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062A -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3062A
KR20080023062A KR1020060087069A KR20060087069A KR20080023062A KR 20080023062 A KR20080023062 A KR 20080023062A KR 1020060087069 A KR1020060087069 A KR 1020060087069A KR 20060087069 A KR20060087069 A KR 20060087069A KR 20080023062 A KR20080023062 A KR 2008002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oad
load index
handoff
access n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앙첸
나성국
윤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3062A/ko
Publication of KR2008002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LAN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은 상기 단말에서,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보다 큰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보다 크면, 인접 접속노드들 중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가장 작은 인접 접속노드를 목표 접속노드로 선택하는 과정과; 그리고 선택된 목표 접속노드로 핸드오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WLAN 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에서는 단말이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전에 AP가 방송하는 비콘 프레임을 통해 인접 AP들의 트래픽 부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일반 동작 과정에서 수집된 트래픽 부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탐색 절차에 의한 핸드오프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무선랜(WLAN), 핸드오프(handoff), 탐색지연 (Probe Latency)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FAST HANDOFF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도 1은 종래의 WLAN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WLAN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한 메시지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1 WLAN 의 관리 프레임을 도시한 프레임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한 메시지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핸드오프 방법을 단말의 입장에서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핸드오프 방법을 AP의 입장에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WLAN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동작하는 IEEE 802.11 WLAN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접속노드(Access Point: AP)와 상기 접속노드에 연결된 다수의 단말들이 기본 서비스 세트 (Basic Service Set: BSS)를 구성한다. 상기 단말들은 랩탑(laptop) 컴퓨터나 통신 기능을 가지는 단말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AP는 상기 단말들과 유선망 사이에서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들은 AP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WLAN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두 개의 AP (110, 130)로 구성된다. 제1 및 제3 단말 (121, 122)은 각각 제1AP의 BSS1 및 제2AP (130)의 BSS2 의 멤버이며, 제2단말 (123)이 제1AP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동하여 제2 AP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단말 (123)은 제1AP (110)에서 제2AP (130)로의 핸드오프가 요구된다.
핸드오프 과정에서, 상기 제2단말(123)과 제1 AP(110)은 IEEE 802.11 관리 프레임을 주고받는다. 또한, 상기 핸드오프에 연루된 상기 제1AP(110)와 제2AP(130)도 상기 제2단말(123)에 관련된 컨택스트(context) 정보를 교환한다.
특히, 단말 밀집 환경에서는, 많은 단말들이 AP를 통해 서비스 받기를 원하게 된다. 실제로는, 시스템 성능(throughput)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개의 AP들 이 서로 조밀하게 배치되어 핫 스팟을 형성하고, 단말들의 트래픽을 공유한다. 그러나, 하나의 AP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된 수의 단말 만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단말들이 버스트(burst)하게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경우, AP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단말의 입장에서, 단말은 AP에 의해 강제로 연결 해제될 수 있으며, 인터넷 서비스 접속이 끊기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래픽을 상대적으로 부하가 적은 AP로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해 핸드오프가 요구된다.
도 2는 종래의 WLAN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일반적인 802.11 WLAN 매체접속제어계층 (MAC) 핸드오프는 AP와 단말간의 관리 프레임 교환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채널 스캐닝 단계이다. 단말은 AP로부터 방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수동적으로 청취하거나 특정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AP를 찾을 때 까지 채널을 스캔하기 위한 탐색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 을 전송한다(S201). 상기 탐색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P는 탐색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며 (S203), 이 과정에서 탐색 지연(Probe Latency)이 발생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인증(Authentication) 단계이다. 채널 스캐닝 과정에서 하나의 AP가 선택되면, 단말은 선택된 AP로 인증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S205), AP는 상기 단말에 대한 확인 수락 또는 거절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인증 응답 프레임 (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통해 단말에 알린다(S207).
세 번째 단계는 연결(Association) 단계이다. 상기 인증 단계에서 인증이 수락되면, 단말은 연결 요청 프레임 (Association Request frame)을 AP로 전송하고 (S209), 상기 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AP는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고, 동기를 맞춘 후 연결 응답 프레임 (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전송한다 (S211). 핸드오프 과정에서는 , 단말과 AP는 이전 AP에서 신규AP로의 메시지 정송과 관련되는 재연결 요청/응답 프레임을 교환한다.
일반적인 핸드오프 과정에서, 핸드오프 지연은 평균 343ms에 이르며, 이는 대부분의 IP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너무 긴 시간이다. 더욱이, 단말 밀집 환경에서는 트래픽 분산 (Load Balancing)한 핸드오프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는 단말의 성능 열화를 가져온다. 전체 핸드오프 지연 시간 중 탐색 지연이 9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스캔할 채널의 수를 줄이기 위해 선택적 채널 스캐닝 기법이 널이 이용되고 있다. 선택적 스캐닝 기법을 적용할 경운 핸드오프 지연은 평균 129ms까지 줄어든다. 그러나, 이 정도의 지연 감소는 끊김 없는 핸드오프를 위해서 충분하지 않은 수준이다.
케싱 메커니즘은 핸드오프 지연을 줄이기 위해 제안된 또 다른 기법이다. 케싱 메커니즘은 이웃 AP리스트를 관리함으로써 스캐닝 과정 없이 바로 인증 및 연결 단계를 수행한다. 인접 AP는 무작위로 선택된다. 그러나, 케싱 메커니즘의 경우에도, 케쉬에 적당한 AP 정보 가 있으면 지연은 불과 3초에 지나지 않지만 적당한 AP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선택적 채널 스캐닝과 동일한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채널 스캐닝과 선택적 채널 스캐닝을 기반으로 하는 핸드오프의 끊김 없는 핸드오프를 위한 만족스러운 핸드오프 지연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케싱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 핸드오프 지연 시간의 변동 폭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핸드오프 기법들은 끊김 없는 핸드오프를 보장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전에 AP가 방송하는 비콘 프레임을 통해 인접 AP들의 트래픽 부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일반 동작 과정에서 수집된 트래픽 부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탐색 절차에 의한 핸드오프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WLAN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고속 핸드오프 방법은 상기 단말이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보다 큰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보다 크면, 인접 접속노드들 중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가장 작은 인접 접속노드를 목표 접속노드로 선택하는 과정과; 그리고 선택된 목표 접속노드로 핸드오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비콘 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비콘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 (Frame Body) 필드를 통해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비콘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 (Frame Body) 필드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 파라미터를 통해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 파라미터는 상기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정보를 표시하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수학식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1
에 의해 산출되며, 여기서 TLI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2
는 패킷 송신 또는 수신에 걸린 시간, 그리고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3
는 통계를 위한 참조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에서 상기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이용하여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로부터 현재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국면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 근거리 통 신망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고속 핸드오프 방법은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비콘 프레임으로부터 시스템의 트래픽 부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는 비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 프레임 바디, 그리고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바디 필드는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표시하기위한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는 현재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수학식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4
에 의해 산출되며, 여기서 TLI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5
는 패킷 송신 또는 수신에 걸린 시간, 그리고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6
는 통계를 위한 참조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은 현재 접속노드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이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과정과; 현재 접속노드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이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보다 크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과정과; 핸드오프가 결정되면 상기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들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가지는 접속노드를 목표 접속노드로 선택하는 과정과; 그리고 선택된 목표 접속노드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트래픽 밀집 환경에서, AP들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단말들에 대해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백본 망을 통해 연결된다. 이들 AP들은 백본 망을 통해 상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AP는 타 AP들의 트래픽 부하 정보를 알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트래픽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트래픽 로드 인덱스 (Traffic Load Index: TLI)가 도입된다. 상기 TLI의 값은 1 에서 100 사이에 범위에서 결정된다. TLI 값이 클수록, AP의 트래픽 부하가 크다. TLI는 IEEE 802.11 WLAN의 관리 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1 WLAN 의 관리 프레임을 도시한 프레임 포맷이다.
도 3을 참조하며, IEEE 802.11 WLAN 의 관리 프레임은 MAC 헤더 (110), 프레임 바디 (120), 그리고 프레임 검사 순서(Frame Check Sequence: FCS)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MAC 헤더 (110)는 프레임 제어 필드, 구간 (duration) 필드, 목적지 주소 (Destination Address) 필드, 소스 주소 (Source Address) 필드, BSSID 필드, 그리고 시퀀스 제어 필드를 포함하다.
서로 다른 관리 프레임은 서로 다른 프레임 바디 포맷을 갖으며, 일반적으로 비콘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는 표 1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7
본 발명에서는, 트래픽 로드 인덱스 세트 (Traffic Load Index Set: TLIS) 파라미터가 비콘 프레임에 추가된다. TLIS 는 인접 단말들의 바쁜 정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TLIS는 여러 개의 TLI들로 구성되며 비콘 프레임에 의해 전송되기 때문에 단말들은 일반적인 동작 과정에서 인접 AP들의 부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연결중인 AP로부터 멀어지거나 연결중인 AP에 과부하가 걸려 핸드오프가 요구될 때, 단말은 어떤 신규 AP (가장 적은 부하를 받는 AP)에 대한 연결을 바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스캐닝에 의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며 케싱 메커니즘과 같은 핸드오프 지연시간의 편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 절차에서는 인증 (authentication) 및 연결 (association) 단계가 존재할 뿐 탐색 단계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핸드오프 과정에서 인증 지연과 연결 지연만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단말이 핸드오프를 시작하기 전에 비콘 프레임을 통해 수신되는 TLIS 를 기반으로 미리 연결할 AP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LAN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서, 상기 WLAN 시스템은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제1, 제2, 및 제3 AP들 (510, 520, 530)로 구성되며 다수의 단말들 (501 내지 509)이 상기 AP들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AP들 (510, 520, 530)은 각각 36, 45, 및 60의 TLI 값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단말들은 상기 AP들 (510, 520, 530)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신호 세기의 약화로 인해 핸드오프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오프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TLI의 임계치는 55이다.
예를 들어, 제3AP (530)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 504는 모든 AP들(510, 520, 530)로부터 방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504)이 핸드오프를 시작해야하는 시점에, 상기 단말 (504)은 제3AP에 의해 전송된 비콘 프레임을 통해 인접 AP들의 트래픽 부하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나타내는 TLI의 수는 망 디자인에 따른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비콘 프레임에 상기 세 AP들 (510, 520, 530)의 TLI가 포함된다.
상기 TLI는 패킷 전송시간을 이용하여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8
여기서,
Figure 112006065202128-PAT00009
는 패킷 송수신 시간이며,
Figure 112006065202128-PAT00010
는 통계를 위한 기준 시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핸드오프 방법을 단말의 입장에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현재 연결된 AP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여 (S601), 수신된 비콘 프레임으로부터 현재 AP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TLIcurrent)를 추출하고 (S601), 추출된 현재 AP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 (TLIcurrent)을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 (TLIthreshold) 값과 비교하여 현재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TLIcurrent)이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TLIthreshold) 보다 큰지 판단한 다(S605).
상기 비콘 프레임은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 (TLIS)를 포함하며 단말은 상기 TLIS로부터 인접 AP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TLI)를 알 수 있다.
만약 현재 AP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TLIcurrent)이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TLIthreshold) 보다 크면, 단말은 TLI 값이 가장 작은 AP를 탐색한다(S607). 상기 탐색 과정은 상기 비콘 프레임을 통해 수집한 인접 AP들의 TLI의 비교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탐색 과정을 통해 신규 AP가 선택되면 단말은 선택된 신규 AP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S609), 인증에 성공하면 재연결 절차를 수행한다(S611).
상기 인증 및 재연결 절차는 일반적인 IEEE 802.11 WLAN 의 인증 및 재연결 절차를 따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핸드오프 방법을 AP의 입장에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핸드오프 방법에서 AP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TLI를 계산하여 (S701)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703). 계속해서, AP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인접 AP들의 TLI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705), 자신의 TLI와 인접 AP들의 TLI 를 이용하여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 (TLIS)를 생성하여 비콘 프레임을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 (S707).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 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WLAN 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에서는 단말이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전에 AP가 방송하는 비콘 프레임을 통해 인접 AP들의 트래픽 부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일반 동작 과정에서 수집된 트래픽 부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탐색 절차에 의한 핸드오프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14)

  1.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보다 큰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보다 크면, 인접 접속노드들 중 트래픽 부하 인덱스가 가장 작은 인접 접속노드를 목표 접속노드로 선택하는 과정과; 그리고
    상기 선택된 목표 접속노드로 핸드오프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비콘 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비콘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 (Frame Body)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비콘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 (Frame Body) 필드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 파라미터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 파라미터는 상기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정보를 표시하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수학식
    Figure 112006065202128-PAT00011
    에 의해 산출되며, 여기서 TLI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
    Figure 112006065202128-PAT00012
    는 패킷 송신 또는 수신에 걸린 시간, 그리고
    Figure 112006065202128-PAT00013
    는 통계를 위한 참조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에서 상기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이용하여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로부터 현재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8.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비콘 프레임으로부터 시스템의 트래픽 부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는 비콘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 프레임 바디, 그리고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를 포함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 필드는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표시하기위한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 세트는 현재 접속노드와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인덱스는 수학식
    Figure 112006065202128-PAT00014
    에 의해 산출되며, 여기서 TLI는 트래픽 부하 인덱스,
    Figure 112006065202128-PAT00015
    는 패킷 송신 또는 수신에 걸린 시간, 그리고
    Figure 112006065202128-PAT00016
    는 통계를 위한 참조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은:
    현재 접속노드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이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과정과;
    현재 접속노드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이 임계 트래픽 부하 인덱스 값보다 크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과정과;
    핸드오프가 결정되면, 상기 인접 접속노드들의 트래픽 부하 인덱스들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트래픽 부하 인덱스를 가지는 접속노드를 목표 접속노드로 선택하는 과정과; 그리고
    선택된 목표 접속노드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속 핸드오프 방법.
  14.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현재 연결된 접속노드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비콘 프레임으로부터 시스템의 트래픽 부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트래픽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핸드오프 수행부을 포함하는 고속 핸드오프 장치.
KR1020060087069A 2006-09-08 2006-09-08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KR20080023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69A KR20080023062A (ko) 2006-09-08 2006-09-08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69A KR20080023062A (ko) 2006-09-08 2006-09-08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62A true KR20080023062A (ko) 2008-03-12

Family

ID=3939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069A KR20080023062A (ko) 2006-09-08 2006-09-08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30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36B1 (ko) * 2009-04-15 2011-02-2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력 소비 최소화를 위한 무선랜 검색 방법 및 장치
WO2012065493A1 (en) * 2010-11-18 2012-05-24 Hangzhou H3C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n air interface condition of a wl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36B1 (ko) * 2009-04-15 2011-02-21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전력 소비 최소화를 위한 무선랜 검색 방법 및 장치
WO2012065493A1 (en) * 2010-11-18 2012-05-24 Hangzhou H3C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n air interface condition of a wl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9164C (en) Methods for handing over calls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ssimilar air interfaces
US802731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that implement handoff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4579251B2 (ja) 活動セルのものより所定値高いリンク性能を持つセルへの、ピアツーピア通信モードのユーザ装置のためのハンドオーバを実行する方法、ユーザ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
US8885500B2 (en) Interface setup for communications network with femtocells
JP5550889B2 (ja) チャネル品質を決定する方法
US844730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 gateway having plural user plane AGWs
KR101370909B1 (ko) 핸드오버시 신속한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
US10993271B2 (en) UE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20070002811A1 (en)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provision of beacon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KR20050101692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US9277456B2 (en) Gateway device for handling UE context and a method thereof
JPWO2005025253A1 (ja)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基地局制御装置
WO2006016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frequency reuse
KR20100059800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향상된 이웃 정보 갱신
KR2014009663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셀 내의 무선랜 망의 검색 및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159861B1 (ko) 후보 액세스 라우터 캐퍼빌러티 탐색 방법
Xenakis et al. ANDSF-Assisted vertical handover decisions in the IEEE 802.11/LTE-Advanced network
KR20080023062A (ko)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WO2019111317A1 (ja)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EP2744293A1 (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node, and a method of data transmission
Saravanan et al. Avoiding Unbeneficial Handoff and Reducing Handoff Latency in Wlans Based on Network Condition
KR200601153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 메시지를 이용한주파수간 메저먼트 결과의 보고 방법 및 장치
Singh et al. IAPP Modifications for a Location based Fast hand off Technique in wireles networks
KR20050080329A (ko) 무선랜 기반의 고속 핸드오프 운용 방법
KR20060031864A (ko) 핸드오버 방법 및 기지국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