함한 ICMP traffic packet(라우터 광고(RA: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송신한다(325단계).
여기서, 상기 ICMP traffic packet(RS)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에 따라 상기 단말기(110)가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메시지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RS)를 통해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상기 ASN-GW(130)가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RA)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 일예로 프리픽스 주소를 획득하면, 상기 프리픽스 주소와 상기 단말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주 소인 MAC 주소를 사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 즉, 전체 네트워크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110)만이 사용하는 글로벌 주소(global address)를 생성한다(327단계). 여기서도 상기 단말기는 글로벌 주소에 대하여 DAD를 수행할한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DAD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ASN-GW(130)로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송신한다(329단계). 그리고 단말기(110)는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일예로 '1초(1sec)' 동안 대기한다.
상기 ASN-GW(130)가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를 수신하면, 글로벌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하면, 상기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송신한다(231단계). 여기서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일예로 '1초' 안에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 ASN-GW(130)은 상기 단말기(110)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10)로 아무런 메시지도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ASN-GW(130)로부터 상기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글로벌 주소와 동일한 글로벌 주소가 존재하므로, 글로벌 주소를 재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재생성된 글로벌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DAD 절차 즉, 상기 329단계와 331단계를 통해 상기 글로벌 주 소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상기 ASN-GW(130)는 두 번째 DAD 단계 즉, 329단계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가 생성한 글로벌 주소, 일예로 IPv6 주소를 스누핑(snooping) 즉, 가로채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ICMP traffic packet(NS) 메시지에는 글로벌 주소의 중복 확인을 위해 상기 단말기(110)이 생성한 글로벌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글로벌 주소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ASN-GW(130)가 상기 단말기의 글로벌 주소를 상기 ASN-GW(130) 내부의 메모리 일예로, 주소 캐쉬 등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327단계의 ICMP traffic packet(NA)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110)에서 생성한 글로벌 주소를 사용한다(333단계). 상기 글로벌 주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예로 IPv6 주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번째 DAD 절차 즉, 상기 323단계와 상기 325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단말기(110)에서 생성한 링크 로컬 주소가 DAD 절차를 통해서 중복되지 않는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링크 로컬 주소 생성 시에 사용한 일부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사용하여 글로벌 주소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링크 로컬 주소가 DAD 절차를 통해 중복된 링크 로컬 주소가 없다고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10)에서 생성한 글로벌 주소 또한 중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기(110)는 상기 링크 로컬 주소는 상기 ASN-GW(130)로부터 수신한 프리픽스 정보(fe80:0000:0000:0000:0000)와 단말기의 MAC 주소를 사용하여 확장 유 일 식별자(EUI: Extended Unique Identifier)-64 방식 등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된 주소와 링크 로컬 프리픽스(link local prefix)를 사용하여 링크 로컬 주소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글로벌 주소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링크 로컬 프리픽스를 사용하여 상기 글로벌 주소를 생성하므로 상기 단말기에서 생성한 글로벌 주소 또한 중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 번의 DAD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글로벌 주소 확인을 위한 DAD 절차, 상기 323단계와 상기 325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AD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가 DAD 절차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여 시스템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상기 도 3에서 311단계 내지 333단계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211단계 내지 233단계의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과 유사하다.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단말기 주소, 글로벌 주소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글로벌 주소를 제 2 계층(L2: Layer 2)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글로벌 주소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제 2 계층 트리거(trigger)를 수행한다(335단계). 상기 제 2 계층은 MAC 계층을 나타낸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를 제 2 계층 메시지 중 일예로 주소를 송신할 수 있는 동적 서비스 부가(DSA: Dynamic Service Addition, 이하 'DSA'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에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기지국으로 동적 서비스 부가 요청(DSA-REQ: 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 이하 'DSA-REQ'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가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가 사 용할 글로벌 메시지를 상기 DSA-REQ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120)으로 송신한다(337단계). 상기 DSA-REQ 메시지에는 인터넷 프로토콜 포함하는 소스 주소(IP masked source address) 필드가 존재하며, 상기 필드는 계층화(classification)를 위해 사용하는 필드이다. 상기 DSA-REQ 메시지의 상기 필드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주소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DSA-REQ 메시지를 상기 ISF 터널을 통해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10)는 내부에 타이머(timer) 등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단말기(110)는 상기 DSA-REQ 메시지를 송신하면, 상기 타이머, 일예로 TQ4를 동작시킨다.
상기 기지국(120)은 상기 DSA-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DSA-REQ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기 주소 즉, 글로벌 주소를 포함한 정책 결정 요청(PD-REQ: Policy Decision REQuest, 이하 'PD-REQ'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상기 ASN-GW(130)로 송신한다(339).
상기 ASN-GW(130)는 상기 PD-REQ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주소를 인식, 즉 단말기 주소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341). 상기 ASN-GW는 ISF 터널을 통해 즉, ISF에 할당된 CID 또는 SFID를 이용하여 상기 DSA-REQ 메시지가 송신되면, 상기 PD-REQ 메시지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을 위한 것이 아닌 단말기 주소를 통보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PD-REQ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기 주소 즉, IPv6 주소를 획득한다.
상기 ASN-GW(130)는 상기 단말기의 주소 확인에 대한 응답 메시지 즉, 정책 결정-응답(PD-REP: Policy Decision-RSPonse, 이하 'PD-RSP'라 칭하기로 한다) 메 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PD-RSP 메시지의 일부 보존(reserved) 필드 등을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에 대한 응답 즉, ACK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ASN-GW(130)는 상기 생성된 PD-RSP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20)으로 송신한다(343단계).
상기 기지국(120)은 상기 PD-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ASN-GW(130)가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에 대한 응답 정보 즉, ACK 정보를 상기 동적 서비스 부가 응답(DSA-RSP: Dynamic Service Addition-RSPonse, 이하 'DSA-RSP'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110)로 송신한다(345단계).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타이머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DSA-RSP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DSA-RSP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 주소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DSA-RSP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는 DSA-REQ 메시지를 재송신한다.
상기 DSA 메시지와 상기 PD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110), 상기 기지국(120), 상기 ASN-GW(130) 간의 ISF 터널을 통해 송수신되며, 상기 ASN-GW(130)은 상기 ISF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 확인을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 획득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DSA 메시지와 상기 PD 메시지는 일예로서 설명된 것으로 상기 단말기 주소를 포함하여 전송이 가능한 제 2 계층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ASN-GW(130)는 ISF를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송수신하며,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기 337단계 내지 상기 345단계는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시스템 상황에 따라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도 2와 상기 도 3에서 도시된 동작 흐름도 상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메시지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될 수도 있고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 송신을 위해 타이머, 즉 상기 TQ4를 구비하나 상기 DAD 절차 수행을 위해서도 별도의 타이머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IPv6 주소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IPv4 주소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제 2 계층의 메시지를 단말기 주소 송수신을 위해 사용함으로서, 단말기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 즉, 상기 ASN-GW로 정확히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에서 생성한 단말기 주소 게이트웨이로 통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 2 계층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통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중복 주소 검출 방법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단말기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통보하는 것이 가능 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상기 IPv6 주소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3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와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해당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단말기와,
    상기 터널을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주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는 매체 접근 제어 계층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기 위해 생성된 초기 서비스 플로우(ISF: Initial Service Flow) 터널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주소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기지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를 동적 서비스 부가 요청(DSA-REQ: Dynamic Servic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동적 서비스 응답 (DSA-RSP: Dynamic Servic Addition RSPonse)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 동적 서비스 부가 요청 메시지의 주소 정보 송신 필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 주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정책 결정 요청(PD-REQ: Policy Decision-REQuest)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정책 결정 응답(PD-RSP: Policy Decision-RSPonse) 메시지를 통해 상기 동적 서비스 부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내부에 상기 단말기 주소 송신에 따라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 주소 재송신을 위한 타이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와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 주소를 해당 게이트웨이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 송신에 상응하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주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는 매체 접근 제어 계층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기 위해 생성된 초기 서비스 플로우(ISF: Initial Service Flow) 터널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동적 서비스 부가(DSA: Dynamic Service Addition)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의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에 상응하는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주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는 매체 접근 제어 계층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기 위해 생성된 초기 서비스 플로우(ISF: Initial Service Flow) 터널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와 상기 단말기의 주소를 동적 서비스 부가 메시지를 정책 결정(PD: Policy Decision)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는 단말기 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를 상기 단말기의 해당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단말기 주소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 정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수신고 상기 수신한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주소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주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는 제 2 계층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층 메시지는 매체 접근 제어 계층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기 위해 생성된 초기 서비스 플로우(ISF: Initial Service Flow) 터널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주소와 상기 단말기 주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동적 서비스 부가(DSA: Dynamic Service Addition)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주소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주소 동적 서비스 부가 메시지의 주소 정보 송신 필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 주소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정책 결정(Policy Decision)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동적 서비스 부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내부에 상기 단말기 주소 송신에 따라 상기 단말기 주소 수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 주소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주소 송수신 방법.
KR1020060099898A 2006-10-13 2006-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33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898A KR20080033762A (ko) 2006-10-13 2006-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898A KR20080033762A (ko) 2006-10-13 2006-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762A true KR20080033762A (ko) 2008-04-17

Family

ID=3957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898A KR20080033762A (ko) 2006-10-13 2006-10-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37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535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시스템
US6959009B2 (en) Address acquisition
EP1987640B1 (en) Using dhcpv6 and aaa for mobile station prefix delegation and enhanced neighbor discovery
US9729501B2 (en) System and data card for stateless automatic configuration of IPv6 addres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US840623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roxy mobile IP in foreign agent care-of address mode
US8175102B2 (en) Neighbor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node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KR100601673B1 (ko)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200700311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 구성 방법 및 시스템
US20090109878A1 (en) Method for informing that the network supports the mobile ip enhancement capability
US8923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cast IP packets in access network
KR100656378B1 (ko) 단대단(Point-to-Point)성격의 광대역무선 접속망에서의 lPv6 이웃 탐색 지원 방법 및시스템
US7969960B2 (en) Method for IP management connection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2246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US20090129287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node for updating a classifier
KR2008003376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주소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89933B1 (ko) 아이피 버전 6 주소에 대한 중복 주소 검출 방법
KR100942703B1 (ko) 네트워크에서 단말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분산 방식의 주소 관리 방법
CN101175294A (zh) 移动台获取家乡代理地址的方法和系统
KR10128946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p 관리 메시지를 위한 연결 설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924428B1 (ko) 휴대인터넷 망에서 듀얼 스택 지원 방법과 그를 위한 주소할당 및 등록 방법과 패킷 전달 방법
KR20070058854A (ko) 휴대 인터넷에서 IPv6 비상태보존형 주소자동설정을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54146A (ko) 고속 모바일 IPv6 핸드오버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8007302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홈 주소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