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584A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584A
KR20080031584A KR1020060097638A KR20060097638A KR20080031584A KR 20080031584 A KR20080031584 A KR 20080031584A KR 1020060097638 A KR1020060097638 A KR 1020060097638A KR 20060097638 A KR20060097638 A KR 20060097638A KR 20080031584 A KR20080031584 A KR 2008003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original
document
prin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여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1584A/en
Publication of KR2008003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5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8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duplex 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Abstract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guiding a both-sided printing method and the both-sided printing method are provided to enable the images of a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document to be printed on the same printing region on a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piece of printing paper, thereby acquiring the same output document as an original document. An image forming apparatus(100) includes a display unit(170), a paper feeding cassette, a memory unit, a control unit(180), an input unit(150), a reading unit(140) and a printing unit. The paper feeding cassette loads printing papers. The memory unit stores guide information about predetermined printing paper arrangement so that the image regions of a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document formed in both sides of a printing paper can match each other. One side printed paper is arranged on the paper feeding cassette to match the image regions. An image of a side of the document is formed on the one side printing pap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guide information about the printing paper arrangem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the both-sided printing of a document with a smaller size than the printing paper is requested.

Description

양면인쇄 안내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양면인쇄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블록선도,3 is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4a 및 도 4d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일면 인쇄과정을 도시한 개략도,4A and 4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ocess of printing one side of an original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5a 및 도 5d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배면 인쇄과정을 도시한 개략도,5A and 5D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document back printing proces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6은 도1의 화상형성장치의 양면인쇄방법의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duplex print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급지카세트100: image forming apparatus 110: paper feed cassette

120 : 이송부 130 : 인쇄부120: transfer unit 130: printing unit

140 : 독취부 145 : 스테이지 글래스140: reading unit 145: stage glass

150 : 입력부 160 : 메모리부150: input unit 160: memory unit

170 : 표시부 180 : 제어부170: display unit 180: control uni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양면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쉽게 양면 인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양면 인쇄정보를 안내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양면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duplex prin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duplex printing method for guiding duplex printing information to a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duplex printing.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 또는 전자파일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몇가지 기능을 합친 복합기 등이 있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forming a predetermined image on a print medium or an electronic file, and includes an inkjet printer, a laser printer, a copying machine, a facsimile, a multifunction device combining several functions, and the like.

복합기,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로 인쇄용지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고를 인쇄용지 1장에 양면 복사하여 원고 원본과 같은 형태의 복사물을 얻고자 할 때가 있다. 원고의 양면 스캐닝 기능을 갖는 자동원고이송장치(Auto Document Feeder : ADF)가 있는 복사기나 복합기의 경우에는 원고의 양면을 쉽게 복사 할 수 있지만 가격이 비싸므로 가정용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There are times wh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multifunction printer or copier copies two-sided originals smaller than the printed paper onto one sheet of printed paper to obtain a copy in the same form as the original document. Copiers and multi-function printers with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ADF) with double-sided scanning of originals can easily copy both sides of the original, but are not widely used for home use because of their high cost.

또한, 주민등록증 또는 여권과 같이 원고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설령 자동원고이송장치(Auto Document Feeder : ADF)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사용하여 양면복사를 실시할 수 없다. 그래서, 자동원고이송장치(ADF)가 없는 화상형성장치처럼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양면 복사를 실시하여야 한다.In addition, if the document is thick, such as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or passport, even if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ADF) exists, duplex copying cannot be performed using it. Thus, the user must make duplex copying by hand like a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out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ADF).

수작업으로 원고의 양면을 복사하여 원고와 같은 출력물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원고의 일면이 인쇄된 인쇄용지와 원고의 배면을 각각 급지카세트 및 스 테이지 글래스(stage glass)상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여한다. 원고의 양면을 인쇄용지의 양면에 각각 서로 같은 인쇄영역으로 인쇄되게 하기 위해서이다.To manually copy both sides of the original to obtain the same output as the original, the user places the printing paper on which one side of the original is printed and the back side of the original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paper cassette and the stage glass, respectively. This is to allow both sides of the document to be print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paper in the same print area.

그러나, 대부분의 화상형성장치 사용자는 원고와 같은 양면 화상을 얻기 위해서 인쇄용지 및 원고 배면을 배치하여야 할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여러 번의 시행 착오를 거쳐야 비로소 원고의 원본과 동일한 양면 복사 출력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진다.However, since most users of image forming apparatuses do not know where to place print paper and the back side of originals in order to obtain a double-sided image such as originals,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several trials and errors to obtain the same double-sided copy outputs of the originals. Convenience is low.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용지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고를 양면 복사하여 원고와 동일한 출력물을 얻고 자 할 때, 사용자가 쉽게 양면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양면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ase of us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ts duplex print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duplex copying when a duplex copy of a smaller size than the print paper to obtain the same output as the original To provide a wa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수단과, 독취된 원고의 화상정보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상기 인쇄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카세트와; 인쇄용지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원고의 일면 및 타면의 화상영역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원고의 일면의 화상이 형성된 일면인쇄용지가 상기 급지카세트 상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인쇄용지 보다 사이즈가 작은 원고의 양면 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상기 메모부의 상기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 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ading means for reading an original and printing means for printing image information of the read original on a printing sheet, the display unit comprising: a display unit; A paper feed cassette for loading the printing paper; One side printing paper on which the image of one side of the original is formed is stored on the paper feed cassette so that the image area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rigina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paper coincide with each other. A memory unit; When there is a double-sided printing request of an original having a smaller size than printing paper, the display unit may be achieved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printing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of the memo unit.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원고의 배면이 스테이지 글래스(stage glass)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mory unit may further store predetermined document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on which the back of the document should be placed on stage glass, 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original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Do.

그리고,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 및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독취수단에 의해 독취된 상기 원고의 일면의 화상정보에 상기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와 상기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한 인쇄데이터를 상기 인쇄부가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And,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know the printing paper layout guid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back layout guid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s the printing paper layout guid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back layout to the image information of one side of the original read by the reading means The printing unit may print the print data added with at least one of the guide information on the printing paper.

또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원고의 일면이 인쇄된 일면인쇄용지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상기 급지카세트에는 상기 일면인쇄용지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 포인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arking point is formed on the paper cassette to guide the position on which the one side printing paper should be plac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position where the one side printing paper on which one side of the original is printed is to be placed. Do.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취수단, 인쇄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카세트 및 급지카세트로부터 급지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양면 인쇄방법에 있어서, (a) 인쇄용지 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원고의 일면을 독취하는 단계와; (b) 상기 독취된 상기 원고의 일면을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단계와; (c) 상기 인쇄용지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상기 원고의 양면 화상영역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원고 일면이 인쇄된 일면인쇄용지가 상기 급지카세트 상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와 상기 원고의 배면이 스테이지 글래스(stage glass)상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양면 인쇄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above object is a printing method of a two-sided documen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eading means, a paper cassette for loading printing paper, and a printing portion for forming an image on paper fed from the paper cassette, (a) printing Reading one side of the original of a size smaller than a sheet of paper; (b) printing one side of the read original on printing paper; (c) predetermined printing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and one side printing paper on which one side of the original is printed on the paper feed cassette, such that the two-sided image areas of the original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inting paper coincide with each other; Achieving by the original duplex print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displaying to the user at least one of the predetermined document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that the back of the document should be placed on the stage glass (stage glass) Can b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를 도면을 참조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사진방식의 복합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 electrophotographic multifunction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10), 이송부(120), 인쇄부(130), 독취부(1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ultifun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per feed cassette 110, a transfer unit 120, a printing unit 130, and a reading unit 140.

급지카세트(110)는 인쇄용지를 적재하는 녹업플레이트(113), 녹업플레이트(113)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15)을 갖는다.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용지는 도 2의 A방향으로 복합기(100)의 기내로 이송된다. 원고 양면 복사 시, 원고의 일면이 복사되어 배지된 일면인쇄용지의 급지카세트(110) 상의 배치위치(이하 '인쇄용지 배치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급지카세트(110)의 인쇄용지 배치 위치에 점, 선, 텍스트 기타 기호로 마킹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 및 도 5c에서는 급지카세트(110), 정확하게는 녹업플레이트(113)의 인쇄용지 배치 위치(P3)에 화살표(

Figure 112006072540356-PAT00001
)를 마킹하였다. 인쇄용지 배치 위치는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인쇄용지의 급지방향(도 2의 A), 후술할 노광유닛(130)의 광주사방향(도 2의 B) 및 독취부(140)의 캐리어의 이동방향(도 2의 C)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The paper feeding cassette 110 has a knock up plate 113 for loading printing paper and a spring 11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knock up plate 113. The paper loaded in the paper feed cassette 110 is transferred into the machine of the multifunction apparatus 100 in the direction A of FIG. When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the printing paper is placed on the paper cassette 1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arrangement position on the paper cassette 110 of the one-sided printing paper from which one side of the original is copied and discharged. Marking with points, lines, text or other symbols is desirable. In FIGS. 4C and 5C, the paper cassette 110, and more specifically, the arrow (
Figure 112006072540356-PAT00001
).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aper is provided in the paper feeding direction (A in FIG. 2) of the printing paper loaded in the paper cassette 110, the optical scanning direction (B in FIG. 2) of the exposure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arrier of the reading unit 140.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moving direction of (C of FIG. 2).

이송부(120)는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121), 픽업된 용지를 인쇄부(130)로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123), 인쇄부(130)에 의해 인쇄된 용지를 기외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25)를 갖는다.The transfer unit 120 includes a pickup roller 121 for picking up the sheets of paper loaded in the paper cassette 110 in a single sheet, a pair of transfer rollers 123 for transferring the picked sheets to the printing unit 130, and a printing unit 130. Has a discharge roller 125 for discharging the paper printed by "

인쇄부(130)는 노광유닛(131)과; 감광드럼(133a), 대전롤러(133b), 현상롤 러(133c) 및 공급롤러(133d)를 포함하여 복합기(100)의 본체(103)에 착탈 가능한 현상기(133)와; 전사롤러(135)와; 정착기(137)를 포함한다. The printing unit 130 includes an exposure unit 131; A developing unit 133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03 of the multifunction apparatus 100, including a photosensitive drum 133a, a charging roller 133b, a developing roller 133c, and a supply roller 133d; A transfer roller 135; And a fixing unit 137.

노광유닛(131)은 감광드럼(133a)에 광을 주사하여 대전롤러(133b)에 의해 균일한 표면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33a)의 표면을 노광시킨다. 노광유닛(131)의 폴리곤 미러(미도시)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주주사방향(main scanning direction, 인쇄용지의 가로방향)으로의 광 주사방향이 달라지는데 폴리곤 미러(미도시)는 정속회전이 중요하므로 통상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주주사방향으로의 광 주사방향도 한 방향으로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유닛(131)의 주주사방향으로의 광 주사방향은 도 2의 B 방향이라고 가정한다.The exposure unit 131 scans the photosensitive drum 133a with light to expose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33a charged at a uniform surface potential by the charging roller 133b.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lygon mirror (not shown) of the exposure unit 131, the light scanning direc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printing paper) is different. It is design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Therefore, the light scanning directio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also determined in on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light scanning direction of the exposure unit 131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the B direction in FIG.

잉크젯 방식의 복합기 인 경우, 인쇄부(130)는 상술한 인쇄부(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대신에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프린팅 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염료승화 방식의 복합기라면, 인쇄부(130)는 염료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잉크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nkjet multifunction printer, the printing unit 130 may include a printing head having a nozzle for discharging ink instead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inting unit 130 described above. The printing unit 130 may include an ink ribbon capable of selectively heating the dye.

독취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부(130)의 상측에 마련되어 힌지축(103)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독취부(140)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경우 인쇄부(130)에 의해 인쇄되어 배지된 용지를 보다 쉽게 취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eading unit 140 is provided above the printing unit 130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hinge shaft 103. When the reading unit 140 is rotated upward, the paper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130 may be more easily taken out.

독취부(140)는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부(미도시), 원고의 화상이 반사하는 반사광을 독취수단(143), 스캐닝 또는 복사를 요하는 원고가 놓여지는 스테이지 글래스(stage glass, 145), 광원부(미도시), 독취수단(143)을 이동시키면서 원고 전체를 독취하게 하는 캐리어(미도시) 및 스테이지 글래스(145)를 보호하는 커 버(147)를 포함한다. 독취수단(143)으로서 CCD (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IS (Contact Image Sensor)와 같은 광센서가 사용된다.The reading unit 140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not shown) for scanning light onto the document, a reading unit 143 for reflecting light reflected by the image of the document, and a stage glass 145 on which the document requiring scanning or copying is placed. , A light source unit (not shown), a carrier (not shown) for reading the entire document while the reading means 143 is moved, and a cover 147 for protecting the stage glass 145. As the reading means 143, an optical sensor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sensor and a CIS (Contact Image Sensor) is used.

캐리어(미도시)의 이동방향은 도 2의 C 방향이다. 즉, 스테이지 글래스(145) 상의 원고는 C방향을 따라 독취된다. 물론, 캐리어(미도시)의 이동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설계하면 원고의 독취방향도 C방향과 반대로 할 수도 있다.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not shown) is the C direction of FIG. 2. That is, the original on the stage glass 145 is read along the C direction. Of course, i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not shown) is desig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eading direction of the original may also be reversed to the C direction.

스테이지 글래스(145)는 스테이지 글래스(145)의 외주를 감싸는 외주프레임(149)에 의해 지지된다. 사용자가 원고의 독취 시작점이 되는 스캔원점(도 2의 P1 참조)이 어디인지 쉽게 알 수 있도록 외주프레임(149)의 바깥 테두리(149a)에 스캔원점(P1)을 점, 선, 텍스트 등으로 마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용지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고 양면 복사 시,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짧게 제공할 수 있도록 스캔원점(P1) 외에도 양면 복사 시 원고의 배면이 배치되어야 할 원고배면원점(P2)도 외주프레임(149)상에 마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원점(P1)에는 "▶"기호를 원고배면원점(P2)에는 "◆" 기호를 마킹해 둘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주프레임(149) 대신에 스테이지 글래스(145) 상에 마킹 할 수도 있으나, 원고 독취 시 독취 되지 않을 위치에 마킹하여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스캔원점 및 원고배면원점은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인쇄용지의 급지방향(도 2의 A), 노광유닛(130)의 광주사방향(도 2의 B) 및 독취부(140)의 캐리어의 이동방향(도 2의 C)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The stage glass 145 is supported by the outer frame 149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age glass 145. Marking the scanning origin P1 with dots, lines, text, etc. on the outer edge 149a of the outer frame 149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where the scanning origin (see P1 in FIG. 2),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reading of the original, is located. It is desirable to. In addition to the scanning origin (P1) in order to provide a short guide to the user when duplex copying of a document of a smaller size than the printed paper, the original backing origin (P2), which should be placed on the backside of the original during duplex copying, also includes an outer frame (149). It is preferable to mark the phas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symbol “▶” may be marked at the scan origin P1, and the symbol “◆” may be marked at the original back surface P2. In some cases, it may be marked on the stage glass 145 instead of the outer frame 149,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arking should be per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original is not read. The scanning origin and the original backing origin are the paper feed direction (A in FIG. 2) of the printing paper loaded in the paper feed cassette 110, the optical scanning direction (B in FIG. 2) of the exposure unit 130, and the carrier of the reading unit 140.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moving direction of (C of FIG. 2).

한편, 복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양면 복사 여부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150), 소정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0), 메모 리부(160)에 저장된 안내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표시부(170) 및 인쇄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multifunction apparatus 100 is stored in the input unit 150 for receiving a duplex copy or the like from a user, a memory unit 160 for storing predetermined guide information, and a memory unit 160. The controller 18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80 that controls the display unit 170 and the print unit 130 to call the guide information and notify the user of the guide information.

입력부(150)는 다수의 조작버튼(button)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면의 상측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원고의 양면복사를 위해 "복사"버튼 외에 별도의"양면복사"버튼을 추가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의 추가 또는 배치는 설계 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5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nd is disposed above the fro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so that a user can easily access the same. The user may additionally provide a separate "duplex copy" button in addition to the "copy" button for duplex copying of the original. The addition or arrangement of these operation buttons can be freely selected at design time.

메모리부(160)는 인쇄용지보다 작은 사이즈의 원고 양면 복사 시 사용자에게 원고 일면을 스테이지 글래스(145) 상의 스캔원점(도 2의 P1 참조)에 배치할 것을 안내하는 원고일면배치 안내정보와, 원고의 일면이 복사되는 인쇄용지(이하, '일면인쇄용지'라 함)의 급지카세트(110) 상의 배치위치를 안내하는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 및 도 5d의 193 참조)와, 원고의 배면을 스테이지 글래스(145) 상의 원고배면원점(도 2의 P2, ◆참조)에 배치할 것을 안내하는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 이러한 안내정보의 내용은 스테이지 글래스(145) 및 급지카세트(110)의 마킹(marking) 여부,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provides original page 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user to place one side of the original at the scanning origin (see P1 in FIG. 2) on the stage glass 145 when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f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printed paper. Printing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see 193 in FIGS. 4D and 5D) guiding a placement position on the paper feed cassette 110 of one side of the printed pap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e side printing paper”), and the back side of the document. Stores at least any one of the document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arrangement at the original back original point on the stage glass 145 (see P2, ◆ in FIG. 2). The contents of the guide information may be various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stage glass 145 and the paper feed cassette 110 are marked, whether the user is convenient, and the like.

표시부(1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5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양면복사 시, 복합기(100)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미도시)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메모리부(160)의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경우 표시부(1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70 may be provided as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unit 150 in view of ease of use. When duplex copying, the display unit 170 may be omitted when displaying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memory unit 160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of a host comput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multifunction apparatus 100.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인쇄용지보다 작은 사이즈의 양면 복사 요청이 있는 경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원고일면배치 안내정보를 호출하여 표시부(170)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70)가"원고를 스캔원점(▶)에 두세요. (Place document on the scan origin (▶))"와 같은 원고일면배치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안내정보를 외주프레임(149)에 마킹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원고일면배치 안내정보를 표시부(170)가 표시하게 하고, 사용자가 표시부(170)의 안내정보 내용대로 원고를 배치한 후 "확인"버튼을 누르면 복사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즉, 독취부(140)가 원고의 일면을 독취하게 하고, 독취한 화상정보를 인쇄부(130)가 인쇄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안내정보 내용대로 원고 배치 후 입력부(150)의"확인"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확인"버튼을 깜빡거리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quests a duplex copy of a smaller size than the printing paper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80 calls the original one-sided 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to display the display unit 170. can do.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the manuscript placement guide information such as "Place document on the scan origin (▶)". In some cases, the guide information may be marked on the outer frame 149. The control unit 180 causes the display unit 170 to display the original one-sided placement guide information, and allows the user to copy a document by pressing the "OK" button after arranging the originals according to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70. That is, the reading unit 140 reads one side of the original, and the printing unit 130 prints the read image information. In some cases, the "confirmation" button may be blinked so that the user may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input unit 150 after arranging originals according to the guide information.

한편, 제어부(180)는 독취부가 스테이지 글래스의 스캔원점에 배치된 원고의 일면을 독취하여 형성된 화상정보에 메모리부(130)의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 및 도 5d의 193 참조)를 부가하여 인쇄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갱신된 인쇄데이터를 인쇄부(130)가 인쇄하게 하여, 도 4d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의 일면이 인쇄된 일면인쇄영역(197) 외부에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193)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reads the paper sheet placement guide information of the memory unit 130 (refer to 193 of FIGS. 4D and 5D) to the image information formed by the reading unit reading one surface of the original placed at the scanning origin of the stage glass. In addition, print data can be updat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0 causes the printing unit 130 to print the updated print data and arranges the printing paper outside the one side printing area 197 on which one side of the original is printed as shown in FIGS. 4D and 5D. Guide information 193 may be displayed.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193)는 도 4d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10)의 인쇄용지 배치위치에 배치되는 일면인쇄용지(S1)의 소정영역에 마킹되는 기호(예를 들어, ■, 193a)와 "인쇄된 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 인쇄용지의 ■ 마 크가 급지카세트(110)의 화살표(

Figure 112006072540356-PAT00002
)위치에 오도록 인쇄용지를 급지카세트의 제일 윗면에 올려 놓으세요"와 같은 안내 텍스트(193b)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4D and 5D, the printing sheet 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193 is a symbol (for example, a mark mark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one side printing sheet S1 disposed at the printing sheet arranging position of the sheet feeding cassette 110). , ■, 193a) and the arrow on the paper cassette 110
Figure 112006072540356-PAT00002
Place the print paper on the top side of the paper cassette so that it is at the position of " 1 ".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180)는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 및 도 5d의 193 참조)를 인쇄하지 않고 표시부(170)가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 및 도 5d의 193 참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원고의 일면복사가 완료되어 복사된 인쇄용지가 기외로 배출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를 호출하여 이를 표시부(170)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controller 180 does not print the print sheet layout guide information (see 193 of FIGS. 4D and 5D) and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print sheet layout guide information (see 193 of FIGS. 4D and 5D). You can do that. That is, when one side copying of the original is detected and the copied print pap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ntroller 180 calls the print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so that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it. can do.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부(170)가 안내정보의 일부를 표시하고, 인쇄부(130)가 안내정보의 나머지 일부를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어부(180)는 독취된 원고의 일면 화상정보에 급지카세트(110)의 인쇄용지 배치위치에 놓이게 되는 일면인쇄용지의 해당영역을 소정기호(도 4d의 193a, ■)를 포함하여 인쇄부(130)가 인쇄하도록 하고, 나머지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의 193b, 안내텍스트)를 표시부(170)가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a part of the guide information, and the printing unit 130 may print the remaining part of the guid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prints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one-sided printing paper, which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paper of the paper feeder 110, on the one-sided image information of the read original, including a predetermined symbol (193a, ■ of FIG. 4D). The unit 130 may print, and the display unit 170 may display the remaining print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193b of FIG. 4D, guide text).

또한,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 및 도 5d의 193 참조)와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가 모두 일면인쇄용지에 인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안내정보에 따라 일면인쇄용지 및 원고배면을 제대로 위치시켰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부(150)의 "확인"버튼을 깜빡이게 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case, the controller 180 may allow both the printing paper layout guide information (see 193 of FIGS. 4D and 5D) and the original back layout guide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the single sided printing pap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by blinking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input unit 150 to confirm whether the user correctly positioned the one-sided printing paper and the back of the document according to the guide information.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원고의 일면의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를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 및 도 5d의 193 참조)에 따라 급지카세트(110)에 적재하였는 지를 확인한다. 이것은 입력부(150)의 "확인"버튼을 깜빡이도록 하고, 표시부(170)에 인쇄용지의 배치가 끝난 후에 "확인"버튼을 누르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그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눌렀는지를 확인하면 인쇄용지 배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user has loaded the printing paper on which one side of the document is printed in the paper cassette 110 according to the printing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see 193 of FIGS. 4D and 5D). This causes the user to receive input from the user by blinking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input unit 150 and displaying the contents to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after the arrangement of the printing paper on the display unit 170. In other words, if the user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inting paper arrangement.

제어부(180)는 일면인쇄용지를 급지카세트(110)에 배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메모리부(160)의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를 호출한다. 호출된 안내정보를 표시부(170)가 표시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원고배면을 배치하였는 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부의 "확인"버튼을 깜빡이게 한다.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single-sided printing paper is placed in the paper feed cassette 110, the controller 180 calls the document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of the memory unit 160.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called guide information, and the " confirmation " button of the input unit blinks to confirm whether the user has placed the back of the document.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는 "원고를 뒤집어서 ◆ 점에 원고의 모서리가 오도록 배치시키세요"와 같은 안내문구 일 수 있다. 이 내용은 스테이지 글래스(145) 또는 외주프레임(149)의 원고배면원점(예를 들어, ◆) 마킹 여부 및 마킹 기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The guiding information on the back of the document may be a phrase such as "turn the document over and place the edge of the document at the dot ◆". This content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original back surface origin (for example, ◆) of the stage glass 145 or the outer frame 149 is marked and the marking symbol.

사용자가 원고의 배면을 스테이지 글래스(145) 상의 원고배면원점에 배치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일면인쇄용지의 타면에 원고의 배면화상이 원고의 일면화상의 인쇄영역과 동일하게 인쇄되게 된다. 즉, 도 7d와 같은 원고 원본과 동일하게 양면 인쇄된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user places the back of the original at the original back home on the stage glass 145 and presses the " OK " button, the back image of the original is pri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printing paper in the same manner as the printing area of the one side of the original. In other words, a duplex printed output can b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riginal document as shown in FIG. 7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100)의 양면인쇄과정을 도 4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ouble-sided printing process of the multifun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5D.

도 4a 및 도 4b는 원고를 재치한 독취부(140)의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4c는 급지카세트(100)의 개략 평면도,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의 과정을 거친 후 얻게 되는 출력결과물의 예시도이다.4A and 4B are schematic plan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eading unit 140 on which the document is placed, FIG. 4C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paper cassette 100, and FIG. 4D is an output obtained after the processes of FIGS. 4A to 4C. Illustrated diagram of the result.

사용자가 원고의 양면인쇄를 하기 위해 입력부(150)의 "복사"버튼 또는 "양면복사"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70)가 "양면복사 입니까?"및"원고의 사이즈가 인쇄용지 보다 작습니까?"와 같은 내용을 표시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복사 사양을 입력하게 한다. 물론, 원고의 사이즈가 인쇄용지보다 같거나 크더라도 원고 원본과 동일한 양면 복사된 출력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양면복사" 여부에 대해서만 사용자에게 입력받고, 원고의 사이즈가 인쇄용지 보다 작은지 여부는 입력받지 않아도 무방하다.When the user presses the " copy " or " duplex copy " button of the input unit 150 to print both sides of the document,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 double-sided copy " and " original " Is it smaller? "And asks the user to enter additional copy specifications. Of course, even if the size of the document is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paper, the same duplex copy of the original can be obtained. Therefore, the user is asked for "duplex copying" only, and whether the size of the document is smaller than the paper. You do not have to receive it.

사용자가 양면복사를 요청한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부(160)의 원고일면배치정보를 호출하여 표시부(170)가 표시하게 한다. 여기서, 이해를 돕기 위해 원고로 주민등록증(D)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주민등록증(D)의 정면에는 사진 정보가 있고 그 배면에는 주소이력과 같은 텍스트 정보가 있다.When the user requests duplex copying, the controller 180 calls the original side information of the memory 160 to cause the display unit 170 to display it. Here, for the sake of better understanding,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front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has photo information and the back of it has text information such as an address history.

이에 따라, 사용자가 주민등록증(D)의 정면을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 글래스(145)의 스캔원점(▶)에 배치하고 입력부의 "확인"버튼을 누르면 원고의 일면을 독취수단(143)이 독취하게 된다. 독취된 주민등록증(D)의 정면의 화상정보에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4d 및 도 5d의 193 참조)를 부가하여 인쇄데이터를 생성한다.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백지 인쇄용지(도 4c의 S)를 급지하고, 인쇄부(130)가 급지된 인쇄용지에 생성된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면 도 4d와 같은 일면인쇄용지(S1)를 얻을 수 있다. 도 4d에서 점선화상은,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원래의 백지 인쇄용지의 배면에 주민등록증(D)의 정면(원고의 일면)화상이 형성됨을 의미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laces the front of the ID card (D) at the scanning origin (▶) of the stage glass 145 as shown in FIGS. 4A and 4B, and presses the "OK" button of the input unit, one side of the document is read. (143) is poisoned. Printed paper layout guide information (see 193 in Figs. 4D and 5D)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s added to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front of the read-in identification card D to generate print data. When the white paper printing paper (S in FIG. 4C) loaded in the paper feeding cassette 110 is loaded, and the printing unit 130 prints the generated print data on the loaded paper, the single-sided printing paper S1 as shown in FIG. 4D is loaded. You can get it. In FIG. 4D, the dotted line image means that the front side (one side of the original) image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original white paper printing paper loaded on the paper feed cassette 110.

일면인쇄용지(S1)를 얻은 후, 주민등록증(D)의 배면을 복사하여 주민등록증(D)의 정면 및 배면의 화상이 인쇄용지의 일면 및 타면에 동일한 인쇄영역으로 인쇄되도록 주민등록증(D) 배면을 인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After obtaining the one-sided printing paper (S1), copy the back of the ID card (D) and print the back of the ID card (D) so that the images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ID card (D) are printed in the same print area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inting paper. The process is as follows.

도 5a 및 도 5b는 주민등록증(D)의 배면을 재치한 독취부(140)의 개략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5c는 급지카세트(100)의 개략 평면도, 도 5d는 도 5a 내지 도 5c의 과정을 거친 후 얻게 되는 출력결과물의 예시도이다.5A and 5B are schematic plan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eading unit 140 on which the back of the ID card D is placed, FIG. 5C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paper cassette 100, and FIG. 5D is a process of FIGS. 5A to 5C. Here is an example of the output you get after roughing.

일면인쇄용지(S1)가 복합기(100)의 기외로 배출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메모리부(160)에서 배면배치 안내정보를 호출하여 표시부(170)가 그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한다.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ne-sided printing paper (S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ultifunction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180 calls the rear layout guide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160 to cause the display unit 170 to display the guide information. .

그러면, 사용자는 일면인쇄용지(S1)에 출력된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도 5d의 193 참조)에 따라 일면인쇄용지(S1)를 도 5c와 같이 급지카세트(110)의 인쇄용지 배치위치(P3,

Figure 112006072540356-PAT00003
)에 배치하고, 주민등록증(D)의 배면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 글래스(145)의 원고배면원점(P2, ◆)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입력부(150)의 "확인"버튼을 깜빡거려서 사용자로부터 일면인쇄용지(S1) 및 주민등록증(D)의 배면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였는지 입력받는다.Then, the user places the one side printing paper S1 according to the printing paper 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refer to 193 of FIG. 5D) outputted on the one side printing paper S1 as shown in FIG. 5C. ,
Figure 112006072540356-PAT00003
),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can be arranged at the original back surface origin point (P2, ◆) of the stage glass 145, as shown in Figure 5a and 5b. Then, the controller 180 blinks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input unit 150 to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whether the rear surface of the one-sided printing paper S1 and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독취부(140)가 주민등록증(D)의 배면을 독취하게 하고 독취된 주민등록증(D) 배면의 화상정보를 인쇄부(130)가 인쇄하게 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K" button, the control unit 180 causes the reading unit 140 to read the back side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and the printing unit 130 to print the image information on the back side of the read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이에 의해, 일면인쇄용지 1장에 형성된 주민등록증(D)의 정면 및 배면의 인 쇄영역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 도 5d와 같이 주민등록증(D) 원본과 동일한 출력물(S2)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양면인쇄과정에서 사용자가 양면복사를 수행하는 단계마다 사용자가 취해야할 조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해 줌으로써 원본과 동일한 출력물(S2)을 쉽게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front and back print areas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formed on one printed sheet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ame output S2 as the original resident registration card D can be obtained as shown in FIG. 5D. In the above-described duplex printing process, the same output S2 as the original can be easily obtained by guiding the user with an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every step of performing duplex copy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양면인쇄방법을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uplex print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6.

먼저,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사양이 양면복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양면복사 인 경우 원고사이즈가 인쇄용지 사이즈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S20). 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도 있고, 원고를 독취부(130)로 독취한 결과 독취된 화상정보와 인쇄용지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도 있다. 양면복사 시 불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는 않으나, 원고와 인쇄용지의 사이즈를 비교할 필요 없이 원고의 스테이지 글래스(145) 상의 배치 및 일면인쇄용지의 급지카세트(110) 상의 배치를 안내하여도 무방하므로 S20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int specification requested by the user is duplex copying (S10). In the case of duplex copy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riginal siz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rinted paper (S20). This may be input by the user, or may be known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printed paper with the read image information as a result of reading the document by the reading unit 130. Unnecessary information is guided during duplex copying, bu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arrangement on the stage glass 145 of the original and the arrangement on the sheet feeding cassette 110 of the single-sided printing paper may be guided without comparing the size of the original and the printing paper. Step S20 may be omitted.

한편, 원고 사이즈가 인쇄용지보다 크거나 인쇄용지와 같은 경우에는 통상의 복사과정을 수행한다(S130).On the other hand, if the original size is larger than the printing paper or the same as the printing paper, a normal copying process is performed (S130).

원고의 사이즈가 인쇄용지보다 작은 경우에는 저장된 원고의 일면이 스테이지 글래스(145) 상에 배치되어야 할 위치를 안내하는 원고일면배치 안내정보를 호출한다(S30). 그 다음에 호출된 원고일면배치 안내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40).When the size of the original is smaller than the printing paper, the one side of the stored original is called the original surface 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a position to be placed on the stage glass 145 (S30). Then, the called manuscript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to the user (S40).

그 후, 원고의 일면이 제대로 배치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50). 이는 사용자 에게 원고의 일면을 배치하였는 지 여부를 입력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원고 일면을 배치하였다는 입력이 있는 경우, 원고의 일면을 독취하고(S60), 독취 된 원고 일면의 화상을 인쇄한다(S70). 원고의 일면이 제대로 배치되었는 지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원고일면배치 안내정보를 계속 표시하도록 한다.After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one side of the document is properly placed (S50). This can be done by asking the user to enter whether or not to place one side of the manuscript. If there is an input from the user that one side of the original is placed, one side of the original is read (S60), and an image of one side of the read original is printed (S70). If it is not judged that one side of the original is properly placed, continue displaying the guide information on the one side of the original.

원고 일면의 화상 인쇄가 완료된 후, 저장된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와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를 호출한다(S80). 그리고, 호출된 상기 안내정보를 표시한다(S90). 여기서,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 및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독취된 원고 일면의 화상데이터에 포함하여 인쇄용지에 인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S90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After the image printing on one side of the original is completed, the stored original back layout guide information and printing paper layout guide information are called (S80). Then, the called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S90). Here, the gui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y printing at least one of the printed paper 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back layout guide information on the printed paper by including the image data of one side of the read original. In this case, step S90 may be omitted.

안내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원고의 배면과 일면인쇄용지를 각각 스테이지 글래스(145)와 급지카세트(110)의 소정 위치에 제대로 배치하였는 지 판단한다(S100). 이는 사용자가 원고 및 인쇄용지의 배치여부를 입력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입력부(150)의 "확인"버튼을 눌렀는지 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uid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properly arranges the back surface and the one side printing paper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stage glass 145 and the paper feeding cassette 110, respectively (S100). This can be done by requesting the user to input the placement of originals and printing paper. For example, the user may check whether the user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of the input unit 150.

원고의 배면 및 일면인쇄용지가 제대로 배치된 경우, 원고의 배면을 독취하고(S110), 독취된 원고의 배면의 화상정보를 일면인쇄용지에 인쇄한다(S120).When the back of the original and the one side printing paper are properly disposed, the back of the original is read (S110),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back of the read original is printed on the one side of the printed paper (S120).

이에 의해, 사용자가 쉽게 원고의 원본과 동일한 출력물을 시행착오 없이 얻을 수 있다.Thereby,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same output as the original of the original without trial and err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양면인쇄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duplex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로 하여금 원고 사이즈가 인쇄용지보다 작은 경우에도 쉽게 인쇄용지 1장에 원고의 양면복사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원고의 일면 및 타면의 화상이 인쇄용지 1장의 일면 및 타면에 동일한 인쇄영역으로 인쇄됨으로써 원고 원본과 동일한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양면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for a user to easily perform duplex copying of an original on one sheet of printing paper even when the original size is smaller than the printing paper. In this way, imag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riginal are prin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one sheet of printing paper in the same print area, thereby obtaining the same output as the original original. In addition,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duplex copying easily.

둘째, 사용자가 시행착오법으로 양면복사를 수행하지 않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인쇄용지 및 잉크 또는 토너와 같은 소모품 낭비를 줄일 수 있다.Second, since the user does not perform duplex copying by trial and error, unnecessary waste of printing paper and consumables such as ink or toner can be reduced.

Claims (5)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수단과, 독취된 원고의 화상정보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ading means for reading an original and printing means for printing image information of the read original on a printing sheet, 표시부와;A display unit; 상기 인쇄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카세트와;A paper feed cassette for loading the printing paper; 인쇄용지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원고의 일면 및 타면의 화상영역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원고의 일면의 화상이 형성된 일면인쇄용지가 상기 급지카세트 상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One side printing paper on which the image of one side of the original is formed is stored on the paper feed cassette so that the image area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rigina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paper coincide with each other. A memory unit; 인쇄용지 보다 사이즈가 작은 원고의 양면 인쇄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상기 메모부의 상기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printing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in the memo unit when there is a double-sided printing request of a document smaller in size than the printing pap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원고의 배면이 스테이지 글래스(stage glass)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를 더 저장하며, The memory unit further stores predetermined document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on which the back side of the original should be placed on stage glas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ocument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독취수단에 의해 독취된 상기 원고의 일면의 화상정보에 상기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와 상기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한 인쇄데이터를 상기 인쇄부가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ause the printing unit to print, on the printing paper, print data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rinting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back layout guide information is added to the image information of one side of the document read by the reading means. An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지카세트에는 상기 일면인쇄용지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 포인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marking point on the paper feed cassette to guide the position where the one-sided printing paper should be placed. 독취수단, 인쇄용지를 적재하는 급지카세트 및 급지카세트로부터 급지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양면 인쇄방법에 있어서,1. A method of printing a two-sided documen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reading means, a paper feed cassette for loading printing paper, and a printing portion for forming an image on paper fed from the paper cassette; (a) 인쇄용지 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원고의 일면을 독취하는 단계와;(a) reading one side of the document of a smaller size than the printed paper; (b) 상기 독취된 상기 원고의 일면을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단계와;(b) printing one side of the read original on printing paper; (c) 상기 인쇄용지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상기 원고의 양면 화상영역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원고 일면이 인쇄된 일면인쇄용지가 상기 급지카세트 상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인쇄용지배치 안내정보와 상기 원고의 배면이 스테이지 글래스(stage glass)상에 배치되어야 할 소정의 원고배면배치 안내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양면 인쇄방법.(c) predetermined printing paper placement guide information and one side printing paper on which one side of the original is printed on the paper feed cassette, such that the two-sided image areas of the original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inting paper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predetermined document rearrangement guide information to be arranged on a stage glass by a back side of an original to a user.
KR1020060097638A 2006-10-04 2006-10-04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KR200800315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638A KR20080031584A (en) 2006-10-04 2006-10-04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638A KR20080031584A (en) 2006-10-04 2006-10-04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584A true KR20080031584A (en) 2008-04-10

Family

ID=3953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638A KR20080031584A (en) 2006-10-04 2006-10-04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15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0829B2 (en) Apparatus having power saving mod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JP46690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279498B2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8955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847735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accessing a storage medium on a sheet
JP2009182406A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705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hard disk storage unit, and data display method
JP2007221246A (en) Original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same
US20140376033A1 (en) Image formation system
JP4633017B2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7406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126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re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8736890B2 (en) Copier configured to copy an image and data stored in a storage medium of an original document based on selection modes
US8537379B2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reading a document on a display scree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ocument reading apparatus
JP200623989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3158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guiding how to print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and the printing method of the both sides of a document thereof
JP200807406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01204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24063A (en) Image forming device
JP5380521B2 (en) Oper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77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6849022B2 (en) Image processing equipmen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6035583A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7266913A (en) Program and manuscript reading system
JP2007300434A (en) Image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