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4596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4596A
KR20080024596A KR1020060088893A KR20060088893A KR20080024596A KR 20080024596 A KR20080024596 A KR 20080024596A KR 1020060088893 A KR1020060088893 A KR 1020060088893A KR 20060088893 A KR20060088893 A KR 20060088893A KR 20080024596 A KR20080024596 A KR 2008002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essage
sub
rang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김연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4596A/ko
Publication of KR2008002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한 메인 본체와; 상기 메인 본체와 이격된 상태에서 기 구비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본체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인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서브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시되는 서브 본체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인 본체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됨에 따라, 상기 서브 본체와 상기 메인 본체간에 메시지 채팅 및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이하 'PTT')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서브 본체에서 상기 메인 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아울러 한대의 이동 단말기에서 2기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 단말기, 근거리 무선통신, 메시지 송수신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간의 탈착 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서브 본체 111 : 키패드
112 : 제2 근거리 통신모듈 113 : 표시부
120 : 메인 본체 121 : 키패드
122 : 제1 근거리 통신모듈 123 : 메모리
124 : 표시부 125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서비스란, 이동 단말기간에 문자와 음향과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하는 서비스로써 통상적으로 문자로만 이루어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와 문자와 음향과 이미지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첨부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하 'MMS')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통신 기능을 갖는 서브 본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서브 본체와 이동 단말기의 메인 본체간에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메시지 송수신 기능 및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이하 'PT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한 메인 본체와; 상기 메인 본체와 이격된 상태에서 기 구비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본체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인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서브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모듈과, 블루투스(Blue Tooth) 모듈과, 지그비(Zigbee) 모듈과, UWB(Ultra-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인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인 본체의 일측면에는 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 본체가 상기 탈착홈에 탈착되는 점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본체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서브 본체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서브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서브 본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인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서브 본체로부터 화면공유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본체로 송신하는 점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PMP와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크게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본체(120)는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된 것을 말하고, 서브 본체(110)는 키패드와 제2 근거리통신모듈 및 표시부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본체(120)와 메시지 송수신 및 채팅 기능등을 지원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새로히 제시되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모듈과, 블루투스(Blue Tooth) 모듈과, 지그비(Zigbee) 모듈과, UWB(Ultra-wideband) 모듈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뜻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에는 각각 근거리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가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일대일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에 구비된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상호간에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본체(120)의 일측면에는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 본체(110)가 상기 메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탈착홈에 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간의 탈착 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시에는 상기 서브 본체(110)를 메인 본체(120)의 탈착홈에 부착하여 휴대하다가, 상기 서브 본체(110)를 사용할 경우, 상기 메인 본체(120)에서 상기 서브 본체(110)를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분실 방지 및 휴대 편이성을 제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간의 메시지 송수신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110)는, 키패드(111)와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 및 표시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111)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로 구성 된다.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은, 상기 키패드(111)로부터 상기 메인 본체(120)의 화면 공유를 요청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요청신호를 상기 메인 본체(12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 본체(12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화면 표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113)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본체(120)와 표시 화면이 공유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은 상기 키패드(111)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인 본체(12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1)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 본체(12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1)로부터 상기 메인 본체에서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표시부(113)는, 상기 키패드(111)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인 본체(120)의 화면 표시 데이터 및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본체(120)는, 키패드(121)와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1)과 메모리(123)와 표시부(124)와 제어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121)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복수개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 신호를 제어부(125)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본체(120)의 키패드(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에 따라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은, 상기 서브 본체(110)의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12)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신호가 수신하고,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화면 표시 데이터를 상기 서브 본체(11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는, 상기 서브 본체(11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25)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26)의 제어에 따라 상기 키패드(121)을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서브 본체(11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와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에는 문자데이터와 음향데이터 및 이미지데이터를 첨부될 수 있다.
메모리(123)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표시부(124)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부(121)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 형태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24)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서브 본체(11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이 현재 표시부(124)의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 기 서브 본체(11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2)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5)는, 상기 표시부(124)의 화면이 상기 서브 본체(110)와 공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을 통해 상기 서브 본체(11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부(124)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125)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122)이 상기 표시부(124)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 표시 데이터를 다시 상기 서브 본체(1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25)가 서브 본체(11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브 본체(110)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마다 표시부(124)에 표시되는 화면 표시 데이터를 상기 서브 본체(110)로 송신함으로써,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간에 채팅 또는 PTT 기능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간의 메시지 송수신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본체와 메인 본체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서브 본체(110)가 메인 본체(120)의 탈착홈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본체(110)가 키패드(1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인 본체(120)와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도 5a], 상 기 메인 본체(120)와 일대일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한다[도 5b].
상기 서브 본체(110)와 상기 메인 본체(1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본체(110)가 키패드(1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인 본체(120)의 화면 공유를 요청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요청신호를 상기 메인 본체(120)로 송신한다(S401).
상기 메인 본체(120)는 상기 서브 본체(110)로부터 상기 화면 공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표시부(124)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본체(110)로 수신한다[도 5c](S402).
상기 서브 본체(110)는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수신된 화면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113)의 화면에 표시하고, 키패드(1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작성을 위한 문자 "예"가 입력되면[도 5c],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인 본체(120)로 송신한다[도 5d](S403).
상기 메인 본체(120)는 상기 서브 본체(1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부(124) 화면상에 표시하고, 키패드(12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작성을 위한 문자 "식사같이 할까요?"(511)가 입력되면[도 5c],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포함한 현재 표시부(124)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본체(110)로 송신한다(S404).
상기 서브 본체(110)는 상기 메인 본체(12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를 포함한 화면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113) 화면에 표시하고[도 5e], 키패드(1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작성을 위한 문자 "좋아요!"가 입력되면, 상 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인 본체(120)로 송신한다[도 5f].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간에 메시지 채팅 또는 PTT 기능을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서는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간의 메시지 송수신 과정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서브 본체(110)와 메인 본체(120)간에 일대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브 본체(110)에서 상기 메인 본체(120)내에 구비된 폰북과, 이미지등의 메뉴 항목등을 검색하여 자신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서브 본체(110)에서 상기 메인 본체(120)로 화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신호에따라 상기 메인 본체(120)로부터 메뉴 표시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인 본체(120)로 상기 메뉴 기능 조작을 위한 키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메인 본체(120)에서는 상기 수신된 키 신호에 상응하게 상기 메뉴 기능을 제어함과 동시에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본체(110)로 송신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서브 본체(11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상기 메인 본체(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제시되는 서브 본체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인 본체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됨에 따라, 상기 서브 본체와 상기 메인 본체간에 메시지 채팅 및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이하 'PTT')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서브 본체에서 상기 메인 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아울러 한대의 이동 단말기에서 2기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한 메인 본체; 및
    상기 메인 본체와 이격된 상태에서 기 구비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서브 본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모듈과, 블루투스(Blue Tooth) 모듈과, 지그비(Zigbee) 모듈과, UWB(Ultra-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의 일측면에는 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 본체가 상기 탈착홈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서브 본체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서브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서브 본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본체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메인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서브 본체로부터 화면 공유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서브 본체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60088893A 2006-09-14 2006-09-14 이동 단말기 KR20080024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93A KR20080024596A (ko) 2006-09-14 2006-09-14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93A KR20080024596A (ko) 2006-09-14 2006-09-1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596A true KR20080024596A (ko) 2008-03-19

Family

ID=3941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893A KR20080024596A (ko) 2006-09-14 2006-09-1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45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127A3 (en) * 2008-07-04 2010-04-15 Sang Jun Choi 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127A3 (en) * 2008-07-04 2010-04-15 Sang Jun Choi 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US9042843B2 (en) 2008-07-04 2015-05-26 Sang Jun Choi 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6105B2 (en) Interface for managing messages in a mobile terminal
JP4395129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通話グループを変更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226303B1 (ko) 무선 멀티태스킹 키보드 및 그 구동방법
US20150271650A1 (en) Communication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all control method
KR1005969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장치
KR20080024596A (ko) 이동 단말기
KR100864280B1 (ko) 채팅 웹서버 기능을 갖는 usim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채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57502A (ko) 휴대폰을 이용한 텔레비전 문자 입력 장치
KR200700051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946756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ui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3005120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77830B2 (ja) 無線通信装置、データ処理装置
EP4228294A1 (en) Call forward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08006453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CN201821349U (zh) 无线通讯耳机系统
KR20090012950A (ko)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20066811A (ko) 그림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작성 및 이의 전송이 가능한휴대용 전화기
KR20090080689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7475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 입력 시스템 및 키 입력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56517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KR1006872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다중관리 방법
KR1007825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76338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채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055027A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메신저 기능 구현 방법
KR100944057B1 (ko) 무선 컴퓨터 입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