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883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883A
KR20080024883A KR1020060089599A KR20060089599A KR20080024883A KR 20080024883 A KR20080024883 A KR 20080024883A KR 1020060089599 A KR1020060089599 A KR 1020060089599A KR 20060089599 A KR20060089599 A KR 20060089599A KR 20080024883 A KR20080024883 A KR 2008002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arget
network
control
target devic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기천
박재준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4883A/en
Publication of KR2008002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8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A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grouping in an integrated network is provided to recognize to manage states of associated control target devices intuitionally through a user interface to thus facilitate controlling of the devices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A network integrating unit(21) communicates with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via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to which the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are connected, manages the states of the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and transfer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to the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vi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s. An integrated manager(22) is connected with the network integrating unit(21) to check the states of the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manages the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by group, and collectively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s(11-1-11-k,12-1-12-m) belonging to each group to the network integrating unit(21).

Description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1 is an embodiment of a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네트워크 통합부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2 is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a network integrator;

도 3은 통합 매니저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3 is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an integration manager;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4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도 5는 그룹화를 이용하여 제어대상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예,5 is a specific example of a process of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device using groupin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이다.6 is an embodiment of a devi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2: 제어대상장치 그룹 11-1~11-k,12-1~12-m: 제어대상장치11,12: control target device group 11-1 to 11-k, 12-1 to 12-m: control target device

20: 장치 관리 시스템 21: 네트워크 통합부20: device management system 21: network integration

21-1: 네트워크 접속부 21-2: 데이터 변환부21-1: network connection unit 21-2: data conversion unit

21-3: 제어부 21-4: 인증처리부21-3: control unit 21-4: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22: 통합 매니저 22-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 Integration Manager 22-1: User Interface

22-2: 통신부 22-3: 저장부22-2: communication unit 22-3: storage unit

본 발명은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여러가지 제어대상장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각 제어대상장치들을 그룹화시켜 그룹 단위로 관리하면서 각 그룹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연결되는 각종 제어대상장치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grouping on an integrated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collectively manage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to group each control target devic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ontrol each group while managing by group, thereby intensively managing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distribu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현재 각종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 기술은 각각 그 개발 목적이 있고,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정보가 송수신되는 통신 매체나 통신 프로토콜도 서로 다를 수 있다.Currently,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to allow various devi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ach of thes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ies has a development purpose,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mmunication media or communication protocols through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also be different.

특히, 근래에 홈 네트워크 기술 등과 같이 다양한 장치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다. 그 예로서, ZigBee, RF ID, NFC, Bluetooth 등의 PAN(Personal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기술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각종 장치들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new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various devices in a short or long distance such as home network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Examples thereof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such as a personal area network (PAN) such as ZigBee, RF ID, NFC, Bluetooth, and the like. In addition,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and manage various devices connected through each of these communication networks.

그러나, 어느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각종 장치들을 통합 제어하려는 시도가 대부분이며,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에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은 발전이 미비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어떤 정보를 전달할 때에도 해당 장치와 일대일(1:1)로 대응하여 전달하고 있다.However, most attempts to integrate and control various devices connected through a single network have been insufficient, and technologie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information to devices connec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are inadequate.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any information to a device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the device responds to the device one-to-one (1: 1).

한편, 각종 장치가 어떤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은 그 나름 대로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으며, 그러한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각각 연결된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통합 관리시에도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often desirable to use a communication network because various devices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is another meaning that the devices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are collectively managed. There 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way to manage devices connected to communication network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to manage them more conveni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osition. something to do.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이한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여러가지의 제어대상장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가 서로 관련 있는 제어대상장치들을 그룹화시켜 그룹 단위로 관리하고 일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meet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enable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user-related contro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grouping on an integrated network that allows grouping of target devices so that they can be managed in a group unit and collectively control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은, 각각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장치가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대상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대상장치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합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조회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하며, 각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일괄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에 전송하는 통합 매니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vice management system using grouping on an integrat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to which at least one control target device is connected, and controls the A network integrating unit managing a state of a target device and transferr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inquiring the stat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integrating unit, group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manage the group by group, and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each group. It includes the integration manager to send to the integration.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는 상기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해당 제어대상장치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및 상기 통합 매니저에게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전달하고 상기 통합 매니저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단위의 제어신호가 상기 데이터 변환부와 네트워크 접속부를 통해 해당 제어대상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grating unit converts data so as to be suitable for communication through each communication network, a network conne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gration manager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group unit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r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data conversion unit and the network connection unit.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는 상기 통합 매니저와의 사이에서 관리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관리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인증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grator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authenticate an administrator with the integration manager and to process only the authenticated administrator to access.

상기 제어대상장치가 연결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ZigBee 통신 네트워크, 무선 랜(Wireless LAN) 통신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통신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connected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of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network, an Eth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통합 매니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그룹 단위의 상태 조회와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그룹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저장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r allows an administrator to group the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mmunication networks and manage them in group units through a user interface (UI) screen, and issue status and control commands of the group units.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group related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 integrator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to the network integ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방법은,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있는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시켜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그룹 중 어느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에 대해 일괄적 제어명령을 내리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해당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에 적합한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각각 해당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vice management method using grouping on an integrat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at least on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can be grouped and managed in a group unit. step; Issuing a batch control command to a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any one of the groups;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to control data suitable for transmiss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the group is connecte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data to a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in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20: 이하, 장치 관리 시스템이라 한다)은 여러 종류의 통신 네트 워크(통신 네트워크 #1 내지 #n)와 서로 통신하며,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는 상이한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으므로, 장치 관리 시스템(20)은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제어대상장치에 대응하여 해당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통신방법에 따라 통신한다.Referring to FIG. 1, a device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vice management system) using grouping on an integrat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communication networks # 1 to #n). Each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one or more control target devices. Since each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network us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the device management system 20 communicate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ZigBee 통신 네트워크, 무선 랜(Wireless LAN) 통신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통신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네트워크 등의 각종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various wired or wireless networks, such as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network, an Ethernet communication network,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또한, 제어대상장치들은 전구, 티브이(TV), 냉장고, 보일러 장치 등 각각 그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외에도 어떤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때, 제어대상장치는 그 장치 자체에 상기와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별도의 통신 가능 장치에 종속 접속된 장치일 수도 있다. 예로서, 전구와 같은 장치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제어장치에 종속 접속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전구를 제어하는 그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장치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target devices are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ny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ir own functions such as a light bulb, a TV, a refrigerator, a boiler device,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control targe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above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device itself, or may be a device connected to a separate communication capable device. By way of example, a device such as a light bulb may be cascaded to any control device suitable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in which case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bulb may be the controlling device.

한편, 도 1에는 통신 네트워크 #1에 속한 임의의 제어대상장치들(11-1~11-k)이 그룹화되어 있고, 통신 네트워크 #2에 속한 임의의 제어대상장치들(12-1~12-m)이 그룹화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Meanwhile, in FIG. 1, arbitrary control target devices 11-1 to 11-k 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 1 are grouped, and arbitrary control target devices 12-1 to 12-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 2 are grouped. m) is grouped.

이와 같이 각 통신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제어대상장치들은 관리자에 의하여 그룹화될 수 있다. 여기서 그룹화라는 것은 관리자가 자신이 관리할 수 있는 각종 제어대상장치들을 임의적으로 그룹 단위로 나눈다는 의미이다. 즉,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각 제어대상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지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룹 단위로 그룹화하여 제어대상장치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는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 속한 제어대상장치들을 그룹화한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제어대상장치들이 하나의 그룹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As such, the control target devices belonging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grouped by an administrator. Here, grouping means that the administrator arbitrarily divides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that can be managed by the group. That is, from the standpoint of the administrator, each control target device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but as described below, the control target devices may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managed by grouping them in groups. In addition, although FIG. 1 illustrates a grouping of control target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target devices belonging to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may be included together in one group.

네트워크 통합부(21)는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통신 네트워크 #1 내지 #n)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그 통신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제어대상장치와 통신하여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통합 매니저(22)에서 전달하는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대상장치가 속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제어대상장치로 전달한다.The network integrator 21 can communicate with each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s # 1 to #n). Accordingly, i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each communication network, manages the stat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manager 2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belongs. Deliver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통합 매니저(22)는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통합부(21)와 통신하여 각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조회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주며, 관리자가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관리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장치를 그룹 단위로 지정하여 해당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의 제어신호를 네트워크 통합부(21)에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통합 매니저(22)에서 각각의 제어대상장치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나, 그룹 단위로 제어될 수도 있다.The integration manager 22 is responsible for the interface with the manager. Specifically, it communicates with the network integrating unit 21 to inquire the status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to inform the user, and allows the administrator to group the control target devices to manage them in group units, and also to control the control that the administrator wants to control. By designating the target devices in group units, the control signals of the control target devices belonging to the group can be collectively transmitted to the network integrator 21. In this way, each control target device in the integration manager 22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or may be controlled in groups.

도 2를 참조하여 장치 관리 시스템(20)의 네트워크 통합부(21)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configuring the network integrator 21 of the device management system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네트워크 접속부(21-1: 네트워크 접속부 #1 내지 #n)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통신 네트워크 #1 내지 #n)에 각각 대응하여 해당 통신 네트워크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네트워크 접속부(21-1)는 자신과 대응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제어대상장치와 통신한다.The network connection units 21-1 (network connection units # 1 to #n)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communication networks # 1 to #n)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s. That is, the network connection unit 21-1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target device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us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connection unit 21-1.

데이터 변환부(21-2: 데이터 변환부 #1 내지 #n)는 각각의 네트워크 접속부(네트워크 접속부 #1 내지 #n)에 대응하여 해당 통신 네트워크에 적합하게 데이터를 변환한다. 즉, 각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규약상 송수신 데이터의 형식이 서로 다를 수 있는데 그러한 형식에 맞도록 데이터를 상호 변환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변환되어야 할 데이터의 예는 통합 매니저(22)로부터 수신된 어느 제어대상장치에 대한 제어 데이터이며, 이 제어 데이터는 해당 제어대상장치가 속한 통신 네트워크(예: 통신 네트워크 #1)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맞도록 변환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부(예: 네트워크 접속부 #1)를 통해 전송된다.The data converter 21-2 (data converters # 1 to #n) converts data appropriately for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in correspondence with each network connection (network connecters # 1 to #n). That is, the communication protocol in each communication network may have a different format of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which plays a role of converting data to suit such a format. An example of data to be converted is control data for a control target device received from the integration manager 22, and the control data is the data required by th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communication network # 1) to which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s. It is converted to match the format and transmitted via the corresponding network connection (eg network connection # 1).

제어부(21-3)는 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제어대상장치와 통신하여 각 제어대상장치들의 현재 상태(예: 온 상태, 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통합 매니저(22)에게 전달한다. 또한, 통합 매니저(22)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단위의 제어신호를 각각 해당 제어대상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변환부(21-2)로 전달하여 각 제어대상장치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21-3 communicates with a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hrough each communication network, checks a current state (eg, an on state, an off state)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integration manager 22.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s of the group unit received from the integration manager 22 is transferred to the data conversion unit 21-2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respectively, and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each control target device.

예로서, 통합 매니저(22)가 전송한 제어신호가 통신 네트워크 #1에 속한 제어대상장치와 통신 네트워크 #2에 속한 제어대상장치를 모두 제어 대상으로 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제어신호를 데이터 변환부 #1과 데이터 변환부 #2에 각각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신호는 데이터 변환부 #1에서 통신 네트워크 #1에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고, 네트워크 접속부 #1을 거쳐 통신 네트워크 #1의 통신방식을 통해 해당 제어대상장치로 전달된다. 또한, 이 제어신호는 데이터 변환부 #2에서 통신 네트워크 #2에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고, 네트워크 접속부 #2를 거쳐 통신 네트워크 #2의 통신방식을 통해 해당 제어대상장치로 전달된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ion manager 22 is a signal for controlling both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 1 and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 2, the control signal is converted into a data conversion unit. Transfer it to # 1 and data converter # 2, respectively. Then, the control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data format us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 1 by the data converter # 1, and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 1 via the network connection unit # 1.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is converted into a data format use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 2 by the data conversion unit # 2, and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 2 via the network connection unit # 2.

또한, 네트워크 통합부(21)는 통합 매니저(22)와의 사이에서 관리자를 인증하는 인증처리부(2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통합부(21)의 제어부(21-3)는 관리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용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의의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합 매니저(22)에서 인증용 정보를 전송하면서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인증용 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관리자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용 정보란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또는 관리자 식별번호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grator 21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processor 21-4 for authenticating the manager with the integration manager 22.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1-3 of the network integrating unit 21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of the administrator in any storage means for storing digital data, and t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the integration manager 22. In the case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while transmitting the certificat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dministrator is a legitimate administrator by comparing with the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approve the acces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cessary, such as administrator ID and password or administrator identification number.

도 3을 참조하여 통합 매니저(22)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configuring the integration manager 2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1)는 관리자와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user interface 22-1 is a component that interfaces with an administrator,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scree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group the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age them in groups. .

즉, 관리자가 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 삭제할 수 있도록 하고, 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제어대상장치의 목록을 제공하여 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 도록 하고, 그룹별로 등록한 제어대상장치의 목록을 수정, 변경, 삭제, 추가 등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재 그룹별 등록 상황을 조회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그룹 단위로 각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의 현재 상태를 조회하거나, 기 등록된 어느 그룹에 속한 각 제어대상장치에 대하여 일괄적인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administrator can create or change a group, provide a list of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hrough each communication network to include in each group, modify the list of registered control target devices by group, It can manage changes, deletions, and additions, and can look into the current registration status of group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ery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each group on a group basis, or to give a collective control command to each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a certain registered group.

통신부(22-2)는 네트워크 통합부(21)와 서로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네트워크 통합부(21)와 통합 매니저(22)가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는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통합 매니저(22)는 통신 네트워크 #1 내지 통신 네트워크 #n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별도로 마련된 이더넷(Ethernet) 회선을 통해 연결되거나, 그 이외의 각종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2 performs a role of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 integrator 21, and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how the network integrator 21 and the integration manager 22 are connected. In this case, the integration manager 22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communication networks # 1 to #n, or may be connected via a separate Ethernet line or may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have.

저장부(22-3)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룹정보, 각 그룹에 등록된 제어대상장치 관련 정보, 제어대상장치의 총 목록 정보,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관한 정보, 제어 실행 내력에 관한 정보 등 통합 매니저(22)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해 두는 구성요소이다.The storage unit 22-3 is a component capable of storing digital data. The storage unit 22-3 is a component capable of storing digital data. It is a component that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r 22, such as 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control execution history.

이제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통해 그룹화를 이용하여 제어대상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 specific example of a process of controlling a control target device using grouping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the UI screen shown in FIG. 4.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0)에는 현재 '그룹 2(Home Devices)'라는 명칭으로 그룹이 생성되어 있고, 이 그룹에는 전구, 티브이(TV), 보일러가 제어대상장치로서 등록되어 있다.On the user interface screen 40, a group is currently created with the name 'Group 2 (Home Devices)', and a light bulb, a TV, and a boiler are registered as the control target device.

또한, 현재상태 필드에는 현재 보일러만이 온(ON) 상태에 있는 상태정보를 보여 주고 있고, 우측 두 개의 필드는 각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필드로서, 현재 오프(OFF) 상태에 있는 전구와 티브이를 온(ON) 시키려면 'ON' 필드를 클릭(Click)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보일러는 현재 온(ON) 상태이므로 오프(OFF) 시키려면 'OFF' 필드를 클릭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나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field shows status information in which only the current boiler is in an ON state. The two fields on the right are fields that can change the status of each control target device. You are prompted to click on the 'ON' field to turn on the light bulb and the TV. In addition, since the boiler is currently ON, a message prompting the user to click the 'OFF' field is displayed.

관리자는 이러한 화면에서 전구와 티브이에 대해서는 'ON' 필드를 클릭하여 온(ON)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보일러에 대해서는 'OFF' 필드를 클릭하여 오프(OFF)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로서, 관리자가 현재 그룹 2에 속한 모든 제어대상장치를 온(ON)으로 설정하고, 전송버튼(41)을 클릭하여 제어명령을 내렸다고 가정하면, 그룹 2에 대한 제어를 일괄적으로 지시한 것이 된다.On this screen, the administrator can set the ON state by clicking the 'ON' field for the light bulb and the TV, and set the OFF state by clicking the 'OFF' field for the boiler.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dministrator has set all the control target devices currently belonging to Group 2 to ON, and clicks the transfer button 41 to give a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for Group 2 is collectively instructed. do.

도 5를 참조하자면, 그룹 2에 대한 일괄적 제어신호는 네트워크 통합부(21)로 전송되고, 네트워크 통합부(21)는 전구가 통신 네트워크 #1을 통해 연결되므로 통신 네트워크 #1을 통해 해당 전구로 온(ON) 제어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리고, 티브이(TV)는 통신 네트워크 #2를 통해 연결되므로 통신 네트워크 #2를 통해 해당 티브이로 온(ON) 제어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 때, 보일러는 이미 온(ON) 상태에 있으므로 제어 데이터의 전달을 생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llective control signal for group 2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integrator 21, and the network integrator 21 is connected to the bulb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1 since the bulb i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1. Pass ON control data. Since the TV is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2, the TV transmits ON control data to the corresponding TV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2. At this time, since the boiler is already in an ON state,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can be omitted.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일 뿐이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user interfa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is merely an example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ase of use.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an embodiment of a device management method using grouping on an integrate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있는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시켜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S61). 즉, 단계 S61은 관리자가 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 삭제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대상장치를 각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룹별로 등록한 제어대상장치의 목록을 수정, 변경, 삭제, 추가 등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First, at least on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may be grouped and managed in a group unit (S61). That is, step S61 allows an administrator to create or change a group, delete a control target device in each group, and manage a list of the control target devices registered for each group by modify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a group. It is a process to make sure

그리고, 관리자가 단계 S61에서 설정한 그룹 중 어느 그룹을 선택하여(S62), 해당 그룹에 속한 모든 제어대상장치에 대해 일괄적 제어명령을 내린다(S63).Then, the administrator selects any group from the group set in step S61 (S62), and issues a collective control command to all the control target devices belonging to the group (S63).

그러면, 이 제어명령은 해당 그룹의 각각의 제어대상장치가 속한 통신 네트워크에 적합한 제어 데이터로 변환된다(S64). 즉, 단계 S64는 해당 제어대상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형식에 적합하도록 데이터가 변환되는 절차이다.Then, this control command is converted into control data suitable for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each control target device of the group belongs (S64). That is, step S64 is a procedure in which data is converted to be suitable for the format of data used for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is connected.

이제 단계 S65에서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 적합하게 변환된 제어 데이터가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따라 해당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대상장치로 전송된다(S65). 그리고, 해당 제어대상장치가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S66).Now, the control data converted for each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S65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in each communication network (S65). Then, the control target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S66).

한편,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시켜 그룹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어대상장치를 제어하는 과정 등은 과정은 정당한 관리자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group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be managed by a group or the control target device may be configured so that only the right administrator can perform the process.

하나의 예로서,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려는 접속 시도가 있으면 인증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이 요구에 따라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기 설정되어 있는 관 리자의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조사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접속을 승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더 이상의 접근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As one example, if there is an access attempt to perform this process, it is required to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f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according to this request,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it is the same by comparing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t in advance. If the result of the survey is the same, the access may be approved, and if no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again, or further access may be blocked.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제어대상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일괄적 제어가 필요한 각종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룹 단위의 일괄적 제어가 가능해 진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련 있는 제어대상장치들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있는 장치의 제어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o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and in particular, various control target devices requiring collective control can be grouped and managed, thereby enabling collective control of groups. Lose. In addition, since the user interface can intuitively grasp and manage the state of the related control target devices, the control of the devices distribu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ecomes convenient.

Claims (7)

각각 하나 이상의 제어대상장치가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대상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대상장치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합부; 및The control target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to which at least one control target device is connected, and controls a control signal for managing a stat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A network integr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target device; And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조회하고,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하며, 각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일괄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에 전송하는 통합 매니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The network integration unit is connected to inquire the stat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group the control target devices and manage the group by group, and collectively integrate the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arget devices belonging to each group. A device management system using grouping on an integrated network comprising an integrated manager for transmitting to a depart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는 상기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해당 제어대상장치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접속부, 및 상기 통합 매니저에게 상기 제어대상장치의 상태를 전달하고 상기 통합 매니저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단위의 제어신호가 상기 데이터 변환부와 네트워크 접속부를 통해 해당 제어대상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The network integrating unit converts data so as to be suitable for communication through each communication network, a network conne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gration manager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group unit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r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through the data conversion unit and the network connection unit. Device management system u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는 상기 통합 매니저와의 사이에서 관리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관리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인증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And the network integrator further comprises an authentic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authenticate an administrator with the integrated manager and to process only the authorized administrator to access the integrated manag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대상장치가 연결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ZigBee 통신 네트워크, 무선 랜(Wireless LAN) 통신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통신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ntrol target device is connected comprises one or more communication networks of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network, an Eth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management system using grouping on unified network.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통합 매니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각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그룹 단위의 상태 조회와 제어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그룹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저장부, 및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통합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시스템.The integrated manager allows an administrator to group the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mmunication networks and manage them in group units through a user interface (UI) screen, and issue status and control commands of the group units.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group related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 integrator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to the network integrator. Device management system using grouping on unified network.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있는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시켜 그룹 단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Grouping one or more control target devic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to manage the group unit; 상기 그룹 중 어느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에 대해 일괄적 제어명령을 내리는 단계;Issuing a batch control command to a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any one of the groups;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해당 그룹에 속한 제어대상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에 적합한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to control data suitable for transmiss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ntrol target device belonging to the group is connected; And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각각 해당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따라 해당 제어대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방법.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data to a corresponding control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in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respectively.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대상장치를 그룹화시켜 그룹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및 상기 일괄적 제어명령을 내리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은 인증된 관리자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상에서의 그룹화를 이용한 장치 관리 방법.Grouping on the unified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rocess of grouping the control target device to be managed by a group, and the process of issuing the collective control command can be performed only by an authorized administrator. Device management method using.
KR1020060089599A 2006-09-15 2006-09-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KR200800248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99A KR20080024883A (en) 2006-09-15 2006-09-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99A KR20080024883A (en) 2006-09-15 2006-09-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83A true KR20080024883A (en) 2008-03-19

Family

ID=3941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599A KR20080024883A (en) 2006-09-15 2006-09-1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48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4226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 controller network for an attachment management system
CN110691014B (en) Selection of coordinator device for automation environment
JP6359103B2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controllable devices
KR102227177B1 (en) Uniform communication protocols for communication between controllers and accessories
US11936743B2 (en) Device management services based on restful messaging
Shahriyar et al. Remote controlling of home appliances using mobile telephony
KR102350430B1 (en) Over-the-air provisioning and configuration of hardware elements in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1397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decision evaluation for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AU2016361086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060598A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539274B1 (en) Structure-based access control
RU2573762C1 (en) System of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of "intelligent house" electronic devices
Moravcevic et al. An approach for uniform representation and control of ZigBee devices in home automation software
KR100978141B1 (en) Wired and wireless integration gatew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4514885A (en) Central and terminal instrumentation nodes and self-configuring and safe building automation systems
KR101573785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Z-Wave NETWORK AND HOME AUTOMATION APPLIANC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0356885B2 (en) Installing and commissioning transceivers coupled to loads
CN113612747A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equipment control authority,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080024883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s connect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grouping
Wall et al. Decentralized configuration of embedded web services for smart home applications
KR10120809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eld equipment and control apparatus for field equipment using the same
CN10576602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arget device of host and client
KR101038317B1 (en) The home-network system
KR101134791B1 (en) Home network system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network or heterogeneous device based on multi-agent technology and home gateway apparatus for the same
KR101692263B1 (en) Method for sharing an encryption key between a server and termin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