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1747A -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1747A
KR20080021747A KR20080014357A KR20080014357A KR20080021747A KR 20080021747 A KR20080021747 A KR 20080021747A KR 20080014357 A KR20080014357 A KR 20080014357A KR 20080014357 A KR20080014357 A KR 20080014357A KR 20080021747 A KR20080021747 A KR 20080021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ata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639B1 (ko
Inventor
정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8001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6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6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기초로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호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의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요금 한도 내에서 이용하여 불필요한 요금 지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무선 데이터 제공 차단, 무선 인트로 페이지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data}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요금에 따라 무선 데이터를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공학, 통신 공학, 단말 기술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무선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동영상 등의 컨텐츠 제공을 위한 메시지 전송, 화상 통신 및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연락이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이루어져 이동통신 단말은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연락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는 유선통신 시스템에 비해 단위 시간당 통신 요금이 비싼 무선 데이터 제공 요금이나 컨텐츠 이용 요금을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요금이 얼마나 되었는지 인식하지 못한 채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불필요한 요금을 더 지불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이용에 따라 지불해야 되는 요금에 관한 정보를 요금 청구서가 제공되기 전에는 미리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데이터를 제공 받는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요금 한도 내에서 무선 데이터를 제공 받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데이터 제공시 초기 화면으로 미리 설정된 요금 한도나 잔액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은 (a)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기초로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호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기초로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호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호 연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를 제공 받는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요금 한도 내에서 무선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제공시 초기 화면으로 미리 설정된 요금 한도 나 잔액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 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말(110), 통신망(120),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 및 컨텐츠 제공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110)은 이동통신망(120)을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110) 또는 유선 전화기와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통한 무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W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일 수 있다.
또한, 단말(110)은 이동통신망(120)뿐만 아니라 인터넷망(130) 등의 다른 유무선 통신망(120)과 통신하는 PC(Personal Computer),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및 노트북 PC(Notebook PC) 등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명확성과 편의를 위해 단말(110)은 이동통신 단말(110)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110)은 통신망(120)과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이동통신망(120)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등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음성 통화 연결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 등의 다양한 무선 데이터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망(120)(예를 들어, CDMA, WCDMA 등)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로서, 동축케이블, 광섬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근거리 통신망(120)(LAN)이거나 패킷 교환망(PSTN), 통합 서비스 디지털 망(ISDN), 광대역 종 합 정보 통신망(120)(B-ISDN)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WAN), 케이블 TV망,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위성망, 무선 인터넷망(130), 이동통신사의 인터넷망(130) 등을 포함하는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20)은 과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과금 서버는 단말(110)에서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및 무선 데이터 제공(무선 데이터 제공 포함)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과금 서버는 단말(110)이 가입된 요금제 정보, 과금 정보 산출을 위한 과금 요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정보들(요금제 정보 등)은 통신망(120) 내부의 다른 장치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금 서버는 과금 정보 생성시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과금 서버는 생성된 과금 정보를 결제 서버(미도시) 예를 들어, 은행 등의 금융 기관이 운영하는 결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결제 서버는 해당 단말(110)에 과금 정보에 따라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부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에 따라 선택적으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기준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요청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를 연결하고,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기준 요금 미만인 경우, 요청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가 연결된 경우, 단말(110)로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해당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소진시 추가로 이용 가능한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컨텐츠 제공 서버(140)는 예를 들면, 네이버, 야후, 매직엔, 소리나라, 그림나라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뿐만 아니라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통신부(141), 판단부(142), 호 연결부(143), 갱신부(144), 페이지 제공부(145) 및 저장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1)는 단말(110)로부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41)는 통신망(120)을 통하여 외부 장치(컨텐츠 제공 서버(140)를 포함함)로부터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모든 신호 및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142)는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제공 가능 금액에 대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한다. 그리고 판단부(142)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기초로 단말(110)에 무선 데이터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142)는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 판단을 위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와 설정된 기준 요금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무선 데이터 제공을 요청한 단말(110)이 이용할 수 있는 요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요금 상한을 5만원으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자. 사용자가 2만원에 해당하는 무선 데이터를 제공받은 경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은 이용 가능한 요금, 즉 3만원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142)는 해당 단말(110)에 설정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와 해당 단말(110)이 이용한 과금 정보를 비교하여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의 사용자가 한달에 5만원의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정보를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자. 단말(110)이 무선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면, 판단부(142)는 해당 단말(110)이 그 달에 이용한 무선 데이터 제공 요금을 비교한다. 판단부(142)는 그 달에 이용한 무선 데이터 요금이 5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부(142)는 그 달에 이용한 무선 데이터 요금이 5만원인 경우에는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5만원의 요금이 요금제 가입시 지정한 날(예를 들어, 매월 말일)에 사용자에게 과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요금을 미리 설정할 뿐이며, 요금 결제가 선불로 이뤄지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호 연결부(143)는 단말(110)이 요청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한다.
호 연결부(143)는 판단부(142)의 판단에 따라,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지정된 기준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호 연결부(143)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지정된 기준 요금 미만인 경우,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를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요금 정보는 무선 데이터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최저의 요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요금은 무선 데이터 제공의 기본료로서, 100원 또는 0원일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요금은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에 따라 단말에 무선 데이터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즉 기준 요금이 0원인 경우, 호 연결부(143)는 무선 데이터 요금(즉 잔액)이 없는 경우, 호 연결을 차단한다.
갱신부(144)는 단말(110)이 요청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가 연결된 경우, 연결된 호에 따른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110)이 10분간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를 가정하자. 갱신부(144)는 10분간의 무선 데이터 제공에 따른 요금을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에서 차감할 수 있다.
페이지 제공부(145)는 단말(110)이 무선 데이터 제공을 제공 받는 경우, 초기 화면으로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 및 추가 이용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무선 데이터 제공 요금 정보로서, 한 달간 무선 데이터 제공 이용 금액, 이용 패킷, 이용 시간 등일 수 있다. 또한, 추가 이용 요금 정보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초과하여 무선 데이터 제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설정할 무선 데이터 제공 이용에 대한 요금 정보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제공시 첫 화면으로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참고하여,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지 여부 또는 추가로 요금을 지불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저장부(146)는 단말(110)(또는 사용자)별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 및 기준 요금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6)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ROM)과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의 전반적인 제어가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부(141), 판단부(142), 호 연결부(143), 페이지 제공부(145) 및 저장부(146)(123)는 분리되어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하나의 회로(하나의 논리부로서 마이크로 회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부터 무선 데이터 제공 요청(호 연결 요청 신호)을 수신하고,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무선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S31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부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MIN이나 IMSI 등)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2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한다. 이때,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계 S310에서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단말(110)이 무선 데이터 제공 이용을 위한 요금 정보일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단말(110)의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무선 데이터 제공을 이용하기 위해 설정한 요금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한 달에 5만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후술할 갱신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제공에 대해 한달에 5만원이라는 요금을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이미 사용자가 2만원에 해당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을 이용하였다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2만원을 차감한 3만원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3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지정된 기준 요금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기준 요금은 무선 데이터 제공을 이용하기 위한 최저 요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요금은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기본 요금이 500원인 경우, 500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준 요금은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의 잔액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0원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기준 요금은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이나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혹은, 단계 S330과 달리,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이 제공받은 무선 데이터에 상응하는 요금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단계 S34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계 S330에서의 판단 결과,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기준 요금을 초과하는 경우에 단말(110)로 무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통신망(120)을 통하여 단말(110)이 요청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를 연결한다.
이어서, 단계 S35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호 연결에 해당하는 과금 정보를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에 차감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호 연결이 종료된 경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의 차감(단계 S35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호 연결 중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의 차감(단계 S350)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반복적으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의 차감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기준 요금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호 연결 중에도 불구하고 연결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 연결을 해제(이하 차단으로 통칭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부터 요청된 호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 차단 이유(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의 잔액 부족)이나 추가 이용을 위한 요금 정보 등을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의식 중에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설정된 요금을 초과하여 요금을 부담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6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계 S330의 판단 결과,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이 기준 요금 미만인 경우에 단말(110)이 요청한 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부터 요청된 호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 차단 이유(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의 잔액 부족)이나 추가 이용을 위한 요금 정보 등을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 형태는 SMS 등의 안내 메시지일 수 있다.
이후,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은 후불식 결제 방법으로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매월 25일) 해당 단말(110)에 과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용자가 한 달에 4만원의 요금에 해당하는 무선 데이터를 이용하는 요금제에 가입한 경우를 가정하자.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의 해당 월의 25일에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인 4만원을 은행이나 대리점을 통하여 후불식으로 지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요금의 상한을 미리 설정할 뿐이며, 선불식 결제 방법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 무선 데이터 제공을 제공하는 경우, 무선 인트로 페이지(예를 들어, 초기 화면)를 제공한다.
단계 S41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부터 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S42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한다.
상세하게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미리 단말(110) 정보 및 해당 단말(110)이 가입한 요금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110)이 가입한 요금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또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통신망(120)의 HLR(Home Location Resister; 홈 위치 등록기)나 과금 서버로부터 해당 단말(110)의 가입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수신한 요금제에 대한 정보(무선 데이터 제공을 위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포함)로부터 해당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한다.
이어서, 단계 S43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 및 추가 이용 가능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는 단말(110)이 미리 설정한 무선 데이터 이용에 따른 상한 요금일 수 있다. 또 한, 추가 이용 가능 요금은 상술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이외에 더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이용을 원하는 경우에 추가로 지불하여야 하는 요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4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계 S430에서 생성한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단말(110)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제공 서비스 이용시, 초기 화면으로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잔액 요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결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정보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하는 결제가 가능한 메뉴 및 메뉴 안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110)에 표시된 안내에 따라 무선 인트로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110)은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하는 요청 신호를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450 및 단계 S46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로부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갱신한다.
즉,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에 소정의 요금을 추가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450에서,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가 단말(110)로부터 추가 이용 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말(110)에 무선 데이터 제공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무선 데이터 제공을 요청한 단말(110)로 제공된다. 또한,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해당 단말(110)의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단말(110)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에 초기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공된 무선 인트로 페이지(초기 화면)을 보고, 무선 데이터 제공 이용 여부나 이용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단말 화면(510)는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예시한다. 여기서,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요금제에 대한 안내,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 및 무선 데이터 추가 이용에 대한 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메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공된 메뉴 중 선택하여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단말 화면(520)은 사용자가 추가 이용 안내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이 경우, 단말(110)의 화면은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하기 위한 방법이나 요금 정보(요율 정보 포함) 안내 정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하기 위한 "신청하기"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청하기" 메뉴를 선택하여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단말 120: 통신망
130: 데이터 제공 장치 140: 컨텐츠 제공 서버
141: 통신부 142: 판단부
143: 호 연결부 144: 갱신부
145: 페이지 제공부 146: 저장부
510: 제1 단말 화면 520: 제2 단말 화면

Claims (14)

  1.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 단말의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기초로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호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와 설정된 기준 요금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c-2)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가 상기 기준 요금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 하되,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요금 정보는,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최저의 요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e)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의 연결에 따른 과금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가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3)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가 상기 기준 요금 정보 미만인 경우,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트로 페이지는,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하기 위한 결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을 추가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9. 단말의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기초로 무선 데이터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호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호 연결부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와 설정된 기준 요금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가 상기 기준 요금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가 상기 기준 요금 정보 미만인 경우, 무선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제공 호의 연결에 따른 과금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무선 인트로 페이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페이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이용가능 요금은,
    상기 단말에 후불식 결제 방식으로 과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제공 장치.
KR20080014357A 2008-02-18 2008-02-18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95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4357A KR100957639B1 (ko) 2008-02-18 2008-02-18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4357A KR100957639B1 (ko) 2008-02-18 2008-02-18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747A true KR20080021747A (ko) 2008-03-07
KR100957639B1 KR100957639B1 (ko) 2010-05-13

Family

ID=3939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4357A KR100957639B1 (ko) 2008-02-18 2008-02-18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6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2864A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 청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85376A (ko) * 2018-07-12 2018-07-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호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292A (ko) * 2012-04-25 2013-11-04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데이터 한도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 저감 정책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31B1 (ko) * 2004-04-22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과금액 설정방법 및 제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2864A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 청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85376A (ko) * 2018-07-12 2018-07-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639B1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3035B (zh) 通信网络订阅控制
US20150024709A1 (en) Method and server for sharing data traffic
CN102098345A (zh) 一种资源分享方法和业务提供系统
CN102469419A (zh) 实现客户端在线计费的方法和装置
JP2009271769A (ja) 電子マネーチャージシステム、電子マネーサーバ、電子マネーチャージ方法
JP2008026956A (ja) データ通信課金システム,データ通信課金方法及びデータ通信課金用プログラム
KR100957639B1 (ko) 무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771546A (zh) 一种数据业务计费方法和装置
KR100882940B1 (ko) 통신 요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68602B1 (ko) 모바일 청구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34918B1 (ko) 적응적 과금 시스템 및 적응적 과금 처리 방법
CN108156206B (zh) 一种数据转移方法、服务器、客户端以及系统
US8909225B2 (en) Multicarrier wireless service selection
KR100873208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5688284B2 (ja) 移動通信端末及び端末制御方法
US86202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calculating communication fees corresponding to communication utilization forms
TWI545933B (zh) 節費通話服務之方法及裝置
KR101223076B1 (ko) 문자메시지 전송료와 정보이용료의 한도제공 서비스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KR102608750B1 (ko) 온라인 간편 결제를 통한 선불폰 간편 충전 자동화 처리 시스템
CN113301396B (zh) 基于边缘计算的视频服务方法及边缘计算服务器
EP2478665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using a first service based on an account chargeable with the use of a second service
KR100642863B1 (ko) 모바일 서비스 이용 요금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서비스 이용 요금 통합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5507116B2 (ja) 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080095312A (ko) 광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140609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