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500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500A
KR20080022500A KR1020070085077A KR20070085077A KR20080022500A KR 20080022500 A KR20080022500 A KR 20080022500A KR 1020070085077 A KR1020070085077 A KR 1020070085077A KR 20070085077 A KR20070085077 A KR 20070085077A KR 20080022500 A KR20080022500 A KR 20080022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bms
service
radio resource
program code
resour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2629B1 (ko
Inventor
리차드 리-치 쿠오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2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장치가 시스템 리소스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장치가 전용 무선리소스제어상태로 진입할 때, 만약 사용자장치에서 MBMS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MBMS 메시지 회신을 취소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reporting MBMS service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의 사용자장치에 존재하는 선택된 MBMS 정보(MBMS selected service)를 회신하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장치가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의 무선액세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효율, 거리에 상관없는 커버율 및 고품질,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종 상이한 QoS 서비스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탄력성을 구비한 다양화된 양방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비교적 우수한 통신 품질을 제공하여, 통신 중단률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 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 제정한 통신 규범에서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를 제공하고 있다. MBMS는 일대다 데이터 전송 서비스로서, 원래의 범용이동통신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의 네트워크 구조 상에 구축되어,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을 매개로 단일한 데이터소스가 동시에 동일한 서비스를 다수의 사용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에서 제정한 통신 프로토콜 규범에 따르면, MBMS는 MBMS 전송 모드(MBMS Broadcast/Multicast Delivery Mode)를 지원한다. 사용자장치가 MBMS를 사용하고자 할 때, 먼저 MBMS 센터에 구매를 하여 양자 사이의 서비스 협의(Service Agreement)를 구축해야 한다. 각각의 서비스모드는 각기 다른 서비스 협의 단계(Service Provision Phase)를 제공하는데, 그 중 브로드캐스트 전송 모드의 서비스 협의 단계는 서비스 고시(Service announcement), 시작(Session Start), MBMS 통보(MBMS notification), 데이터 전송(Data Transfer) 및 정지(Session Stop)를 포함한다. 그리고 멀티캐스트 전송모드의 서비스 협의 단계는 예약(Subscription), 서비스 고시(Service announcement), 가입(Joining), 시작(Session Start), MBMS 통보(MBMS notification), 데이터 전송(Data Transfer), 정지(Session Stop) 및 탈퇴(Leaving)를 포함한다. 멀티캐스트모드에는 주문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장치 전용으로 설계된 가입 및 탈퇴의 두 단계가 추가되었는데, 그 중에서 사용자장치가 가입 단계로 진입하였을 때 시스템은 사용자장치에 대하여 인증과 사용료 계산 등의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협의 단계는 본 분야에 잘 알려져 있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알고 있듯이, 무선리소스 제어 측면에서 보면 모든 "로직 상"의 데이터 전송 교환 채널은 그것이 사용자의 데이터전송 교환용으로 사용되든지 아니면 무선리소스 제어층의 제어신호전송 교환용으로 사용되든지 모두 「무선 베어러」(Radio Bearer,RB)의 개념으로 정의된다. 소위 무선 베어러의 의미는 사용자장치에 하나의 일방 혹은 한 쌍의 상, 하행 로직 데이터 전송 교환 채널이 포함되고, 네트워크 터미널에는 하나의 일방 혹은 한 쌍의 상, 하행 로직 데이터 전송 교환 채널이 포함된다는데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UTRAN)은 무선베어러의 발송을 통하여 MBMS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자장치로 전송하고, 사용자장치는 무선베어러를 방출하여 MBMS 수신을 중지하게 된다.
MBMS에는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두 가지 타입이 있다(Broadcase/Multicast Service Type). 일반적으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사용료가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자장치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할 때, 가입(Joining) 서비스 협의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은 브로드캐스트 전송모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대다 무선베어러를 통하여 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해서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은 사용료 상황을 보아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전송 모드의 사용을 결정하게 된다. 멀티캐스트 전송모드에서는 사용자장치가 서비스 협의에 가입하여 사용료 계산 기능을 실 행하지만, 브로드캐스트 전송모드의 경우 사용자장치는 서비스협의 가입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다. 이어서,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은 카운팅 절차(Counting Procedure)를 통하여 MBMS 수신이 가능한 사용자장치 수를 파악하여 일대일 또는 일대다 무선베어러 사용을 결정함으로써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현행 프로토콜 중 이동 TV 기능의 응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는 무선리소스제어층에 MBMS 선택 서비스(MBMS Selected Services)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MBMS 활성화 서비스(MBMS_ACTIVATED_SERVICES) 변수에 포함되는 브로드캐스트의 서브 서비스 그룹으로서,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의 어느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이미 사용자장치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알리기 위한 것이다. 그 중 MBMS 활성화 서비스 변수는 사용자장치에 저장되어, 활성화 서비스 리스트(Activated Service List) 및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등과 같이 사용자장치가 이미 가입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관심을 가지고 있는 브로드캐스트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선택된 MBMS 선택 서비스를 통하여,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은 사용자장치의 요구에 대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시작시간 또는 프로그램 길이 등과 같은 특정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장치에게 통보한다. 종래에는 무선리소스제어상태를 근거로, 무선리소스제어층이 하나의 짧은 MBMS 선택 서비스(MBMS Selected Services Short) 정보요소 및 하나의 긴 MBMS 선택 서비스(MBMS Selected Services Long) 정보요소를 다른 무선리소스제어 메시지에 실어 보냄과 아울러, 무선리소스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무선리소스제어 메시지를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로 회신한다. 그 중 짧은 MBMS 선택 서비스 정보요소는 간단한 선택 서비스 정보만을 가리키고, 긴 MBMS 선택 서비스 정보요소는 필요한 모든 선택 서비스 정보를 가리킨다.
무선리소스제어 프로토콜에서, 무선리소스제어상태는 비연결 및 연결모드로 분류할 수 있는데, 비연결모드는 유휴(Idle) 상태를 포함하고, 연결모드는 셀 호출(CELL_PCH), 무선등록구역호출(URA_PCH), 셀 순방향접속(CELL_FACH) 및 셀 전용(CELL_DCH) 상태를 포함한다. 사용자장치가 유휴 상태로부터 무선리소스제어 연결모드로 전환될 때, 무선리소스층은 무선리소스제어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미 선택된 서비스를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로 회신한다. 사용자터미널이 셀 호출, 무선등록구역호출 또는 셀 순방향 접속 상태에 처한 경우 사용자장치는 셀 업데이트(CELL UPDATE) 메시지를 채택하며, 사용자장치가 셀 전용 상태에 처한 경우, MBMS 수정요청 메시지(MBMS MODIFCATION REQUEST)를 통하여 회신한다.
사용자장치가 셀 전용 상태로 진입하면, 사용자장치는 반드시 어떤 MBMS 선택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야 한다. 만약 없을 경우, 사용자장치는 MBMS 선택 서비스 통고(MBMS Selected Services Info)를 MBMS 수정용청 메시지에 실어 보냄과 아울러, 그것의 상태변수를 「None」으로 설정한다. 만약 있을 경우, 사용자장치는 MBMS 선택 서비스 통고의 상태변수를 「Some」으로 설정하고, 아울러 각각의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수록한 다음 MBMS 수정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이로써 알 수 있듯이, 사용자장치가 셀 전용 상태로 진입할 때, 어떤 서비스를 이미 선택했는지를 막론하고, 사용자장치는 모두 MBMS 수정요청 메시지를 무선 접속네트워크터미널로 회신해야 한다. 사용자장치의 입장에서는, 이미 선택된 서비스가 없는 상황에서 메시지를 회신할 경우 불필요한 시스템 소모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가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로 진입할 때, MBMS 선택 서비스의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 그 관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의 불필요한 시스템 소모를 방지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방법은 사용자장치가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로 진입했을 때, 만약 상기 사용자장치에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MBMS 메시지 회신을 취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어, MBMS 서비스 정보를 정확하게 회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시스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개시한다. 이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쓰이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로 진입할 때에,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MBMS 메시지 회신을 취소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보면, 종래에는 사용자장치가 셀 전용 상태로 진입할 때, MBMS 선택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막론하고, 사용자장치는 모두 MBMS 수정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터미널로 회신해야 했다. 종래기술에 반해, 본 발명은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할 때에만 사용자장치가 MBMS 수정요청 메시지를 회신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시스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무선통신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입력장치(102), 출력장치(104), 제어회로(106), 중앙처리장치(108), 메모리장치(110), 프로그램코드(112) 및 송수신기(114)만 표시하였다. 무선통신 장치 중에서제어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8)를 통하여 메모리장치(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112)를 실행시키고, 나아가 무선통신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는 입력장치(102)(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출력장치(104)(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 신호를 출력한다. 송수신기(114)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데 사용되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회로(106)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회로(106)에서 형성된 신호를 무선전신 방식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통신프로토콜의 구조로 말하면, 송수신기(114)는 제1층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제어회로(106)는 제2층 및 제3층의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무선통신장치(100)는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112)의 설명도이 다. 프로그램코드(112)는 응용프로그램층(200), 제3층 인터페이스(202) 및 제2층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고, 제1층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다. 무선리소스제어유닛(222)은 제3층(202)에 위치하여 제1층(218) 및 제2층(206)을 제어하고, 기타 통신장치와 함께 무선리소스제어층의 일대일 통신(Peer-to-Peer)을 실행한다. 이밖에, 무선리소스제어유닛(222)은 무선통신장치(100)의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를 변경해줄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시스템의 수요 또는 통신환경의 변화를 근거로, 유휴(Idle), 셀 호출(CELL_PCH), 무선등록구역호출(URA_PCH), 셀 순방향접속(CELL_FACH) 또는 셀 전용(CELL_DCH)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응용프로그램층(200)이 MBMS를 선택하거나 삭제할 때, 무선리소스제어유닛(222)은 현재의 무선리소스제어상태를 근거로, 상관 무선리소스제어 메시지(RRC Message) 및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관 무선리소스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은 프로그램코드(112) 중 MBMS 선택 서비스 회신 프로그램코드(220)를 제공함으로써 MBMS 선택 서비스의 회신 메커니즘을 개선하여 불필요한 시스템 소모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30)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플로우(30)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MBMS 선택 서비스의 정보를 회신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MBMS 선택 서비스 회신 프로그램코드(220)로 컴파일링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0): 시작.
단계(302):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로 진입할 때, 만약 사용자장치에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MBMS 회신을 취소하는 단계.
단계(304): 종료.
플로우(30)에 따르면, 사용자장치가 기타 무선제어리소스 상태로부터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로 진입할 때, MBMS 선택 서비스 서비스가 어느 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장치는 MBMS 메시지 회신을 취소하여 시스템 리소스를 절약하게 된다. 반대로, 만약 사용자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선택 MBMS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MBMS 메시지를 회신함으로써 네트워크터미널에 고지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장치가 기타 무선제어리소스 상태로부터 셀 전용(CELL_DCH) 상태로 진입할 때, 만약 사용자장치에 MBMS 선택 서비스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면 MBMS 수정요청 메시지(MBMS MODIFICATION REQEST)를 회신하지 않도록 하고, 만약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사용자장치는 MBMS 선택 서비스 통고(MBMS Selected Services Info)의 상태변수를 「Some」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각각의 이미 선택된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수록한 다음, MBMS 수정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무선접속네트워크터미널로 회신하도록 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의거하여 진행한 동등한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이 포괄하는 범위 내에 속한다.
도 1은 무선통신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중 프로그램코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부의 설명>
100: 무선통신장치 102: 입력장치 104: 출력장치 106: 제어회로 108: 중앙처리장치 110: 메모리장치 112: 프로그램코드 114: 송수신기 200: 응용프로그램층 202: 제3층 인터페이스 206: 제2층 인터페이스 218: 제1층 인터페이스 220: MBMS 선택 서비스 회신 프로그램코드 222: 무선리소스제어유닛

Claims (10)

  1.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장치 중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로 진입할 때, 만약 상기 사용자장치에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MBMS 메시지 회신을 취소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장치가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로 진입할 때, 만약 상기 서비스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MBMS 메시지를 회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무선리소스제어 상태는 셀 전용상태(CELL_D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BMS 메시지는 MBMS 수정요청 메시지(MBMS MODIFICATION REQUEST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어, MBMS 정보를 정확하게 회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시스템 소모를 막기 위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종하도록 프로그램코드를 실행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제어회로에 설치되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전용 무선리소스제어상태에 진입할 때, 만약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MBMS 메시지 회신을 취소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코드에는 전용 무선리소스제어상태에 진입할 때, 만약 상기 통신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MBMS 선택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MBMS 메시지를 회신하는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무선리소스제어상태는 셀 전용 상태(CELL_D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BMS 메시지는 MBMS 수정요청 메시지(MBMS MODIFICATION REQUEST mess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70085077A 2006-09-06 2007-08-2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52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237806P 2006-09-06 2006-09-06
US60/842,378 2006-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500A true KR20080022500A (ko) 2008-03-11
KR100952629B1 KR100952629B1 (ko) 2010-04-15

Family

ID=3896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077A KR100952629B1 (ko) 2006-09-06 2007-08-2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57989A1 (ko)
EP (1) EP1898659A3 (ko)
JP (1) JP2008067380A (ko)
KR (1) KR100952629B1 (ko)
CN (1) CN101141685A (ko)
TW (1) TW2008146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5827B2 (ja) * 2007-01-19 2012-05-23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における選択サービスの通知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004695B1 (ko) * 2007-04-17 2011-01-04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수신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및 장치
US8385247B2 (en) * 2008-12-03 2013-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resource management for overlapp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zones
KR20120071217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US9271238B2 (en) 2013-01-23 2016-02-23 Seven Networks, Llc Application or context aware fast dormancy
DE102017213706A1 (de) * 2017-08-07 2019-02-07 Robert Bosch Gmbh LiDAR-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204B2 (ja) * 2002-04-09 2007-10-31 三星電子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放送/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のための制御情報伝送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651405B1 (ko) * 2003-07-24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50015544A (ko) * 2003-08-06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다중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사용자단말기들에게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방송/다중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964679B1 (ko) * 2003-08-19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 멀티 캐스트서비스에서 무선자원제어연결 모드 단말을 집계하는 방법
KR20050105898A (ko) * 2004-05-0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방송/다중방송 서비스를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고 지시자를 전송하는 장치 및방법
KR20050107145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서비스를 통지하는 방법
KR100663417B1 (ko) * 2004-12-23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멀티미디어/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장치
EP1847041A1 (en) * 2005-01-28 200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session non-interest indication information of ue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8659A3 (en) 2010-08-25
KR100952629B1 (ko) 2010-04-15
TW200814612A (en) 2008-03-16
EP1898659A2 (en) 2008-03-12
US20080057989A1 (en) 2008-03-06
JP2008067380A (ja) 2008-03-21
CN101141685A (zh)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173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operating frequency for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06544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일대다 mbms 처리방법 및 장치
US77153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int-to-multipoint MBMS servic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6572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MBMS
KR100952629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bms 정보를 회신하는 방법 및장치
WO2006035100A1 (en) Providing inform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2008010180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큐잉 기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100930B2 (en) Method of selecting operating frequency for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US200702189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point-to-multipoint MBMS servic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09386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일대다 mbms 서비스를 처리하는방법 및 장치
KR2007009336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일대다 mbms 서비스를 정지하는방법 및 장치
US20240147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5mbs nation-wide service
TWI449371B (zh) 用於無線通訊系統選擇操作頻率的方法及其相關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