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007A -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007A
KR20080028007A KR1020060093214A KR20060093214A KR20080028007A KR 20080028007 A KR20080028007 A KR 20080028007A KR 1020060093214 A KR1020060093214 A KR 1020060093214A KR 20060093214 A KR20060093214 A KR 20060093214A KR 20080028007 A KR20080028007 A KR 2008002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unit
intensity
measuring device
electro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대
Original Assignee
(주)이엠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이엠지테크
Priority to KR102006009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8007A/ko
Publication of KR2008002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발산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감지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의 작동상태 및 측정된 전자파의 세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공중으로 발산되는 전자파를 감지하는 전자파 감지부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자파의 아날로그 전원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아날로그 전원 값을 디지털 신호로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의 운영 프로그램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파 기준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샘플링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해당 전자파의 세기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파, MIC, EMC, 전자파 측정기

Description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Electron wave measur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측정기를 이용한 전자파 측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발산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감지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장해, 내성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확대에 따라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은 실로 중요한 사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 통신부에서는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 장해 및 내성 기준 즉, 전자파 적합등록 기준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정보통신기기의 인증은 전기통신기본법 제33조와 전파법 제46조 및 제57조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는 강제적인 인증제도로서 정보통신기기 인증규칙 제3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에 적용되는 인증을 받고 이에 관한 표시를 제품에 부착하여 유통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전자파적합등록은 전기 및 전자기기의 사용 급증으로 인해 기기에서 발생하는 불요 전자파 및 다른 기기나 외부의 전파에 의한 통신장애 및 기기 오동작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내 전파환경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 적합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정보 통신부 전자파 적합 등록 지정시험기관으로 의뢰하여 나온 시험결과를 전파연구소에 제출하여 심사를 통과하여야 한다.
전자파 적합인증에는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전자파양립성)이라는 개념이 있으며, 이 개념 하부에 EMI(EM Interference : 전자파장해)와 EMS(EM Susceptibility : 전자파내성)가 있다. EMC는 EMI와 EMS를 총칭하는 개념이고, EMI는 제품으로부터 방사되는 RF 에너지(잡음)에 의해서 주변에 위치해 있는 다른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하며, EMS는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써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RF 에너지 및 노이즈(정전기, 써어지 등)에 의해서 제품의 정상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제품의 자체의 내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EMI와 EMS에 대해서 국내에서도 정부 부처별로 관련 제품에 대해서 판매전에 반드시 해당규격에 적합하다는 규격승인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합격한 제품에 대해서 예를 들면, MIC와 같은 승인마크를 표시토록 하고 있으며, 전자파 장해규칙은 정보통신 관련 제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전자파 측정기는 휴대할 수 없는 사이즈이며, 고가이고, 그 측정 환경에 따라 대단히 민감한 아날로그 방식이기 때문에 정보 통신부가 지정한 시험기관에서만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개인이 자신이 소지한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다른 방법 없이 해당 시험기관에 의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가 가능하고, 저가이며, 그 측정환경의 변화에 강한 디지털 방식의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전자파 등록 규정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 기준 값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준 값 초과시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의 작동상태 및 측정된 전자파의 세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공중으로 발산되는 전자파를 감지하는 전자파 감지부와,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자파의 아날로그 전원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아날로그 전원 값을 디지털 신호로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의 운영 프로그램과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파 기준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신호 처리부에 의해 샘플링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해당 전자파의 세기를 산출하여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는 휴대가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감지되는 전자파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함으로써, 정확한 전자파의 측정 및 측정환경의 변화에 강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는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산출된 전자파의 세기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해당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전자파 위험을 버저음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는 측정되는 전자파의 강도만을 측정할 수 있는 종래의 전자파 측정기와는 달리 전자파 측정 강도의 표시는 물론 정보통신기기별로 서로 다른 전자파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DA와 같은 크기이면 족하며,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0)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의 작동상태 및 측정된 전자파의 세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20)와, 공중으로 발산되는 전자파를 감지하는 전자파 감지부(130)와,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자파의 아날로그 전원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아날로그 전원 값을 디지털 신호로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40)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의 운영 프로그램과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파 기준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150)와, 신호 처리부(140)에 의해 샘플링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해당 전자파의 세기를 산출하여 표시부(120)로 출력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출력하며, 다수의 숫자 키 또는 문자 및 기능 키 버튼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키 버튼들은 고유한 키 펄스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표시부(120)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의 작동상태 및 측정된 전자파의 세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의 입력부(110)와 표시부(12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LCD 표면에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격자 형태로 촘촘하게 설치해 터치패널에 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 밖에 LCD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한 후 접촉 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방법이 있으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ED)를 스크린 둘레에 설치해 적외선 격자를 만들고 접촉 시에 적외선이 가로막히는 것을 감지해 접촉 위치를 알아내는 방식이 있다. 이 모두 접촉한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함으로써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입력부(110) 및 표시부(120)의 구성은 주지의 기술이 될 수 있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파 감지부(130)는 정보통신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전자파 감지부(130)는 예를 들면, 정보통신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수신하여 미세 전류를 발생하는 코일(131)과, 코일(131)에 의해 발생된 미세전류의 세기에 따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정의 저항값을 가진 저항 체(132)로 형성될 수 있다. 정보통신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코일(131)이 수신하면, 미세한 전류 변화(이를 dip 이라고 칭함)가 검출된다. 검출된 전류의 변화는 전자파 감지부(130)의 저항체(132)에 의해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출력된다.
신호 처리부(140)는 전자파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어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값의 크기변화에 따른 값을 디지털 신호로 샘플링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부(140)는 전자파 감지부(130)에 의해 검출된 아날로그 전압 값의 레벨에 따른 디지털 전압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전압 값을 제어부(160)가 처리할 수 있도록 적절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40)에 의해 변환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예를 들면, 이진 데이터일 수 있다.
메모리(150)는 예를 들면,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구성되며,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과 사용자로부토 입력되는 정보통신기기별 전자파의 기준 값이 저장되어 있다. 전자파 기준 값은 정보 통신부에 의해 지정되며, 이렇게 메모리(150)에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과 정보통신기기별 전자파의 기준 값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엑세스 제어된다.
제어부(16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같은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부(140)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통신기기로부터 발생된 전자파의 세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자파의 세기를 예를 들면, 데시벨(dB)과 같은 단위로 표시부(120)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정보통신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하기 위해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구동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구동명령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구동시킨다.
운영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전자파 측정장치를 전자파 측정에 유효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이격시키고, 전자파 측정 명령을 입력한다.
전자파 측정 명령에 따라 정보통신기기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되는 전자파를 전자파 감지부(130)의 코일(131)이 수신하면, 미세한 전류 변화(이를 dip 이라고 칭함)가 검출되며, 검출된 전류의 변화는 전자파 감지부(130)의 저항체(132)에 의해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출력된다.
신호 처리부(140)는 아날로그 전압 값의 레벨에 따른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하며, 제어부(160)는 신호 처리부(14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따른 전자파의 세기를 산출하여 예를 들면, 데시벨(dB)과 같은 단위로 표시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휴대가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감지되는 전자파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함으로써, 정확한 전자파의 측정 및 측정환경의 변화에 강한 장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는 다수의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 기준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측정기기로부터 측정되는 전자파의 세기를 비교하여 해당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전자파 위험 신호를 버저음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는 제어부(160)에 의해 출력되는 전자파 위험 신호를 버저음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7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60)는 신호 처리부(14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산출된 전자파의 세기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어 메모리(150)에 저장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해당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전자파 위험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자파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버저음 또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171)와, 오디오 재생부(171)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되는 버저음 또는 음성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1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171)는 예를 들면, 음원 재생을 위한 YAMAHA 칩과 같은 음원 재생 칩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칩으로 구성되며, 효과음 또는 버저음과 같은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재생하여 스피커(172)로 출력한다. 스피커(172)는 오디오 재생부(171)로부터 재생된 효과음 또는 버저음 음악파일과 같은 다양한 재생음을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 기준 값을 메모리(150)에 정보통신기기별로 저장하고, 해당 정보통신기기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되는 전자파를 측정하여 측정된 전자파의 세기가 해당 정보통신기기의 전자파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전자파 위험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70)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전자파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재생부(171)로 효과음 또는 버저음과 같은 음성 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재생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72)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는 측정되는 전자파의 강도만을 측정할 수 있는 종래의 전자파 측정기와는 달리 전자파 측정 강도의 표시는 물론 정보통신기기별로 서로 다른 전자파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는 저감체의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저감체는 정보통신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물질이다. 저감체는 전자파 차폐율에 따라 다양한 정보통신기기에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를 이용한 저감체의 전자파 차폐율의 측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감체(300)의 전자파 차폐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세기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파 발생기(200)와, 전자파 발생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전자파를 측정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와, 전자파 발생기(200)와 전자파 측정기 사이에 위치하 며, 전자파 발생기(200)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저감체(300)로 구성된다.
전자파 발생기(200)는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다양한 세기의 전자파를 방생하여 출력한다. 저감체(300)는 니켈합금,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섬유, 토르말린, 세라믹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전자파를 차폐한다. 전자파 측정기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가 사용된다.
사용자가 저감체(300)의 측정을 위해 전자파 발생기(200)와 전자파 측정기를 구동하면, 전자파 발생기(200)로부터 발생되어 출력되는 전자파는 저감체(300)를 통과하여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로 수신된다. 전자파 측정기는 수신되는 전자파의 세기에 따른 전자파 레벨을 표시한다.
이렇게 전자파 발생기(200)에 의해 출력된 전자파와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100)로부터 측정된 전자파의 세기를 비교하여 해당 저감체(300)의 차폐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는 휴대가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감지되는 전자파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 함으로써, 정확한 전자파의 측정 및 측정환경의 변화에 강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측정되는 전자파의 강도만을 측정할 수 있는 종래의 전자파 측정기와는 달리 전자파 측정 강도의 표시는 물론 정보통신기기별로 서로 다른 전자파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능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의 작동상태 및 측정된 전자파의 세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공중으로 발산되는 전자파를 감지하는 전자파 감지부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자파의 아날로그 전원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아날로그 전원 값을 디지털 신호로 샘플링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의 운영 프로그램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파 기준 값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해 샘플링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해당 전자파의 세기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산출된 전자파의 세기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해당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일 경우 전자파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전자파 위험 신호를 버저음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KR1020060093214A 2006-09-26 2006-09-26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KR20080028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14A KR20080028007A (ko) 2006-09-26 2006-09-26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14A KR20080028007A (ko) 2006-09-26 2006-09-26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007A true KR20080028007A (ko) 2008-03-31

Family

ID=3941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214A KR20080028007A (ko) 2006-09-26 2006-09-26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8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9623A (zh) * 2014-12-26 2015-04-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检测辐射强度的方法
CN104597329A (zh) * 2014-12-26 2015-05-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9623A (zh) * 2014-12-26 2015-04-2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检测辐射强度的方法
CN104597329A (zh) * 2014-12-26 2015-05-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5304B (zh) 揚聲器的磁力強度參數的偵測裝置及方法
CA2656257C (en) A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carrying conductor and a method of validating operation of the detector
JP2020501288A (ja) エネルギー検出警告装置
US5773974A (en) Portable electro-magnetic field detection and measurement apparatus for near-field test and measurements
JP2008122378A (ja) 力計の状態の監視及び/又は計測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力計
CN106791109A (zh) 一种声音提醒方法及移动终端
CN207491185U (zh) 智能功放组件
CN103327436A (zh) 扬声器的音源信号测量方法及具有扬声器的电子装置
CN113137913B (zh) 一种电子设备和应用于电子设备的夹角检测方法
KR20080028007A (ko) 휴대폰용 전자파 측정기
US8754629B2 (en) Electrical hazard warning in audio signal probe
CN104246485B (zh) 用于检测对物体的破坏的传感器
US20120086632A1 (en) Electric power informatio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3063088B (zh) 一种声光弹特性测量系统及测量方法
US10605834B2 (en) Clamp meter
DE60233430D1 (de) Einrichtung mit kontaktlosem messeingang
CN204903570U (zh) 用于力平衡加速度传感器的便携式检测装置
KR200239275Y1 (ko) 안전거리 정보제공 휴대용 전자파 측정기
JP5715287B1 (ja) ベルト張力測定システム
KR20010068151A (ko) 안전거리 정보제공 휴대용 전자파 측정기
CN110488080A (zh) 一种带电源和导电屏蔽的插头式电压传感器
JP3806803B2 (ja) 遊技機に対する電波又は磁石を用いた不正行為検知センサー
KR20120097250A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Fried et al. Measuring the voice coil temperature of electrodynamic speakers with the HF method according to Anazawa
JP2004132810A (ja) 静電気放電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