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071A -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071A
KR20080023071A KR1020060087084A KR20060087084A KR20080023071A KR 20080023071 A KR20080023071 A KR 20080023071A KR 1020060087084 A KR1020060087084 A KR 1020060087084A KR 20060087084 A KR20060087084 A KR 20060087084A KR 20080023071 A KR20080023071 A KR 2008002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internet service
portable internet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3071A/ko
Publication of KR2008002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요청되면,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이동을 상기 전계 맵 상에 표시하며,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에 진입시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서 전계 맵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함으로써,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휴대인터넷(WiBro), 위성 확인 시스템(GPS),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BROADBAND SERVICE OF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인터넷(Wireless Broadband; WiBro) 서비스는 광대역 무선 인터넷 기술로서, 정지 상태에서는 물론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지원되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이다.
한편,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는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표시하여 통신 단말기가 현재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는 수신신호 세기를 다수개의 막대가 배열된 형태로 표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막대의 수로부터 수신신호 세기의 강약을 판별할 수는 있으나, 수신신호 세기가 미약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가능한 지역을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을 안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현재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 및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은,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요청되면,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이동을 상기 전계 맵 상에 표시하며,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에 진입시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에서, "전계"라는 용어는 캐리어대 간섭 잡음비(Carrier to Information Noise Ratio; CINR)와 같은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가 분류되는 등급을 의미하는 용어로써,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는 강전계, 중전계, 약전계 및 미약전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계별 영역"이라는 용어는 상기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가 변하는 지점을 연결한 선에 의해 전계별로 구분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용어로써, 강전계 영역, 중전계 영역, 약전계 영역 및 미약전계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강전계 영역, 중전계 영역, 약전계 영역은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에 해당하며, 미약전계 영역은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불가능 지역에 해당한다. "전계 맵"이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 사선 저장되거나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통하여 수신된 맵 정보에 전계별 영 역이 표시된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써, 전계 맵 상에서 전계별 영역은, 예컨대 각기 다른 컬러(color) 등으로 표시되어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전계에 상응하는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 및 각 전계별 영역의 컬러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구별될 수 있다.
수신신호 세기 전계 영역의 컬러
5dB 미만 미약전계
Figure 112006065204850-PAT00001
5dB 이상 10dB 미만 약전계
Figure 112006065204850-PAT00002
10dB 이상 17dB 미만 중전계
Figure 112006065204850-PAT00003
17dB 이상 강전계
Figure 112006065204850-PAT0000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하는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100은 무선 통신부110, GPS부120, WiBro부130, 제어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메모리부160, 표시부170 및 키 입력부18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통신 단말기100은 휴대인터넷 서비스 및 GPS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인터넷 전용 단말기, 랩탑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은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GPS부120은 GPS 위성(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GPS부120은 GPS 위성으로부터 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WiBro부130은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휴대인터넷의 신호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WiBro부130은 WiBro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휴대인터넷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은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은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요구 발생시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을 안내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40은 상기 GPS부120을 통해 파악된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은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을 전계 맵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은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으로 진입하면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140은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이동한 지역에 대한 전계 맵을 이동중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오디오 처리부150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60은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을 안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GPS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맵 정보 및 상기 WiBro부130에서 검출된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전계 맵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70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상태를 V시한다. 이 때, 상기 표시부17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70은 LCD제어부, 표시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80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는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3a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 안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전계 맵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3c는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은 상기 제어부140이 201단계에서 상기 키 입력부180을 통한 기능키(또는 단축키) 또는 메뉴에서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은 203단계에서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205단계에서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연결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205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가능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하고,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207단계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함을 통지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은 적은수의 막대를 배열시켜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가 미약함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함이 통지되어 사용자가 전계 맵 표시 요구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209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11단계에서 상기 GPS부120을 통해 수신된 GPS 정보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은 2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계 맵으로부터 현재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을 탐색하여, 215단계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된 전계 맵을 표시한다. 이 때, 전계 맵 상에는 전계별 영역, 즉 강전계 영역, 중전계 영역, 약전계 영역 및 미약전계 영역 등이 표시될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와 기지국의 위치가 더 표시된다.
계속해서, 전계 맵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최적 위치 검색 요구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217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219단계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이 때, 최적 위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에 있어서의 최적의 위치로서, 강전계 영역 내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이동시 예상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3c에서는 이러한 이동 경로를 전계 맵 상에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문자, 동영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동 경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이동을 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3단계에서 이동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전계 맵 상에 표시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이동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 연결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이를 감지하고, 227단계에서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한다.
이 때, 휴대인터넷 서비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이동중에 전계 맵을 갱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은 이동중에 상기 WiBro부130을 통해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수신신호의 세기가 변하는 위치를 전계별 영역의 경계점으로 지정하여 전계 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은 형성된 전계 맵을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갱신된 전계 맵은 이후의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한 전계 맵 표시 또는 최적 위치 검색 요구 신호 입력시,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됨에 따라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계 맵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 가능 지역을 안내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전계 맵을 표시한 다음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이동을 하면, 상기 제어부140이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위치를 전계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이동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 연결 지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 140은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전계 맵 표시 요구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서 해당 전계 맵을 표시하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최적 위치 검색 요구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서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 가능 지역을 안내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전계 맵 및 이동 경로 표시를 별도로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그러한 예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절차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절차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최적 위치 검색 요구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서 전계 맵 및 이동 경로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가 최적 경로 검색 요구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40은 409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GPS부120을 통해 수신된 GPS 정보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은 4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계 맵으로부터 현재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을 탐색하여, 415단계에서 탐색된 전계 맵을 표시한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40은 417단계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을 안내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신 단말기100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도 전계 맵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휴대인터넷 서비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계 맵 표시 요구 또는 최적 위치 검색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40은 전계 맵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인터넷 서비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100이 최적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100은 보다 강화된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로 인하여 보다 향상된 퀄리티(quality)의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은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 및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서 휴대인터넷 서비 스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을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요청되면,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이 불가능하면, 상기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전계 맵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이동을 상기 전계 맵 상에 표시하며,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가능 지역에 진입시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맵은 상기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가 일정 수의 전계로 분류되고, 각각의 전계별로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별 영역은 강전계 영역, 중전계 영역, 약전계 영역 및 미약전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별 영역은 각기 다른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예상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하면, 이동중 전계 맵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과정은,
    이동중 상기 휴대인터넷의 수신신호 세기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가 변하면, 그 위치를 전계별 영역의 경계점으로 지정하여 전계 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형성된 전계 맵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KR1020060087084A 2006-09-08 2006-09-08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KR20080023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84A KR20080023071A (ko) 2006-09-08 2006-09-08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84A KR20080023071A (ko) 2006-09-08 2006-09-08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71A true KR20080023071A (ko) 2008-03-12

Family

ID=3939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084A KR20080023071A (ko) 2006-09-08 2006-09-08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30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59A (ko) 2014-11-2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eg 재생 시스템
KR20160060957A (ko) 2014-11-2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eg 재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59A (ko) 2014-11-2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eg 재생 시스템
KR20160060957A (ko) 2014-11-21 2016-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eg 재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4347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hand-held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177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622637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790045B1 (ko) 듀얼 심카드 단말기의 위치 정보 수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위치 정보 수집 시스템
KR20120092366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20079370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8519080B (zh) 一种导航路线规划方法及终端
US6879909B2 (en) Map display control apparatus, map information update apparatus, map information updat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2135828A (ja) 移動電話機、移動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基地局
CN108495349B (zh) 一种运营商网络的切换方法及移动终端
JPWO2009057745A1 (ja) 基地局選択方法および無線端末装置
KR10144864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9862607B (zh) 一种网络推荐方法及移动终端
KR20060012390A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101781072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608095B (zh) 多媒体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754769B (zh) 电子装置以及无线设备确认方法
KR20080023071A (ko) 통신 단말기의 휴대인터넷 서비스 연결 방법
CN109388471B (zh) 一种导航方法及装置
CN109299359B (zh) 一种路况查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769957B1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CN106060827A (zh) 一种伪基站识别方法、服务器和终端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11879B (zh) 一种网络参数的处理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