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370A -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370A
KR20080022370A KR20060085725A KR20060085725A KR20080022370A KR 20080022370 A KR20080022370 A KR 20080022370A KR 20060085725 A KR20060085725 A KR 20060085725A KR 20060085725 A KR20060085725 A KR 20060085725A KR 20080022370 A KR20080022370 A KR 2008002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hort
rang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85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9031B1 (en
Inventor
이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8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031B1/en
Publication of KR2008002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3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031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communication repeat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are provided to use an AV(Audio Video) apparatus at home as a server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us a user can confirm information receiv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missing the information even when the user enjoys multimedia contents through the AV apparatus. An AV apparatus(104) has a server func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06)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storage device(206) store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06). When the AV apparatus(104) is powered on, communication is maintained by automatically searching the periph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06).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중계 장치 및 방법{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서버로서의 AV 기기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n AV device as a serv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2 : TV(디스플레이)102: TV (display)

102a : 윈도우102a: Windows

102b : 카메라102b: Camera

104 : AV 기기104: AV equipment

106 : 이동 통신 단말기1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 리모콘110: remote control

110a : 마이크110a: microphone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wireless network.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휴대 전화나 PDA,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률이 상당히 높아졌다. 이와 같은 휴대 전화나 PDA,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외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단말기를 늘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실내(특히 가정 내)에서는 단말기를 휴대하기 보다는 임의의 장소에 놓아두는 경우가 많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enetration rat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smart phon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a mobile phone, PDA, or smart phone, it is common to always carry the terminal while traveling outdoors, but indoors (especially at home) rather than carrying the terminal. It is often left in an arbitrary place.

참고로, 가정 내에는 TV와 같은 영상 장치가 휴대 전화 보다도 더 많이 보급되어 있고, 가정 내에서의 TV 시청 시간도 매우 긴 편이다. 특히 근래에는 TV에 셋 탓 박스(Set Top Box)를 연결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거나, 셋 탑 박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가 TV에 내장되는 경우도 많다.For reference, more video devices such as TVs are used in homes than mobile phones, and TV viewing times in homes are very long. In particular, recently, a digital signal converter that connects a set top box to a TV to watch digital broadcasts or performs a function of a set top box is often embedded in the TV.

또한 근래에는 TV 뿐만 아니라 홈 씨어터 시스템(Home Theater System)도 가정 내에 상당히 보급되어 있다. 따라서 홈 씨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감상 시간도 상당히 증가하는 추세이다.Recently, not only TVs but also home theater systems are widely used in homes. Therefore, the viewing time of multimedia contents using the home theater is also increasing considerably.

이와 같은 가정 내의 환경에서 TV 또는 홈 씨어터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동안, 실내의 사용자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장소 놓아 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정보(또는 통화)가 수신되더라도 TV 또는 홈 씨어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과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집중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통화)를 인지하기 어렵다. 만약 이 정보(통화)가 매우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되지 않는 일회성 정보라면 사용자는 중요한 정보를 놓치게 되어 곤란한 상황을 겪을 수 있다.While watching multimedia content through a TV or home theater in such a home environment, even if information (or a call) is recei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ced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from an indoor user, it is output from the TV or home theater.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ound and multimedia content of the us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information (call)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is information (call) is very important but one-time information that is not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y be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missing important information.

본 발명은 가정 내의 AV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서버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AV 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정보를 놓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a AV device in a home as a server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a user can check information recei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missing information while viewing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V device.

또한, 수신된 정보를 별도의 저장 장치에 저장해 둠으로써 향후 저장된 저보의 편집과 같은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is another object to facilitate recycling such as editing of the stored information in the futur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AV 기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relay device including: an AV device having a server func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술한 AV 기기가 파워 온 되면 주변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으로 탐색하여 통신을 유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AV device is powered on, it automatically searches for near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maintain communication.

또한, 상술한 AV 기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암호화된 고유 식별 채널을 이용하여 서로를 인식한다.In addition, it recognizes each other using the encrypted unique identification channel between the above-described AV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또한, 상술한 AV 기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Wi- Fi와 VoIP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AV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s at least one of Wi-Fi and VoIP.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중계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AV 기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중계 장치의 통신 중계 방법에 있어서, AV 기기가 파워 온 되면 주변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으로 탐색하여 통신을 유지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AV 기기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수신된 정보를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A communication re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V device having a server func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of a communication relay device including a storag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utomatically search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vicinity when the AV device is powered on to maintain communication; When a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dicating that the event has occurred on a display connected to the AV device; The receiv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또한, 상술한 AV 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디스플레이의 화면 일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윈도우에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AV 우선 모드와, AV 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에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통신 우선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시한다.In addition, even if a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viewing the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AV device, an AV priority mod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in the window by forming a window on a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and the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V device. If a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watching the video, the multimedia content is interrupted to play and selectively performs any one of communication priority modes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2)(예를 들면 TV)와 AV 기기(104)(예를 들면 셋 탑 박스나 홈 씨어터)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108)는 이 디스플레이(102)와 AV 기기(104)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한다. AV 기기(104)의 조작에는 리모콘(110)이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102 (e.g., TV) and the AV device 104 (e.g., set-top box or home theat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108. The multimedia content is viewed using the display 102 and the AV device 104. The remote controller 110 may be used to operate the AV device 10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V 기기(104)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AV 기기(104)는 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 전화나 PDA,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수신되는 정보를 중계받아 디스플레이(102)를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내/외장 저장 장치(미도시)에 저장한다.The AV device 10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and the AV device 104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or a smart phon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terface. The received information is relay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102 and stored in an internal / external storage device (not shown).

이동 통신 단말기(106)가 사용자(108)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있더라도 AV 기기(104)가 수신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해 주고 또 저장 장치에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108)가 AV 기기(104)를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몰입하더라도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수신되는 정보를 놓치지 않는다.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far from the user 108, the AV device 104 displays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102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device, so that the user 108 can check the AV device 104. Even if the user is immersed in the multimedia content to be 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s not missed.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서버로서의 AV 기기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 기기(104)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02)의 입력 측에는 입력부(204)와 통신 인터페이스(206)가 제어부(202)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202)의 출력 측에는 디스플레이(102)가 연결된다. AV 기기(104)의 제어부(202)는 단순한 마이컴이 아닌 디지털 신호 처리가 가능한 코덱 칩(CODEC Chip)에 해당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n AV device as a server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an input unit 204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20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control unit 202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V device 104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202. The display 102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202. The control unit 202 of the AV device 104 corresponds to a codec chip capable of processing digital signals, not just a microcomputer.

제어부(202)는 AV 기기(104)가 파워 온 되면 통신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6)와 미리 약속된 신호를 발생시켜 그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AV 기기(104) 주변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탐색한다. 탐색이 완료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6)와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통신을 유지한다.When the AV device 104 is powered on, the control unit 202 generates a signal previously promis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06 and confirms the respon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ereto. Search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round 104. When the search is comple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maintains communication while periodical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입력부(204)는 리모콘(110)을 통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2)에 전달한다. 이 리모콘(110)을 통해 사용자는 AV 기기(104)에 AV 우선 모드와 통신 우선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AV 우선 모드는 AV 기기(104)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정보가 수신되더라도 디스플레이(102)의 화면 일부분에 작은 윈도우(102a)를 형성하여 이 윈도우(102a)에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감상에 크게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도 정보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와 달리 통신 우선 모드는 AV 기기(104)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정보가 수신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102) 전체에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확실하게 정보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의 설정은 사용자(108)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04 receives a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11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202. The user can set the AV priority mode and the communication priority mode to the AV device 104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110. In the AV priority mode, even whe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while viewing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V device 104, a small window 102a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102 to thereby display the window 102a. By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information is received without being greatly disturbed by the viewing of the multimedia contents. In contrast, in the communication priority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receives information while watching the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V device 104, the user stops the multimedia content and displays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entire display 102. Is a mode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receive information more reliably. The setting of this mode can be freely set by the user 108.

제어부(202)에는 대용량의 저장 장치(206)가 연결되는데, 이 저장 장치(206)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수신되어 통신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중계되는 정보가 저장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AV 기기(104)에 내장되는 저장 장치(206) 이외에도 별도의 외장 저장 장치를 연결해 사용해도 좋다.The control unit 202 is connected to a large-capacity storage device 206, which store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and relay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06.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o the storage device 206 built in the AV device 104, a separate external storage device may be connected and used.

통신 인터페이스(206)는 Wi-Fi 방식 또는 VoIP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Wi-Fi 방식의 경우, Wi-Fi 표준에 의한 IEEE 802.11b 규격을 적용한다. AV 기기(104)가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인식하고 구분하기 위해서는 고유의 ID를 생성 하여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ID의 교환은 암호화된 채널을 이용함이 마땅하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206 may use a Wi-Fi scheme or a VoIP scheme. In the case of the Wi-Fi method, the IEEE 802.11b standard according to the Wi-Fi standard is applied. In order for the AV device 104 to recognize and distinguish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d exchange a unique ID. In this case, the exchange of IDs should use an encrypted channel.

VoIP 방식의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206)는 화상 통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a VoIP schem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06 enables video calls.

화상 통신은 디스플레이(102)에 마련되는 카메라(102b)를 통해 영상을 수집하고, 리모콘(110)에 마련되는 마이크(110a)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The video communication may collect an image through the camera 102b provided on the display 102 and collect a user's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110a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110.

이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6) 역시 Wi-Fi 표준을 통한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should also be able to perform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the Wi-Fi standar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108)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감상을 위해 AV 기기(104)를 파워 온 시키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려는 목적이 아니더라도 AV 기기(104)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 수신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AV 기기(104)를 파워 온 시킨다(30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user 108 may turn on the AV device 104 for viewing multimedia content,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rough the AV device 104 even if the user 108 does not intend to enjoy the multimedia content. The AV device 104 is powered on to confirm the received information (at 302).

AV 기기(104)가 파워 온 되면, 제어부(202)는 통신 인터페이스(206)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6)와 미리 약속된 신호를 발생시켜 그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106)의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AV 기기(104) 주변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06)를 탐색한다(304). 탐색이 완료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6)와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통신을 유지한다.When the AV device 104 is powered on, the control unit 202 control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06 to generate a signal predetermined in advanc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o confirm the respon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there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in the vicinity of the AV device 104 is searched (304). When the search is comple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maintains communication while periodical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이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06)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306), 즉 정보가 수신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통신 우선 모드와 AV 우선 모드 가운데 사용 자(108)가 어떤 모드를 설정했는지를 확인한다(308). 만약 통신 우선 모드인 경우에는 동작 중인 AV 기기(104)를 일시 정지 시킨 후 디스플레이(102)의 전체 화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310). 이와 달리 AV 우선 모드인 경우에는 AV 기기(104)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102)의 화면상에 작은 윈도우(102a)를 형성하여 그 윈도우(102a)에 정보를 표시한다(312). 이와 같이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함과 동시에 AV 기기(104)의 저장 장치(206)에 저장함으로써, 향후 재생, 편집, 복사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314).In this state, when a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6 (306), that is, when a situation such as information is received, the user 108 determines which mode is set among the communication priority mode and the AV priority mode. (308)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priority mode, the AV device 104 in operation is paused and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102 (310). In contrast, in the AV priority mode, while the AV device 104 is operating, a small window 102a is form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02 to display information in the window 102a (312). The receiv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02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06 of the AV device 104, thereby enabling future playback, editing, copying, and the like (314).

통신이 완료되면(316의 ‘예’) AV 기기(104)를 정상적으로 동작시켜서 사용자(108)로 하여금 AV 기기(104)를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감상을 계속 할 수 있도록 한다(318).When the communication is complete (YES at 316), the AV device 104 is operated normally so that the user 108 can continue to watch the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V device 104 (318).

본 발명은 가정 내의 AV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서버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AV 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정보를 놓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V device in a home as a server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a user can check information recei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missing information while viewing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V device.

또한, 수신된 정보를 별도의 저장 장치에 저장해 둠으로써 향후 저장된 저보의 편집과 같은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한다.Also, by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it is easy to recycle such as editing the stored information in the future.

Claims (6)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AV 기기와;An AV device having a server func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중계 장치.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V 기기가 파워 온 되면 주변에 있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으로 탐색하여 통신을 유지하는 통신 중계 장치.And automatically search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vicinity when the AV device is powered on to maintain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V 기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암호화된 고유 식별 채널을 이용하여 서로를 인식하는 통신 중계 장치.And a communication relay device that recognizes each other using an encrypted unique identification channel between the AV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V 기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Wi-Fi와 VoIP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중계 장치.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AV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s at least one of Wi-Fi and VoIP.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 한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AV 기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중계 장치의 통신 중계 방법에 있어서,An AV device having a server func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상기 AV 기기가 파워 온 되면 주변에 있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자동으로 탐색하여 통신을 유지하고;When the AV device is powered on, automatically searching for near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maintain communication;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상기 AV 기기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When a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on a display connected to the AV device;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통신 중계 방법.A communication relay method for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AV 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일부분에 윈도우를 형성하여 상기 윈도우에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AV 우선 모드와, 상기 AV 기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도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전체에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통신 우선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통신 중계 방법.AV priority mod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in the window by forming a window on a part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even if a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viewing the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AV device, and the multimedia through the AV device. If an event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viewing the content, the communication relay method selectively performs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priority mode to stop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to display the information receiv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KR20060085725A 2006-09-06 2006-09-06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279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5725A KR101279031B1 (en) 2006-09-06 2006-09-06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5725A KR101279031B1 (en) 2006-09-06 2006-09-06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370A true KR20080022370A (en) 2008-03-11
KR101279031B1 KR101279031B1 (en) 2013-07-02

Family

ID=3939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85725A KR101279031B1 (en) 2006-09-06 2006-09-06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031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05B1 (en) * 2002-09-05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utputting a sound file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031B1 (en)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0840B2 (en) Equipment networking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34149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hand-held devices and method thereof
US895874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109987B1 (en) Program recording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151072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of
US8245258B2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telephony us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550539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715801B1 (en) Methods, apparatuse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
CN103873798A (en) Sound play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television
US11812109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television receiver, and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thod
CN104618783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17530489A (en) Terminal test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6792074A (en) Intelligent televi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US20140152901A1 (en) Control system for video device and video device
CN105681062A (en)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JP4297640B2 (en) Remote controller
CN105049899A (en) Television projection control method, television projection control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CN104768084A (en) Talkback achiev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279031B1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6789943B (en) Playing method and device of Bluetooth equipment
CN111083545B (en) Remote operation control method, remote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8584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output in portable terminal
KR1007354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ing a personal computer
KR20130062477A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display apparatus using it
US88263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occurrence of event of communication terminal in digital T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