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538A - Battery pack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5538A KR20080025538A KR1020060090144A KR20060090144A KR20080025538A KR 20080025538 A KR20080025538 A KR 20080025538A KR 1020060090144 A KR1020060090144 A KR 1020060090144A KR 20060090144 A KR20060090144 A KR 20060090144A KR 20080025538 A KR20080025538 A KR 200800255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battery pack
- bent
- uni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종래 배터리팩 컨넥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connector.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배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Embodi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terminal of Embodi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Embodi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측단면 구성도.Figure 5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battery pack connector of Embodi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5의 AA'선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5.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도.Figure 7 is an a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nnector terminal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배터리팩 컨넥터 110: 컨넥터단자100: battery pack connector 110: connector terminal
112: 지지부 114: 제1절곡부112: support portion 114: first bent portion
116: 연결부 118: 제2절곡부116: connecting portion 118: second bent portion
120: 컨넥터몸체 122: 노출공120: connector body 122: exposed hole
124: 요홈부 200: 인쇄회로기판124: groove 200: printed circuit board
310: 인쇄회로기판 지지대 320: 컨넥터 지지대310: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 320: connector support
400: 배터리팩400: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팩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배터리팩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팩 단자와 연결되는 컨넥터단자와 컨넥터단자를 지지하는 컨넥터몸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connec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pack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terminal, in particular to a battery pack connector including a connec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terminal and a connector body for supporting the connector terminal. It is about.
종래 배터리팩 컨넥터에는 도1에 도시된 것이 있었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터리팩 컨넥터(10)는 사각박스형태의 컨넥터몸체(16)를 갖고, 컨넥터몸체(16) 의 측면에는 배터리단자와 접촉하는 배터리접촉단자(14)가 형성되고, 컨넥터몸체(16)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접촉단자(12)가 형성되었다.In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connector, there was one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그 크기고 작아 이를 실장하는 이동단말기 등의 슬림화에 유용하고, 배터리단자와의 접촉성이 좋은 배터리팩 컨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connector that is useful for slimming of a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which is small and large, and has good contact with the battery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배터리팩 컨넥터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battery pack connecto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판형상의 지지부와,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일정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지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지지부 방향으로 절곡 되는 제2절곡부를 갖는 컨넥터단자와; 지지부의 측단이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요홈부와, 제1절곡부를 내포하며 제2절곡부가 상하로 돌출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같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형성되되 내측면이 요홈부와 연통되는 노출공을 갖는 컨넥터몸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e-shaped support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late and b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ent portion to the left and positioned at an end thereof below the support portion, and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 connector terminal having a second bent portion bent in a support portion direction; Th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side end of the support is insert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irst bent part is penetrated and form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second bent part has the same length and width that can protrude up and down. A connector body having an expose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roove portion; It relates to a battery pack connecto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컨넥터단자가 커넥터몸체에 장착된 경우 제2절곡부의 하단부는 요홈부를 통하여 컨넥터몸체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의 상단부는 요홈부 내부에 위치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or terminal is mounted on the connector body,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ent part is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body through the recess,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ent part may be located inside the reces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노출공은 일자형이고; 요홈부는 노출공의 양측단에 각각 일자형으로 형성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ed hole is straight; Grooves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t both ends of the exposed ho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컨넥터몸체의 높이는 제2절곡부의 양측단부가 동시에 상하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nnector body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bent portion can be simultaneously exposed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절곡부는 시계방향으로 절곡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nt portion may be bent clockwis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컨넥터몸체의 양측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폭이 줄어들며 턱부를 형성하기도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connector body are reduced in wid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may form a chin.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팩 컨넥터와; 배터리팩 삽착시 제2절곡부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패터리팩 컨넥터 상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와; 배터리팩 컨넥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컨넥터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동단 말기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f the above battery pack connector; A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above the battery pack connector to be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when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A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 positioned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support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nnector support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실시예1의 배면 사시도를, 도3은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의 사시도를, 도4는 실시예1의 배면도를, 도5는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측단면 구성도를, 도6은 도5의 AA'선의 단면도를, 도7은 실시예1의 컨넥터단자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도를 나타낸다.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Embodiment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terminal of Embodiment 1, FIG. 4 is a rear view of Embodiment 1, and FIG. 5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battery pack connector of Embodiment 1.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of Fig. 5,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nnector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컨넥터의 일실시예이다.Embodiment 1 is an embodiment of a battery pack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컨넥터단자(110)와 컨넥터몸체(120)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2, Embodiment 1 has a
이하, 컨넥터단자(11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3을 참조하면 컨넥터단자(110)는 지지부(112)를 갖는다. 지지부(112)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도3을 참조하면 지지부(112)에는 제1절곡부(114)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114)는 지지부(112)에서 연장되어 시계방향으로 절곡되어 원형상의 일부를 이룬다.Referring to FIG. 3, a
도3을 참조하면 제1절곡부(114)의 단부에는 연결부(116)가 연장·형성된다. 연결부(116)는 제1절곡부(114)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지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a connecting
도3을 참조하면 연결부(116)의 단부에는 제2절곡부(118)가 형성된다. 제2절곡부(118)는 연결부(116)로부터 지지부(112) 방향으로 절곡되어 타원형상의 일부를 이룬다.Referring to FIG. 3, a
한편, 컨넥터단자(110)는 탄성 도체이다.Meanwhile, the
이하, 컨넥터몸체(12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2를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에는 요홈부(124)가 형성된다. 요홈부(124)는 지지부(112)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즉, 요홈부(124)는 하나의 지지부(112)에 대하여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2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에는 상하단을 관통하는 노출공(122)이 형성된다. 노출공(122)은 좌우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 내면이 각각 요홈부(124)와 연통된다. 노출공(122)은 제1절곡부(114)를 내포하며 제2절곡부(118)가 상하로 돌출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같도록 형성된다. 2 and 4, the
도5를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의 높이는 제2절곡부(118)의 양측단부가 동시에 상하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height of the
도2 및 도6을 참조하면 컨넥터몸체(120)의 양측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폭이 줄어들며 턱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6 both ends of the
한편, 도2를 참조하면 컨넥터단자(110)가 커넥터몸체(120)에 장착된 경우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는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몸체(120)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는 요홈부(124)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2 when the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400)이 이동단말기에 삽착되면 제2절곡 부(118)의 하단부에 외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제2절곡부(118)가 상단부로 이동하여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가 요홈부(124)를 통하여 상부에 노출되게 된다.2 and 5, when the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가 상부로 노출되면 인쇄회로기판(200)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와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에도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2 and 5, when the upper end of the
도7을 참조하면 배터리팩(400)이 삽착된 상태에서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에는 힘 P1이 작용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에는 힘 P2가 작용하게 된다. 즉, 배터리팩(400)과 인쇄회로기판(200)이 제2절곡부(118)를 역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컨넥터단자(110)와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 및 배터리 단자(도면 미도시)와의 접촉성이 보장된다.Referring to FIG. 7, the force P 1 acts on the lower end of the
한편, 컨넥터단자(110)는 탄성 도체이므로 배터리팩(400)을 이동단말기에서 삽탈하는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는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몸체(120)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는 요홈부(12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배터리팩(400)이 삽탈된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단자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310)의 일부를 대체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별도로 배터리팩 컨넥터(100)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Referring to FIG. 5, since the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1에 따른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컨넥터단 자(110)와 컨넥터몸체(120)를 별도로 제조한 다음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단자(110)의 지지부를 삽입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면 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게 된다.2 and 3, the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지지부(112)는 사각판 형상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원판형 또는 타원판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1절곡부(114)는 시계방향으로 절곡되어 원형상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고, 타원형상이거나 사각형상 등 기타의 형상일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2절곡부(118)는 타원형상의 일부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원형상의 일부이거나 사각형상 등의 일부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요홈부(124)는 하나의 지지부(112)에 대해 2개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1개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wo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요홈부(124)는 일자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S자형이거나 기타의 곡선형일 수 있다. 이경우 노출공(122)의 형상은 요홈부(12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상기한 실시예1에서 컨넥터단자(110)가 커넥터몸체(120)에 장착된 경우 제2절곡부(118)의 하단부는 요홈부(124)를 통하여 컨넥터몸체(120) 하단부에 노출되고, 제2절곡부(118)의 상단부는 요홈부(124)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역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2는 실시예1의 패터리팩 컨넥터(100)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일실시예이다.Embodiment 2 is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인쇄회로기판(200)을 갖는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5 and 6, Embodiment 2 has a printed
도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200) 하부에는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100)가 설치된다.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컨넥터단자(110)가 상부로 돌출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 단자(도면 미도시)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5, the
도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 컨넥터(100)의 좌우측에는 인쇄회로기판(120)을 지지하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31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5,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s 310 supporting the printed
도6을 참조하면 배터리팩 컨넥터(100)의 양측에는 배터리팩 컨넥터(10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컨넥터 지지대(320)가 설치된다. 컨넥터 지지대(320)는 컨넥터몸체(120)에 형성된 턱부와 정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폭이 줄어들며 턱부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6, both sides of the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의 경우 컨넥터 지지대(320)에 형성된 턱부에 컨넥터몸체(120)에 형성된 턱부가 정합되도록 안치시키면 되므로 이동단말기에 패터리팩 컨넥터(100)를 장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jaw portion formed on the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의 경우 배터리팩 컨넥터(100)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대(310)의 일부를 대체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별도로 배터리팩 컨넥터(100)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Referring to FIG. 5, since the
실시예2의 기타의 작용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Other oper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한 실시예2의 경우 실시예1의 배터리팩 컨넥터(100)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실시예1의 말미에서 기술한 실시예1의 변형실시예를 갖을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but having the
본 발명은 배터리팩 삽착시 배터리팩과 인쇄회로기판이 제2절곡부를 역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컨넥터단자와 인쇄회로기판 단자 및 배터리 단자와의 접촉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connector terminal, the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and the battery terminal by pressing the second bending por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이 삽탈된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 단자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external force does not act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when the battery pack is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팩 컨넥터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게 되므로 이동단말기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a separate space for providing a battery pack connector has the advantage of good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공정이 단순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 simple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144A KR101265583B1 (en) | 2006-09-18 | 2006-09-18 | Battery pack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144A KR101265583B1 (en) | 2006-09-18 | 2006-09-18 | Battery pack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5538A true KR20080025538A (en) | 2008-03-21 |
KR101265583B1 KR101265583B1 (en) | 2013-05-22 |
Family
ID=3941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0144A KR101265583B1 (en) | 2006-09-18 | 2006-09-18 | Battery pack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558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05340A (en) * | 2016-12-25 | 2017-03-15 | 郑州单点科技软件有限公司 | A kind of chip card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123Y1 (en) | 2001-03-05 | 2001-09-28 | 김지환 | Structure of a battery contact terminal for interface connector of a hand-phone |
KR200366365Y1 (en) | 2004-07-29 | 2004-11-08 | 주식회사 엠아이티 | Connecter for holding a sim-card |
KR200444511Y1 (en) | 2008-07-21 | 2009-05-18 | 금비전자(주) | Terminal contact structure of battery charging holder for mobile-phone |
-
2006
- 2006-09-18 KR KR1020060090144A patent/KR10126558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05340A (en) * | 2016-12-25 | 2017-03-15 | 郑州单点科技软件有限公司 | A kind of chip card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5583B1 (en) | 2013-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252205Y (en) | Electric connector | |
US8092232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CN109103646B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202009089U (en) | Card edge connector | |
CN100593883C (en) | Electric connector | |
CN102097691B (en) | Electric connector | |
CN101237107B (en) | Electric connector | |
US20100130068A1 (en) |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 |
JP2006049260A (en) | Land grid array electric connector | |
JP2006164943A (en) | Electric connector | |
CN102725584A (en) | Led lamp unit | |
CN107026337B (en) | Electric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 |
JP2019071184A (en) | connector | |
JP2006339141A (en) |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terminal | |
JP3140135U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EP1965469A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210119360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511821B1 (en) | Battery connector | |
JP3136645U (en) | Card edge connector | |
KR101265583B1 (en) | Battery pack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JP2005222876A (en) | Connector for module | |
JP3127983U (en) | Smart card connector | |
JP2007128875A (en) | Electric connector | |
JP3156557U (en) |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 |
JP3125359U (en) | Connector conta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