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252A -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 Google Patents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252A
KR20080026252A KR1020060090967A KR20060090967A KR20080026252A KR 20080026252 A KR20080026252 A KR 20080026252A KR 1020060090967 A KR1020060090967 A KR 1020060090967A KR 20060090967 A KR20060090967 A KR 20060090967A KR 20080026252 A KR20080026252 A KR 20080026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relay
winding
wi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46363B1 (en
Inventor
정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363B1/en
Publication of KR2008002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2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1Arrangements for severing filamentar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33Cutting members therefor assembled from multiple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A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duce a winding error of a relay and reduce a manufacturing cost of winding equipment by precisely cutting a lead wir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includes a motor, a nozzle(30), a support unit, and a transfer unit. The motor is inserted with a bobbin unit for winding a lead wire and rotates a relay. The nozzle draws out the lead wire wound around the bobbin unit of the relay. The support unit temporarily fixes the lead wire drawn from the nozzle. The transfer unit transfers the nozzle drawing out the lead wire or the motor connected to the relay and the support unit supporting the motor and the lead wire. On a side of an end(32) of the nozzle, blade units(36) are formed.

Description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장치 및 이를 사용한 권취방법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Cutting type relay wire winding device and winding method using same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릴레이의 보빈부와 단자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illustrating a bobbin part and a terminal of a general relay.

도 2는 릴레이의 단자에 도선이 감기기 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nducting wire is wound on the terminal of the relay.

도 3은 지지구가 도선을 지지하여 권취를 위한 위치로 이동된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that the support is moved to the position for winding the support wire.

도 4는 노즐이 릴레이의 단자를 권취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nozzle winds up the terminal of the relay.

도 5는 종래 방식에 따라 지지구가 도선을 당겨 끊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pulled off the conductor in a conventional manner.

도 6은 종래 방식에 따라 지지구가 도선을 당겨 끊는 다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showing another state in which the support pulls the conductor wi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도 7은 종래의 노즐과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ozzle and a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이 도선을 끊는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zzle disconnects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도선 10 : 릴레이1: wire 10: relay

12 : 보빈부 14, 16 : 단자12: bobbin part 14, 16: terminal

18 : 단자플레이트 19 : 홀18: Terminal Plate 19: Hole

20 : 모터 22 : 샤프트20: motor 22: shaft

30 : 노즐 32 : 노즐단부30: nozzle 32: nozzle end

34 : 인출홀 36 : 날부34: withdrawal hole 36: blade

40 : 거치구 50 : 지지구 40: holder 50: support

본 발명은 단자를 갖는 릴레이의 보빈부에 도선을 감기 위한 권취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 전후 권취장치의 노즐에서 인출되는 도선을 끊을 때 단순히 잡아 당겨 도선을 끊지 않고, 노즐의 측면에 형성된 각진 날부를 통해 도선을 자르는 권취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a wire in a bobbin portion of a relay having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l-out wire disconnection from a nozzle of a winding device before and after winding. It is about a winding device and a method for cutting the wire through the angled blade formed on the side of.

릴레이(Relay)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유도 자기장에 의해 가동철편이 회동되면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의 릴레이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릴레이(10)의 상부에는 도선(1)이 보빈부(12)에 감겨 코일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른 회로에의 연결 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플레이트(18)가 형성되고, 그 중간측에는 도선(1)을 단자플레이트(18) 기타 통전 부재에 접속하기 위해 도선(1)의 단부가 감겨 묶이는 단자(14)(16)가 두 개 구비된다. 보빈부(12)의 중앙에는 관통되는 홀(19)이 형성된다.A relay is a device that operates when an input reaches a value, and opens and closes another circuit. When a current flows in a wire, a moving iron is rotated by an induction magnetic field to switch. Referring to Figure 1 to look at the relay structure of this function, the conductor 1 is wound on the bobbin portion 12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lay 10 to form a coil,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or power supply to other circuits A terminal plate 18 is formed, and at its middle side, two terminals 14 and 16 are wound and tied at the ends of the conductor 1 to connect the conductor 1 to the terminal plate 18 and other conducting members. do. In the center of the bobbin portion 12, a hole 19 is formed.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완성된 릴레이에는 보빈부(12)의 일 측면부터 다른 측방을 기억자로 감싸는 요크(미도시), 보빈부(12)의 측면에 위치하는 가동철편(미도시), 가동철편(미도시)을 지지하며,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판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보빈부(12)의 하측은 베이스부(미도시)와 결합되는데 베이스부(미도시)는 또 다른 단자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되고, 상방으로는 판스프링(미도시)의 가동접촉부(미도시)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mpleted relay includes a yoke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other side with the memory from one side of the bobbin part 12, a movable iron piece (not shown)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bbin part 12, and a moving iron piece. It supports (not shown) and includes a leaf spring (not shown) to enable rotati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portion 12 is coupled to the base portion (not shown), the base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with another terminal plate (not shown), and upwardly movable contact portion (not shown) of the leaf spring (not shown) When a stopper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is formed.

이러한 릴레이(10)에는 도선(1)이 필수적으로 감기는데, 도선(1)을 감기 위해서는 먼저 일측 단자(14)에 도선(1)의 시작측 단부를 묶고, 그 후 보빈부(12)에 도선(1)을 고속으로 고르게 감은 후에, 끝측 단부를 다시 타측 단자(16)에 묶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모두 자동화 장비에 의해 고속으로 진행되는데, 이 때 도선(1)이 각 단자(14)(16)에 감기는 전후에는 도선(1)을 끊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도선(1)을 끊기 위해서 통상적으로는 별도의 커터(미도시)를 구비하여, 권취 전후 단계에서 커터(미도시)가 인출되면서, 도선을 끊어주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커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별도로 커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공정과 이송장치가 필요하여, 전체적인 권취장치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커터 없이 도선을 잡아당겨서 끊어버리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는바, 전체적인 공정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Conductor 1 is essentially wound on the relay 10. In order to wind the conductor 1, the first end of the conductor 1 is tied to one terminal 14, and then the conductor 12 is attached to the bobbin part 12. After winding evenly (1) at high speed, the end part is tied back to the other terminal 16 again. All of these operations are performed at high speed by the automation equipment. At this time, the conductors 1 should be disconnected before and after the conductors 1 are wound around the terminals 14 and 16. In order to cut off the conducting wire 1, a separate cutter (not shown) is usually provided, and a cutter (not shown) is pulled out at the step before and after winding, and thus a method of breaking the conducting wire is used. However, the method of using a cutter requires a process and a feeder for operating the cutter separately, which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overall winding device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pulling a wire by breaking a wire without a separate cutter is used. The overall process will be described below using drawings.

도 2는 릴레이의 단자에 도선이 감기기 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선(1) 권취동작 전 모터(20)에 연결된 샤프트(22)에 도선이 감기지 않은 릴레이(10)가 장착되고, 상측에는 도선(1)이 인출되는 노즐(30)이 구비된다. 노즐(30)은 그 단부(32)의 인출홀(34)을 통해 도선(1)을 인출하며, 그 측방에는 한 쌍의 장형 플레이트 형상의 거치구(40)가 도선(1)의 끝부분을 잡고 있다. 거치구(40)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집게처럼 도선(1)의 끝부분을 잡고 있다가 다음 동작, 공정이 진행되면, 도선(1)의 단부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도선(1)에 대한 가압, 지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2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nducting wire is wound on the terminal of the relay. Referring to FIG. 2, a relay 10 having no conductive wires is mounted on a shaft 22 connected to the motor 20 before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conductive wire 1, and a nozzle 30 at which the conductive wire 1 is drawn out. Is provided. The nozzle 30 draws the lead wire 1 through the drawing hole 34 of the end 32, and a pair of long plate-shaped mounting holes 40 are formed at the side thereof. Hold. Mounting hole 40 is a pair of plates holding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1 like a forceps, and when the next operation, the process proceeds,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1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r the conductive wire 1 To release the pressurized, supported state.

도 3은 지지구가 도선을 지지하여 권취를 위한 위치로 이동된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노즐이 릴레이의 단자를 권취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긴 플레이트형 지지구(50)가 그 사이를 벌리고 접근하여, 노즐(30)과 거치구(40) 사이의 A부분에 놓인 도선(1) 부분에서 밀착되어, 그 사이에 도선(1)이 지지되도록 한다. 3 is a view for showing the state that the support is moved to the position for winding the support wire, Figure 4 is a view for showing the state just before the nozzle winding the terminal of the relay. Referring to FIG. 3, in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2, a pair of opposing long plate-shaped supports 50 are spaced apart and approach each other, and A between the nozzle 30 and the cradle 40 is provided.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of the conductive wire 1 placed in the portion so that the conductive wire 1 is supported therebetween.

이와 동시에 도선(1)의 단부를 잡고 있던 거치구(40)는 사이 간격을 벌리며, 도선(1)의 단부를 놓아주게 되고, 이후 지지구(50)는 도선(1)을 지지한 상태에서 B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지지구(50)가 노즐(30)의 인출홈(34)으로 멀어지면 서, 도선(1)도 마찬가지로 인출된다.At the same time, the holding hole 40 holding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1 is spaced apart, and releases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1, and then the support 50 is in the state of supporting the conductive wire 1 B Will be moved to the part. At this time, while the support tool 50 moves away from the drawing groove 34 of the nozzle 30, the conducting wire 1 is also drawn out similarly.

이러한 지지구(50), 노즐(30), 거치구(40), 모터(20) 및 릴레이(10) 간의 움직임은 상대적인 움직임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지지구(50)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노즐(30)과 거치구(40) 부분이 움직이거나, 또는 복합적으로 모든 구성이 동시에 움직이게 되기도 한다.The movement between the support 50, the nozzle 30, the cradle 40, the motor 20, and the relay 10 is a relative movement. In the actual device, the support 50 does not move but the nozzle 30. And the cradle 40 is moved, or complex all components may be moved at the same time.

도 4를 참조하면, 지지구(50)와 노즐(30) 사이의 도선(1)이 릴레이(10)에 근접되면서 단자(14) 측으로 접근하도록 한다. 노즐(30)이 단자(14)에 근접한 후에는, 노즐(30)이 도선(1)을 인출하면서 단자(14)의 주위를 회전하거나, 또는 릴레이(10)가 노즐(30)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도선(1)을 인출하며 감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ductive wire 1 between the support 50 and the nozzle 30 approaches the terminal 14 while approaching the relay 10. After the nozzle 30 is close to the terminal 14, the nozzle 30 rotates around the terminal 14 while drawing the conductor 1, or the relay 10 rotates around the nozzle 30. While drawing the conductive wire (1) is wound.

일단 도선(1)이 몇 차례 감긴 후에는 도선(1)의 단부가 단자(14) 외측으로 길게 남지 않도록 짧게 끊어야 한다. 만약 지지구(50)에 지지된 도선(1)이 잘라지지 않고 길게 남아 있으면, 다른 통전 부분과 접촉되면서, 합선이나 동작 오류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도선(1)을 남기지 않고 짧게 절단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Once the conductor 1 has been wound several times, it should be cut short so that the end of the conductor 1 does not remain long outside the terminal 14. If the conductive wire 1 supported by the support 50 remains uncut and long,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energized parts, causing short circuits or operation errors. Conventional methods for short cutting without leaving conductor 1 are shown in FIGS. 5 and 6.

도 5는 종래 방식에 따라 지지구가 도선을 당겨 끊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종래 방식에 따라 지지구가 도선을 당겨 끊는 다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권취 시작할 때 먼저 감는 단자(14)에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단자(14)의 주위를 회전하는 노즐(30)의 인출홀(34)에서는 도선(1)이 계속적으로 인출되고, 도선(1)의 타측 단부는 지지구(50)가 도 선(1)을 지지한 상태로, C위치에서 D위치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도선(1)을 잡아 당기게 된다.5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ulls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manner, Figure 6 is a view for showing another state in which the support pulls the conductor in the conventional manner. Referring to FIG. 5, the lead wire 1 is continuous in the lead-out hole 34 of the nozzle 30 rotating around the terminal 14 to show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4 which is wound first when the winding starts.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wire 1 is pulled out while the supporter 50 supports the conductive wire 1 while rapidly moving from the C position to the D position.

이 때, 도선(1)은 E부분이 끊어지게 되모, 단자(14)에 권취된 도선(1)의 일 측으로 단부가 약간 삐져나오는 형태가 된다. 문제는 지지구(50)는 도선을 단순히 잡아 당기는 것이기 때문에 E부분이 끊어지지 않는 경우, 즉 F부분이나 G부분이 끊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단자(14)에는 다소 긴 도선(1) 단부가 남아 있게 되므로, 다른 통전 구성과 접촉되면서 합선, 동작 오류를 유발하게 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wire 1 is cut off, the end portion is slightly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conductive wire 1 wound on the terminal (14). The problem is that the support 50 simply pulls the conductor, so that the E part is not broken, that is, the F part or the G part may be broken. At this time, since the end of the rather long conductive wire 1 is left in the terminal 14, it may cause a short circuit or an operation erro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nother conducting configuration.

또한 도 6과 같이, 보빈부(12)를 일정 두께로 모두 권취한 후에, 타측의 끝 단자(16)에도 동일하게 도선(1)이 감겨야 하며, 지정된 횟수만큼 권취된 후에는 권취 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지지구(50)가 노즐(30)의 인출공(34)과 단자(16) 사이의 도선(1)을 물어, 지지한 후에 H위치에서 I위치로 빠르게 움직이면서, 그 사이 부분을 잡아당겨 끊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after winding all the bobbin portion 12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onductor wire 1 should be wound on the other end terminal 16 in the same manner, and after winding the designated number of times before winding and Similarly, the supporter 50 bites the lead wire 1 between the lead hole 34 and the terminal 16 of the nozzle 30 and, after supporting it, moves quickly from the H position to the I position while pulling the portion therebetween. You will hang up.

이러한 종래 방식에 따르면, 도선(1)을 잡아당기며 끊기 때문에, 일정한 위치에서 끊어지지 않고 매번 다른 위치가 끊어지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단자(14)로부터 상당히 길게 인출된 위치에서 끊어지게 되므로, 릴레이의 불량을 유발하기도 한다.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conductor 1 is pulled off and disconnected, it is not broke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ut is disconnected every time, but in some cases, it is broken at a position that is drawn out considerably longer from the terminal 14. It can also lead to relay failure.

특히 단자(14)(16)의 외곽면 형상이 각진 형태인 경우에는 그나마 절단이 잘 되지만, 단자(14)(16) 외형이 매끄러운 원이나 타원 형태인 경우에는 도선(1)이 잘 절단되지 않고, 늘어나거나 장치에 고하중이 걸리게끔 하는 문제를 갖는다.Particularly, when the outer shape of the terminals 14 and 16 is an angular shape, the cutting is fine. However, when the outer shape of the terminals 14 and 16 is a smooth circle or ellipse, the conductor 1 is not cut well. This may cause problems, such as stretching or high load on the device.

따라서 별도의 커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도선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권취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inding device that can cut wires uniformly and accurately without using a separate cutt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즐의 외면에 각진 날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커터를 사용하지 않고 도선을 잡아당기지 않으면서, 정확한 위치에서 도면을 커팅할 수 있도록 하는 릴레이 도선 권취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n angled bla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the relay wire winding device for cutting the drawing at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pulling the wire without using a separate cutter And to provide a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외면에 다수의 날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일측의 날부가 마모되는 경우 노즐을 일부 회전시켜 타측의 날부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릴레이 도선 권취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wire winding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a plurality of bla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so that when the blade on one side is worn, the nozzle is partially rotated to be reused through the blade on the other side. It is d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릴레이에 도선을 감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도선이 감기기 위한 보빈부가 끼워지고, 릴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릴레이의 보빈부에 감기는 도선이 인출되기 위한 노즐; 상기 노즐에서 인출되는 도선을 잡아 일시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구; 및 도선이 인출되는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릴레이가 고정되며 연결되는 상기 모터와 도선이 지지된 상기 지지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노즐의 단부 측방에는 각진 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릴레이의 단자에 도선이 감긴 후 상기 릴레이의 단자와 상기 지지구 사이로 상기 노즐의 날부가 지나가도록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모터와 상기 지지구를 이송시켜, 상기 노즐이 그 측방의 날부로 도선을 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evice for winding the wire to the relay, the bobbin portion for the wire is wound is fitted, the motor for rotating the relay; A nozzle for drawing out the wire wound around the bobbin portion of the relay; A supporter for temporarily fixing the lead wire drawn out from the nozzle; And a conveying part for moving the nozzle from which the conductive wire is drawn out, or for moving the motor to which the relay is fixed and connected,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nductive wire, wherein an angled blade is formed at an end side of the nozzle. And the conveying part transfers the nozzle or the motor and the supporting tool so that the blade portion of the nozzle passes between the terminal of the relay and the supporting member after the conducting wire is wound around the terminal of the relay, so that the nozzle has a side bla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or is disconnected by the negative.

상기 노즐은 단부 측방이 단면상 삼각형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하여, 세 개의 날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side to form an outer edge of the triangle in cross-section, to form three blades.

상기 노즐은 단부 측방에 두 개 이상의 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blades are formed on the end side.

또한, 도선을 릴레이의 권취부에 감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즐로부터 일부 인출되어 있는 도선의 단부가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단계; 상기 노즐이 모터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의 단자 주위를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에서 인출되는 도선을 상기 단부에 권취하는 단자 권취단계; 상기 단자 권취단계에서 이전 부터 상기 도선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구가 상기 단자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구 배치단계; 및 상기 단자와 상기 지지구 사이의 위치에 놓인 도선을 향해 상기 노즐의 측면이 지나가도록 이송부가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릴레이와 상기 지지구를 이동시키는 커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winding a conductive wire to a winding portion of a relay, the method comprising: a support step of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wire partially drawn out from a nozzle by a support; A terminal winding step of winding the lead wire drawn out of the nozzle at the end while the nozzle rotates relatively around the terminal of the relay connected to the motor; A supporter disposing step of supporting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erminal winding step; And a cutting step of moving the nozzle or moving the relay and the support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nozzle passes toward the conductive wire placed at a posi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upport. It is done.

또한, 도선을 릴레이의 권취부에 감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모터에 끼워진 릴레이의 단자 주위를 노즐의 단부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에서 인출되는 도선을 상기 단부에 권취하는 단자 권취단계; 상기 권취단계 이후에 상기 릴레이의 단자로부터 상기 노즐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동되고, 그 사이 부분 도 선을 지지하면서 상기 단자와 상기 노즐의 사이에 지지구가 배치되는 지지구 배치단계; 및 상기 단자와 상기 지지구 사이의 위치에 놓인 도선을 향해 상기 노즐의 측면이 지나가도록 이송부가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릴레이와 상기 지지구를 이동시키는 커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method for winding a conducting wire to a winding portion of a relay, the method comprising: a terminal winding step of winding a lead wire drawn out of the nozzle while the end of the nozzle is relatively rotated around a terminal of a relay fitted to a motor; A supporter arranging step in which the nozzle is moved from the terminal of the relay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fter the winding step, and a support is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ozzle while supporting a partial lead therebetween; And a cutting step of moving the nozzle or moving the relay and the support so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nozzle passes toward the conductive wire placed at a posi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upport. It is done.

상기 노즐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각진 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단계에서 상기 날부가 상기 도선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angled blad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nozzl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line in the cutting step.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노즐과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측은 종래의 노즐 외관 형상을, 우측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외관 형상을 나타낸다.7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ozzle and a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left side shows a conventional nozzle appearance shape, and the right side shows a nozzle appearance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노즐(30)은 도선을 인출하는 기능 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외면에 특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았다. 통상적으로는 단부(32) 형상이 원기둥 형태이다.Since the conventional nozzle 30 does not perform any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of drawing out the conductive wire, no special configura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Usually, the end 32 shape is cylindrical.

우측의 본 발명 노즐(30)은 그 단부(32)가 단면 기준으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이 되도록 하여 각진 형상의 날부(36)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단부(32)는 삼각기둥형 또는 사각기둥형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원기둥형의 표면에 뾰족하게 돌출된 장형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nozz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right side has an end portion 32 of which is triangular or square on a cross-sectional basis, so that an angular blade portion 36 is formed. That is, the end 32 may be triangular or rectangular, or may have a long projection protruding sharply on the cylindrical surface.

날부(36)에는 날카로운 부분(36a)이 형성되며, 이 부분이 도선(1)에 접촉되 면서, 도선(1)을 끊게 된다. 삼각기둥형 날부(36)는 날카로운 부분(또는 날)이(36a)이 세 군대 형성되므로, 어느 한 부분이 마모되면, 노즐(30)을 60도 회전시켜 다른 부분을 사용하는 식으로 세 차례에 걸쳐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각기둥형 날부의 경우 마찬가지 방식으로 네 차례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원기둥형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여러 차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날부를 사용하여 도선을 커팅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Sharp portion 36a is formed in the blade portion 36, and th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wire 1, thereby disconnecting the conductive wire 1. Since the triangular prism blade portion 36 has three sharp parts (or blades) 36a formed, when one portion is worn, the nozzle 30 is rotated by 60 degrees to use the other portion three times. It becomes usable for a long time. In the case of a square pillar, it can be used four times in the same manner. If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cylindrical surface, it can be used several times in the same manner.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cutting the wire using the bla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이 도선을 끊는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는 단자(16)에 도선(1) 권취가 막 종료된 상태의 도면이며, (b)는 중간의 도선(1) 부분을 지지구(50)가 맞물리면서 지지하는 상태의 도면이며, (c)는 단자(16)와 지지구(50) 사이를 노즐(30)의 날부(36)가 지나가면서 도선(1)을 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측은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 하측은 평면에서 단순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zzle disconnects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 is a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winding of the conductive wire 1 has just finished on the terminal 16, and (b) shows th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onductive wire 1 being supported while the supporter 50 is engaged. It is a figure of a state, (c)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cuts the conducting wire 1, while the blade part 36 of the nozzle 30 passes between the terminal 16 and the support 50. The upper side is the figure shown in front, and the lower side is the figure simplified in plane.

(a) 및 (b)를 참조하면, 보빈부(12)와 단자(16)에 도선(1)이 설정 횟수만큼 감긴 후 노즐(30)이 측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된다. 노즐(30)이 이동된 만큼 도선(1)이 길게 노출되며, 이 중간 부분을 지지부(50)가 접근하여 그 사이 공간을 벌린 상태로 하방에서 상방으로 올라오며 도선이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지지부(50)가 서로 접근하여 접촉되면서 도선(1)을 지지하게 되면, 도선(1)은 한쪽은 단자(50)에 다른 한쪽은 지지구(50)에 의해 고정된다.Referring to (a) and (b), after the conductive wire 1 is wound around the bobbin portion 12 and the terminal 16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nozzle 30 is moved lateral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the nozzle 30 is moved, the conducting wire 1 is exposed for a long time, and the middle part of the support part 50 approaches and rises from below to above with the space therebetween so that the conducting wire is positioned therebetween. When the support unit 50 supports the conductive wire 1 while approaching and contacting each other, the conductive wire 1 is fixed to the terminal 50 on one side by the support 50.

(c)를 참조하면, 노즐(30)이 지지구(50)의 뒤를 반원 궤적을 그리며 약간 하방 이동되며 회전하여, 단자(16)와 지지구(50)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게 된다. 이 때 노즐(30)의 날부(36)가 도선(1) 위치를 관통하도록 하며, 날카로운 부분이 도선(1)과 맞닿도록 한다. 도선(1)은 지지구(50)의 지지에 의해 긴장을 유지하며 고정되어 있으므로, 날부(36)가 강하고 빠르게 지나가면서, 도선(1)의 접촉 부분이 정확하게 절단된다.Referring to (c), the nozzle 30 is rotated and moved slightly downward in a semicircular trajectory behind the support 50,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erminal 16 and the support 50. At this time, the blade portion 36 of the nozzle 30 passes through the position of the conductive wire 1, and the sharp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wire 1. Since the conductive wire 1 is fixed while maintaining tension by the support of the supporter 50,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ductive wire 1 is accurately cut while the blade portion 36 passes strongly and quickly.

지지구(50)의 지지 위치와, 노즐(30) 날부(36)의 이동 궤적만 일정하게 설정해주면, 도선(1)이 끊어지는 위치는 일정하게 되며, 날부(36)의 날카로운 부분을 더욱 날카롭게 하고, 노즐(30)이 보다 단자(16) 쪽으로 근접하도록 하면, 단자(16)에는 거의 도선(1)의 단부가 길게 늘어뜰여지지 않은 상태로 깔끔하게 절단되도록 할 수가 있다.If only the support position of the supporter 50 and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lade part 36 of the nozzle 30 are set to be constant, the position where the conducting wire 1 is broken becomes constant, and the sharp part of the blade part 36 is made more sharp. When the nozzle 30 is brought closer to the terminal 16, the terminal 16 can be neatly cut in a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wire 1 is not stretched long.

아울러, 날부(36)의 어느 일측 날이 무뎌지게 되면 노즐(30)을 일정 각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켜 새로운 날이 도선(1) 쪽을 향하여 위치되도록 하여 다시 커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다. 이로써 노즐(30)의 사용 수명도 몇 배로 증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one side of the blade 36 is blunt, the nozzle 30 is rot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t an angle so that the new blade is positioned toward the conductive wire 1 so that the cu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gain. Thereby, the service life of the nozzle 30 can also be increased several tim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노즐과 이를 이용한 커팅 방식을 통해, 별도의 커터 없이도 도선을 깔끔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노즐의 날이 무뎌지더라도 이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요 원가를 절감하고, 동작 편의성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Through the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utt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wire can be neatly cut without a separate cutter, and even if the blade of the nozzle is blun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reducing the required cost and operating convenience. It has a planned effect.

본 발명은 별도의 커터 없이도, 노즐을 이용하여 도선의 일정 위치를 정밀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여 릴레이의 권취 불량을 줄이고, 권취 설비의 제조 원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inding failure of the relay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winding facility by enabling to precisely cu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ductive wire using a nozzle without a separate cutter.

또한 본 발명은 노즐에 여러 개의 날을 갖는 날부를 형성하여, 노즐을 오랫동안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감소시키고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the blad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in the nozzle, so that the nozzle can be used without replacement for a long tim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o facilitate management.

Claims (6)

릴레이에 도선을 감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winding the conductor to the relay, 도선이 감기기 위한 보빈부가 끼워지고, 릴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A bobbin portion to which the conductor wire is wound,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relay; 상기 릴레이의 보빈부에 감기는 도선이 인출되기 위한 노즐;A nozzle for drawing out the wire wound around the bobbin portion of the relay; 상기 노즐에서 인출되는 도선을 잡아 일시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구; 및A supporter for temporarily fixing the lead wire drawn out from the nozzle; And 도선이 인출되는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릴레이가 고정되며 연결되는 상기 모터와 도선이 지지된 상기 지지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 transfer part for moving the nozzle from which the wire is drawn, or for moving the motor to which the relay is fixed and connected, and the support supported by the wire. 상기 노즐의 단부 측방에는 각진 날부가 형성되고,Angled blades are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nozzle, 상기 이송부는 릴레이의 단자에 도선이 감긴 후 상기 릴레이의 단자와 상기 지지구 사이로 상기 노즐의 날부가 지나가도록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모터와 상기 지지구를 이송시켜, 상기 노즐이 그 측방의 날부로 도선을 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장치.The transfer unit transfers the nozzle or the motor and the support so that the blade of the nozzle passes between the terminal of the relay and the support after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terminal of the relay, the nozzle is connected to the blade on the side Cutting method relay wire w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brea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is: 단부 측방이 단면상 삼각형의 외곽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하여,End sides to form a triangular outline border of the cross section, 세 개의 날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장치.Cutting method relay wire w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hree bla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is: 단부 측방에 두 개 이상의 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장치.Cutting method relay wire w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blades are formed on the end side. 도선을 릴레이의 권취부에 감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winding the lead wire to the winding of the relay, 노즐로부터 일부 인출되어 있는 도선의 단부가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단계;A support step of supporting an end of the conductive wire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nozzle by a support; 상기 노즐이 모터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의 단자 주위를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에서 인출되는 도선을 상기 단부에 권취하는 단자 권취단계; A terminal winding step of winding the lead wire drawn out of the nozzle at the end while the nozzle rotates relatively around the terminal of the relay connected to the motor; 상기 단자 권취단계에서 이전 부터 상기 도선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구가 상기 단자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구 배치단계; 및A supporter disposing step of supporting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erminal winding step; And 상기 단자와 상기 지지구 사이의 위치에 놓인 도선을 향해 상기 노즐의 측면이 지나가도록 이송부가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릴레이와 상기 지지구를 이동시키는 커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방법.And a cutting step of moving the nozzle or moving the relay and the support so that the side of the nozzle passes toward the conductive wire position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upport. The winding method of winding the relay method. 도선을 릴레이의 권취부에 감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winding the lead wire to the winding of the relay, 모터에 끼워진 릴레이의 단자 주위를 노즐의 단부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노즐에서 인출되는 도선을 상기 단부에 권취하는 단자 권취단계;A terminal winding step of winding the lead wire drawn out from the nozzle to the end while the end of the nozzle is relatively rotated around the terminal of the relay fitted to the motor; 상기 권취단계 이후에 상기 릴레이의 단자로부터 상기 노즐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동되고, 그 사이 부분 도선을 지지하면서 상기 단자와 상기 노즐의 사이에 지지구가 배치되는 지지구 배치단계; 및A support arrangement arrangement step of moving the nozzle from the terminal of the relay after the winding step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upport being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nozzle while supporting the partial conductor therebetween; And 상기 단자와 상기 지지구 사이의 위치에 놓인 도선을 향해 상기 노즐의 측면이 지나가도록 이송부가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릴레이와 상기 지지구를 이동시키는 커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방법.And a cutting step of moving the nozzle or moving the relay and the support so that the side of the nozzle passes toward the conductive wire position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upport. The winding method of winding the relay method.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노즐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각진 날부가 형성되고,At least one angled blad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nozzle, 상기 커팅단계에서 상기 날부가 상기 도선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방식 릴레이 도선 권취방법.The cutting method relay wire win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cutting step to be in contact with the wire.
KR1020060090967A 2006-09-20 2006-09-20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KR100846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67A KR100846363B1 (en) 2006-09-20 2006-09-20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67A KR100846363B1 (en) 2006-09-20 2006-09-20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285U Division KR200433283Y1 (en) 2006-09-20 2006-09-20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252A true KR20080026252A (en) 2008-03-25
KR100846363B1 KR100846363B1 (en) 2008-07-21

Family

ID=3941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967A KR100846363B1 (en) 2006-09-20 2006-09-20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3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527A1 (en) * 2014-10-17 2016-04-21 세기테크 주식회사 Bobbin holder for winding fiber yar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165A (en) 1984-02-20 1985-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Yarn cutting device in doffing operation robot
JPS60204575A (en) * 1984-03-28 1985-10-16 Toray Eng Co Ltd Method of tying and cutting off end of wound linear material
JPS638171A (en) 1986-06-24 1988-01-13 Yoshihiko Yamahata Pipe wind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527A1 (en) * 2014-10-17 2016-04-21 세기테크 주식회사 Bobbin holder for winding fiber ya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363B1 (en)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7698B2 (en) Coil assembly for hearing aids
CN101512873B (en) Coil former apparatus
KR20080026252A (en)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and the method
KR200433283Y1 (en) Cutting Type Relay winding apparatus
US2259103A (en) Automatic switching device
CN108923602B (en) Wire cutting mechanism for interior of wire winding machine
CN109511076B (en) Automatic change voice coil loudspeaker voice coil production facility
CN207964473U (en) A kind of tensile testing machine accurately measured
CN105305707A (en) Lead structure of claw-pole miniatur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coil
CN202384146U (en) Transformer frame, clamp for releasing tension and components thereof
JP2017135050A (en) Electromagnetic relay
US5579666A (en) Method of stripping an insulated magnet wire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method
US20040031668A1 (en) Interrupting device for switching apparatus
WO2020174519A1 (en) Coil terminal wire cutting device
CN216871857U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time relay
JP3814606B2 (en) Manufacturing equipment for stators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s
CN105244240A (en) Manual and automatic integrated electromagnetic switch
CN217061920U (en) Time relay
CN111044899A (en) Calibrator and calibration method
US3710008A (en) Stranded condu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611012A (en) Armature mounting for plural electromagnetic relays
KR100968292B1 (en) Method and machine for winding voice coil of micro speaker
CN203466137U (en) Positioning device on relay
CN220233041U (en) Yoke and relay thereof
US1196322A (en) Wire-stri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