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070A -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070A
KR20080023070A KR1020060087083A KR20060087083A KR20080023070A KR 20080023070 A KR20080023070 A KR 20080023070A KR 1020060087083 A KR1020060087083 A KR 1020060087083A KR 20060087083 A KR20060087083 A KR 20060087083A KR 20080023070 A KR20080023070 A KR 20080023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gital broadcast
image
display
broadcas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3070A/ko
Priority to EP07003969A priority patent/EP1898388A2/en
Priority to CNA2007100863523A priority patent/CN101141578A/zh
Priority to US11/759,047 priority patent/US20080064439A1/en
Publication of KR2008002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화면의 장변에 디지털 방송 영상의 장변이 대응되게 디지털 방송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때문에, 화면의 장변이 지면과 수평되게 돌려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하고,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지면에 수평하게 화면에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의 회전각에 무관하게 디지털 방송 영상이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오른손잡이도 왼손잡이도 디지털 방송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전체를 돌려 원하는 각도에서 지면에 수평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스윙형 휴대 단말기처럼 회전부를 더 구비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폴더형이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서 폴더를 연 상태 즉 화면의 단변이 지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지털 방송 영상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영상 시청 중 또는 시청 후에도 다른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화면, 디지털 방송, 시청, 수평, 지면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of vide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비율 유지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최대 크기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크기 고정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크기 축소/고정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의 회전각도에 무관하게 디지털 방송 영상을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방송은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휴대 단말기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현재 서비스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DMB는 다시 지상파 DMB( Terrestrial DMB; T-DMB 라고도 함)와 위성 DMB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terminal), 휴대용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형(slide type) 또는 폴더형(folder type)의 휴대 단말기는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을 갖는다. 전화통화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 할 때는, 화면의 단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한다. 하지만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때는 화면의 장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한다. 즉 디지털 방송 영상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지만, 장변이 지면에 수평한 형태를 갖는다. 휴대 단말기는 화면의 장변에 디지털 방송 영상의 장변이 대응되게 표시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 화면의 장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 전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오른손으로 화면 아래의 본체 부분을 잡아야 한다. 이때 오른손잡이는 방송 시청에 불편함이 적지만, 왼손잡이는 방송 시청하기가 매루 불편한다. 디지털 방송의 영상의 장변과 단변이 각각 표시부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대응되게 표시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형태 즉 표시부의 단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의 영상이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을 제대로 시청할 수 없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 중간에 전화가 올 경우, 휴대 단말기를 시계 방향으로 90도로 회전시켜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에 따라서는 커버(또는 본체)에 대해서 화면을 갖는 표시부만을 물리적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스윙형(swing type) 휴대 단말기도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윙형 휴대 단말기는 커버에 대해서 표시부만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커버와 표시부 사이에 회전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폴더형이 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비해서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오른손잡이도 왼손잡이도 동일한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화면의 회전각에 무관하게 지면에 수평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화면의 단변이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지면에 대한 화면의 위치에 무관하게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지면에 수평하게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있어서, 화면 표시 과정은 지면에 대한 화면의 회전각을 산출하는 과정과, 회전각의 ―각으로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회전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있어서, 회전각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화면의 각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있어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화면 안에 표시 된다. 표시 영상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화면에 최대 크기로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직사각형 형태로 화면에 최대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그대로 표시되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 화면을 벗어난 부분은 잘려진다.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일정 크기로 축소되어 표시되며, 축소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 화면을 벗어난 부분은 잘려진다. 이때 화면의 중심과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중심이 일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지면에 대한 화면의 회전각을 산출하는 과정과,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회전각의 -각으로 회전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은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있어서, 화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화면의 장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할 때, 화면에 차게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에 있어서, 화면의 단변이 지면에 수평 하게 위치할 때,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축소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최대 크기로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표시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지면에 대한 화면의 회전각을 산출하는 회전각 산출부와,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하고,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회전각의 -각으로 회전시켜 화면에 표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화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전각 산출부는 측정된 각속도로부터 회전각을 산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1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키입력부(11), 저장부(13), 디지털 방송 수신부(17), 신호 처리부(19), 표시부(21), 스피커(23), 자이로 센서(25), 회전각 산출부(29)를 갖는 제어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입력부(11)는 휴대 단말기(1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 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7)에 전달한다. 이때 키입력부(11)를 통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은 디지털 방송 수신, 수평 영상 유지 기능 설정 및 실행 등이 될 수 있다. 저장부(13)는 휴대 단말기(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3)는 디지털 방송 수신, 수평 영상 유지 기능 설정 및 실행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7)는 안테나(15)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처리부(19)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 표시부(21)의 화면(22)과 스피커(23)는 신호 처리부(19)에서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 및 음성을 재생하여 표시한다. 자이로 센서(25)는 휴대 단말기(10)의 회전에 따른 화면(22)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회전각 산출부(29)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7)는 휴대 단말기(10)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7)는 디지털 방송 수신, 수평 영상 유지 기능 설정 및 실행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7)의 회전각 산출부(29)는 자이로 센서(25)로부터 전송받은 각속도로부터 지면에 대한 화면(22)의 회전각(θ)을 산출하여 신호 처리부(19)에 전송한다.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산출된 회전각(θ)의 -각으로 회전시켜 화면(22)에 표시한다.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에서 화면(22)에 표시되는 영상을 표시 영상(26)이라 한다. 신호 처리부(19)는 화면(22)의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할 수도 있고, 화면(22)이 일정각으로 회전할 때마다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9)는 표시 영상(26)을 화면(22)의 중심과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화면(22)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지면에 대한 화면(22)의 위치에 무관하게 표시 영상(26)을 지면에 수평하게 화면(22)에 표시한다.
한편 자이로 센서(25)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25)는 휴대 단말기(10)가 회전하게 되면, 그 속도 방향에 수직으로 코리오리스(Coriolis force)의 힘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물리 현상을 이용하여 화면(22)의 각속도를 측정한다. 회전각 산출부(29)는 측정된 각속도를 적분 연산하여 화면(22)의 회전각(θ)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는 본체(12)의 앞면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버(14)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커버(14)의 앞면에 화면(22)이 배치될 수 있도록 표시부(21)가 설치된다. 화면(22)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본체(12)는 앞면에 커버(14)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키입력부(11)를 갖는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2)에 표시부(21)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이 내장된다.
각속도를 측정하는 공간(XYZ) 좌표계의 중심으로 화면(22)의 중심을 설정한다. 이때 Y축 방향이 지면에 수평한 방향 성분이다. Z축 방향이 지면이 수직한 방향 성분이다. 회전각(θ)은 X축을 중심으로 한 YZ 평면에서의 화면(22)의 이동각이다. 회전각(θ)은 Y축에 대해서 화면(2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값으로 표시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값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회전각(θ)은, 0 도≤θ≤+180도, -180도≤θ≤0도로 표시한다.
이때 공간 좌표계에서 화면(22)의 회전각(θ)이 제로인 지점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휴대 단말기(10)는 YZ 평면에 위치한다. 커버(14)가 열린 상태에서, 본체(12)의 키입력부(11)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표시부(21)는 왼쪽에 위치하고, 화면(22)의 장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Y축 방향에 위치하고, 화면(22)의 단변이 지면에 수직하게 Z축 방향에 위치할 때, 화면(22)의 회전각(θ)을 제로로 설정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가 Y축 또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화면(22)의 장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화면(22)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26)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표시 영상(26)을 지면에 수평하게 화면(22)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X축 방향을 중심으로 한 화면(22)의 회전각(θ) 측정이 필요하며, 자이로 센서(25)는 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9)는 회전각(θ)이 0도, 180도일 때,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최대 크기로 화면(22)에 표시한다. 이유는 전술된 바와 같이,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장변과 단변이 각각 화면(22)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대응되게 표시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가 슬라이드형으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또는 폴더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S30)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7)는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설정을 위한 키입력부(11)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 판단 결과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설정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27)는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설정 과정을 진행한다(S33). 아닌 경우, 제어부(27)는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35). 판단 결과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을 실행한다(S37). 그리고 아닌 경우, 제어부(27)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39). 예컨대, 해당 기능 수행 과정(S39)에서 휴대 단말기(10)에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화면(22)에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S30)에 있어서,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설정 과정(S33)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3의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설정 과정(S33)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부(27)는 사용자의 키입력부(11)를 통한 키입력을 통하여 영상 표시 방법을 선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331).
영상 표시 방법으로는 비율 유지 표시 방법(S333), 최대 크기 표시 방법(S335), 크기 고정 표시 방법(S337) 또는 크기 축소/고정 표시 방법(S339) 중에서 한가지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4가지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회전각(θ)이 0도, ±180도인 경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은 최대 크기로 화면(22)에 표시된다. 즉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으로 화면(22)을 채우게 된다. 이때 표시 영상(26)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먼저 비율 유지 표시 방법(S333)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화면(22) 안에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때 표시 영상(26)은 화면(22)에 최대 크기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크기 표시 방법(S335)은 직사각형 형태로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화면(22)에 최대 크기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화면(22)의 회전각(θ)이 0도, ±90도, ±180도에서,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화면(22) 전체를 채우게 된다. 이때 화면(22)의 회전각(θ)이 ±90도인 경우, 표시 영상(26)은 화면(22)의 장변 방향으로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단변이 늘어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크기 고정 표시 방법(S337)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지면에 수평하게 그대로 화면(22)에 표시하되,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에서 화면(22)을 벗어난 부분을 자른 형태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때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은 화면(22)의 회전각(θ)이 0도와 ±180도 사이일 때, 일부가 잘려진 형태로 화면(22)에 표시된다.
크기 축소/고정 표시 방법(S339)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일정 크기로 축소하여 지면에 수평하게 그대로 화면(22)에 표시하되, 축소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에서 화면(22)을 벗어난 부분을 자른 형태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때 표시 영상(26)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에서 일정 크기로 축소된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 에, 크기 고정 표시 방법(S337)에 비해서 잘리는 영상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표시 방법으로 4가지 방법을 예시하였지만, 그 외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표시 영상(26)을 회전각(θ)에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하는 방법을 개시하였지만, 화면(22)이 일정각씩 회전할 때마다 표시 영상(26)을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일정각이 ±45도인 경우, 화면(22)이 ±45도 회전할 때마다 표시 영상(26)을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하고, ±45도씩 회전하기 전까지는 이전의 표시 영상(26)을 유지하는 영상 표시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영상 유지 방법(S30)에 있어서,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 과정(S37)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도 3의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 과정(S37)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7)는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키입력부(11)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71). 판단 결과 키입력이 있는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는 안테나(15)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373). 아닌 경우 제어부(27)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375).
신호 처리부(19)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한다(S377). 물론 신호 처리부(19)는 디지털 방송 음성도 출력한다.
자이로 센서(25)는 휴대 단말기(10)의 공간 상의 위치에 따른 화면(22)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회전각 산출부(29)에 전송한다(S379). 회전각 산출부(29)는 전 송된 각속도를 바탕으로 화면(22)의 회전각(θ)을 산출하여 신호 처리부(19)에 전송한다(S381).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회전각(θ)의 -각으로 회전시켜 화면(22)에 표시한다(S381, S385). 따라서 표시 영상(26)은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된다. 아울러 표시 영상(26)과 관련된 음성은 스피커(23)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자이로 센서(25)는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화면(22)의 회전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387). 화면(22)의 회전이 발생되면, 자이로 센서(25)에 의한 화면(22)의 각속도 측정 과정(S379)부터 영상 표시 과정(S385)까지 다시 진행하여 지면에 수평한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한다. 화면(22)의 회전이 체크되지 않으면, 현 표시 영상(26)의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의 공간 상의 위치에 무관하게 화면(22)을 통하여 지면에 수평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영상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26)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2)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가 Y축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먼저 비율 유지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26)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2)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22)의 회전각(θ)이 0도 및 +180도일 때, 도 6의 (A1) 및 (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으로 화면(22)을 채운다. 이때 표시 영상(26)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화면(22)의 회전각(θ)이 +45도인 경우, 도 6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45도 회전된 형태의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22)의 회전각(θ)이 +90도인 경우, 도 6의 (C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90도 회전된 형태의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한다. 이때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축소된 표시 영상(26)을 지면에 수평하게 화면(22) 안에 표시한다. 도 6의 (B1) 및 (C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각(θ)이 0도와 +180도 사이인 경우, 표시 영상(26)은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에 비해서 일정 비율로 축소된 형태를 갖는다. 화면(22)에 표시 영상(26)이 표시되지 않는 여백(28)이 존재한다.
따라서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경우, 오른손으로 본체(12)의 키입력부(11)를 잡은 상태에서 화면(22)을 통하여 표시 영상(26)을 시청할 수 있다. 왼손잡이 사용자의 경우, 왼손으로 본체(12)의 키입력부(11)를 잡은 상태에서 화면(22)을 통하여 표시 영상(26)을 시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대 크기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26)은,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2)에 표시될 수 있다. 최대 크기 표시 방법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9)는 디지털 방송 영상을 화면(22)의 회전각(θ)에 무관하게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한다. 화면(22)의 회전각(θ)이 0도, +90도, +180도인 경우, 도 7의 (A2), (C2) 및 (D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으로 화면(26)을 채운다. 화면(22)의 회전각(θ)이 +45인 경우, 도 7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축소된 직사각형 형태의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최대 크기로 표시한다. 이때 회전각(θ)이 0도와 +90도 사이인 경우, 화면(22)에 표시 영상(26)이 표시되지 않는 여백(28)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크기 고정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26)은,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2)에 표시될 수 있다. 크기 고정 표시 방법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을 지면에 수평하게 그대로 화면(22)에 표시하되,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 중에서 화면(22)을 벗어난 부분이 잘려진 형태의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한다. 즉 화면(22)의 회전각(θ)이 0도와 +180도 사이인 경우, 도 8의 (B3) 및 (C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의 일부가 잘려진 형태의 표시 영상(26)이 화면(22)에 표시된다. 이때 화면(22)의 회전각(θ)이 0도와 +90도 사이일 때, 도 8의 (B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의 네 모서리 부분이 잘려진 형태의 표시 영상(26)이 화면(22)에 표시된다. 화면(22)의 회전각(θ)이 +90도 일 때, 도 8의 (C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2)의 장변의 밖에 위치하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 부분이 잘려진 형태의 표시 영상(26)이 화면(22)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크기 축소/고정 표시 방법에 따라 표시 영상(2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2)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22)의 회전각(θ)이 0도와 +180도 사이일 때, 도 9의 (B4) 및 (C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24)을 일정 크기로 축소하여 화면(22)에 수평하게 표시하되, 축소 된 디지털 방송 영상(24a) 중에서 화면(22)을 벗어난 부분이 잘려진 형태의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S130)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7)는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키입력부(11)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1). 판단 결과 키입력이 있는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부(17)는 안테나(15)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133). 아닌 경우 제어부(27)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135).
신호 처리부(19)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한다(S137). 물론 신호 처리부(19)는 디지털 방송 음성도 출력한다.
제어부(27)는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9). 판단 결과 키입력이 있는 경우, 자이로 센서(25)는 휴대 단말기(10)의 공간 상의 위치에 따른 화면(22)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회전각 산출부(29)에 전송한다(S141). 회전각 산출부(29)는 전송된 각속도를 바탕으로 화면(22)의 회전각(θ)을 산출하여 신호 처리부(19)에 전송한다(S143).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회전각(θ)의 -각으로 회전시켜 화면(22)에 표시한다(S145, S147). 즉 화면(22)에 표시 영상(26)은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된다. 아울러 표시 영상(26)과 관련된 음성은 스피커(23)를 통하여 출력 된다.
자이로 센서(25)는 표시 영상(26) 시청 중에 화면(22)의 회전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149). 화면(22)의 회전이 발생되면, 화면의 각속도 측정 과정(S141)부터 영상 표시 과정(S147)까지 다시 진행하여 지면에 수평한 표시 영상(26)을 화면(22)에 표시한다. 화면(22)의 회전이 체크되지 않으면, 현 표시 영상(26)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을 위한 키입력이 없는 경우, 신호 처리부(19)는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화면(22)의 회전각(θ)에 대응되게 표시한다(S151). 즉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장변과 단변이 각각 화면(22)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부(19)는 화면(22)에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의 회전각에 무관하게 디지털 방송 영상이 지면에 수평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동일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오른손잡이도 왼손잡이도 디지털 방송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전체를 돌려 원하는 각도에서 지면에 수평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스윙형 휴대 단말기처럼 회전부를 더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슬라이드형이나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서 커버(또는 폴더)를 연 상태 즉 화면의 단변이 지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지털 방송 영상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영상 시청 중 또는 시청 후에도 다른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지면에 대한 화면의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지면에 수평하게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과정은,
    지면에 대한 상기 화면의 회전각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각의 ―각으로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회전시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화면의 각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상기 화면 안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상은,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상기 화면에 최대 크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화면에 최대 크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그대로 표시되며,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 상기 화면을 벗어난 부분은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상은,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이 일정 크기로 축소되어 표시되며, 상기 축소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 상기 화면을 벗어난 부분은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중심과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중심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10.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지면에 대한 화면의 회전각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상기 회전각의 -각으로 회전시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영상 유지 기능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화면의 각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화면의 장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할 때, 상기 화면에 차게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단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할 때,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은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축소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최대 크기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의 수평 영상 유지 방법.
  15.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갖는 표시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지면에 대한 상기 화면의 회전각을 산출하는 회전각 산출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상기 회전각의 -각으로 회전시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각 산출부는 상기 측정된 각속도로부터 상기 회전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장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할 때,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화면이 차게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단변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할 때,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축소하여 상기 화면에 최대 크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화면에 최대 크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그 대로 표시하되,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 상기 화면을 벗어난 부분은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을 일정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하되, 상기 축소된 디지털 방송 영상 중 상기 화면을 벗어난 부분은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화면의 중심과 상기 출력된 디지털 방송 영상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KR1020060087083A 2006-09-08 2006-09-08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방법 KR20080023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83A KR20080023070A (ko) 2006-09-08 2006-09-08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방법
EP07003969A EP1898388A2 (en) 2006-09-08 2007-02-27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nd horizontal image display method
CNA2007100863523A CN101141578A (zh) 2006-09-08 2007-03-15 能够接收数字广播的便携终端和水平图像显示方法
US11/759,047 US20080064439A1 (en) 2006-09-08 2007-06-06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nd horizontal image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83A KR20080023070A (ko) 2006-09-08 2006-09-08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70A true KR20080023070A (ko) 2008-03-12

Family

ID=3854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083A KR20080023070A (ko) 2006-09-08 2006-09-08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64439A1 (ko)
EP (1) EP1898388A2 (ko)
KR (1) KR20080023070A (ko)
CN (1) CN101141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0022A (zh) * 2011-06-09 2012-12-12 宏碁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56326U (en) * 2008-12-26 2009-05-01 Inventec Appliances Corp Cellular phone
KR20110024525A (ko) * 2009-09-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장면 인식 영상 설정 방법 및 이를 실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JP5593772B2 (ja) * 2010-03-29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86049A1 (en) * 2011-12-20 2013-10-31 Heng Yang Automatic adjustment of display image using face detection
US9933846B2 (en) * 2013-01-28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display mod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14178458A (ja) * 2013-03-14 2014-09-25 Fujifilm Corp 携帯型医療画像表示装置
CN103475823B (zh) * 2013-08-29 2016-08-17 Tcl光电科技(惠州)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图像处理方法
CN104460686A (zh) * 2013-09-13 2015-03-25 上海莱亭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控制摩天轮上的led显示屏的装置
CN105100396A (zh) * 2015-05-21 2015-11-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旋转显示方法和装置
CN106126153A (zh) * 2016-07-25 2016-11-16 苏州佰瑞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适应角度图像实时旋转处理器
EP3598428A1 (en) * 2018-07-17 2020-01-22 Thomson Licensing Device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CN111835972B (zh) * 2020-07-21 2023-04-18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951092A (zh) * 2021-02-09 2021-06-11 大连外国语大学 一种新型闸机抬杆信息显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290A (ja) * 1996-08-05 1998-02-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7525567B2 (en) * 2000-02-16 2009-04-28 Immersive Media Company Recording a stereoscopic image of a wide field of vie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0022A (zh) * 2011-06-09 2012-12-12 宏碁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1578A (zh) 2008-03-12
US20080064439A1 (en) 2008-03-13
EP1898388A2 (en)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3070A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수평 영상 유지방법
CN109246466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61902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EP0994408A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ndicator
JP7487293B2 (ja) 仮想カメラの動き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534959B (zh) 直播视频的处理方法及装置
US20080209321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JP5560257B2 (ja)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WO2022088765A1 (zh) 交互处理方法及计算机设备
CN109634688B (zh) 会话界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580148B1 (ko) 동작 인식을 통한 단말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272304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playing audio data,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11562874B (zh) 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4191642A (ja) 画像表示装置
US8200279B2 (en)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a key for broadcast channels
KR101480451B1 (ko) 가상 키보드 변환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변환방법
US9253307B2 (en) Mobile terminal receiving a television broadcast signal by calculating a best azimuth direction
CN111624630A (zh) 基于gnss的选星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3975781B2 (ja) 携帯端末装置
CN109688064B (zh)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9660663B (zh) 一种天线调整方法及移动终端
CN113099378B (zh) 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735665B1 (ko) 디지털 방송의 와이드 시청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CN115268817A (zh) 投屏内容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271010B (zh) 一种投影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