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670A -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 Google Patents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670A
KR20080033670A KR1020060099610A KR20060099610A KR20080033670A KR 20080033670 A KR20080033670 A KR 20080033670A KR 1020060099610 A KR1020060099610 A KR 1020060099610A KR 20060099610 A KR20060099610 A KR 20060099610A KR 20080033670 A KR20080033670 A KR 20080033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hollow fiber
pile
lay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6239B1 (en
Inventor
권영훈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239B1/en
Publication of KR2008003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using hollow fiber is provided to have improved moisture regain and moisture content, to have improved shape stability and recovery rate against continuous pressure, and to be manufactured by a direct spinning method.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using hollow fiber includes a base layer(100) designed to show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a high molecular pad layer(200) having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layer, a bubble layer(300) formed to set out turf piles on the upper part of the high molecular pad layer, and first and second piles(410,420) having circular shaped filament and hollow fiber formed alternately or at random on the bubble layer. The high molecular pad layer is made of PVC(poly vinyl chloride) to have excellent fire resistance, elasticity and chemical resistance and to double shock absorbing effect on turf, the bubble layer is made of polyolefin based non-woven fabrics, and the first pile is made of circular shaped filament of polyolefin based copolymer and the second pile is made of hollow fiber, and the first and second piles are formed by tufting or knitting.

Description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의 단면 개략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tificial tur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사용 방사구금의 토출공의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hollow spinner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사의 단면 SEM 사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EM picture of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사의 직조 단면 SEM 사진.Figure 4 is a SEM cross-sectional SEM picture of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 베이스층 200 : 패드층100: base layer 200: pad layer

300 : 기포층 410 : 제1파일300: bubble layer 410: first file

420 : 제2파일 420: second file

본 발명은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율과 두께감 소율과 같은 제반물성이 향상된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content and thickness reduction rate.

일반적으로 많은 구기종목 스포츠는 잔디구장에서 경기가 이루어진다. 잔디구장에는 일반적으로 천연잔디와 인조잔디가 사용되는데, 그 중 특히 국내의 국제 하키장과 전세계의 하키장의 경우에는 100% 인조잔디로 되어 있다. 이는 국제 경기 규칙상 경기구의 롤링(Ball Rolling)시 구름성이 형성되며 경기구가 튀어 오르지 않아야 하는데, 천연잔디 구장의 경우 인조잔디 대비 잔디의 높이(Pile Height)의 균제도(Eveness)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경기하는데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인조잔디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many ball sports are played on the turf. Natural turf and artificial turf are generally used for turf courts, among which international hockey and domestic hockey are 100% artificial turf. This is due to the international rules of the game. Rolling of the ball is required to form a cloud, and the ball must not bounce. In the case of natural gras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uniformity of the grass height compared to the artificial turf. The artificial turf is used a lot because there are a lot of matches.

종래의 하키장에 사용되어온 인조잔디는 PP(폴리프로필렌, 이하 PP) 파일을 소재로 하여 제조되고 있다. 특히, 하키장은 축구장 같은 타경기장 대비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경기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잦은 충격과 마모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불규칙 바운딩이 없어야 하는 경기 특성상 충진재가 없어 선수의 하중이 그대로 인조잔디 파일에 전달되고, 그 직접적인 충격은 인조잔디 파일의 손상을 가져온다. 이처럼 파일의 직립성 및 방향성의 유지에 민감한 하키장에서 PP은 통상의 인조잔디 소재 중 충격마모강도가 우수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범용되고 있는 것이다.Artificial turf, which has been used in the conventional hockey field, is manufactured from a PP (polypropylene, hereinafter PP) pile. In particular, the hockey field is exposed to frequent shocks and abrasions because the game is played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compared to other stadiums such as soccer fields.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game, which should not have irregular bounding, there is no filler, and the load of the athlete is transferred to the artificial turf file as it is, and the direct impact causes damage to the artificial turf file. In the hockey field sensitive to the maintenance of the upright and direction of the pile, PP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required to have excellent impact wear strength among ordinary artificial turf materials.

그러나 종래의 인조잔디 소재인 이 PP은 비중이 물보다 가벼우면서 소수성의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함수율이 낮고, SS-Curve상 초기탄성율(Initial Modulus)이 타 파일소재 대비 높아 거친(Harsh)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PP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키장용 인조잔디의 경우 선수가 넘어졌을 경우 거친 표면에 의한 마찰로 인한 화상 및 찰과상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PP, which is a conventional artificial turf material, has a specific gravity and is lighter than water, and has a hydrophobic characteristic. Therefore, since the moisture content is low and the initial modulus of SS-Curve is higher than other pile materials, it shows a rough characteristic, so that artificial grass for hockey field made of PP is used on the rough surface when the player falls down. There is a problem that injuries such as burns and abrasions are caused by friction.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PP 파일로 제조된 인조잔디 경기장에는 경기전 및 경기중에도 총 3~4회 이상 다량의 물을 분사시킴으로서, 잔디상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공의 균일한 구름성을 확보하고, PP의 소수성에 기인하는 정전기 방지 및 선수의 마찰에 의한 부상방지를 하고 있다. 그러나 분사된 다량의 수분은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증발되고, 이는 필드에 선수들이 넘어지거나 슬라이딩시 마찰에 의한 큰 부상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artificial turf arena made of PP piles are sprayed with a large amount of water three or four times before and during the game, thereby maintaining the moisture on the turf to ensure uniform cloudiness of the ball, It prevents static electricity due to hydrophobicity of PP and prevents injuries caused by friction of bows. However, the large amount of water sprayed out evaporates very quickly during the race, which causes athletes to fall on the field or cause serious injury from friction when sliding.

한편, 인조잔디는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에 대응하는 우수한 두께감소율과 회복율이 요구된다. 잔디의 높이 균제도가 확보되지 못한다면 잔디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공의 구름특성이 확보되지 않으며 잔디 위에서 경기를 펼치는 선수들의 부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artificial turf is continuously pressurized, an excellent thickness reduction rate and recovery rate are required. If the height uniformity of the turf is not secured, the turbulence irregularities will not secure the cloud characteristics of the ball, and the injuries of players playing on the turf will frequently occur.

따라서, 최근에 잔디의 손상이나 동절기 때문에 천연잔디만을 사용할 수 없는 현실에서, 수분율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안정성을 담보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압력에 대응하는 우수한 두께감소율 및 회복율을 가지는 인조잔디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Therefore, recently, in the reality that only natural grass cannot be used due to the damage or the winter seas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rtificial turf having excellent thickness reduction rate and recovery rate corresponding to continuous pressure while ensuring the user's stability due to excellent moisture content. ough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율 및 함수율이 향상된 인조잔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turf with improved moisture content and moisture content.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압력에 대한 형태안정성과 회복율이 향상된 인조잔 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tificial turf that has improved form stability and recovery rate against continuous 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직접방사법에 의해 제조 가능한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turf using a hollow fiber that can be manufactured by a direct spinning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조잔디에 있어서, 미리 투수특성이 발현되도록 설계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투수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패드층; 상기 고분자 패드층 상부에 잔디 파일을 모식하기 위한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에 원형단면사와 중공사가 1:1로 교호되거나 무작위로 형성된 파일을 포함하는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artificial turf, a base layer designed to express th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in advance; A polymer pad layer having a permeability characteristic formed on the base layer; Bubble layer for simulating a grass pile on the polymer pad layer; And it provides an artificial turf using a hollow fiber comprising a circular cross-section yarn and hollow yarn 1: 1 or randomly formed pile in the bubble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드층이 폴리염화비닐계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the pad layer is formed of a polyvinyl chloride-based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포층이 폴리올레핀계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the bubble layer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made of a polyolefin-bas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일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1파일 및 제2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일은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소재의 원형단면사이고, 상기 제2파일은 중공사로서, 상기 두가지 파일이 터프팅이나 라셀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는 인조잔디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file and the second file is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the first file is a circular cross-section yarn of a polyolefin-based copolymer material, the second file is hollow fiber, the two files An artificial turf having the characteristics formed by the tufting or the raschel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일이 가로방향으로 3.2 내지 6.4개/인치, 세로방향으로 6.8 내지 9.8개/인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3.2 to 6.4 pieces / inch, longitudinally 6.8 to 9.8 pieces / inc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공사의 중공부가 삼각단면을 형성하도록, 하기식 (1) 내지 (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중공사용 방사구금으로부터 제조된 인조잔디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turf manufactured from the spinnerets for hollow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yarn to form a triangular cross-section, the following formula (1) to (4).

(1) 0.08 ≤ B ≤ 0.11(1) 0.08 ≤ B ≤ 0.11

(2) Φ1 : Φ2 : Φ3 = 1 : 1.40 ~ 1.42 : 1.83 ~ 1.86(2) Φ1: Φ2: Φ3 = 1: 1.40 ~ 1.42: 1.83 ~ 1.86

(3) 0.24 ≤ A ≤ 0.27 (3) 0.24 ≤ A ≤ 0.27

(4) 0.21 ≤ W ≤ 0.26(4) 0.21 ≤ W ≤ 0.26

여기서, B : 슬릿상호간 소정의 폭(mm)Here, B: predetermined width (mm) between the slit crosses

Φ1 : 구금홀의 내측 지름Φ1: inner diameter of the detention hole

Φ2 : 구금홀의 외측 지름Φ2: Outside diameter of the detention hole

Φ3 : 구금홀의 돌출부 최외각 지름Φ3: Outer diameter of protrusion of detention hole

A : 슬릿(S) 각 개별 토출공 면적(mm2)A: area of each discharge hole for slit (S) (mm 2 )

W : 돌출부 폭(mm)W: protrusion width (m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공사가 상기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단위 구금에서의 방사중합체의 토출량이 700 내지 800 g/min 이고, 냉각온도가 15 내지 30℃, 연신온도가 80 내지 90℃, 각기 온도가 다른 두 개의 챔버에서 건조가 이루어져, 제1챔버는 95 내지 105℃, 제2챔버는 80 내지 90℃인 건조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yarn using the spinnere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radiopolymer in the unit of the detention unit is 700 to 800 g / min, the cooling temperature is 15 to 30 ℃,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80 to 90 ℃, respectively Drying is performed in the other two chambers, and the first chamber is 95 to 105 ℃, the second chamber provides an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including a drying process of 80 to 90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공사의 크림프율이 30 내지 40%인 인조잔디를 제공한 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turf having a crimp rate of the hollow fiber 30 to 4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사중합체가 나일론 66, 나일론 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인조잔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rtificial turf wherein the spin polymer is nylon 66, nylon 6 or a mixture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가 인조잔디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pplying to artificial tur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As used herei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re used at, or in close proximity to, numerical values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meanings indicated are inten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assist in the prevention of unfair use by unscrupulous infringe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인조잔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잔디는 미리 투수특성이 발현되도록 설계된 베이스층(100) 상부에 투수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패드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패드층(200)의 상부에 잔디 파일을 모식하기 위한 기포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기포층(300)에는 제 1 및 2 파일들(410, 420)이 형성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tificial tur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pad layer 200 having a permeability characteristic is formed on the base layer 100 is designed to express th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in advance, for simulating the grass pile on the polymer pad layer 200 Bubble layer 300 is formed. First and second piles 410 and 420 are formed in the bubble layer 300.

상기 고분자 패드층(20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폴리염화비 닐계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화성, 탄력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잔디에서 활동하는 사용자의 충격완충작용이 배가될 수 있다.The polymer pad layer 2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particularly, may be formed of a polyvinyl chloride-based material. It is excellent in fire resistance, elasticity, and chemical resistance can double the impact buffer action of the user who is active in the grass.

또한, 상기 기포층(3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폴리올레핀계(특히, PP)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파일의 형성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bubble layer 30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forms, it is particularly preferably formed of a non-woven fabric made of polyolefin-based (especially PP).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ocess of forming a file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2 파일들(410, 420)은 서로 다른 재질과 형태일 수 있는데, 제1파일(410)은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소재이며 원형단면사이고, 제2파일(420)은 상기 원형단면사와 중공사가 서로 1:1로 교호되거나 무작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2 파일들(410, 420)을 기포층(300)에 모식하는 방법은 터프팅(tufting)하거나 제편(라셀)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2 파일들(410,420)은 가로방향으로 3.2 내지 6.4개/인치, 세로방향으로 6.8 내지 9.8개/인치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파일로서 기능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파일이 지나치게 많이 형성된다. 그 결과, 지속적인 압력에 대한 반발력이 오히려 저하되며, 원가대비 물성에 큰 차이를 기대할 수 없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iles 410 and 420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shapes. The first pile 410 is a polyolefin-based copolymer material, a circular cross-section yarn, and a second pile 420. ), The circular cross section yarns and the hollow yarns may be alternately formed one to one or randomly formed. The method of modeling the first and second piles 410 and 420 on the bubble layer 300 may be formed by tufting or lazing. The first and second piles 410 and 420 are preferably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bout 3.2 to 6.4 pieces / inch a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bout 6.8 to 9.8 pieces / inch. If exceeded, too many files are formed. As a result, the repulsive force for continuous pressure is rather deteriorated, and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cost-performance.

한편 제2파일(420)에 사용되는 중공사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다음과 같은 중공사를 제안하고자 한다.Meanwhile, the hollow fiber used for the second pile 420 may be in various forms, and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hollow fiber is propo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사 방사구금의 토출공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방사구금에서는, 삼각단면 중공사가 형성된다. Figure 2 shows a schematic view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hollow fiber spinner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inner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iangular cross-section hollow yarn is formed.

본 발명에 의한 방사구금은 하기 식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The spinner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follows.

(1) 0.08 ≤ B ≤ 0.11(1) 0.08 ≤ B ≤ 0.11

(2) Φ1 : Φ2 : Φ3 = 1 : 1.40 ~ 1.42 : 1.83 ~ 1.86(2) Φ1: Φ2: Φ3 = 1: 1.40 ~ 1.42: 1.83 ~ 1.86

(3) 0.24 ≤ A ≤ 0.27 (3) 0.24 ≤ A ≤ 0.27

(4) 0.21 ≤ W ≤ 0.26(4) 0.21 ≤ W ≤ 0.26

여기서, B : 슬릿상호간 소정의 폭(mm)Here, B: predetermined width (mm) between the slit crosses

Φ1 : 구금홀의 내측 지름Φ1: inner diameter of the detention hole

Φ2 : 구금홀의 외측 지름Φ2: Outside diameter of the detention hole

Φ3 : 구금홀의 돌출부 최외각 지름Φ3: Outer diameter of protrusion of detention hole

A : 슬릿(S) 각 개별 토출공 면적(mm2)A: area of each discharge hole for slit (S) (mm 2 )

W : 돌출부 폭(mm)W: protrusion width (mm)

상기 슬릿상호간 소정의 폭(B)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중공율이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작업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인조잔디로 사용될 경우 인장강도와 같은 제반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Φ값의 비율이 상기 미만인 경우 원사 단면의 폭이 저하되어 섬유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비율이 초과되는 경우 섬도가 지나치게 높게 되며 중공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개별 슬릿의 토출공 면적이 상기 범위 내에야 하는 이유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C)의 폭(W)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방사구금의 하부에서 각 슬릿에서 방사된 중합체가 융착시 미융착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점도와 속도의 과도한 제어가 요구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원형단면에서 돌출부가 과도하게 돌출되는 문제가 있다.If the predetermined width (B) between the slit cross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hollow ratio is lowered, if the range exceeds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in spinning workability and when used as artificial turf deteriorates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In addition, when the ratio of the value of φ is less than the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dth of the yarn cross-section is lower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ber are lowered. This is why the discharge hole area of the individual slits should be within the above range. In addition, when the width (W) of the protrusion (C)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when the polymer spun in each slit at the bottom of the spinneret is fused, unfused parts may occur. Therefore, excessive control of the radial viscosity and the speed is required, and if the range is excee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rusion excessively protrudes from the circular cross section.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중공사가 인조잔디에 사용될 경우 압력에 의해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고 이로 인한 인조잔디 위에 노출된 사용자와의 표면마찰력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중공사에서는, 수분율과 더불어 내마모강도 및 압축에 따른 두께감소율과 회복율 역시 중요한 물성평가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rtificial turf, moisture is leaked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thereby reducing the surface friction with the user exposed on the artificial turf. Therefore, in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reduction rate and recovery rate due to the wear resistance strength and compression are also important properties evaluation factors.

인조잔디 특히 하키나 축구장용 인조잔디는 파일 직립성 및 파일의 방향성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충격마모강도가 우수한 폴리올레핀계(특히 PP) 소재가 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PP의 경우 비중이 물보다 낮고, 소수성인 특성과 초기탄성계수가 높으므로, 인조잔디 구장에서는 경기 전 또는 경기 도중에 다량의 물을 분사하여야 한다.Artificial turf, especially for hockey and soccer fields, because the pile upright and the direction of pile are very important factors, polyolefin-based (especially PP) material with excellent impact wear strength is mainly adopted. However, in the case of PP, the specific gravity is lower than that of water, and the hydrophobic property and the initial modulus of elasticity are high. Therefore, the artificial turf field must spray a large amount of water before or during the race.

그러나, 경기 전이나 중간에 다량의 물이 하키등의 인조잔디에 분사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공의 균일한 구름성을 확보하는 문제와 선수가 필드에 넘어졌을 때에 찰과상과 화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even if a large amount of water is sprayed on artificial turf such as hockey before or during the game, it plays a role of ensuring uniform rolling of the ball and preventing scratches and burns when the player falls on the field. There is a limit.

본 발명에 의한 중공사는 상기 방사구금을 이용하되, 폴리아미드계 폴리머로 형성된 중공사를 제안하고자 한다. 폴리아미드계 중 특히 나일론 66, 나일론 6 또는 이들의 혼합물도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이다.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spinneret, to propose a hollow fiber formed of a polyamide-based polymer. Of the polyamides, in particular nylon 66, nylon 6 or mixtures thereof are also possible. More preferably nylon 6.

단위 구금에서의 폴리머의 토출량은 700 내지 800g/min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이면 방사성이 좋지 않고 사절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 면 방사구금의 중공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사된 사조는 냉각온도가 15 내지 30℃, 연신온도가 80 내지 90℃에서 후 공정이 이루어진다. 냉각온도가 15℃ 미만이면 급냉현상으로 인해 섬유의 물성저하가 발생하고 30℃를 초과하는 경우 중공율이 16% 이하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연신온도가 80℃ 미만이면 연신작업성이 불량하고 90℃를 초과하는 경우 역시 중공율이 16% 이하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연신과정을 거치 사조는 각기 온도가 다른 챔버에서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제1챔버는 95 내지 105℃로 유지되고 제2챔버는 80 내지 90℃로 유지한다.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olymer in the unit detention is preferably 700 to 800 g / min. If i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radioactivity is poor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rimming occurs. If the above range is exceeded, the hollow ratio of the spinneret is lowered. The spun yarn is a post-processing at a cooling temperature of 15 to 30 ℃, the stretching temperature of 80 to 90 ℃. If the cooling temperature is less than 15 ℃ causes a decrease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ber due to rapid quenching an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3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llow ratio is lowered to 16% or less. In addition, whe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less than 80 ℃, when the drawability is poor and exceeds 90 ℃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hollow ratio is lowered to 16% or less. Stretching process The yarns are dried in different temperature chambers. At this time, the first chamber is maintained at 95 to 105 ℃ and the second chamber is maintained at 80 to 90 ℃.

상기 건조과정을 마친 원사는 선택적으로 크림프 공정을 거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는 열기를 원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방식과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을 혼합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이 때 크림프율은 30 내지 40%가 바람직하다.After the drying process, the yarn may be optionally subjected to a crimping process.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mixture of a method of directly contacting heat with a yarn and an indirect contact with the yarn, and at this time, crimping The rate is preferably 30 to 40%.

상기와 같은 제조된 중공사는 중공율을 50 내지 60% 정도 유지할 수 있다.The hollow fiber prepared as described above can maintain the hollow ratio of about 50 to 60%.

실시예 1Example 1

하기 조건에 따라 제조된 중공사로서 인조잔디를 제조하여 제반물성을 평가하였다.Artificial grass was prepared as a hollow fib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nditions to evaluate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1. 중공사 조건1. Hollow fiber condition

(1) 방사구금 (1) spinneret

B : 0.08, Φ1 : 0.84, Φ2 : 1.19, Φ3 : 1.57, A = 0.26, W = 0.24로 설계 된 중공형 방사구금 48홀Hollow spinneret 48 holes designed with B: 0.08, Φ1: 0.84, Φ2: 1.19, Φ3: 1.57, A = 0.26, W = 0.24

(2) 방사중합체 : 나일론 6(2) Radiopolymer: Nylon 6

(3) 방사조건 (3) radiation conditions

토출량 : 712 g/min, 냉각온도 : 25℃, 연신욕조온도 : 83℃, 제1챔버온도 : 101℃, 제2챔버온도 : 82℃, 크림프율 35%Discharge amount: 712 g / min, Cooling temperature: 25 ℃, Stretch bath temperature: 83 ℃, 1st chamber temperature: 101 ℃, 2nd chamber temperature: 82 ℃, Crimp rate 35%

2. 인조잔디 조건2. Artificial turf conditions

투수특성 아스콘 베이스층 상부에 투수특성 PVC 패드층을 형성하고, PP로서 부직포 형태의 기포층을 형성하여 6:4 비율의 PP 및 PE 공중합체 소재와 상기 중공사를 1:1 교호로 기포층에 파일을 형성하였다(터프팅법). 파일의 밀도는 세로 5인치당 32개, 가로 1인치당 6.8개이다. A permeable PVC pad layer is formed on the permeable ascon base layer, and a non-woven fabric bubble layer is formed as PP to form a 6: 4 ratio of the PP and PE copolymer material and the hollow fiber in a 1: 1 alternating bubble layer. A pile was formed (tufting method). The pile has a density of 32 per 5 inches long and 6.8 per 1 inch wid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과 동일하되, 3:1 비율의 PP 및 PE 공중합체만으로 인조잔디를 제조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rtificial turf was prepared using only a 3: 1 ratio of PP and PE copolymer.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공중합체와 원형 단면의 일반 나일론 6을 1:1 교호로 기포층에 파일을 형성하였다(터프팅법).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copolymer was formed in the bubble layer in a 1: 1 alternating manner with the copolymer and general nylon 6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ufting method).

* 평가기준 * Evaluation standard

1. 물성시험 일반조건 1. General condition of physical property test

1.1 시험의 표준상태     1.1 Standard condition of the test

온도 20℃ ± 2℃ ,상대습도 65% ± 5% 로 한다.         The temperature is 20 ° C ± 2 ° C and the relative humidity is 65% ± 5%.

1.2 시험편의 준비상태     1.2 Preparation of Specimen

시료를 1.1 에 24시간이상 방치한다.         The sample is allowed to stand at 1.1 or more for 24 hours.

1.3 시험편 채취방법     1.3 Test Piece Collection Method

시험편은 시험사를 제외한 완제품을 말하며 동일한 품종을 세로, 가로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채취한다.         Specimen refers to the finished product except the tester, and the same varieties are taken to be parallel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2. 인장 강도 2. Tensile Strength

2.1 나비 50mm 길이 300mm의 시험편을 경,위사 방향으로 각각 3매 이상 채취하여 클램프 간격을 200mm으로 하고 인장 속도는 300 ± 20mm/min로 하여 인장 시험기로 인장 강도(kgf)및 신도(%)를 측정한다. * 클램프 부분에 미끄러짐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부분의 파일을 잘라낸다.     2.1 Measure the tensile strength (kgf) and elongation (%) with a tensile tester with at least three specimens of 50 mm long and 300 mm long in the direction of warp and weft, with a clamp interval of 200 mm and a tensile speed of 300 ± 20 mm / min. do. * If a slip occurs in the clamp, cut off the pile.

2.2 경,위사 각 3회 이상의 평균값을 유효 숫자 셋째자리까지 표시한다.     2.2 Display the average value of three or more light and weft threads to the 3rd significant figure.

3. 인열 강도 3. tear strength

3.1 나비 76mm 길이 203mm의 시험편을 짧은 변의 중앙을 그 변과 직각으로 76mm를 베어 놓고 시험기에 물리는 간격을 76mm으로 물린 다음 인장 속도를 305± 13mm/min로 인열이 끝날 때까지의 5개의 가장 높은 피크(첫 피크는 제외)의 하중을 읽어서 평균값(kgf)을 구한다.     3.1 Butterfly 76 mm 203 mm long specimens cut 76 mm at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at right angles to the edge, with the bite clamped at 76 mm, and the highest five peaks until tearing ends at 305 ± 13 mm / min. The average value (kgf) is obtained by reading the load (excluding the first peak).

3.2 경,위사 각 5회 이상의 평균값을 표시한다.     3.2 The average value of five or more warp and weft marks is displayed.

4. 인발 강도(침수 전,후) 4. Pullout strength (before and after immersion)

4.1 시험편 채취    4.1 Sample Collection

나비 100mm 길이100mm의 시험편을 4매(침수전,후 각각 2매)를 채취한다.        Take four specimens of butterfly 100 mm long and 100 mm long (two before and after immersion).

4.2 침수 전 인발 강도    4.2 Pullout strength before immersion

시험편을 인발 시험기의 시료 홀더에 부착하여 파일 인발 척(chuck)으로 파일을 집어 각각 5개소에 있는 파일을 최대하중으로 인발 속도는 100mm/min으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표시한다. * 파일 집는 방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파일에 주변을 정리하고 뽑고자 하는 파일은 자르지 않는다.        The specimen is attached to the sample holder of the drawing tester, the file is picked up by a file chuck, and the files at each of five locations are loaded at maximum load. The drawing speed is measured at 100 mm / min, and the average value is displayed to the second decimal place. * To make file picking easier, do not cut the file you want to trim and extract around the file you want to measure.

4.3 침수 후 인발 강도    4.3 Pullout strength after immersion

시험편을 일반 공업용수에 3시간 완전 침수시킨 후 표준상태에서 10분간 방치시킨 후 침수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After the specimen is completely immersed in general industrial water for 3 hours, it is left for 10 minutes under the standard condition and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the immersion.

5. 동적하중에 의한 두께 감소율(%) 5. Thickness reduction rate due to dynamic load (%)

5.1 시험 조작    5.1 Test Operation

지름이 약 175mm의 원형 시험편 3매 채취하고 각 시험편의 중심에 지름이 약 6mm의 구멍을 뚫는다. 그 후 로터리형 동적 하중 시험기 위에 장치하여 하중을 가한 후 측정한다.        Take three round specimens of approximately 175 mm diameter and drill a hole of approximately 6 mm diameter in the center of each specimen. It is then mounted on a rotary dynamic load tester and subjected to the load measurement.

5.2 측정 및 계산    5.2 Measurement and Calculation

충격 하중을 가한 후 5분간 방치한 다음 충격 하중을 가한 면적 내의 3개소이상에 대하여 두께(mm)를 측정하여 두께 감소율(%)을 다음 식으로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표시한다.        After the impact load is left for 5 minutes, the thickness (mm) is measured at three or more places within the area to which the impact load is applied.

* (충격 횟수는 1000, 5000, 10000회로 하며 그 밖의 횟수는 명시한다.)         * (The number of shocks is 1000, 5000, 10000 times, the other number is specified.)

두께 감소율(%) = {( t1 - t2 ) / t1 }x 100            Thickness Reduction (%) = {(t1-t2) / t1} x 100

t1 : 충격 하중을 가하기 전의 두께(mm)               t1: Thickness before applying impact load (mm)

t2 : 소정의 충격 횟수, 충격 하중을 가한 후의 두께(mm)               t2: predetermined number of impacts, thickness after applying impact load (mm)

6. 마모 강도 6. wear strength

6.1 시험 조작    6.1 Test Operation

지름이 약 130㎜의 원형 시험편을 3매 이상 채취하여 중심에 지름 6㎜의 구멍을 뚫고 마모 강도 시험기에 시험편 표면이 위쪽으로 되게 하여 시료 고정대에 설치하고 1000g 의 하중을 걸어 H-22또는 H-38의 바퀴를 사용하여 약 70rpm으로 시험편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 마찰시킨다.        Collect at least three round specimens of approximately 130 mm in diameter, drill a 6 mm diameter hole in the center and place the specimen surface upward on the abrasion strength tester. Using 38 wheels, rotate and rub against the direction of specimen rotation at approximately 70 rpm.

6.2 측정 및 계산    6.2 Measurement and Calculation

무게 감소는 마찰 후 감량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유효 숫자 3자리까지 표시한다.        Weight reduction measures weight loss after friction and displays the average value up to three significant figures.

*소정 횟수와 사용 마모 바퀴는 명시 부기한다.        * The prescribed number of times and the wear wheels used should be clearly stated.

*결과(%) ={(시험전중량(g) - 시험후중량(g)) / 시험전중량(g)}x 100       * Result (%) = {(Weight before test (g)-Weight after test (g)) / Weight before test (g)} x 100

7. 정적 하중에 의한 두께 감소율(%) 7. Thickness reduction rate due to static load (%)

7.1 시험편 채취    7.1 Sample Collection

각각 다른 롤에서 총 5개의 SAMPLE(전폭 x 500 mm 이상)을 채취한다. 각 샘플의 좌, 중, 우에서 직경 140 mm의 크기로 시험편을 취한다.        A total of five samples (over 500 mm wide) are taken from different rolls. Take specimens of size 140 mm in diameter at the left, middle, and right sides of each sample.

7.2 테스트 기기    7.2 Test Equipment

(1) 측정봉 : 직경 60 mm, 무게 8300g의 쇠기둥        (1) Measuring rod: 60mm in diameter, 8300g weight pole

(2) 쇠기둥을 지탱해주는 삼발이        (2) trivets supporting the pillar

(3) 두께 측정용 GAUGE, CELL        (3) GAUGE, CELL for thickness measurement

7.3 TEST 방법     7.3 TEST Method

(1) 각 샘플별 3개씩의 시험편을 취하여 테스트 한 후 세 평균값을 그 샘플의 측정치로 한다. 이때 각 시험편은 샘플의 좌, 중, 우에서 채취한다.        (1) Take three test specimens for each sample and test three average values as the measured values of the sample. At this time, each specimen shall be taken from the left, middle and right of the sample.

(2) 시료 위에 셀을 올려놓고 최초 높이를 측정한다.(A)        (2) Place the cell on the sample and measure the initial height. (A)

(3) 이 시험편을 무게 8300g, 직경 60mm 의 쇠기둥으로 24 시간 눌려놓고 방치한다. (표준 대기 상태를 유지할 것)        (3) Leave this specimen pressed for 24 hours with a metal column of 8300 g in weight and 60 mm in diameter. (Keep the standard standby)

(4) 24시간이 지난 후 그때의 파일 높이를 측정한다.(B)        (4) Measure the height of the pile after 24 hours. (B)

(5) 측정한 시험편을 다시 5분간 방치한 후 그때의 PILE높이를 측정한다.(C)        (5) Leave the measured specimen for 5 minutes again and measure the PILE height at that time. (C)

7.4 TEST 결과     7.4 TEST Results

(1) 압축율 : {(A-B) / A} x 100        (1) Compression Ratio:-(A-B) / A} x 100

(2) 감소율 : {(A-C) / A} x 100        (2) Reduction Rate:-(A-C) / A} x 100

(3) 회복율 : {(C-B) / (A-B)} x 100        (3) Recovery rate: {(C-B) / (A-B)} x 100

8. 치수변화율(형태안정성) 8. Dimensional rate of change (shape stability)

8.1 시험방법     8.1 Test Method

(1) 시험편을 가로, 세로 각각 300mm로 채취하여 시험편의 중앙으로부터 상,하,좌,우 각각 125mm지점에 핀을 정확하게 꽂아 표준온습도(20℃, RH 60%)하에 1시간 방치하고 그때의 변화된 길이를 측정한다.        (1) Take the test piece 300mm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insert the pins exactly 125mm up, down,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test piece. Measure the length.

(2) 일반 공업용수에 3시간 동안 담근 후 물에서 꺼내어 변화된 길이를 측정한다.        (2) Soak for 3 hours in general industrial water and remove it from water and measure the changed length.

(3) 이후 오븐에서 60℃ ,24시간 방치 후 변화된 길이를 측정하고 다시 표준온습도에서 1시간 방치 후 변화된 길이를 측정한다.        (3) After that, the changed length is measured after leaving the oven at 60 ℃ for 24 hours, and the changed length is again measured after 1 hour at standard temperature and humidity.

8.2 시험결과     8.2 Test Results

(1) 집계된 자료를 이용하여 치수변화율을 측정한다.        (1) Measure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using the aggregated data.

* 치수변화율(%) = (변화된길이 / 표준길이) x 100            *% Of dimensional change = (varied length / standard length) x 100

9. 수분율 9. Moisture Content

9.1 시험방법 및 결과     9.1 Test Methods and Results

폭 200mm, 길이 200mm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표준상태에서 1시간 방치한다. 방치한 시험편의 무게를 측정한 뒤 80℃로 SET한 열풍건조기에 1시간 건조시킨다. 건조 후 시료를 꺼내어 무게를 측정한 뒤 아래 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Take 200 mm wide and 200 mm long specimens and leave for 1 hour under standard conditions. After weighing the test specimen, it was dried for 1 hour in a hot air dryer set at 80 ℃. After drying, the sample is taken out, weighed, and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분율(%) = (건조전 무게 - 건조후 무게) / 건조후 무게 x 100         Moisture content (%) = (Weight before drying-Weight after drying) / Weight after drying x 100

상기 평가기준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평가결과는 표 1과 같다.Evaluation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are shown in Table 1.

본 발명에 의한 중공사로 제조된 인조잔디는 표 1과 같이 통상의 PP소재의 수분율 0.51% 대비 1.69%로 높은 수분율을 보이고, 압축회복율의 경우 종래의 하키장용 잔디(비교예 1)가 4.85%인 반면 16.67%로 높음을 알 수 있다.Artificial turf produced by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high moisture content of 1.69% compared to the water content of 0.51% of the conventional PP material, as shown in Table 1, the conventional recovery of hockey field grass (comparative example 1) is 4.85% On the other hand, it is high as 16.67%.

Figure 112006073909895-PAT00001
Figure 112006073909895-PAT0000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는 수분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특히 지속적인 압력에 대한 두께감소율과 회복율이 현저히 향상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turf using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moisture content, in particular, the effect of remarkably improved thickness reduction rate and recovery rate for continuous press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는 우수한 탄성회복율을 가지므로, 파일의 직립성 확보에 유리하며, 인조잔디의 표면 터치감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hollow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lastic recovery rate,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upright of the pile and improves the surface touch of the artificial turf.

이러한 물성을 구비한 중공사는 인조잔디, 특히 하키장 또는 축구장용 인조잔디로 사용될 경우 증발율이 낮고 수분잔존율이 높아 선수들의 마찰화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의 안정적인 구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hollow fiber with such physical properties, when used as artificial turf, especially artificial turf for hockey field or soccer field, can prevent the frictional images of players as well as secure stable cloudiness of the ball due to low evaporation rate and high water retention rate.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Claims (9)

인조잔디에 있어서,In artificial turf, 미리 투수특성이 발현되도록 설계된 베이스층;A base layer designed to express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in advance;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투수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패드층;A polymer pad layer having a permeability characteristic formed on the base layer; 상기 패드층 상부에 잔디 파일을 모식하기 위한 기포층; 및 Bubble layer for simulating a grass pile on the pad layer; And 상기 기포층에 원형단면사와 중공사가 1:1로 교호되거나 무작위로 형성된 파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Circular section yarns and hollow yarns in the bubble layer artificial turf using a hollow fi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e alternately formed or random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층은 폴리염화비닐계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The pad layer is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olyvinyl chloride-based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포층은 폴리올레핀계로 이루어진 부직포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The foam layer is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non-woven fabric made of a polyolef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일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 1 파일 및 제 2 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파일은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소재의 원형단면사이고, 상기 제2파일은 중공사로서, 상기 두가지 파일이 터프팅이나 라셀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는 인조잔디.The pile includes a first pile and a second pil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first pile is a circular cross-section yarn of a polyolefin-based copolymer material, the second pile is hollow fiber, the two piles are tufted or Artificial turf having characteristics formed by rasch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일은 가로방향으로 3.2 내지 6.4개/인치, 세로방향으로 6.8 내지 9.8개/인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The pile is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3.2 to 6.4 pieces / inch, longitudinal direction 6.8 to 9.8 pieces / in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공사의 중공부가 삼각단면을 형성하도록, 하기식 (1) 내지 (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중공사용 방사구금으로부터 제조된 인조잔디.Artificial turf produced from the spinneret for hollow 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yarn to form a triangular cross section, the following formula (1) to (4). (1) 0.08 ≤ B ≤ 0.11(1) 0.08 ≤ B ≤ 0.11 (2) Φ1 : Φ2 : Φ3 = 1 : 1.40 ~ 1.42 : 1.83 ~ 1.86(2) Φ1: Φ2: Φ3 = 1: 1.40 ~ 1.42: 1.83 ~ 1.86 (3) 0.24 ≤ A ≤ 0.27 (3) 0.24 ≤ A ≤ 0.27 (4) 0.21 ≤ W ≤ 0.26(4) 0.21 ≤ W ≤ 0.26 여기서, B : 슬릿상호간 소정의 폭(mm)Here, B: predetermined width (mm) between the slit crosses Φ1 : 구금홀의 내측 지름Φ1: inner diameter of the detention hole Φ2 : 구금홀의 외측 지름Φ2: Outside diameter of the detention hole Φ3 : 구금홀의 돌출부 최외각 지름Φ3: Outer diameter of protrusion of detention hole A : 슬릿(S) 각 개별 토출공 면적(mm2)A: area of each discharge hole for slit (S) (mm 2 ) W : 돌출부 폭(mm)W: protrusion width (m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공사는 제6항에 의한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The hollow yarn using the spinneret according to claim 6, 단위 구금에서의 방사중합체의 토출량이 700 내지 800 g/min 이고,The discharge amount of the radiopolymer in unit detention is 700 to 800 g / min, 냉각온도가 15 내지 30℃, 연신온도가 80 내지 90℃, Cooling temperature is 15 to 30 ℃, stretching temperature is 80 to 90 ℃, 각기 온도가 다른 두 개의 챔버에서 건조가 이루어져 Drying in two different chambers 제1챔버는 95 내지 105℃, 제2챔버는 80 내지 90℃인 건조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The first chamber is 95 to 105 ℃, the second chamber is artificial turf,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including a drying process of 80 to 90 ℃.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중공사의 크림프율이 30 내지 40%인 인조잔디.Artificial turf having the crimp rate of the hollow fiber is 30 to 40%.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방사중합체는 나일론 66, 나일론 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인조잔디.The radiopolymer is artificial grass, nylon 66, nylon 6 or a mixture thereof.
KR1020060099610A 2006-10-13 2006-10-13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KR101006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610A KR101006239B1 (en) 2006-10-13 2006-10-13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610A KR101006239B1 (en) 2006-10-13 2006-10-13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670A true KR20080033670A (en) 2008-04-17
KR101006239B1 KR101006239B1 (en) 2011-01-07

Family

ID=3957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610A KR101006239B1 (en) 2006-10-13 2006-10-13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2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685B1 (en) * 2016-05-04 2016-08-24 박설환 Supporting assembly for knitting artificial turf fiber of artificial lawn mat
KR102319113B1 (en) * 2021-06-25 2021-10-29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Artificial lawn mat production system with excellent shock absorption using air hoses, methods for producing artificial lawn mats using the system, and artificial lawn ma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66B1 (en) * 2011-01-13 2013-02-12 (주)대원그린 Manufacturing method for artificial lawn mat
CN103374870A (en) * 2012-04-13 2013-10-30 常州纺兴精密机械有限公司 Synthetic lawn thread with improved moisture absorption performance
KR102034896B1 (en) * 2019-05-30 2019-10-21 주식회사 거평산업 Artificial lawn st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263446B1 (en) 2020-11-17 2021-06-10 (주)대원그린 Artificial turf mat with improved moisture cont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982A (en) * 1997-03-14 1998-09-22 Toray Monofilament Co Ltd Shot mat for golf training and manufacture thereof
CA2206106A1 (en) * 1997-06-09 1998-12-09 Alain Lemieux Synthetic turf, cushioned with a base layer of polypropylene for shock absorption, and specially treated through sand-blasting to provide a surface suitable for a wide variety of sports
JPH11172614A (en) * 1997-12-15 1999-06-29 Sumitomo Rubber Ind Ltd Artificial lawn and production thereof
KR101123939B1 (en) * 2006-10-13 2012-03-2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Spinneret for Hollow Fiber and A method for preparing Hollow fiber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685B1 (en) * 2016-05-04 2016-08-24 박설환 Supporting assembly for knitting artificial turf fiber of artificial lawn mat
KR102319113B1 (en) * 2021-06-25 2021-10-29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Artificial lawn mat production system with excellent shock absorption using air hoses, methods for producing artificial lawn mats using the system, and artificial lawn ma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239B1 (en)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239B1 (en) Artificial turf using hollow fiber
KR101440983B1 (en) Conjugated fiber excellent in antistatic property, moisture absorption and cool touch feeling
ES2239166T3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ILLING FIBER PRODUCTS THAT INCLUDE DISCONTINUOUS POLYETHYLENE TEREFTALATE FIBERS.
US8568852B2 (en) Artificial grass turf and infill for sports fields
US9309630B2 (en) Artificial sports surface
KR101103007B1 (en) Artificial turf fiber using Poly trimethyleneterephthalate and Structure of composite artificial turf
US8728619B2 (en) Highly functional polyethylene fiber excellent in forming processability
GB260124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rtifical surfaces
KR101123939B1 (en) Spinneret for Hollow Fiber and A method for preparing Hollow fiber using the same
KR101028575B1 (en) Spinneret for modified cross-section fiber and a method for preparing filament using the same
KR101006238B1 (en) Artificial turf using shaped fiber
EP0736113B1 (en) Hollow filament crosssections containing four continuous voids
JP3342661B2 (en) Artificial grass
JP6076758B2 (en) Core-sheath composite polyamide monofilament
Manshahia et al. Comfort characteristics of knitted active sportswear: Liquid water transportation
US20180119310A1 (en) Synthetic fibers with enhanced soil resistance and methods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Strazdienė et al. New method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extile hand
KR101123938B1 (en) Spinneret for shaped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JP5549244B2 (en) Hygroscopic polyamide 56 short fiber
US20170044693A1 (en) Acrylic fibers,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pun yarn and knitted fabric using said fibers
JP5794737B2 (en) Artificial grass
CN115804490A (en) Knitted components and articles for improved ball control and durability
Sadeghi et al. Effect of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third generation of artificial football turf on shock absorption
JP2016065328A (en) Flat multi-lobar cross section polyamide fiber
TWI810398B (en) Spunbond nonwovens, spunbond fibers, and laminated nonwov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