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757A -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757A
KR20080022757A KR1020060086324A KR20060086324A KR20080022757A KR 20080022757 A KR20080022757 A KR 20080022757A KR 1020060086324 A KR1020060086324 A KR 1020060086324A KR 20060086324 A KR20060086324 A KR 20060086324A KR 20080022757 A KR20080022757 A KR 2008002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current time
information
broadcas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2757A/ko
Priority to US11/896,937 priority patent/US20080066142A1/en
Priority to CA002600327A priority patent/CA2600327A1/en
Priority to CNA2007101493542A priority patent/CN101141582A/zh
Publication of KR2008002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와 대응하여 현재 이벤트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digital broadcasting signal)는, 상기 방송 신호는 각각 특정 목적을 가진 다수 개의 테이블(table)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테이블에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event)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EIT(event information table) 상의 프로그램 정보의 이벤트 정보와 실제 방송되는 이벤트 정보가 상이하여도 현재 시각에 실제 방송되는 이벤트(event)가 무엇이지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약 녹화, 예약 시청 및 방송 등급에 따른 시청 금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방송, EIT, STT, TVCT, 이벤트 디스크립터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ignal}
도 1은 실제 시간과 어긋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STT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현재 정확한 이벤트를 찾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벤트 디스크립터 내 이벤트 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 버전 넘버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구비한 TVCT 섹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7a와 7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순서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1; 디지털 방송 수신기 802; 튜너부
803; 복조부 804; 역다중화부
805; Audio/Video 디코더 806; 디스플레이부
807; PSI/PSIP 데이터베이스 808; PSI/PSIP 디코더
809; 채널 매니저 810; 채널 맵
811;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812; 플래시 메모리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디지털 방송을 함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program)의 시간 정보와 대응하여 현재 이벤트를 알려주는 것에 관한 것이다.
공중파 및 케이블(terrestrial & cable)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의 디지털 방송 규격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는 채널 튜닝(channel tuning)과 방송 스케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PSIP은 다중화(multiplexed)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들(packets) 내에 포함되는 테이블들(tables)의 전송에 관한 표준 프로토콜(standard protocol)이다.
상기 PSIP 테이블에는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가 시청하는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VCT(virtual channel table), EPG(electronics program guide)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과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STT(system time table) 등이 있다.
상기 EIT는 정의된 가상 채널들 상에서 이벤트(event)들을 위한 타이틀(title)과 시작 시각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라 함은 전형적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EIT는 시간 순서에 의한 인덱스(index)로 서로 구분하여 EIT-k로 표시되고, 상기 k는 0 내지 127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각 EIT는 3시간 단위의 정보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각 EIT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상기 EIT 내 이벤트라는 프로그램 정보 즉, 상기 프로그램 정보 내 포함된 해당 프로그램의 제목, 상영 등급, 해당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 지속 시간, 캡션 정보의 유무 등을 통하여 현재 및(또는) 미래에 시작될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EIT 내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과 지속 시간의 경우 방송사 등의 사정에 의해 도 1과 같이 유동적으로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수신 측에서 정확한 프로세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VR(personal video recorder)의 경우, 미래에 시작될 프로그램을 상 기 프로그램 정보에 속한 시작 시각을 토대로 예약 녹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PVR의 경우에도 방송사 등의 사정에 의해 도 1과 같이 유동적으로 변화가 일어가 일어날 경우에는 수신측에서 정확한 프로세싱이 되지 않아 프로그램의 시작 일부가 녹화되지 않거나 불필요한 부분이 녹화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와 대응하여 현재 이벤트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digital broadcasting signal)의 일 예는, 상기 방송 신호는 각각 특정 목적을 가진 다수 개의 테이블(table)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테이블에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event)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채널(channel)에 속한 모든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에 대한 현재 이벤트를 정의하는 제 1필드(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필드는 현재 이벤트에 대한 event_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채널에 속한 모든 가상 채널을 정의하는 제 2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필드는 각 가상 채널에 대한 source_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 1필드에서 정의하는 현재 이벤트의 종류(type)를 정의하는 제 3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재 이벤트의 종류는 프로그램(program) 또는 광고(advertisement)인지 구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테이블은 STT(system time table)와 VCT(virtual channel tabl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테이블의 디스크립터 형태로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는,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요청에 따라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추출되는 현재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출력되는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 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각에 애플리케이션 수행 요청이 있으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특정 테이블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역다중화부; 및 상기 필터링되어 수신되는 테이블 섹션과 상기 섹션 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파싱하는 파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는,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과정 후 다시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의 버전 넘버의 변경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버전 넘버의 변경이 있으면,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 된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버전 넘버의 변경이 없으면, 기출력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재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와 대응하여 현재 이벤트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EIT(event information table)를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 정보(program information)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관련하여 현재 시각에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려줄 수 있는 정보를 정의함으로써 여러 가지 방송 환경의 변화에 의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의 변경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방송 신호에 현재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재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나타내는 정보는 새롭게 테이블을 만들어 방송 신호에 포함하거나 기정의된 테이블에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기정의된 테이블에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테이블의 리저브(reserved) 영역을 이용할 수도 있고, 확장을 위해 구비된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나,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기정의된 테이블의 디스크립터를 이용하는 것을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현재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나타내는 정보는 이벤트 디스크립터(event descriptor)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상기 기정의된 테이블은 PSIP의 다수 개의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STT(system time table)와 VCT(virtual channel table)를 이용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STT 내에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STT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상기 STT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TT는 방송국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전달해주는 테이블로서, 일반적으로 1초 이내의 매우 짧은 주기로 해당 테이블이 전달되는 순간이 바로 테이블의 시간이 적용되는 실시간적인 기능을 가지며, 현재 시각에 대한 정보를 계속하여 전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TT는 현재 시각과 일광 시간제를 위한 정보가 전달되고, 이의 확장을 위해 디스크립터를 둘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TT에서 구비하고 있는 디스크립터의 하나로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정의하고자 한다.
상기 STT 섹션의 구조와 관련하여, PSIP에는 각각 특정 목적을 가진 테이블들(tables)이 정의되며, 상기 테이블들은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의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에 정의된 테이블들과 유사한 섹션(section)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각 테이블은 전송을 위하여 섹션의 구조로 구성이 되며, 그 종류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섹션은 섹션을 선별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테이블과 섹션의 기본적인 정보가 포함되는 헤더(header), 테이블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바디(body)와 오류 정정을 위한 정보가 포함되는 트레일러(trailer)로 구분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STT 섹션을 설명함에 있어서, "table_id" 필드에서 "protocol_version" 필드까지인 헤더, "system_time" 필드에서 "descriptor" 필드까지인 바디와 "CRC_32"필드로 구성되는 트레일러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를 순서대로 살펴보면 먼저, 헤더에서 "table_id" 필드는 '0xCD'로 설정된 8비트 필드로서, 해당 테이블이 STT임을 확인한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1'로 설정된 1비트 필드로서, 상기 '1' 은 상기 섹션이 일반적인 섹션 신택스를 따름을 나타낸다.
"private_indicator" 필드는 '1'로 설정된 1비트 필드이다.
"section_length" 필드는 12비트 필드로서, "section_length" 필드 바로 다음에서부터 상기 섹션의 마지막까지 이 섹션에 남아 있는 바이트들의 수를 상술한다. 상기 "section_length" 필드의 값은 '1021' 보다 클 수 없다.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0x000'으로 설정된 16비트 필드이다.
"version_number" 필드는 5비트 필드로서,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1비트의 지시자로서, STT 섹션에서는 '1'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1'은 전송된 STT 섹션은 현재 적용 가능함을 나타낸다.
"section_number" 필드는 8비트 필드로서, 그 값은 '0x00'을 가질 수 있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8비트 필드로서, 그 값은 '0x00'을 가질 수 있다.
"protocol_version" 필드는 8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 필드로서, 현재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것보다 다르게 구조화된 파라미터들을 전달하는 이 테이블 타입의 허락하는 함수이다.
다음으로, 바디 부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ystem_time" 필드는 32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 양으로, 1980년 1월 6일 00:00:00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때부터 GPS 초(global positioning system seconds)의 수로서 현재 시스템 시간(current system time)을 나타낸다.
"GPS_UTC_offset" 필드는 8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로, GPS와 UTC 표준 사이의 현재 오프셋(current offset)을 정의한다.
"daylight_savings" 필드는 'Daylight Savings Time Control' 바이트를 나타낸다.
"descriptor" 필드는 루프 구조 내에서 없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립터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레일러 부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RC_32" 필드는 32비트 필드로서, 전체 STT 섹션을 프로세싱한 후 MPEG 2 시스템에 정의된 디코더(decoder)의 레지스터(register)들로부터 제로 출력(zero output)을 보장(ensure)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값을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STT 섹션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기 STT 섹션에 EIT 내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와 관련하여 현재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이벤트 디스크립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디스크립터의 기본적인 정보인 "descriptor_tag" 필드와 "descriptor_length" 필드, 실제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 보정을 위한 정보로서 "number_sources" 필드와 각 소스의 수에 따른 루프 구조의 정보들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구성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 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본 명세서를 걸쳐 제시되는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각 소스의 수에 따른 루프 구조의 정보들에 대해 살펴보면, 도 3a와 3b와 같다.
도 3a의 경우에는 상기 STT 섹션 내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source_id", "event_i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source_id" 필드는 해당 채널에 속한 모든 가상 채널의 source id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event_id" 필드는 상기 각 source id의 현재 이벤트를 나타내는 event id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TT 섹션의 디스크립터로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면, 계속적이고 반복적인 STT 섹션이 수신되는 경우마다 수신기에서는 상기 STT 섹션에 포함된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파싱하여 현재 시각에 각 가상 채널에서의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도 3b의 경우에는 상기 STT 섹션 내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source_id", "event_id"와 "event_type" 필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source_id"와 "event_id" 필드는 상술한 도 3a의 경우와 동일한바 이를 원용한다.
상기 "event_type" 필드는 해당 채널에 속한 모든 가상 채널의 이벤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해당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vent_type" 필드가 "0x01"이면 해당 가상 채널의 현재 이벤트의 종류는 방송 프로그램임을, "0x02"이면 해당 가상 채널의 현재 이벤트의 종류는 광고(advertisement)임을 나타내고, "0x03~0xFF"는 향후 사용을 위해 보류(reserved) 한다.
따라서, 상기 STT 섹션이 수신되는 경우마다 수신기는 현재 시각에 각 가상 채널에서의 이벤트가 무엇인지 뿐만 아니라 상기 이벤트의 종류가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상술한 도 3a와 3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STT 섹션에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구비함으로써, EIT의 이벤트 즉,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에 의존함에 비해 더욱 정확한 타이밍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STT 섹션 내에 구비된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에 이벤트를 나타내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현재 정확한 이벤트를 찾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중앙의 시간 흐름 축은 시간의 흐름이 좌에서 우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EIT 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시간 흐름 축의 위에 표시된 각 이벤트는 EV 1 내지 EV 3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시간 흐름 축의 아래에 표시된 실제 방송되는 프로그램 또는 이벤트는 상기 EIT 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에 따라 표시한 EV 1 내지 EV 3와 시간적으로 어긋나 있다. 즉, EIT 상의 시간 정보에 비해 실제 방송된 프로그램은 시간적으로 후에 방송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EIT 상의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정보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바, 이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STT 섹션에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구비하고, 이를 파싱함으로써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려주면 종래에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수신기에서는 EIT 상의 프로그램 정보의 시간 정보가 아닌 본 발명에 따라 STT 섹션에 구비된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매 STT가 수신되는 경우마다 파싱(parsing)하여 이를 기준으로 현재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판단하고, 이를 기준으로 PVR과 같은 녹화를 하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STT 섹션 헤더 부분의 "version_number" 필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벤트 디스크립터 내 이벤트 정보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 버전 넘버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주지적으로 전달되는 STT 섹션은 방송국에서 계속하여 전달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해당 STT 섹션의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EIT 내 이벤트 정보는 기본적으로 세 시간 단위의 정보로서, 비교적 짧은 주기로 계속 전송되는 상기 STT 섹션이 수신되는 경우마다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이벤트 정보는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만약 다수 개의 STT 섹션이 전달된다고 할 때, 매 수신되는 STT 섹션의 이벤트 디스크립터가 지시하는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 정보가 상이하기보단 특정 시점에서 이벤트 정보가 변경되기까지는 동일한 이벤트를 지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STT 섹션에 포함하는 경우에 STT 섹션에 포함된 "version_number" 필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STT 섹션 헤더에 위치한 "version_number" 필드는 해당 섹션에 기정의된 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 그 버전 넘버를 업데이트(update) 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STT 섹션에 구비되는 이벤트 디스크립터가 지시하는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 정보의 변경(예를 들어, EV 1--> EV 2)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버전 넘버를 업데이트하고, 수신기에서는 상기 버전 넘버의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에만 섹션 내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파싱(parsing)하면, STT 섹션이 수신될 때마다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파싱하지 않게 되고 성능의 저하도 없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기에서는 수신되는 STT 섹션 내 버전 넘버를 이용하여 섹션 필터링함으로써 동일한 버전 넘버를 가진 섹션에서는 STT 섹션은 파싱하여 현재 시각을 반영하나 상기 섹션에 구비된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파싱하지 않아도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STT 섹션에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 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 예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실려오는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을 위한 속성 리스트(attribute list)를 포함하는 VCT 섹션에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구비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 상기 VCT에는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와 CVCT(cable virtual channel table)가 있는바, 상기 TVCT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구비한 TVCT 섹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도 2와 같이 헤더, 바디와 트레일러로 구분하여 설명하되, 각 부분에서 도 2의 설명과 상이한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 2의 설명을 원용하거나 유추 적용한다.
헤더 부분은 상술한 도 2와 같이 "table_id" 필드에서 "protocol_version" 필드까지이며,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16비트 필드로서, 다중화(multiplex)를 위해 '0'의 PID 값에 의해 정의되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내의 MPEG 2 전송 스트림 ID를 나타낸다.
바디 부분은 "num_channels_in_section" 필드는 8비트 필드로서, VCT 섹션 내의 가상 채널(virtual channel)들의 수를 상술한다. 상기 수는 섹션 길이(section length)에 의해 제한(limited)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num_channels_in_section" 필드에서 정의되는 각 가상 채널에 대해 후술하는 루프 구조의 필드 정보가 추가된다.
"short_name" 필드는 1에서 7까지 연속된 16비트의 코드값으로 상기 가상 채 널의 이름(name)을 표현한다.
"major_channel_number" 필드는 10비트의 수로 가상 채널과 연관된 메이저 채널 넘버(major channel number)를 표현한다.
"minor_channel_number" 필드는 0에서 999까지 10비트의 수로 마이너(minor) 또는 서브(sub-) 채널 넘버를 표현한다.
"modulation_mode" 필드는 8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로, 상기 가상 채널과 연관된 전송된 캐리어(carrier)를 위한 변조 모드(modulation mode)를 지시한다.
"carrier_frequnecy" 필드는 32비트 중 추천된 값은 '0'이며, 채널에 대응하는 전송 주파수를 알려준다.
"channel_TSID" 필드는 '0x0000'에서 '0xFFFF' 범위를 가지는 16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 필드로서, 가상 채널에 의해 참조되는 MPEG-2 프로그램을 싣고 있는 전송 스트림과 연관된 MPEG-2 전송 스트림 ID를 표현한다.
"program_number" 필드는 MPEG-2 PAT(program association table)과 TS PMT(program map table)에 정의되는 가상 채널과 연관되는 것으로 16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를 가진다.
"ETM_location" 필드는 2비트 필드로서, ETM(extended text message)의 존재(existence) 유무와 위치(location)를 상술한다.
"access_controlled" 필드는 1비트의 대수 플래그로서, 설정시에 가상 채널과 연관된 이벤트들은 액세스(acces)가 제어됨을 지시한다. 상기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면, 이벤트 액세스는 제한되지 않는다.
"hidden" 필드는 1비트 대수 플래그로서, 설정시에 가상 채널은 가상 채널 넘버의 직접 엔트리에 의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음을 지시한다.
"hidden_guide" 필드는 대수 플래그로서, 히든 채널(hidden channel)을 위해 '0'으로 설정시에 가상 채널과 그 이벤트들은 epg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짐을 지시한다.
"serviec_type" 필드는 6비트의 열거된 타입 필드로서, 가상 채널에 실려오는 서비스의 타입을 나타낸다.
"source_id" 필드는 16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로서, 가상 채널과 연관된 프로그래밍 소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술한 도 3a와 3b의 STT에서는 source id를 정의하였으나, TVCT의 경우에는 여기에서 source id를 정의하고 있으므로 별도로 정의할 필요없이 상기 필드 정보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descriptors_length" 필드는 뒤따르는 가상 채널을 위한 디스크립터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descriptors_length" 필드의 길이에 따른 루프 구조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가 포함되는 디스크립터 필드가 있다.
상기 "num_channels_in_section" 필드의 루프 구조 외에 바디 부분으로써, "additional_descriptors_length" 필드는 뒤따르는 VCT 디스크립터 목록의 전체의 길이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트레일러 부분은 상술한 도 2의 설명을 원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TVCT 섹션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도 7a와 7b에 대한 설명 중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 4a와 4b의 설명을 원용한다.
그러나, 도 7a와 7b의 경우에는 상술한 도 4a와 4b와 달리 상술한 바와 같이 TVCT 섹션 내에 해당 채널에 속한 모든 가상 채널을 나타내는 "source_id" 필드가 도 6과 같이 정의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 내에 별도로 정의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도 7a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에는 상기 각 가상 채널에 해당하는 모든 이벤트에 대한 event id만을 정의하였고, 도 7b의 경우에는 상기 도 7a에 각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PSIP 내 특정 테이블에 포함함으로써, 여러 가지 변수로 인해 EIT 내의 프로그램 정보와 시간적인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수신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파싱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TVCT 섹션의 경우에도 각 섹션에 전송되는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항상 파싱할 필요가 없이 해당 섹션의 버전 넘버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만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파싱하여 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801)는 파싱된 EIT 내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특정 테이블 내에 포함된 이벤트 디스크립터가 저장되어 있는 PSI/PSIP 데이터베이스(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807)와 채널 매니저(channel manager)(80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801)는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 등이 될 수 있다.
튜너부(tuner, 802)는 PSI/PSIP 테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수신되는 PSI/PSIP 테이블은 본 발명에 따라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튜너부(802)의 동작은 채널 매니저(80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너부(802)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결과를 상기 채널 매니저(809)에 기록해 둔다.
복조부(demodulator, 803)는 상기 튜너부(802)에서 튜닝(tunning)된 신호를 수신하여 VSB/EVSB(vestigal side band/enhanced vestigal side band)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역다중화부(demultiplexer, 804)는 상기 복조부(803)에서 복조 되어 수신되는 전송 패킷들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 PSI/PSIP 테이블 데이터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한다.
이때, PSI/PSIP 테이블 데이터에 대한 역다중화는 PSI/PSIP 디코더(808)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오디오와 비디오에 대한 역다중화는 채널 매니저(80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역다중화부(804)는 상기 PSI/PSIP 디코더(808)에서 원하는 테이블에 대한 PID를 조건으로 설정하면, 상기 전송 패킷들로부터 상기 PID를 만족하는 PSI/PSIP 테이블의 섹션들을 만들어 상기 PSI/PSIP 디코더(808)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804)는 채널 매니저(809)에 의해 해당 가상 채널의 A/V PID가 조건으로 설정되면 A/V 기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A/V 디코더(805)로 전송한다.
PSI/PSIP 디코더(808)는 PSI/PSIP 테이블 섹션(section)을 파싱하고, 상기 역다중화부(804)의 섹션 필터링에서 하지 못한 나머지 액츄얼 섹션 데이터(actual section data) 부분을 모두 읽어서 PSI/PSIP 데이터 베이스(807)에 기록한다.
채널 매니저(809)는 채널 맵(810) 을 참조하여, 채널 관련 정보 테이블에 대한 수신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SI/PSIP 디코더(808)는 상기 채널 관련 정보 테이블을 역다중화(demuxing) 제어하여, A/V PID(Packet IDentifier) 리스트를 상기 채널 매니저(809)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 매니저(809)는 수신된 A/V PID를 이용하여 상기 역다중화부(804)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A/V 디코더(805)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제어부(811)는 수신기 시스템의 상태를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채널 매니저(809)는 상기 PSI/PSIP 데이터베이스(807)로 현재 이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PSI/PSIP 데이터베이스(807)는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이벤트 디스크립터에서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PSI/PSIP 데이터베이스(807)는 상기 조회를 통해 알게된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가진 이벤트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이벤트를 상기 채널 매니저(809)로 리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SI/PSIP 데이터베이스(807)가 현재 이벤트 아이디와 그 아이디를 가진 이벤트를 조회하여 그 결과를 리턴함으로써, 채널 매니저(809)는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채널 매니저(809)는 상기 리턴된 값을 이용하여 다음 단계의 동작을 매니지먼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섹션 필터링과 관련하여, 역다중화부(804)는 PID(packet identifier), 테이블 아이디(table_id), 버전 넘버(version_number), 섹션 넘버(section_number), 테이블 아이디 익스텐션(table_id_extension) 등을 이용하여, 방송국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테이블의 헤더(header)를 검사(check)할 수 있다.
즉, 상기 역다중화부(8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더를 이용하여 원하는 테이블을 제외하고 중복되거나 새로운 테이블이 아닌 경우에는 필터링(filtering) 할 수 있다.
그리고 PSI/PSIP 디코더(808)는 상기 필터링되어 수신되는 특정 테이블을 파싱하여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 싱된 정보를 PSI/PSIP 데이터 베이스(807)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06)는 상기 PSI/PSIP 데이터 베이스(807)에 저장된 이벤트 디스크립터(event descriptor)를 애플리케이션 제어부(811)의 제어를 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내에서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순서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901).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고,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한다(S902).
상기 추출된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S903).
이때, 상기 S902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함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인지 요청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903 과정을 통해 현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 후에 다시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의 버전 넘버의 변경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단 결과 버전 넘버의 변경이 있으면,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버전 넘버의 변경이 없으면, 기출력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재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EIT 상의 프로그램 정보의 이벤트 정보와 실제 방송되는 이벤트 정보가 상이하여도 현재 시각에 실제 방송되는 이벤트가 무엇이지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약 녹화, 예약 시청 및 방송 등급에 따른 시청 금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각각 특정 목적을 가진 다수 개의 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테이블에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채널에 속한 모든 가상 채널에 대한 현재 이벤트를 정의하는 제 1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드는 현재 이벤트에 대한 event_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채널에 속한 모든 가상 채널을 정의하는 제 2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드는 각 가상 채널에 대한 source_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 1 필드에서 정의하는 현재 이벤트의 종류를 정의하는 제 3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이벤트의 종류는 프로그램 또는 광고인지 구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테이블은 STT와 VC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테이블의 디스크립터 형태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10.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요청에 따라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추출되는 현재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출력되는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 한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각에 애플리케이션 수행 요청이 있으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디지털 방송 신호 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특정 테이블을 필터링하는 역다중화부; 및
    상기 필터링되어 수신되는 테이블 섹션과 상기 섹션 내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파싱하는 파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6.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 후 다시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테이블의 버전 넘버의 변경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버전 넘버의 변경이 있으면, 상기 현재 시각에 방송되는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이벤트 아이디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이벤트 아이디와 일치하는 기저장된 EIT 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버전 넘버의 변경이 없으면, 기출력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재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86324A 2006-09-07 2006-09-0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22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324A KR20080022757A (ko) 2006-09-07 2006-09-0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11/896,937 US20080066142A1 (en) 2006-09-07 2007-09-06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CA002600327A CA2600327A1 (en) 2006-09-07 2007-09-06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CNA2007101493542A CN101141582A (zh) 2006-09-07 2007-09-07 数字电视接收器和用于处理数字电视信号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324A KR20080022757A (ko) 2006-09-07 2006-09-0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757A true KR20080022757A (ko) 2008-03-12

Family

ID=3915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324A KR20080022757A (ko) 2006-09-07 2006-09-0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66142A1 (ko)
KR (1) KR20080022757A (ko)
CN (1) CN101141582A (ko)
CA (1) CA26003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678A (ko) * 2015-03-02 2017-11-0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20170125081A (ko) * 2015-03-02 2017-11-1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7823B (zh) * 2008-12-18 2017-03-08 Lg电子株式会社 用于显示立体图像的数字广播接收方法及使用该方法的数字广播接收装置
EP3026902A4 (en) * 2013-09-16 201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64662A4 (en) * 2015-10-15 2018-10-31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8063954B (zh) * 2017-12-25 2020-09-2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节目中广告时间的处理方法、装置及智能电视
CN111131881B (zh) * 2019-12-30 2022-09-02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Pvr录制方法、智能电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9526B1 (en) * 1998-07-13 2003-03-04 Thomson Licensing S.A. System for processing programs and program content rating information derived from multiple broadcast source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678A (ko) * 2015-03-02 2017-11-0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20170125081A (ko) * 2015-03-02 2017-11-1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US10194196B2 (en) 2015-03-02 2019-01-29 Nec Corporation Decoding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deco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decoding program stored therein
KR20190077129A (ko) * 2015-03-02 2019-07-0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20190077608A (ko) * 2015-03-02 2019-07-0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20190125542A (ko) * 2015-03-02 2019-11-0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20190125543A (ko) * 2015-03-02 2019-11-0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디코딩 장치, 수신기기, 송신기기, 송수신 시스템,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US10491944B2 (en) 2015-03-02 2019-11-26 Nec Corporation Decoding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deco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decoding program stored therein
US10631037B2 (en) 2015-03-02 2020-04-21 Nec Corporation Decoding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deco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decoding program stored therein
US11128911B2 (en) 2015-03-02 2021-09-21 Nec Corporation Decoding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deco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decoding program stor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66142A1 (en) 2008-03-13
CN101141582A (zh) 2008-03-12
CA2600327A1 (en)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4560A1 (en) Virtual channel table for a broadcast protocol and method of broadcas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ing the same
KR20080022757A (ko)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7647608B2 (en) Digital broadcast signal,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KR20120107077A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US20070256098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CN101083743B (zh) 处理广播信号的数字电视接收机和方法
US20040163110A1 (en) Method of controlling ETT information display on electronic program guide screen of digital television
US20070283408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CN101072310B (zh) 数字电视接收机和处理广播信号的方法
KR101227499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70283383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KR20070052169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신호 및 psip테이블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20070258589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KR101285380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22015A (ko)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10122749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53589A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 및 테이블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092443B1 (ko)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6760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예약녹화 방법
KR100641449B1 (ko) 디지털티브이의 프로그램가이드 표시방법
KR20070016051A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 있어서 방송 신호 및 psip테이블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20070252740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KR20080068456A (ko)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